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 7100호대 디젤 기관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철도공사 7100호대 디젤 기관차는 1975년부터 1985년까지 총 90량이 도입된 대한민국의 디젤 기관차이다. 미국수출입은행 차관으로 도입되었으며, 현대차량에서 국산화하여 제작되었다. 7100호대 기관차는 고속 여객용에 적합하도록 사양이 변경되었으며, 2행정 16기통 터보 디젤 엔진을 탑재하여 3,000마력의 출력을 냈다. 현재는 모두 퇴역하여 파키스탄, 이란 등으로 매각되었고, 일부는 보존되어 전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철도공사의 디젤 기관차 - 한국철도공사 7500호대 디젤 기관차
한국철도공사 7500호대 디젤 기관차는 1970년대부터 도입된 미국의 EMD GT26CW 모델 기반 디젤 기관차로, 국산화, 여객용 개조, 재생 작업, 재도색 등을 거쳐 일부 차량이 2025년 현재까지 운행 중이며 노후화로 인한 퇴역 및 대체가 진행되고 있다. - 한국철도공사의 디젤 기관차 - 한국철도공사 7600호대 디젤 기관차
한국철도공사 7600호대 디젤 기관차는 노후 디젤 기관차를 대체하기 위해 2014년부터 도입된 GE PowerHaul 기반의 전기식 디젤 기관차로, 대한민국 특대형 디젤 기관차 최초로 양방향 운전실을 갖추고 VVVF 인버터 제어를 통해 연료 효율을 높여 총 25량이 화물 수송에 투입되고 있다.
한국철도공사 7100호대 디젤 기관차 | |
---|---|
기본 정보 | |
![]() | |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
궤간 | 1,435 mm |
제작 회사 | EMD |
모델명 | GT26CW-1 |
축 배치 | Co'-Co' |
길이 | 20,787 mm |
폭 | 3,270 mm |
높이 | 4,250 mm |
운전 정비 중량 | 132.0 t |
동력 전달 방식 | 전기식 |
엔진 | EMD 16-645E3 (V형16기통) |
엔진 출력 | 3,000 HP |
주전동기 출력 | 2,130 kW |
기어비 | 57:20 |
상세 정보 | |
제작 연도 | 1975년~1985년 |
제작 수량 | 90량 |
도입 단가 | 540,000달러 (1975년) 740,000달러 (1978년) 880,000,000원 (1980년) 1,135,000,000원 (1981년) 1,237,250,000원 (1982년) 1,220,000,000원 (1983년) 1,215,000,000원 (1984년) 1,230,000,000원 (1985년) |
용도 | 화물, 견인 |
설계 최고 속도 | 150 |
차량 중량 | 132 |
축중 | 22 |
보안 장치 | ATS |
제동 방식 | 공기 제동, 발전 제동 |
제작사 | GMC/EMD |
2. 역사
1975년 12월 미국수출입은행(EXIM) 차관으로 7101호부터 7120호까지, 1978년 8월에는 7121호부터 7140호까지의 차량이 도입되었다.[3] 이 중 7111~7120호는 한국철도공사 7500호대 디젤 기관차에서 개조되었다.
이후 현대차량에서 국산화 제작하여 1980년 12월 4량, 1981년 12월 5량, 1982년 12월 9량을 납품하였다.[4] 1983년과 1984년 12월에는 각 10량, 1985년 1월과 12월에는 12량씩 운행을 시작하였다.[5] 특히 7179~7190호 12량은 전기 회로 결선 구조를 보완하여 도입되었다.[5]
2. 1. 도입 배경
1975년 12월 미국수출입은행(EXIM) 차관으로 7101호부터 7120호까지의 차량이 도입되었으며, 1978년 8월 같은 차관을 통해 7121호부터 7140호까지의 차량이 도입되었다.[3] 이 중 7111~7120호 차량은 한국철도공사 7500호대 디젤 기관차에서 개조·편입되었다.이후 차량은 현대차량에서 국산화하여 제작, 납품하였다. 1980년 12월 4량, 1981년 12월 5량, 1982년 12월 9량이 도입되었다.[4] 1983년과 1984년 12월에는 각 10량, 1985년 1월과 12월에는 12량이 운행을 시작하였다.[5] 특히 7179~7190호 12량은 운용 및 검수 문제를 보완하고자 전기 회로 결선 구조를 개선하여 도입되었다.[5]
2. 2. 도입 과정
1975년 12월 미국수출입은행(EXIM) 차관으로 7101호부터 7120호까지의 차량을 도입하였으며, 1978년 8월 같은 차관을 통해 7121호부터 7140호까지의 차량을 들여왔다.[3] 7111 ~ 7120호는 한국철도공사 7500호대 디젤 기관차에서 개조·편입되었다.이후 차량은 현대차량에서 국산화하여 제작, 납품하였다. 1980년 12월에 4량, 1981년 12월 5량, 1982년 12월에 9량이 도입되었다.[4] 1983년과 이듬해 12월에 각 10량, 1985년 1월, 12월에 12량이 운행을 개시하였다.[5] 특히 7179~7190호 12량은 운용과 검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전기 회로 결선(結線) 구조를 보완하여 도입되었다.[5]
2. 3. 퇴역 및 매각
1975년부터 총 90량이 도입되었다. 현재는 모두 퇴역하였으며, 이 중 11량은 파키스탄 NLC(국가물류협회)로, 7량은 이란으로 수출되었다.[6][7] 5량은 보존되고 있다.차호 | 시리얼[8][9][10] | 도입 시기[1][2][11] | 운행 중단 시기 | 비고 |
---|---|---|---|---|
7101호 | 713565 | 1975년 11월 30일 | 2009년 1월 31일 | 2013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
7102호 | 713566 | 2013년 6월 30일 | 2020년 고철 매각되었다.[12] | |
7103호 | 713567 | 1995년 10월 23일 | 차체 및 운전실 후드룸 등 부식이 심해 조기에 폐차 발령됨. | |
7104호 | 713568 | 2013년 6월 30일 | 2018년 고철 매각되었다. | |
7105호 | 713569 | 2019년 고철 매각되었다.[13] | ||
7106호 | 713570 | 2018년 고철 매각되었다.[14] | ||
7107호 | 713571 | 2019년 고철 매각되었다.[13] | ||
7108호 | 713572 | 2009년 1월 31일 |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7]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 |
7109호 | 713573 | 1999년 11월 3일 | 봉화 분천리 기관차 추락 사고로 추락하여 대파된 후 폐차 발령됨.[15] | |
7110호 | 713574 | 2009년 1월 31일 | 영주역에 보존되었다가 2012년 고철 매각되었다. | |
7111호 | 713555 | 구 7581호에서 개번.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7]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 ||
7112호 | 713556 | 2013년 6월 30일 | 구 7582호에서 개번. 2020년 고철 매각되었다.[12] | |
7113호 | 713557 | 구 7583호에서 개번. 2018년 고철 매각되었다. | ||
7114호 | 713558 | 2008년 12월 31일 | 구 7584호에서 개번.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 |
7115호 | 713559 | 2013년 6월 30일 | 구 7585호에서 개번. 경전선 옛 진영역에서 새마을호 객차와 함께 보존되고 있다. | |
7116호 | 713560 | 1993년 4월 23일 | 구 7586호에서 개번. 구포역 열차 전복 사고로 대파된 후 폐차 발령됨.[16] | |
7117호 | 713561 | 2009년 1월 31일 | 구 7587호에서 개번. 1998년 전라선 화물열차 운행 도중 충돌 사고로 대파, 같은해 운행 재개. 2011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7]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 |
7118호 | 713562 | 2013년 6월 30일 | 구 7588호에서 개번. 2020년 고철 매각되었다.[12] | |
7119호 | 713563 | 구 7589호에서 개번. 2020년 고철 매각되었다.[12] | ||
7120호 | 713564 | 2008년 12월 31일 | 구 7590호에서 개번.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 |
7121호 | 778033-1 | 1978년 8월 8일 | 2018년 6월 30일 | 차량자체가 아날로그식에다가 미개조 기관차이다. 심한 노후화로 인해 조기에 폐차 발령됨. 2023년 고철 매각되었다.[17] |
7122호 | 778033-2 | 2014년 7월 31일 | 2018년 고철 매각되었다. | |
7123호 | 778033-3 | 1995년 12월 19일 | 1995년 10월 11일 중앙선 단촌역 구내에서 7528호와 충돌하여 그 여파로 폐차 발령됨.[18] | |
7124호 | 778033-4 | 2017년 10월 31일 | 총괄제어 기능이 없는 마지막 차량이다. 심한 노후화로 인해 조기에 폐차 발령됨. 2025년 고철 매각되었다. | |
7125호 | 778033-5 | 2018년 6월 30일 | 총괄제어 기능이 추가되었다. 2025년 고철 매각되었다. | |
7126호 | 778033-6 | 2020년 고철 매각되었다.[19] | ||
7127호 | 778033-7 | 2005년 11월 19일 스펀지 기차는 모래가 없으면 미끄러진다편에서 등장함 2019년 고철 매각되었다. | ||
7128호 | 778033-8 | 2019년 고철 매각되었다.[13] | ||
7129호 | 778033-9 | 2010년 1월 31일 | 구 신거역에 3102호로 번호가 바뀌어 전시 중이다. | |
7130호 | 778033-10 | 2018년 6월 30일 | 2025년 고철 매각되었다. | |
7131호 | 778033-11 | 2019년 고철 매각되었다. | ||
7132호 | 778033-12 | 2009년 1월 31일 |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7]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 |
7133호 | 778033-13 |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 ||
7134호 | 778033-14 | [https://web.archive.org/web/20170609042642/http://www.hctrainpension.com/HC_Default.asp 화천열차펜션]의 기관차로 쓰이고 있다. | ||
7135호 | 778033-15 | 2011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7]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 ||
7136호 | 778033-16 | 2017년 10월 31일 | 2020년 고철 매각되었다.[12] | |
7137호 | 778033-17 | 2016년 6월 30일 | 2016년 5월 26일 트럭과 충돌, 언더프레임이 대파되어 2016년 조기에 폐차 발령됨. 2018년 고철 매각되었다.[14] | |
7138호 | 778033-18 | 2009년 1월 31일 |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 |
7139호 | 778033-19 | 2018년 6월 30일 | 2018년 6월 29일 영주발 부산행 1825를 끝으로 폐차되었다. 2025년 고철 매각되었다. | |
7140호 | 778033-20 | 2008년 12월 31일 | 2011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7]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 |
7141호 | HDRS41 | 1980년 12월 17일 | 2009년 1월 31일 | 2010년 고철 매각되었다. |
7142호 | HDRS42 | 2012년 파키스탄으로 수출 매각되었다.[20] | ||
7143호 | HDRS43 | 대구차량승무사업소에 유치 되어있다가 2011년 고철 매각되었다. | ||
7144호 | HDRS44 |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 ||
7145호 | HDRS8201 | 1981년 12월 18일 | 2010년 고철 매각되었다. | |
7146호 | HDRS8202 | 2012년 파키스탄으로 수출 매각되었다.[21] | ||
7147호 | HDRS8203 |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 ||
7148호 | HDRS8204 |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 ||
7149호 | HDRS8205 | 2012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 ||
7150호 | HDRS8206 | 1982년 12월 19일 | 2009년 5월 5일 | 영주역에 보존되었다가 2013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
7151호 | HDRS8207 | 2009년 1월 31일 | 영주역에 보존되었다가 경전선 옛 북천역에서 활용한 새마을호 객차와 함께 열차카페의 기관차로 쓰이고 있다. | |
7152호 | HDRS8208 |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 ||
7153호 | HDRS8209 | 2019년 7월 10일 | 코레일 마크가 큰 기관차이다. 심한 노후화로 인해 조기에 폐차 발령됨. 2020년 고철 매각되었다.[19] | |
7154호 | HDRS8210 | 2014년 7월 31일 | 제천조차장역에 보존 중이였으나 계획이 백지화되어 대차, 내부 부품은 수출후 차체는 2023년 고철 매각되었다. | |
7155호 | HDRS8211 | 2020년 고철 매각되었다.[12] | ||
7156호 | HDRS8212 | 2009년 1월 31일 | 2010년 고철 매각되었다. | |
7157호 | HDRS8301 | 2008년 7월 16일 | 2011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7]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 |
7158호 | HDRS8302 | 2009년 1월 31일 |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 |
7159호 | HDRS8303 | 1983년 12월 23일 | 2008년 6월 5일 |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
7160호 | HDRS8304 | 2009년 1월 31일 | 구 김유정역에 보존되고 있다. | |
7161호 | HDRS8305 |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 ||
7162호 | HDRS8306 | 2010년 고철 매각되었다. | ||
7163호 | HDRS8307 |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7]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 ||
7164호 | HDRS8308 |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 ||
7165호 | HDRS8309 | 2011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 ||
7166호 | HDRS8310 | 2019년 7월 10일 | 과거에 번호판에 청테이프를 달고 다녔다. 심한 노후화로 인해 조기에 폐차 발령됨. 2021년 고철 매각되었다.[22] | |
7167호 | HDRS8311 | 2009년 1월 31일 | 2011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 |
7168호 | HDRS8401 |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 ||
7169호 | HDRS8402 | 1984년 12월 13일 | 2010년 1월 31일 | 2012년 파키스탄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
7170호 | HDRS8403 | 1988년 9월 9일 호남선 복선(이리<->송정리)간 개통열차를 견인하였다.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 ||
7171호 | HDRS8404 | 2012년 파키스탄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 ||
7172호 | HDRS8405 | 2012년 파키스탄으로 수출 매각되었다.[23] | ||
7173호 | HDRS8406 | 2012년 파키스탄으로 수출 매각되었다.[24] | ||
7174호 | HDRS8407 | 2012년 파키스탄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 ||
7175호 | HDRS8408 | 2011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 ||
7176호 | HDRS8409 | 2012년 파키스탄으로 수출 매각되었다.[25] | ||
7177호 | HDRS8410 | 2010년 12월 31일 | 2012년 파키스탄으로 수출 매각되었다.[26] | |
7178호 | HDRS8411 | 2012년 파키스탄으로 수출 매각되었다.[27] | ||
7179호 | HDRS8501 | 1985년 12월 31일 | 2010년 1월 31일 | 2012년 파키스탄으로 수출 매각되었다.[28] |
7180호 | HDRS8502 | 2011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 ||
7181호 | HDRS8503 | 2015년 9월 23일 | 경화역에 보존 되었으나 부산진역에서 보존 중이였다가 2022년 고철 매각되었다.[29] | |
7182호 | HDRS8504 | 부산진역에서 보존 중이였다가 2022년 고철 매각되었다.[29] | ||
7183호 | HDRS8505 | 2010년 12월 10일 | 파키스탄으로 수출될 예정이었으나 계획이 변경되면서 2018년 고철 매각되었다.[14] | |
7184호 | HDRS8506 | 2015년 11월 14일 | 제천조차장역에 보존 중이였으나 계획이 백지화되어 대차, 내부 부품은 수출후 차체는 2023년 고철 매각되었다. | |
7185호 | HDRS8507 | 제천조차장역에 보존 중이였다가 계획이 백지화되어 대차, 내부 부품은 수출후 차체는 2023년 고철 매각되었다. | ||
7186호 | HDRS8508 | 2010년 12월 10일 | 2012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 |
7187호 | HDRS8509 | 2015년 12월 16일 | 7236호와 더불어 한국철도공사의 디젤 기관차 가운데 초록색과 노란색이 섞인 철도청 구CI 도색을 적용한 최후의 차량이었으며, 신CI 도색으로 바뀐 뒤 폐차되었다. 2021년 고철 매각되었다.[22] | |
7188호 | HDRS8510 | 부산진역에서 보존 중이였다가 2025년 고철 매각되었다. | ||
7189호 | HDRS8511 | 2010년 12월 12일 | 2012년 파키스탄으로 수출 매각되었다.[30] | |
7190호 | HDRS8512 | 2015년 12월 16일 | 화랑대역에 전시될 예정이었으나 계획이 변경되면서 2021년 고철 매각되었다.[31] |
7100호대 디젤 기관차의 원래 모델명은 '''GT26CW'''이다. 이 모델은 본래 미국에서 주로 중·단거리 화물용으로 설계된 기관차를, 한국 내에서 고속 여객용에 적합하도록 사양 변경하여 도입했다. 2행정 160리터급 16기통 V형 터보 디젤 엔진을 탑재하여 3,000마력의 출력을 내며, 주전동기의 구성은 2개 직렬 3병렬로 기동하여, 50~60km/h부터 6개 병렬 회로로 전환한다. 따라서 이 속도 영역에서 회로 전환에 따른 충격이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대차의 차축 배치는 전형적인 C-C축이다. 계기반이 우측에 직각으로 설치되어 시야가 제한되므로, 기관 보조사가 반드시 동승해야 한다.
7100호대 디젤 기관차의 원래 모델명은 GT26CW이다. 이 모델은 본래 미국에서 주로 중·단거리 화물에 사용되던 것으로, 대한민국에서 고속 여객 열차를 끌기 위해 알맞게 조정하여 도입되었다. 2행정 160리터급 16기통 V형 하이브리드 터보 디젤 엔진을 얹어 3000마력의 출력을 내며, 전동기 구성은 2직3병렬로 기동하여 50~60km/h에서 6직렬 회로로 전이된다. 따라서 이 속도대역에서 회로변경으로 인한 전이충격 현상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대차의 차륜 배열은 전형적인 C-C축으로 되어 있으며, 제어대는 오른쪽에 직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시야가 제한되어 부기관사가 반드시 동승하도록 되어 있다. 7124호 이전 차량에는 총괄제어 기능이 없으며, 7125호부터 7190호까지의 차량에는 운전실 부기관사석 앞쪽 출입문을 뒤쪽으로 옮긴 뒤 CCTV 카메라와 난간 가운데의 계단을 설치하는 개량이 이루어졌다. 일부 차량은 앞 문이 없는 형태로 제작되었으며, 앞 문이 있었던 일부 차량들도 개량 작업으로 앞 문이 제거되었다. 그러나 7100호대 디젤 기관차는 모두 퇴역하였다.
1975년부터 총 90량이 도입되었다. 현재는 모두 퇴역하였으며, 이 중 11량은 파키스탄 NLC(국가물류협회)로,[6] 7량은 이란으로 수출되었다.[7]
3. 기술적 사양
4. 운행
5. 현황
차호 시리얼[8][9][10] 도입 시기[1][2][11] 운행 중단 시기 비고 7101호 713565 1975년 11월 30일 2009년 1월 31일 2013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7102호 713566 2013년 6월 30일 2020년 고철 매각되었다.[12] 7103호 713567 1995년 10월 23일 차체 및 운전실 후드룸 등 부식이 심해 조기에 폐차 발령됨. 7104호 713568 2013년 6월 30일 2018년 고철 매각되었다. 7105호 713569 2019년 고철 매각되었다.[13] 7106호 713570 2018년 고철 매각되었다.[14] 7107호 713571 2019년 고철 매각되었다.[13] 7108호 713572 2009년 1월 31일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7]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7109호 713573 1999년 11월 3일 봉화 분천리 기관차 추락 사고로 추락하여 대파된 후 폐차 발령됨.[15] 7110호 713574 2009년 1월 31일 영주역에 보존되었다가 2012년 고철 매각되었다. 7111호 713555 구 7581호에서 개번.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7]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7112호 713556 2013년 6월 30일 구 7582호에서 개번. 2020년 고철 매각되었다.[12] 7113호 713557 구 7583호에서 개번. 2018년 고철 매각되었다. 7114호 713558 2008년 12월 31일 구 7584호에서 개번.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7116호 713560 1993년 4월 23일 구 7586호에서 개번. 구포역 열차 전복 사고로 대파된 후 폐차 발령됨.[16] 7117호 713561 2009년 1월 31일 구 7587호에서 개번. 1998년 전라선 화물열차 운행 도중 충돌 사고로 대파, 같은해 운행 재개. 2011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7]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7118호 713562 2013년 6월 30일 구 7588호에서 개번. 2020년 고철 매각되었다.[12] 7119호 713563 구 7589호에서 개번. 2020년 고철 매각되었다.[12] 7120호 713564 2008년 12월 31일 구 7590호에서 개번.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7121호 778033-1 1978년 8월 8일 2018년 6월 30일 차량자체가 아날로그식에다가 미개조 기관차이다. 심한 노후화로 인해 조기에 폐차 발령됨. 2023년 고철 매각되었다.[17] 7122호 778033-2 2014년 7월 31일 2018년 고철 매각되었다. 7123호 778033-3 1995년 12월 19일 1995년 10월 11일 중앙선 단촌역 구내에서 7528호와 충돌하여 그 여파로 폐차 발령됨.[18] 7124호 778033-4 2017년 10월 31일 총괄제어 기능이 없는 마지막 차량이다. 심한 노후화로 인해 조기에 폐차 발령됨. 2025년 고철 매각되었다. 7125호 778033-5 2018년 6월 30일 총괄제어 기능이 추가되었다. 2025년 고철 매각되었다. 7126호 778033-6 2020년 고철 매각되었다.[19] 7127호 778033-7 2005년 11월 19일 스펀지 기차는 모래가 없으면 미끄러진다편에서 등장함 2019년 고철 매각되었다. 7128호 778033-8 2019년 고철 매각되었다.[13] 7130호 778033-10 2018년 6월 30일 2025년 고철 매각되었다. 7131호 778033-11 2019년 고철 매각되었다. 7132호 778033-12 2009년 1월 31일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7]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7133호 778033-13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7135호 778033-15 2011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7]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7136호 778033-16 2017년 10월 31일 2020년 고철 매각되었다.[12] 7137호 778033-17 2016년 6월 30일 2016년 5월 26일 트럭과 충돌, 언더프레임이 대파되어 2016년 조기에 폐차 발령됨. 2018년 고철 매각되었다.[14] 7138호 778033-18 2009년 1월 31일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7139호 778033-19 2018년 6월 30일 2018년 6월 29일 영주발 부산행 1825을 끝으로 폐차되었다. 2025년 고철 매각되었다. 7140호 778033-20 2008년 12월 31일 2011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7]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7141호 HDRS41 1980년 12월 17일 2009년 1월 31일 2010년 고철 매각되었다. 7142호 HDRS42 2012년 파키스탄으로 수출 매각되었다.[20] 7143호 HDRS43 대구차량승무사업소에 유치 되어있다가 2011년 고철 매각되었다. 7144호 HDRS44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7145호 HDRS8201 1981년 12월 18일 2010년 고철 매각되었다. 7146호 HDRS8202 2012년 파키스탄으로 수출 매각되었다.[21] 7147호 HDRS8203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7148호 HDRS8204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7149호 HDRS8205 2012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7150호 HDRS8206 1982년 12월 19일 2009년 5월 5일 영주역에 보존되었다가 2013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7152호 HDRS8208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7153호 HDRS8209 2019년 7월 10일 코레일 마크가 큰 기관차이다. 심한 노후화로 인해 조기에 폐차 발령됨. 2020년 고철 매각되었다.[19] 7154호 HDRS8210 2014년 7월 31일 제천조차장역에 보존 중이였으나 계획이 백지화되어 대차, 내부 부품은 수출후 차체는 2023년 고철 매각되었다. 7155호 HDRS8211 2020년 고철 매각되었다.[12] 7156호 HDRS8212 2009년 1월 31일 2010년 고철 매각되었다. 7157호 HDRS8301 2008년 7월 16일 2011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7]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7158호 HDRS8302 2009년 1월 31일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7159호 HDRS8303 1983년 12월 23일 2008년 6월 5일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7161호 HDRS8305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7162호 HDRS8306 2010년 고철 매각되었다. 7163호 HDRS8307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7]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7164호 HDRS8308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7165호 HDRS8309 2011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7166호 HDRS8310 2019년 7월 10일 과거에 번호판에 청테이프를 달고 다녔다. 심한 노후화로 인해 조기에 폐차 발령됨. 2021년 고철 매각되었다.[22] 7167호 HDRS8311 2009년 1월 31일 2011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7168호 HDRS8401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7169호 HDRS8402 1984년 12월 13일 2010년 1월 31일 2012년 파키스탄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7170호 HDRS8403 1988년 9월 9일 호남선 복선(이리<->송정리)간 개통열차를 견인하였다.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7171호 HDRS8404 2012년 파키스탄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7172호 HDRS8405 2012년 파키스탄으로 수출 매각되었다.[23] 7173호 HDRS8406 2012년 파키스탄으로 수출 매각되었다.[24] 7174호 HDRS8407 2012년 파키스탄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7175호 HDRS8408 2011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7176호 HDRS8409 2012년 파키스탄으로 수출 매각되었다.[25] 7177호 HDRS8410 2010년 12월 31일 2012년 파키스탄으로 수출 매각되었다.[26] 7178호 HDRS8411 2012년 파키스탄으로 수출 매각되었다.[27] 7179호 HDRS8501 1985년 12월 31일 2010년 1월 31일 2012년 파키스탄으로 수출 매각되었다.[28] 7180호 HDRS8502 2011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7181호 HDRS8503 2015년 9월 23일 경화역에 보존 되었으나 부산진역에서 보존 중이였다가 2022년 고철 매각되었다.[29] 7182호 HDRS8504 부산진역에서 보존 중이였다가 2022년 고철 매각되었다.[29] 7183호 HDRS8505 2010년 12월 10일 파키스탄으로 수출될 예정이었으나 계획이 변경되면서 2018년 고철 매각되었다.[14] 7184호 HDRS8506 2015년 11월 14일 제천조차장역에 보존 중이였으나 계획이 백지화되어 대차, 내부 부품은 수출후 차체는 2023년 고철 매각되었다. 7185호 HDRS8507 제천조차장역에 보존 중이였다가 계획이 백지화되어 대차, 내부 부품은 수출후 차체는 2023년 고철 매각되었다. 7186호 HDRS8508 2010년 12월 10일 2012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이란에서 운행하였으나 만료되었고 고철 매각되었다. 7187호 HDRS8509 2015년 12월 16일 7236호와 더불어 한국철도공사의 디젤 기관차 가운데 초록색과 노란색이 섞인 철도청 구CI 도색을 적용한 최후의 차량이었으며, 신CI 도색으로 바뀐 뒤 폐차되었다. 2021년 고철 매각되었다.[22] 7188호 HDRS8510 부산진역에서 보존 중이였다가 2025년 고철 매각되었다. 7189호 HDRS8511 2010년 12월 12일 2012년 파키스탄으로 수출 매각되었다.[30] 7190호 HDRS8512 2015년 12월 16일 화랑대역에 전시될 예정이었으나 계획이 변경되면서 2021년 고철 매각되었다.[31]
5. 1. 보존 차량
GT26CW영어 모델을 기반으로 제작된 한국철도공사 7100호대 디젤 기관차 중 현재 보존되고 있는 차량은 다음과 같다.
차호 | 도입 시기 | 운행 중단 시기 | 비고 |
---|---|---|---|
7115호 | 1975년 11월 30일 | 2013년 6월 30일 | 구 7585호에서 개번. 경전선 옛 진영역에서 새마을호 객차와 함께 보존되고 있다. |
7129호 | 1978년 8월 8일 | 2010년 1월 31일 | 구 신거역에 3102호로 번호가 바뀌어 전시 중이다. |
7134호 | 1978년 8월 8일 | 2009년 1월 31일 | [https://web.archive.org/web/20170609042642/http://www.hctrainpension.com/HC_Default.asp 화천열차펜션]의 기관차로 쓰이고 있다. |
7151호 | 1982년 12월 19일 | 2009년 1월 31일 | 영주역에 보존되었다가 경전선 옛 북천역에서 활용한 새마을호 객차와 함께 열차카페의 기관차로 쓰이고 있다. 영화 부산행에 나온 차량이다. |
7160호 | 1983년 12월 23일 | 2009년 1월 31일 | 구 김유정역에 보존되고 있다. |
6. 대중문화 속 7100호대
로이비쥬얼이 제작한 애니메이션 로보카폴리에는 이 차량을 모델로 한 '트리노'라는 이름의 캐릭터가 등장한다. 그러나 차축 배치가 B'o-B'o로 되어 있고, 바퀴에 로드가 달려 있는 등, 실제 차량과 다른 부분이 몇 군데 존재한다.
참조
[1]
서적
한국철도차량 100년사
철도차량기술검정단
1999
[2]
서적
한국철도차량 100년사
철도차량기술검정단
1999
[3]
서적
한국철도차량 100년사
철도차량기술검정단
1999
[4]
서적
한국철도차량 100년사
철도차량기술검정단
1999
[5]
서적
한국철도차량 100년사
철도차량기술검정단
1999
[6]
뉴스
코레일 수출 중고기관차 파키스탄을 달린다
https://web.archive.[...]
Railzine
2017-06-26
[7]
웹인용
Project - p strong 2011 may strong locomotives shipment from south korea to iran 5 units 1 350 cbm p
http://www.etamad.co[...]
2020-02-15
[8]
웹인용
EMD 713500 to 713599
https://web.archive.[...]
2016-07-03
[9]
웹인용
EMD 778033; GT26CW; Korea; KNR 7121-7140
https://web.archive.[...]
2016-07-03
[10]
웹인용
Korean National Locomotives
https://www.thediese[...]
2018-06-05
[11]
웹인용
헌디젤기관차 55량 현차매각 공고
http://www.onbid.co.[...]
2016-07-03
[12]
웹인용
한국철도공사 부산철도차량정비단 헌 디젤기관차(고철매각용) 921,293KG (10량)
http://www.onbid.co.[...]
2020-01-03
[13]
웹인용
한국철도공사 부산철도차량정비단 헌 디젤기관차(고철매각용) 382,483KG (5량)
http://www.onbid.co.[...]
2019-07-03
[14]
웹인용
한국철도공사 부산철도차량정비단 헌 디젤기관차(고철매각용 14량) 1,048,895
http://www.onbid.co.[...]
2018-07-03
[15]
뉴스
비로 영동선 철길 붕괴돼 기차 탈선, 기관사2명 사망
https://imnews.imbc.[...]
문화방송
1999-09-24
[16]
뉴스
부산, 무궁화호 열차 전복 사고
https://imnews.imbc.[...]
MBC뉴스
1993-03-28
[17]
웹인용
부산철도차량정비단 폐 디젤기관차 10량 및 폐 객차 8량 959,295kg 매각
http://www.onbid.co.[...]
2022-06-29
[18]
뉴스
열차끼리 정면충돌 26명 부상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5-10-11
[19]
웹인용
한국철도공사 부산철도차량정비단 헌 디젤기관차(고철매각용) 306,611kg(4량)
http://www.onbid.co.[...]
2020-09-01
[20]
Youtube
NLC-7142 (Karachi Cantt)
https://www.youtube.[...]
[21]
Youtube
https://www.youtube.[...]
[22]
웹인용
한국철도공사 부산철도차량정비단 폐 디젤기관차 8량 749,138kg 매각
http://www.onbid.co.[...]
2021-09-24
[23]
Youtube
3:13
https://www.youtube.[...]
[24]
Youtube
https://www.youtube.[...]
[25]
Youtube
https://www.youtube.[...]
[26]
Youtube
https://www.youtube.[...]
[27]
Youtube
https://www.youtube.[...]
[28]
Youtube
Pakistan Railway NLC-7179 Freight Train
https://www.youtube.[...]
[29]
웹인용
한국철도공사 부산철도차량정비단 폐 디젤기관차 12량 989,343Kg 매각
http://www.onbid.co.[...]
2022-04-26
[30]
Youtube
https://www.youtube.[...]
[31]
웹인용
한국철도공사 부산철도차량정비단 폐 디젤기관차 4량 302,426Kg 매각
http://www.onbid.co.[...]
2021-05-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