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낮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낮은 하루 중 정오, 즉 태양이 관측자의 자오선을 통과하는 순간을 의미한다. 어원은 라틴어 'nona hora'에서 유래되었으며, 서방 기독교 전통에서 하루의 아홉 번째 시간으로 오후 3시를 가리켰으나, 영어에서 정오로 의미가 바뀌어 12시를 의미하게 되었다. 태양 정오는 태양이 하늘에서 가장 높은 지점에 도달하는 순간으로, 그림자가 가장 짧아진다. 시간 방정식, 시간대, 일광 절약 시간제 등으로 인해 시계 정오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오전 12시' 또는 '오후 0시'로 표기하며, 24시간제에서는 12시로 표기한다. 천문학에서는 과거 일계(하루의 시작)를 정오로 하는 천문시를 사용했으나, 1925년부터 자정을 기준으로 하는 용시를 사용한다. 한국에서는 1895년 태양력 채택 이후 정오가 시간 체계의 중요한 기준점이 되었으며, 전통적으로 십이지를 기반으로 한 오시의 정중앙을 의미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루의 일부 - 오전
- 하루의 일부 - 오후
오후는 정오와 해질녘 사이의 시간으로, 1300년경부터 사용된 단어이며, 태양의 위치, 근무 시간, 학교 수업, 인간의 체온 변화, 교통사고 발생률, 생산성 감소 등과 관련이 있다. - 시간 - 오전
- 시간 - 과거
과거는 이전에 일어난 일, 개인의 경험, 특정 시점 등을 의미하며, 찰스 디킨스의 소설에 등장하고, 철학, 학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며, 교훈을 담고 있는 주제이다. - 시간의 단위 - 오전
- 시간의 단위 - 오후
오후는 정오와 해질녘 사이의 시간으로, 1300년경부터 사용된 단어이며, 태양의 위치, 근무 시간, 학교 수업, 인간의 체온 변화, 교통사고 발생률, 생산성 감소 등과 관련이 있다.
한낮 | |
---|---|
위치 정보 | |
개요 | |
정의 | 하루 중 태양이 천구 상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있을 때 |
시간 | 일반적으로 오전 11시 ~ 오후 1시 사이 표준시 사용 시 지역별 실제 정오 시간 차이 발생 |
다른 용어 | 낮 12시 한낮 낮 정오 |
특징 | |
태양 위치 | 천정 또는 천정 부근 |
그림자 | 가장 짧음 |
기온 | 최고 기온에 가까움 |
활동 | 점심 식사 시간 낮잠 시간 (문화에 따라) |
문화적 의미 | |
상징 | 절정 전성기 완벽 밝음 |
활용 | |
시간 측정 | 해시계 시계 (과거) |
항해 | 위도 측정 |
종교 | 기도 시간 (일부 종교) 금식 시간 종료 (일부 종교) |
2. 어원
'정오(noon)'라는 단어는 라틴어 'nona hora'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하루의 아홉 번째 정규 시간을 의미한다. 서방 기독교의 전례 용어로는 노네스(전례)(아홉 번째)를 가리키는데, 이는 전통적인 기독교 종파에서 7개의 고정 기도 시간 중 하나이다. 로마와 서유럽 중세 수도원의 하루는 현대 시간 측정법으로 춘분 시 오전 6시 (06:00)에 시작되었으며, 아홉 번째 시간은 춘분 시 현재 오후 3시 (15:00)에 시작되었다. 영어에서 이 단어의 의미는 ''정오''로 바뀌었고, 시간은 점차 현지 시간으로 12:00로 옮겨졌는데, 이는 현대적인 시간대의 발명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12세기에 시작되어 14세기에 고정되었다.[2]
태양 정오는 지방 진태양 정오 및 태양 통과 시간이라고도 불리며, 관측자의 자오선(최고점 또는 자오선 통과)에 태양이 도달하여 해당 날짜에 지평선 위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도달하여 가장 짧은 그림자를 드리우는 순간이다.[3] 태양은 춘분에는 적도에서, 하지에는 북회귀선(N)에서, 동지에는 남회귀선(S)에서 정오에 바로 머리 위에 위치한다. 북반구에서 북회귀선 북쪽에서는 태양이 정오에 관측자의 정남쪽에 위치하고, 남반구에서 남회귀선 남쪽에서는 정북쪽에 위치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정오를 '오전 12시' 또는 '오후 0시'로 표기할 수 있다. '오전 12시'는 오전의 마지막이라는 의미를, '오후 0시'는 오후의 처음이라는 의미를 가진다.[15] 따라서 '오전 12시'는 시간대의 마지막에, '오후 0시'는 시간대의 처음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16] '오전 12시대'의 표기에 대해서는 '오후 0시대'를 사용하는 것이 옳다.[17] 그러나 실제로는 '오후 0시' 또는 24시간제로 단순히 '12시'라는 표기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18][19][20]
메이지 유신 이전 일본에서는 시각을 십이지로 세었고, 오시(午時)가 현재의 오전 11시경부터 오후 1시경에 해당했기 때문에 그 중간 시각(낮 12시)을 "정오"라고 불렀다. 에도 시대에는 정오에 시보를 9번 울려 "낮 아홉"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음양도에서 홀수를 상서로운 양의 수로 여기고 그 극값이 9였기 때문이다.
[1]
웹사이트
The Sun as an Energy Resource
http://www.volker-qu[...]
3. 태양 정오
어느 날의 지방 태양 정오부터 다음 날까지 경과하는 시간은 1년 중 4번만 정확히 24시간이다. 이것은 지구의 황도 경사와 태양 주위의 궤도 속도의 효과가 서로 상쇄될 때 발생한다. 현재 에포크의 이 네 날은 2월 11일, 5월 13일, 7월 26일, 11월 3일에 중심을 둔다.
정오부터 정오까지의 가장 긴 시간 간격은 매년 두 번, 약 6월 20일 (24시간 더하기 13초)과 12월 21일 (24시간 더하기 30초)에 발생한다. 가장 짧은 시간 간격은 매년 두 번, 약 3월 25일 (24시간 빼기 18초)과 9월 13일 (24시간 빼기 22초)에 발생한다.
같은 이유로 태양 정오와 "시계 정오"는 대개 같지 않다. 시간 방정식은 태양 정오의 시계 판독값이 12:00보다 최대 16분 더 높거나 낮을 것임을 보여준다. 또한, 시간대의 정치적 성격과 일광 절약 시간제 적용으로 인해 한 시간 이상 차이가 날 수 있다.
4. 시간 표기 (오전/오후)
24시간제에서는 오전/오후의 개념이 없으므로, 단순히 '12:00'을 정오로 한다. 서양에서도 정오는 영어로 'noon' 또는 'midday'이며, 오전에도 오후에도 속하지 않고, 그 앞이 오전(AM), 뒤가 오후(PM)이다.
NHK에서는 낮 12시를 '정오', 밤 12시를 '오전 0시'로 표현하고 있다.[21]
미국에서는 정오를 일반적으로 12 p.m.으로, 자정을 12 a.m.으로 표시한다. 어떤 사람들은 이러한 사용법이 라틴어 의미('a.m.'은 'ante meridiem'으로 "정오 전", 'p.m.'은 'post meridiem'으로 "정오 후"를 의미)에 기초하여 "부적절하다"고 주장하지만,[4] 디지털 시계는 다른 것을 표시할 수 없으므로 임의적인 결정이 내려져야 한다.
5. 역사적 관점
근대 일본에서는 정오에 대포를 발사하는 오포(午砲)라는 풍습이 있었으며, 속칭 "낮 덩" 또는 단순히 "덩"이라고 불렸다.
천문학에서는 야간 관측의 편의를 위해 정오를 하루의 시작으로 하는 천문시를 사용했다. 그러나 1925년 1월 1일부터는 자정을 하루의 시작으로 하는 '용시'를 사용하게 되었다.[12][13] 율리우스일은 여전히 정오를 하루의 시작으로 한다.[14]
참조
[2]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3]
웹사이트
high noon
http://dictionary.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12-19
[4]
간행물
Times of Day
https://www.nist.gov[...]
Physics Laboratory FAQ
[5]
서적
Style manual of the Government Printing Office /
Washington, D.C.
1923
[6]
웹사이트
"U.S. GPO Government Printing Office Style Manual'' Chapter 9"
http://frwebgate.acc[...]
2009-06-11
[7]
웹사이트
"U.S. GPO Government Printing Office Style Manual'' Chapter 12"
http://frwebgate.acc[...]
2009-06-11
[8]
문서
The 29th edition of the ''U.S. GPO Government Printing Office Style Manual (2000)'' section 12.9
[9]
웹사이트
正午
https://astro-dic.jp[...]
[10]
웹사이트
正午
https://astro-dic.jp[...]
[11]
웹사이트
明治五年太政官布告第三百三十七号(改暦ノ布告)
https://laws.e-gov.g[...]
2019-12-30
[12]
웹사이트
暦Wiki/要素/1日とは?/1日の始まり
https://eco.mtk.nao.[...]
国立天文台暦計算室
2019-12-30
[13]
논문
雑報 天文時の廢止
https://www.asj.or.j[...]
日本天文学会
1924-12
[14]
문서
[[グリニッジ標準時#天文時の廃止]]
[15]
문서
同様に、「午後12時」は「正午から12時間後」を、「午前0時」は「正午より12時間前」を意味する。時刻としては同じ瞬間であるが、{{要出典|範囲=その時刻の属する日付は異なる|date=2019年12月}}。
[16]
문서
例えば、「午前10時から午後0時まで」は誤りではないにせよ、違和感を持たれる場合がある。「午前10時から午前12時まで」の方が好ましい。同様に「昼休みは午前12時から午後1時まで」よりも「午後0時から午後1時まで」の方が好ましい。また、「午前11時から午前12時30分」ではなく「午前11時から午後0時30分」の方が好ましい。
[17]
문서
英米では午前12時台は「子夜からその12時間後まで」、午後12時台は「正午からその12時間後まで」を指す。このため、時計メーカーでは、輸出の関係で、デジタル時計の12時間表示を英米式に合わせているものが多い。
[18]
웹사이트
午前12時? 午後0時?
http://jjy.nict.go.j[...]
情報通信研究機構周波数標準課
2019-12-30
[19]
웹사이트
質問4-1)正午は午前12時?それとも、午後12時?
https://www.nao.ac.j[...]
国立天文台
2019-12-30
[20]
웹사이트
パナソニック
http://pks.panasonic[...]
[21]
웹사이트
放送での時刻の伝え方・言い方 {{!}} ことば(放送用語) - 放送現場の疑問・視聴者の疑問 {{!}} NHK放送文化研究所
https://www.nhk.or.j[...]
2023-11-26
[22]
웹사이트
http://krdic.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