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성별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성별곡은 조선 후기를 배경으로, 신분제에 억눌린 민중, 개혁을 시도하는 젊은이, 왕과 정치 세력 간의 갈등을 그린 드라마이다. 연쇄 살인 사건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며, 주인공 박상규, 이나영, 양만오의 삶을 통해 '올바른 삶'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정조의 개혁 정치와 보수 세력의 대립을 보여주며, 2007년 대통령 선거 시기에 방영되어 정치적인 의미를 부여받기도 했다. OST는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포함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예제를 소재로 한 작품 - 혹성탈출
    혹성탈출은 피에르 불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미디어 프랜차이즈로, 인간과 유인원의 관계, 기술 의존 등을 비판하며 인종 갈등을 주요하게 다루는 사회적 풍자물이다.
  • 노예제를 소재로 한 작품 - 해신
    해신은 최수종, 채시라, 송일국 등이 출연한 드라마로, 동아시아 바다를 지배했던 장보고의 일대기를 다루며, 권력 다툼과 배신 속에서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하는 과정을 그린다.
  • 한성부를 배경으로 한 작품 - 미스터 션샤인
    《미스터 션샤인》은 신미양요부터 1900년대 초 격동의 조선을 배경으로 노비 출신 미국 해병대 장교 유진 초이와 의병 고애신의 사랑, 조국을 위한 투쟁을 그린 드라마로, 높은 시청률과 인기 속에 역사 왜곡 논란도 있었다.
  • 한성부를 배경으로 한 작품 - 대명 (드라마)
    대명은 효종 시대의 조선을 배경으로 민족의 긍지를 되살리고자 기획된 드라마로, 효종의 지도력과 국력 신장 정책, 그리고 조선 왕족, 문무백관, 청나라와 명나라 인물들의 갈등을 그리고 있다.
  • 한국방송공사의 역사 드라마 - 김구 (드라마)
    김구의 일생을 그린 KBS 대하드라마 《김구》는 김상중과 조상건이 김구 역을 맡았고 안중근, 이완용, 이승만 등 주요 인물들이 등장하지만, 이승만 역 배우의 범죄 혐의 및 유족의 명예훼손 고소 등 논란이 있었다.
  • 한국방송공사의 역사 드라마 - 무풍지대
    무풍지대는 일제강점기부터 5.16 군사정변 이후까지 한국 근현대사를 배경으로 이정재, 유지광, 김두한, 시라소니 등 주먹 세계 인물과 이승만, 이기붕 등 정치인의 이야기를 그린 드라마로, 자유당 정권 몰락 과정에서 정치깡패들의 활약상을 묘사하여 김두한 미화 및 폭력 미화 논란과 해동검도 대중화에 기여했다.
한성별곡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드라마 정보
홍보 포스터
다른 이름서울의 슬픈 노래
장르역사
방송 시간수요일과 목요일 21:55 (KST)
연출곽정환
극본박진우
출연진이한
김하은
이천희
안내상
오프닝 테마알 수 없음
엔딩 테마알 수 없음
국가대한민국
방송사KBS2
첫 방송2007년 7월 9일
마지막 방송2007년 7월 31일
에피소드 수8
작곡가최인희
제작사KBS 미디어

2. 줄거리

당시 조선의 신분제도에 억눌린 민중들의 삶과 그것을 극복하려는 젊은이들, 새로운 조선을 만들겠다는 임금과 그에 반(反)하여 조선의 정체성을 지키겠다는 정치 세력 간의 암투를 그리고 있다.

연쇄 살인 사건을 수사하던 중, 박상규 형사(진이한)는 밀수업자로부터 야생 열매 뭉치를 압수하는데, 그는 이 무색 무취의 열매가 살인 사건의 미스터리를 푸는 열쇠라고 의심한다. 한편, 거상 양만오(이천희)는 경쟁자인 홍을 불법 행위 혐의로 경찰에 고발하여 자신의 권력과 영향력을 확장한다. 얼마 지나지 않아, 한성에 또 다른 시체가 시장에서 발견되면서 도시는 다시 공포에 휩싸인다. 박 형사는 범인이 이 열매를 이용하여 희생자를 살해했다고 의심한다. 그러나 그가 수수께끼를 풀기 시작하면서, 그는 사건이 겉으로 보이는 것 이상임을 발견한다.[4]

이 드라마의 세 주인공은 진보적인 사고와 실학으로 알려진 유교 사회 개혁 운동이 청나라로부터 조선에 침투하기 시작한 조선 후기의 정치적, 사회적 격동 시대에 "올바른 삶"이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또한 400년 역사의 조선이 임진왜란병자호란 이후 외부 및 내부의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점차 쇠퇴하던 시기이기도 했다. 그 결과 백성들의 삶을 개선하는 강력한 개혁을 통해 왕권을 회복하려 했던 왕과, 자의적인 왕권에 위협을 느낀 보수적인 정치 세력 간의 충돌이 발생했다.[5]

3. 등장인물

등장인물
진이한박상규 역 - 양반과 하인의 자식으로 태어나 신분 때문에 겪는 고통과 차별로 마음을 닫고 살아간다. 사랑하는 여인 이나영의 권유로 중국 유학을 떠나지만, 4년 만에 돌아왔을 때 나영의 가족이 역모죄로 몰렸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관직을 얻어 나영을 찾으려 하지만 좌절한다.[5]
김하은이나영 역 - 이참판의 외동딸로, 진보적인 사고방식을 가졌다. 하인들에게 글을 가르치며 사회 변화를 믿는다. 박상규와 사랑에 빠지지만, 아버지의 역모 혐의와 어머니의 죽음으로 비극적인 삶을 겪는다. 부모님의 복수를 위해 살인자로 변모한다.[5]
이천희양만오 역 - 양반에게 굴종하지 않고자 이참판의 집을 떠나 살주계에 가담한다. 집단의 지도자가 되지만 탄압으로 붕괴되고, 이참판의 집으로 돌아온다. 나영에게서 진보적인 사고방식을 배우고, 돈으로 권력을 얻고자 한다.[5]
안내상정조
정애리대비 역
도지원월향 역
김응수박인빈 역
한정수서주필 역
박선영조 상궁 역
김기현심민구 역
남일우채승환 역
장현성이재한 역
김명수박 집사 역
전현이조판서 역
박수현최일우 역
배성우강도술 역
조성일도상천 역
박철민포도대장 역
이미미엄 귀인 역
이성이참판 역
김영애한 상궁 역
사현진박 상궁 역
김경룡한두희 역
전일범신성두 역
고인범강극수 역
김명국홍행수 역
박팔영홍만기 역
이대호노객주 역
정진강재순 역
정진각최의원 역
김희령나영의 어머니 역


3. 1. 주요 인물


  • '''진이한 : 박상규(20대 후반)''' 역 - 좌포청 군관에서 의금부 도사를 거쳐 국청 조사관으로 일한다. 얼자 출신이라는 신분적 한계에 좌절하지만, 이나영을 만나 희망을 얻고 청나라로 유학을 떠난다. 귀국 후 나영 집안의 몰락으로 자포자기하지만, 나영을 찾기 위해 노력하는 이상주의자이다.[5]
  • '''김하은 : 이나영(20대 중반)''' 역 - 이참판의 외동딸이었으나, 아버지의 역모죄로 집안이 몰락하고 관비에서 의녀가 된다. 조선의 개혁을 꿈꾸던 순진한 이상주의자였으나, 집안의 몰락을 경험하면서 세상에 대한 생각이 바뀌고 복수를 꿈꾼다.[5]
  • '''이천희 : 양만오(30대 초반)''' 역 - 살주계주에서 역관, 시전행수를 거쳐 총행수가 된다. 나영 집안의 노비였으나, 살주계에 가입하여 기득권에 대한 복수를 꿈꾼다. 이후 나영의 영향으로 역관이 되어 큰돈을 벌고, 재력으로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믿으며 나영에게 연심을 품는다.[5]
  • '''안내상 : 임금(40대 중반)''' 역 - 개혁군주로, 진정으로 백성을 위한 정치를 펴고자 하지만, 벽파의 현실에 부딪힌다. 벽파들이 자신의 목숨을 노리고 있어 항상 불안해한다. 극중 이름은 정조이다.
  • '''정애리 : 대비(50대 초반)''' 역 - 임금의 계조모이다.
  • '''도지원''' : 월향 역
  • '''김응수''' : 박인빈 역
  • '''한정수''' : 서주필 역
  • '''박선영''' : 조 상궁 역
  • '''김기현''' : 심민구 역
  • '''남일우''' : 채승환 역
  • '''장현성''' : 이재한 역
  • '''김명수''' : 박 집사 역
  • '''전현''' : 이조판서 역
  • '''박수현''' : 최일우 역
  • '''배성우''' : 강도술 역
  • '''조성일''' : 도상천 역
  • '''박철민''' : 포도대장 역
  • '''이미미''' : 엄 귀인 역
  • '''이성''' : 이참판, 나영의 아버지 역
  • '''김영애''' : 한 상궁 역
  • '''사현진''' : 박 상궁 역
  • '''김경룡''' : 한두희 역
  • '''전일범''' : 신성두 역
  • '''고인범''' : 강극수 역
  • '''김명국''' : 홍행수 역
  • '''박팔영''' : 홍만기 역
  • '''이대호''' : 노객주 역
  • '''정진''' : 강재순 역
  • '''정진각''' : 최의원 역
  • '''김희령''' : 나영의 어머니 역

3. 2. 주변 인물


  • 김응수 : 박인빈(50대 초반) 역 - 박상규의 아버지이자 벽파 이인자이다. 예조판서 겸 평시서(시전을 관리하던 관청) 제조를 맡고 있다.[5]
  • 박선영 : 조상궁(30대 후반) 역 - 대전 상궁이다.[5]
  • 남일우 : 채승환(50대 초반) 역 - 시파 영수이자 전임 좌의정이다.[5]
  • 김기현 : 심민구(50대 후반) 역 - 벽파 영수이자 우의정이다.[5]
  • 장현성 : 이재한(40대 초반) 역 - 시파 중진이자 공조판서 겸 장용영 내영(궁궐 호위부대) 제조이다.[5]
  • 한정수 : 서주필(30대 초반) 역 - 한성부 형방 주부이다.[5]
  • 배성우 : 강도술(30대 후반) 역 - 살주계 이인자 겸 시전 부행수이다.[5]
  • 조성일 : 도상천(20대 후반) 역 - 살주계 삼인자이자 양만오의 심복으로, 무예의 달인이다.[5]
  • 이미지 : 엄씨(40대 후반) 역 - 박상규의 생모이자 박인빈의 노비이다.[5]
  • 박철민 : 포도대장(40대 후반) 역 - 박상규의 직속상관이다.[5]
  • 이성 : 이참판 역 - 나영의 아버지이다.[5]
  • 김희령 : 나영의 어머니 역이다.[5]

3. 3. 그 외 인물


  • 고인범 : 강극수(40대 초반) 역 - 병조판서 겸 선혜청 제조[5]
  • 박팔영 : 홍만기(40대 후반) 역 - 이조참판[5]
  • 김경룡 : 한두희(40대 중반) 역 - 형조참판 겸 금부제조[5]
  • 전일범 : 신성두(40대 중반) 역 - 호조참판[5]
  • 사현진 : 박상궁(30대 초반) 역 - 대비전 상궁[5]
  • 김영애 : 한상궁(20대 후반) 역 - 대전 상궁[5]
  • 정진각 : 최의원(50대 초반) 역 - 내의원 의원. 임금의 어의[5]
  • 진가영 : 항심이 역 - 탕약 제조를 맡은 내의원 의녀[5]
  • 남문철 : 박행수(40대 중반) 역 - 시전 행수[5]
  • 최명경 : 공행수(40대 중반) 역 - 어물전 행수[5]
  • 박수현 : 최인우(30대 후반) 역 - 장용영 외영 대장[5]
  • 이성 : 이참판(50대 초반) 역 - 이나영의 부친[5]
  • 유민영 : 항심이(20대 초반) 역 - 내의원 의녀[5]
  • 정진 : 강재순(30대 초반) 역 - 유림[5]
  • 윤진호 : 좌포청 군관[5]
  • 김희령 : 나영의 모친(40대 중반) 역[5]
  • 이중열 : 월향집사 역[5]
  • 조규철 : 포졸1 역[5]
  • 김종석 : 포졸2 역[5]
  • 양재원 : 포졸3 역[5]
  • 정승교 : 서내관(20대 후반) 역 - 임금의 대전 내관[5]
  • 장태성 : 도승지 역[5]
  • 민수 : 사령1 역[5]
  • 황신정 : 행수기생 역[5]
  • 김민지 : 기생1 역[5]
  • 민지은 : 기생2 역[5]
  • 권연순 : 기생3 역[5]
  • 임성표 : 심의원 역[5]
  • 장대지 : 한성부 주부 역[5]
  • 김종호 : 묘지기 역[5]
  • 지성근 : 가마꾼 역[5]
  • 이정후 : 의녀2 역[5]
  • 최승정 : 장수2 역[5]
  • 장영주 : 도가사내 역[5]
  • 이정민[5]
  • 한설아[5]
  • 이아이[5]

3. 4. 특별출연


  • 김명수: 황 집사(40대 중반) 역 - 비밀결사의 조직원, 나영의 스승[1]
  • 전현: 이조판서(40대 초반) 역 - 내의원 제조, 임금의 최측근 시파 중진[2]
  • 이대로: 노객주(60대 초반) 역 - 광나루 보부상 객주[3]
  • 김명국: 홍행수(40대 중반) 역 - 싸전 행수[4]
  • 박철민: 포도대장 역
  • 이미미: 엄 귀인 역
  • 이성: 이참판 역 - 나영의 아버지
  • 김영애: 한 상궁 역
  • 사현진: 박 상궁 역
  • 김경룡: 한두희 역
  • 전일범: 신성두 역
  • 고인범: 강극수 역
  • 박팔영: 홍만기 역
  • 이대호: 노객주 역
  • 정진: 강재순 역
  • 정진각: 최의원 역
  • 김희령: 나영의 어머니 역

4. 정치적 의미

당시 조선의 신분제도에 억눌린 민중들의 삶과 그것을 극복하려는 젊은이들, 새로운 조선을 만들겠다는 임금과 그에 반(反)하여 조선의 정체성을 지키겠다는 정치 세력 간의 암투를 그리고 있다.[4]

이 드라마의 세 주인공은 청나라로부터 조선실학으로 알려진 유교 사회 개혁 운동이 침투하기 시작한 조선 후기의 정치적, 사회적 격동 시대에 "올바른 삶"이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또한 400년 역사의 조선이 임진왜란병자호란 이후 외부 및 내부의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점차 쇠퇴하던 시기이기도 했다. 그 결과 백성들의 삶을 개선하는 강력한 개혁을 통해 왕권을 회복하려 했던 왕과, 자의적인 왕권에 위협을 느낀 보수적인 정치 세력 간의 충돌이 발생했다.[5]

이 정치적으로 민감한 드라마가 2007년 대통령 선거의 절정기에 방영되면서 시청자들은 정조의 이상적인 리더십 모델을 현안과 비교했다.[4][6]

5. OST

2007년 7월 9일 발매된 《한성별곡-正》 OST는 프로듀서 박진영과 JYP 프로덕션이 제작하고 온라인으로 배포하였다. 드라마의 성격에 맞게 기존 사극 OST와는 다르게 다양한 장르를 수록하였다.

번호곡명아티스트
1평행선 (Feat. 박진영 - 아시아의 영혼)JK 김동욱
2초연(怊緣)
3일월지가(日月之歌)선예
4정(正, Feat. 예은 (원더걸스))J 범, 쇼티 장군
5별리(別離)
6애이불비(哀而不悲)
7검(劍)
8축원(祝願)
9천인단애(千仞斷崖)
10꽃비 내리던 날
11사랑을 보내다


참조

[1] 웹사이트 TV REVIEWS: 한성별곡-正 (Conspiracy in the Court) https://web.archive.[...] 2012-11-19
[2] 웹사이트 Twitch Talks with PD Kwak Jung-Hwan - Part 1 https://web.archive.[...] 2012-11-19
[3] 웹사이트 Twitch Talks with PD Kwak Jung-Hwan - Part 2 https://web.archive.[...] 2012-11-19
[4] 웹사이트 Hansungbyulgok (AKA: Seoul's Sad Song) (DVD) (Director's Cut) (KBS TV Drama) (Korea Version) http://www.yesasia.c[...] 2012-11-19
[5] 웹사이트 Conspiracy in the Court https://web.archive.[...] 2012-11-19
[6] 웹사이트 Renaissance of Joseon King Jeongjo https://www.koreatim[...] 2013-04-02
[7] 문서 드라마 내에서 당시 시대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으며 등장 인물 또한 가상 설정이다. 하지만 역사적 사실인 ‘친위부대인 장용영의 설치’ 등으로 쉽게 극중 임금이 [[정조]]인 것을 알 수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