울산과학기술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울산 지역의 고등 교육 기회 확대를 위해 설립된 연구 중심 대학이다. 2007년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로 설립되어, 2015년 울산과학기술원으로 전환되었다. KAIST, MIT, HKUST를 모델로 하여 영어 강의, 두 개의 전문 분야(트랙) 이수, 플립 러닝 방식을 도입했다. 학부 과정은 공과대학, 정보바이오융합대학, 자연과학대학, 경영과학부로 구성되며, 대학원 과정은 일반대학원, 전문대학원, 특수대학원으로 운영된다. UNIST는 다양한 연구센터를 운영하며, 여러 국가의 대학들과 학술 교류 협정을 맺고 있다. 캠퍼스는 울산 언양읍에 위치하며, 전면 기숙사형으로 운영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학기술원 -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1971년 한국과학원으로 설립되어 대학원 중심 연구기관으로 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통합 및 분리 독립 후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로 이전, 학부와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다양한 분야의 학과를 갖춘 대한민국의 국립 과학기술 특성화 대학이다. - 과학기술원 - 광주과학기술원
광주과학기술원은 1993년 대한민국 정부에 의해 설립된 과학기술 연구 중심의 대학원으로, 과학기술 인재 양성, 연구 기반 구축, 국내외 협력적 연구 프로그램 장려를 목표로 하며 학부생도 모집하고, QS 세계 대학 랭킹에서 우수한 연구 역량을 인정받고 있다. - 울주군의 학교 - 춘해보건대학교
춘해보건대학교는 1968년 춘해간호학교로 시작하여, 전문학사 학위 과정을 운영하며 의료 관련 분야를 중심으로 교육을 제공한다. - 울주군의 학교 -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는 2012년에 개교하여 석사 과정을 운영하다가 2024년부터 박사 과정을 신설하여 전문 인력을 양성한다. - 울산광역시의 대학교 - 울산대학교
울산대학교는 1969년 울산공과대학으로 설립되어 1985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된 사립 대학으로, 공업단지 발전을 위한 기술 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현대그룹의 지원을 받아 설립되었으며, 현재 11개의 단과대학과 6개의 대학원을 운영하며 다양한 분야의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제공하고 산학협력에도 힘쓰고 있다. - 울산광역시의 대학교 - 한국폴리텍VII대학
한국폴리텍VII대학은 경상남도,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지역에 캠퍼스를 둔 직업교육 훈련기관으로, 1977년 설립되어 과학기술처에서 노동부로 이관 후 1998년 한국폴리텍대학 소속으로 변경되었으며, 창원, 부산, 울산, 동부산, 진주 캠퍼스에서 다양한 교육 과정을 운영한다.
울산과학기술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울산과학기술원 |
로마자 표기 | Ulsan Gwahak Gisurwon |
한자 표기 | 蔚山科學技術院 |
별칭 | 울산과기원, 유니스트 |
표어 | First in Change |
표어 (번역) | 변화의 선두 |
마스코트 | 유니 (Uni) (유니콘) |
설립일 | 2007년 |
학교 종류 | 국립 |
예산 | 1억 5200만 미국 달러 (2015년) |
위치 |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
웹사이트 | 울산과학기술원 공식 웹사이트 |
조직 | |
총장 | 이용훈 |
교직원 수 | 교수 495명 / 직원 413명 (2023년 6월) |
학술 직원 수 | 391명 (2016년) |
행정 직원 수 | 288명 (2016년) |
학생 | |
학부생 | 2,377명 (2022년) / 2,342명 (2023년 6월) |
대학원생 | 2,138명 (2022년) / 2,291명 (2023년 6월) |
기타 | |
교색 | UNIST 네이비, UNIST 에메랄드 |
2. 역사
노무현 전 대통령은 울산에 국립대학 설립을 공약에 포함시켰고, 대통령 재임 3년 차에 새로운 고속철도역인 울산역 건설과 함께 이 대학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3] 캠퍼스 부지는 2006년에 최종 확정되었으며,[4] 2007년에는 조무제가 초대 총장으로 선임되었다. 조 총장은 새로운 학교가 스탠퍼드 대학교와 실리콘 밸리 또는 KAIST와 대덕연구개발특구의 경우처럼 연구자와 지역 산업 간의 협력으로 인한 시너지 효과를 활용하고, 새로운 학교가 틈새시장을 찾기 위해 과학 기술 중심의 기관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UNIST는 울산 시민과 울산시의 요청에 따라 2007년 통과된 UNIST 법안에 의해 설립되었다. 2009년 UNIST는 첫 번째 학부 신입생을 맞이하며 문을 열었다. 2015년 3월, UNIST를 한국의 4대 국립 연구 기관 중 하나로 인정하는 새로운 법안이 국회에서 통과되었다. 이 법안 통과로 학교의 한국어 명칭을 울산과학기술대학교에서 울산과학기술원으로 변경하는 것 외에도, 대학원 교육 강화, 박사 과정 학생의 전문연구요원 대체복무 미실시 등 정부의 추가적인 변화와 혜택이 따르게 되었다.
2019년 5월 12일, 개교 10주년 기념 행사를 가졌다. 이날 행사에는 국회의 이채익, 정갑윤, 강길부 의원, 울주군의 이선호 군수 등 여러 UNIST 구성원과 주요 내빈들이 참석하여 하루 종일 진행되었다. 이 행사는 KBS와 BNK경남은행이 후원했다. 같은 날 저녁에는 기념 야외 콘서트가 열렸으며, 한국방송공사를 통해 방송되었다. 이 콘서트에는 약 7,000명이 참석했다.[5]
2. 1. 설립 배경
울산은 인구가 110만 명에 육박하고, 대한민국 연간 수출액의 약 20%를 담당하며, 1인당 평균 소득이 4만 달러에 달해 대한민국의 어느 대도시보다도 소득이 높았다. 그러나 고등 교육을 담당하는 대학은 4년제 대학교가 울산대학교 단 하나, 2년제 대학 둘 뿐이었다. 따라서 고등 교육을 받기 위해서는 인근의 부산이나 대구, 수도권으로 이동해야 했다. 그로 인해 울산 지역 고교 졸업생 중 20%가 서울 지역의 대학으로, 25.6%가 부산 지역으로 대학을 지원하고, 17.9%만이 울산 지역의 대학에 지원하였다.[27]이러한 상황에서 울산 시민들은 1994년부터 서명 운동을 시작하였고, 2001년 11월에는 '울산국립대설립범시민추진단'을 설립하는 등 지역의 국립대 설립을 추진했다. 2002년 6월 울산시장 선거와 2002년 12월 대통령 선거에서 울산 국립대학 설립은 양당 후보 모두의 공통 공약으로 채택되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당선 이후 대선 공약 이행 차원에서 2005년 9월, 특수법인 형태의 울산국립대 설립을 확정했다.[3]
2. 2. 연혁
날짜 | 내용 |
---|---|
2007년 4월 6일 |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정.[28] |
2007년 9월 1일 | 초대 총장 조무제 박사 임명 |
2007년 10월 10일 | 제1회 이사회 개최 |
2009년 3월 2일 | 첫 학부생 입학 (제1회 신입생 입학식) |
2010년 6월 | UNIST 슈퍼컴퓨팅 센터 개소 |
2011년 4월 | 교육과학기술부(현 교육부) 4개 과학기술특성화대학 육성계획 의결 |
2011년 5월 | 기초과학연구원(IBS) D‧U‧P(DGIST, UNIST, POSTECH) 연합캠퍼스 선정 |
2011년 7월 | 교육과학기술부 특별지원 과학기술특성화 대학 선정 |
2011년 9월 1일 | 조무제 총장 연임 |
2012년 10월 7일 | 최초의 기초과학연구원(IBS) 연구실 개소 |
2012년 10월 18일 | 줄기세포 연구동 개관 |
2013년 2월 26일 | 제1회 학위수여식 거행 |
2013년 2월 27일 | 제5회 입학식 거행 |
2013년 3월 | UNIST 소관부처 미래창조과학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 변경 |
2013년 9월 | 교육부 BK21플러스 사업 선정 |
2013년 11월 | IBS 캠퍼스연구단(연구단장 로드니 루오프) 출범 |
2014년 1월 | IBS 캠퍼스연구단(연구단장 스티브 그래닉) 출범 |
2014년 7월 1일 | 게놈(Genomics) 연구소 개소 |
2014년 12월 | IBS 캠퍼스연구단(연구단장 명경재) 출범 |
2015년 3월 | 울산과학기술원법 공포 |
2015년 9월 | 울산과학기술원 전환 |
2015년 10월 | 정무영 박사, 제3대 총장 취임.[6] |
2015년 12월 7일 | 재난 관리 연구소 개소.[7] |
2017년 3월 7일 | UNIST, 대학 운영 배터리 연구 개발 센터 중 세계 최대 규모로 알려진 산학연 배터리 R&D 센터 개소.[8] |
2018년 3월 23일 | UNIST 제2캠퍼스인 울산 산학융합지구 준공.[9] |
2018년 11월 26일 | UNIST, AACSB 국제 인증 획득.[10] |
2019년 5월 12일 | 개교 10주년 기념 행사 개최. 국회의 이채익, 정갑윤, 강길부 의원, 울주군의 이선호 군수 등이 참석. KBS와 BNK경남은행 후원.[5] |
2019년 11월 25일 | 이용훈 박사, UNIST 제4대 총장 취임.[11] |
2. 3. 역대 총장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KAIST, MIT, HKUST 등을 모델로 하는 연구 중심 대학이다. UNIST는 다른 한국 대학들과 차별화되는 세 가지 특징이 있다. 첫째, 국립대학임에도 모든 강좌를 100% 영어로 진행하여 국제적인 학생과 교수를 유치한다. 둘째, 모든 학부생은 '트랙'이라 불리는 두 개의 전문 분야를 이수해야 하는데, 첫 번째 트랙은 전공, 두 번째 트랙은 부전공과 유사하다. 셋째, 거꾸로 학습 방식을 도입하여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한다.[1]
초대 총장인 조무제 총장은 학교 설립 초기에 스탠퍼드 대학교와 실리콘 밸리, KAIST와 대덕연구개발특구의 모델을 참고하여 학교 발전의 비전을 제시하였다.[1]
3. 교육 과정
UNIST는 13개의 과학 및 공학 부서, 경영대학원, 인문학부를 포함하며, 여러 전문 대학원과 연구 센터가 있다.[1]
UNIST는 일반대학원, 전문대학원(기술경영전문대학원, 디자인-공학 융합전문대학원), 특수대학원(융합경영대학원)을 운영한다.
3. 1. 학부 과정
1학년은 기초과정인 새내기학부에 소속되며 1학년 말에 전공을 선택한다.
단과대학 | 학부/학과 |
---|---|
공과대학 | 기계공학과, 지구환경도시건설공학과, 신소재공학과, 에너지화학공학과, 원자력공학과 |
정보바이오융합대학 | 디자인학과, 바이오메디컬공학과, 생명과학과, 산업공학과, 전기전자공학과, 컴퓨터공학과 |
자연과학대학 | 물리학과, 수리과학과, 화학과 |
경영과학부 | (경영과학부 내 학부/학과 없음)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KAIST, MIT, HKUST와 같은 전 세계 대학들을 모델로 하여, 한국의 다른 대학들과 차별화되는 세 가지 접근 방식을 채택했다. 첫째, 한국의 국립대학임에도 불구하고, UNIST의 모든 강좌는 100% 영어로 진행되며, 국제 학생과 교수를 유치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둘째, 모든 학부생들은 '트랙'이라고 불리는 두 개의 전문 분야를 이수해야 한다. 첫 번째 트랙은 다른 대학의 전공과 거의 동일하며, 두 번째 트랙은 부전공과 유사하다. 셋째, UNIST는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과학 및 공학 핵심 과목의 숙달을 장려하기 위해 거꾸로 학습 방식을 교실에 도입했다.
3. 2. 대학원
2021년 기준, 울산과학기술원의 대학원은 일반대학원, 전문대학원, 특수대학원으로 구분된다. 4년제 석·박사 통합과정 및 2년제 석사과정 모두 계열 구분이 없다.- 일반대학원
대학 | 학과 | 세부 전공 |
---|---|---|
공과대학 | 기계공학과 | 기계공학 |
지구환경도시건설공학과 | 도시건설공학, 재난관리공학, 환경과학공학, 과학예술융합 | |
신소재공학과 | 신소재공학 | |
에너지화학공학과 | 에너지공학(배터리과학및기술), 에너지공학, 화학공학 | |
원자력공학과 | 원자력공학 | |
정보바이오융합대학 | 디자인학과 | 디자인학 |
바이오메디컬공학과 | 바이오메디컬공학 | |
생명과학과 | 생명과학 | |
산업공학과 | 산업공학 | |
인공지능대학원 | 인공지능학 | |
반도체 소재·부품 대학원 | 반도체학 | |
전기전자공학과 | 전기전자공학 | |
컴퓨터공학과 | 컴퓨터공학 | |
자연과학대학 | 물리학과 | 물리학, 응용물리학 |
수리과학과 | 수리과학 | |
화학과 | 화학 | |
경영과학부 | 경영과학부 | 경영과학 |
- 전문대학원
- *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기술경영학석사, 공학박사 과정이 있다. 산업혁신, 기술사업화, 전략적 기술경영 트랙으로 세분화되어 있다.
- * 디자인-공학융합전문대학원: 창의디자인공학과로 전문석사과정과 박사과정이 있다.
- 특수대학원
- * 융합경영대학원: 에너지상품거래 및 금융공학, 비즈니스 분석, 창업융합과 이학석사(PSM)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4. 조직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총장, 이사회, 감사, 교학부총장, 연구부총장 등으로 구성된다.[1] 교학부총장은 교무처, 입학학생처, 학술정보처, 행정처, 학부, 대학원 등을 담당하고, 연구부총장은 기획처, 연구처, UNIST 융합연구원, 산학협력단, 대외협력처 등을 담당한다.[1]
4. 1. 이사회 및 감사
울산과학기술원의 이사회는 학교 운영에 관한 중요 사항을 심의·의결하는 최고 의사결정 기구이다. 감사는 이사회의 운영과 학교의 업무 및 회계를 감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1]4. 2. 총장 및 부총장
총장은 울산과학기술원을 대표하고, 교무를 총괄한다.[1] 교학부총장과 연구부총장은 총장을 보좌하며, 각 부총장 산하에는 여러 부서들이 있다.[1]교학부총장은 교무처, 입학학생처, 학술정보처, 행정처, 학부, 대학원, 언어교육원, 예비군대대, 헬스케어센터를 관할한다.[1]
연구부총장은 기획처, 연구처, UNIST 융합연구원, 산학협력단, 대외협력처, 연구지원본부, 슈퍼컴퓨팅센터를 관할한다.[1]
4. 3. 학부 및 대학원
울산과학기술원(UNIST)의 학부는 이공계열 4개 학부와 경영계열 1개 학부로 구성되어 있다.[1]이공계열 | 정보바이오융합대학 |
---|---|
기계항공 및 원자력공학부 | |
자연과학부 | |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 |
경영계열 | 경영과학부 |
대학원은 이공계열 5개 학과와 경영계열 1개 학과 및 융합경영학과로 구성되어 있다.[1]
이공계열 | 정보바이오융합대학 |
---|---|
기계공학과 | |
에너지화학공학과 | |
전기전자공학과 | |
도시환경공학과 | |
경영계열 | 기술경영학과 |
융합경영학과 |
그 외 부속 기관으로 언어교육원, 예비군대대, 헬스케어센터가 있다.[1]
4. 4. 연구지원본부 및 슈퍼컴퓨팅센터
연구지원본부와 슈퍼컴퓨팅센터는 울산과학기술원의 연구 활동을 지원하는 핵심 시설이다.연구지원본부는 첨단 연구 장비 및 시설을 통합 관리하고, 연구자들이 장비를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연구 효율성을 높이고, 연구 성과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1]
슈퍼컴퓨팅센터는 고성능 컴퓨팅 자원을 제공하여 대규모 데이터 분석, 시뮬레이션, 인공지능 연구 등을 지원한다.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슈퍼컴퓨터를 활용하여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지식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2]
4. 5. 연구센터
UNIST영어 산하 연구센터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분야 | 연구센터 |
---|---|
전기전자컴퓨터공학 | GEV 사업단, 유기발광소자 연구센터, 산업-IT 융합 연구센터, 고성능 빅데이터 연구센터, 스마트센서 연구센터, 울산과학기술원 데이터 과학 연구소, 분산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 연구센터 |
자연과학 | 핵융합 플라즈마 안정성/구속성 연구센터 |
에너지 및 화학공학 | META-신소재 기반 융복합형 에너지 변환 및 저장 기술 개발 사업단, 저차원 탄소혁신소재 연구센터, KIER-UNIST 차세대전지원천기술 연구센터, 차세대 촉매 연구센터, 그린에너지소재기술개발센터, 탄소 자원화 연구센터, 페로브트로닉스 연구센터 |
신소재공학 | KIST-UNIST 울산 융합 신소재 연구센터, 다차원 프로그래머블 소재 연구센터 |
생명과학 | 세포간 신호교신을 위한 암제어 연구센터, 한스쉘러 줄기세포 연구센터, 노화 다이나믹스 연구소, 나노기반 의생명 영상 연구개발 사업단, 초기능성소재 연구센터, 게놈산업기술센터(KOGIC), M³ 바이오 이미징 허브 연구센터 |
디자인 및 인간공학 | 인간과 기술가치의 미래 제조산업을 위한 융합형 인간 및 시스템 공학자 양성사업단, 3D 프린팅 첨단 생산 기술 연구센터 |
기계 및 원자력공학 | 차세대 원자로 시스템 연구소, 미래원자력 환경 안전 연구소, 극한환경무인기 연구센터, 원전해체융합기술 연구센터, UNIST영어 첨단 복합재료 기술센터 |
경영학 | UNIST영어 빅데이터 연구센터, 국제 에너지 트레이딩 연구센터, 기술창업 교육센터, 미래산업전략연구소 |
도시환경공학 | 복합재난관리 연구소, 사이언스 월든 |
기초과정부 | 창의인문 교육 및 연구센터 |
기초과학연구원(IBS) UNIST영어 캠퍼스[16] | 다차원탄소재료연구단(단장: 로드니 S. 루오프), 첨단연성물질연구단(단장: 스티브 그래닉), 유전체항상성연구단(단장: 명경재) |
5. 캠퍼스
울산과학기술원은 전면 기숙사형 캠퍼스를 운영하고 있다.
5. 1. 지리적 특징
울산광역시 옛 시가지와 인접한 언양읍에 위치해 있으며, 캠퍼스 전체를 작은 산들이 둘러싸고 있다. 캠퍼스 중앙에는 인공 호수인 가막못이 자리하고 있다.캠퍼스 내에는 강이 흐르고, 교사는 큰 호수를 둘러싸듯이 지어져 있다. 강에는 울산과학기술원 출신에서 노벨상 수상자가 배출되었을 때, 그 수상자의 이름을 붙일 예정인 8개의 다리가 놓여 있다.[18]
5. 2. 갤러리


6. 국제 교류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미국, 중국, 인도 등 여러 나라의 대학들과 학술 교류 협정을 맺고 있다. 구체적으로 미국의 조지아 공과대학교, 텍사스 대학교 댈러스, 캘리포니아 대학교 어바인, 중국의 중국과학기술대학교, 인도의 인도 공과대학교 칸푸르 등이 있다.
6. 1. 학술 교류 협정 대학
국가 | 협정 대학 |
---|---|
미국 | 조지아 공과대학교, 텍사스 대학교 댈러스(The University of Texas at Dallas), 캘리포니아 대학교 어바인(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
중국 | 중국과학기술대학교 |
인도 | 인도 공과대학교 칸푸르(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Kanpur) |
7. 대학 평가
타임스 고등교육 세계 대학 랭킹(THE)은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울산과학기술원을 세계 201~250위권으로 평가했고,[1][2][3] 2021년에는 세계 178위, 아시아 21위, 국내 5위로 평가했다.[4] U.S. 뉴스 & 월드 리포트 세계 대학 랭킹은 2019년에 울산과학기술원을 세계 368위, 아시아 51위, 대한민국 7위로 평가했다.[3]
7. 1. 주요 대학 평가 순위
Times Higher Education|타임스 고등교육영어(THE), U.S. News & World Report|U.S. 뉴스 & 월드 리포트영어 등 공신력 있는 대학 평가 기관의 순위는 다음과 같다.평가 기관 | 세계 순위 | 아시아 순위 | 국내 순위 | 젊은 대학 순위 |
---|---|---|---|---|
타임스 고등교육 세계 대학 랭킹(THE) | 201~250위 (2017년, 2018년, 2019년)[1][2][3] 178위 (2021년)[4] | 22위 (2019년)[3] 21위 (2021년)[4] | 5위 (2021년)[4] | 20위 (2019년)[3] 5위 (2021년)[4] |
U.S. 뉴스 & 월드 리포트 세계 대학 랭킹 | 368위 (2019년)[3] | 51위 (2019년)[3] | 7위 (2019년)[3] |
8. 기타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특징적인 교육 및 연구 시스템, 학생 지원 제도를 갖추고 있다.
8. 1. 특징
- 모든 강의는 영어로 진행된다.[1]
- 거의 모든 학생이 기숙사에서 생활한다.[2]
- 모든 학부생 및 우수 대학원생은 대학으로부터 등록금과 생활비를 전액 지원받는다.[3]
- 울산과학기술원은 국제 연구원 및 대학원생을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있다.[4]
참조
[1]
웹사이트
UNIST Facts & Figures
http://www.unist.ac.[...]
UNIST
2016-04-01
[2]
뉴스
"Manufacturing Capital of Korea" Ulsan Takes No. 1 Position in Per-capita Income
http://english.hanky[...]
The Korea Economic Dailey
2014-03-21
[3]
웹사이트
울산 국립대 추진 일지
http://www.hani.co.k[...]
2016-02-21
[4]
웹사이트
울산 국립대 부지 "반연지구" 확정
http://news.naver.co[...]
2016-02-21
[5]
웹사이트
UNIST Celebrates Its 10th Anniversary with Ulsan Citizens
https://news.unist.a[...]
2019-11-24
[6]
웹사이트
Inauguration of President Mooyoung Jung
https://news.unist.a[...]
2019-11-24
[7]
웹사이트
The Institute of Disaster Management Inaugurated at UNIST
https://news.unist.a[...]
2019-11-24
[8]
웹사이트
UNIST Opens World-Class Battery Research Center
https://news.unist.a[...]
2019-11-24
[9]
웹사이트
UNIST Celebrates Completion of Ulsan Industry-University Convergence District
https://news.unist.a[...]
2019-11-24
[10]
웹사이트
UNIST Business School Earns AACSB International Accreditation
https://news.unist.a[...]
2019-11-24
[11]
웹사이트
President Yong Hoon Lee Begins Term as UNIST's 4th President
https://news.unist.a[...]
2019-11-25
[12]
웹사이트
Academics {{!}} UNIST
https://www.unist.ac[...]
2019-11-12
[13]
웹사이트
융합경영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Interdisciplinary Management, UNIST
https://gsim.unist.a[...]
[14]
웹사이트
UNIST - AI graduate school
https://aigs.unist.a[...]
[15]
웹사이트
UNIST - Semiconductor graduate school
https://se.unist.ac.[...]
[16]
웹사이트
After Establishment: Secondary Period
http://www.unist.ac.[...]
2018-07-06
[17]
문서
http://www.unist.ac.[...]
[18]
뉴스
ノーベル賞を待ち望む韓国、「空の台座」や「名前のない橋」など準備は万端
https://news.livedoo[...]
ライブドア (2022年設立の企業)
2012-10-10
[19]
웹인용
울산과학기술원법
http://www.law.go.kr[...]
법제처
2018-12-11
[20]
웹인용
특정연구기관 육성법 시행령
http://www.law.go.kr[...]
법제처
2018-12-11
[21]
웹인용
교과부, 과기대와 공동으로 「과기대 특성화 및 육성방안」 마련
http://moe.go.kr/boa[...]
교육부
2018-12-11
[22]
웹인용
울산과학기술원법(법률 제13230호)
http://www.law.go.kr[...]
법제처
2018-12-11
[23]
웹인용
울산과학기술원 출범… 국가 성장엔진으로 새출발!
https://news.unist.a[...]
울산과학기술원
2018-12-11
[24]
문서
http://www.law.go.kr[...]
[25]
문서
http://www.law.go.kr[...]
[26]
문서
http://www.law.go.kr[...]
[27]
뉴스
서울에 왜 가요? "국립대 4개에 좋은 사립대 많잖아요…"
https://news.naver.c[...]
부산일보
2005-06-10
[28]
문서
제1조(목적) 이 법은 국립대학법인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를 설립하여 국가의 산업경쟁력 강화와 울산지역의 기술·지식혁신을 주도하는 창의적이고 실천적인 전문 기술·경영·교육인력을 양성함을 목적으로 한다.
[29]
뉴스
'[사회] 울산과기대, 울산과학기술원(UNIST)으로 공식 출범'
http://news.joins.co[...]
중앙일보
2018-12-1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석화·車 동시에 위기 … 울산 첨단산업 육성 절실"
AI전략팀 신설하는 고려아연
고려아연, AI 전담조직 신설…스마트 제련소 전환 속도
한국동서발전, ‘인공지능 전환 중장기 추진전략’ 수립 착수
한국동서발전, 인공지능 통한 중소기업 성장 지원…“민·관·학 협력체계 구축”
정부, 산업형 AI 인재 양성 ‘시동’
[자막뉴스] "서울대도 싫다" 교수들 줄줄이 빠져나갔다
SK온, UNIST와 손잡고 ‘배터리 인재’ 양성 박차…“R&D가 경쟁력의 원천”
인공지능 활용해 10년 후 기후 예측…UNIST, 기상청으로부터 385억 지원받아 연구나서
창해개발, 하이퍼엑셀과 AI 데이터센터·캠퍼스 조성 MOU 체결
AI 시대, 인간의 가치는?…바둑고수 이세돌의 ‘실시간 훈수’
국가가 ‘K엔비디아’들 키워야 할 적기…3대 권역 산업생태계 짜라 [전문가 리포트]
교수로 변신한 이세돌 “바둑 잘 두는 사람보다 잘 만드는 사람 필요”
UNIST, 영하 153도서 중수소 분리 신소재 개발…“중수소 경제적 생산 가능”
한국동서발전, UNIST와 손잡고 인재 양재 추진…“산·학 협력 실무형 연구 추진”
과기정통부 ‘슈퍼컴퓨터’ 센터 7곳 선정…공동활용 박차 – 바이라인네트워크
2월26일 알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