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 부르크마이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스 부르크마이어는 독일의 화가이자 목판화가로, 특히 키아로스쿠로 판화 기법의 발전에 기여했다. 토마스 부르크마이어의 아들로 아우크스부르크에서 태어났으며, 마르틴 쇤가우어의 제자가 되었으나 훈련을 마치기 전에 쇤가우어가 사망하여 이탈리아 여행을 통해 화풍에 영향을 받았다. 834점의 목판화를 제작했으며, 이탈리아 르네상스 양식과 독일 스타일을 혼합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막시밀리안 1세를 위해 제작한 목판화와 '아프리카와 인도의 사람들' 시리즈는 인류학적 관심사를 반영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판화가 - 한스 홀바인
한스 홀바인은 독일 르네상스 시대 화가로, 바젤과 런던에서 활동하며 로테르담의 에라스무스, 토마스 모어, 헨리 8세 등 유명 인사들의 초상화를 사실적으로 묘사하여 튜더 시대 역사적 기록으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 독일의 판화가 - 알브레히트 알트도르퍼
알브레히트 알트도르퍼는 16세기 독일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 판화가, 건축가로, 풍경화의 선구자이자 도나우 악파의 중심 인물로서 종교화, 역사화, 다양한 판화 기법에서도 독창적인 화풍을 선보였다. - 1473년 출생 -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는 폴란드 출신의 천문학자로서 태양중심설을 제안하여 천문학에 혁신을 가져왔으며, 저서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를 통해 자신의 이론을 발표했으나 논란을 겪었고, 과학 혁명과 현대 천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 1473년 출생 - 제임스 4세
제임스 4세는 스코틀랜드의 국왕으로, 군사력 강화, 예술 후원 등 스코틀랜드 르네상스에 기여했으나 잉글랜드와의 플로든 전투에서 전사했다. - 1531년 사망 - 효혜공주
효혜공주는 조선 중종과 장경왕후의 장녀로, 김희와 혼인하여 딸 김선옥을 낳았으며, 이질을 앓다 사망하여 고양의 월산대군 묘에 예장되었다. - 1531년 사망 - 마쓰다이라 노부타다
마쓰다이라 노부타다는 무능함으로 가신들의 신뢰를 잃고 아들에게 가독을 물려준 후 사망한 인물이다.
한스 부르크마이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한스 부르크마이어 |
다른 이름 | 한스 부르크마이어 데어 엘테레 |
출생 | 1473년 |
출생지 | 아우크스부르크, 독일 |
사망 | 1531년 |
사망지 | 아우크스부르크, 독일 |
국적 | 독일 |
직업 | 화가 판화 제작자 목판화가 |
활동 시기 | 르네상스 |
2. 생애
아우크스부르크(Augsburg)에서 화가 토마스 부르크마이어(Thomas Burgkmair)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아들 한스 2세(Hans the Younger)도 화가가 되었다. 1488년부터 콜마르(Colmar)에서 마르틴 쇤가우어(Martin Schongauer)의 제자가 되었지만, 쇤가우어는 부르크마이어가 정규 훈련 기간을 마치기 전인 1491년에 사망했다. 이 무렵 이탈리아를 방문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1507년에는 확실히 이탈리아를 방문하여 그의 화풍에 큰 영향을 받았다.[1] 1491년부터 아우크스부르크에서 일했고, 1498년에 장인이 되어 자신의 작업실을 열었다. 루터교 신자였다.[1] 1531년에 아우크스부르크에서 사망했다.
부르크마이어는 화가로서 종교화, 아우크스부르크 시민과 황제 궁정 구성원들의 초상화를 주로 그렸다. 그의 작품 다수는 뮌헨, 빈 등지의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11] 1531년, 그는 아우크스부르크에서 생을 마감했다.
3. 경력
3. 1. 초기 경력
부르크마이어는 아우크스부르크에서 화가 토마스 부르크마이어의 아들로 태어났다.[11] 1488년, 콜마르에서 마르틴 쇤가우어의 제자가 되었지만, 부르크마이어가 정규 수련 기간을 마치기 전에 쇤가우어가 사망했다(1491년). 그 후 아우크스부르크에서 일했고, 1498년에는 장인이 되어 자신의 공방을 열었다. 1507년에는 이탈리아를 방문하여 그 스타일의 영향을 받았다.
홀스타인은 부르크마이어의 목판화가 총 834점이며, 그 대부분이 책의 삽화이고, 그렇지 않은 것은 100점 남짓이라고 했다. 그중에서 특히 뛰어난 작품들은 구성이 두드러지며, 완벽하게는 아니지만 이탈리아 르네상스 스타일과 부르크마이어의 근본에 있는 독일 스타일이 혼합되어 있다. 1508년경부터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1세를 위해 목판화 제작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고, 그것은 황제가 사망한 1519년까지 계속되었다. 『막시밀리안 1세의 개선』이라는 제목의 135점의 목판화 중 거의 절반은 인물을 화면 가득히 그려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 외에도 『바이스쿠니히』와 『토어어단크』의 삽화 대부분을 제작했다.
부르크마이어는 키아로스쿠로 판화의 발명가로서도 중요한 인물이다. 1508년에 처음으로 1개의 톤 블록(색판)을 사용했다.[12] 『죽음에 놀라는 연인들』(1510년)에서는 3개의 판목을 사용했다.[13] 라인 블록(선묘화의 주판)에서는 만족스러운 마무리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처음에는 색깔만으로 인쇄하도록 설계했다. 한스 발둥 그린과 루카스 크라나흐의 이후 키아로스쿠로 판화에서는 라인 블록도 사용하게 되었다.[14]
3. 2. 목판화 혁신
독일 미술사학자 프리드리히 빌헬름 홀슈타인(Friedrich Wilhelm Hollstein)은 부르크마이어가 제작한 목판화가 834점에 달한다고 보았는데, 그 대부분은 책 삽화를 위해 제작된 것이었다. 100점이 조금 넘는 판화는 책에 사용될 목적으로 만들어지지 않은 것이다. 그의 작품은 이탈리아 르네상스 양식과 기존의 독일 양식을 절묘하게 결합한 뛰어난 구성 능력을 보여준다.
1508년경부터 부르크마이어는 1519년 막시밀리안 1세 황제가 사망할 때까지 목판화 작업에 상당한 시간을 할애했다.[2] 그는 135점의 판화로 이루어진 『막시밀리안 1세의 개선』(Triumphs of Maximilian)의 거의 절반을 담당했는데, 이 판화들은 크기가 크고 개성이 넘친다. 또한 그는 『바이스쿠니히』(Weisskunig)의 삽화 대부분과 『토어어단크』(Theuerdank)의 상당 부분을 제작했다. 그는 유명한 목판 세공사 요스트 드 네거와 긴밀히 협력했으며, 네거는 사실상 그의 출판인이었다.
부르크마이어는 명암 목판화의 중요한 혁신가였으며, 1508년 판화에서 색조판을 처음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3] --(1510)은 세 개의 판을 사용한 최초의 명암 목판화이다.[4] 또한 선판만으로는 만족스러운 이미지를 만들 수 없었기 때문에 색으로만 인쇄되도록 디자인된 최초의 판화이기도 하다. 발둥과 루카스 크라나흐가 같은 시기에 제작한 다른 명암 목판화들은 선판만으로도 인쇄될 수 있었고 실제로 인쇄되기도 했다.[5] 그는 강철판에 에칭한 『비너스와 머큐리』(Venus and Mercury, 1520년경)[6] 한 점을 제작했지만, 쇼엥가우어에게서 훈련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조각은 시도하지 않았다.
3. 3. 막시밀리안 1세와의 협업
1508년경부터 부르크마이어는 1519년 막시밀리안 1세가 사망할 때까지 목판화 작업에 상당한 시간을 할애했다.[2] 그는 135점의 판화로 이루어진 『막시밀리안의 개선 행렬』의 거의 절반을 담당했는데, 이 판화들은 크기가 크고 개성이 넘친다.
부르크마이어는 『바이스쿠니히』(Weisskunig)의 삽화 대부분과 『토어어단크』(Theuerdank)의 상당 부분을 제작했다.[2] 그는 유명한 목판 세공사 요스트 드 네거와 긴밀히 협력했으며, 네거는 사실상 그의 출판인이 되었다.[2]
부르크마이어는 명암 목판화의 중요한 혁신가였으며, 1508년 판화에서 색조판을 처음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3] 그의 『--』(1510)은 세 개의 판을 사용한 최초의 명암 목판화이다.[4] 또한 선판만으로는 만족스러운 이미지를 만들 수 없었기 때문에 색으로만 인쇄되도록 디자인된 최초의 판화이기도 하다. 한스 발둥과 루카스 크라나흐가 같은 시기에 제작한 다른 명암 목판화들은 선판만으로도 인쇄될 수 있었고 실제로 인쇄되기도 했다.[5]
3. 4. 인류학적 관심
부르크마이어 시대는 인류학과 새로운 인문주의 과학인 지리학(빈 대학교에서 콘라트 켈테스가 장려함)의 발전 시기였다.[7][8] 아우크스부르크의 벨저 가문의 상업적 사업을 구실로 삼아, 인문주의자 콘라트 포이팅거는 막시밀리안 황제를 설득하여 인도인에 대한 그의 인류학적 관심을 지원하고, 발타사르 슈프링거의 1505년에서 1506년 아프리카를 거쳐 인도로 향한 항해를 후원하게 하였다.[9]
1512년 막시밀리안이 개선 행렬에 나오는 인도인에 대해 지시한 내용을 바탕으로, 뢰르크 컬더러는 일련의 (현재는 소실된) 그림을 제작했고, 이것이 1513년에서 1515년 알브레히트 알트도르퍼의 소형 그림의 지침이 되었으며, 다시 이것이 목판화의 모델이 되었다 (그중 절반은 현재 소실된 부르크마이어의 1516년에서 1518년 그림을 바탕으로 함). "칼리컷 사람들"을 보여주는 목판화였다.[10] 1508년 부르크마이어는 ''아프리카와 인도의 사람들'' 시리즈를 제작하여 슈프링거가 아프리카 해안과 인도에서 만난 사람들을 묘사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 시리즈는 "인류학이 방법론적 기초로 삼을 기본적인 분석 범주"를 만들어냈다.
4. 주요 작품
부르크마이어는 목판화와 회화 분야에서 뛰어난 작품을 많이 남겼다. 특히, 키아로스쿠로 판화의 발명가로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1508년경부터 1519년 막시밀리안 1세 황제가 사망할 때까지 목판화 제작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홀스타인의 기록에 따르면 부르크마이어의 목판화는 총 834점이며, 그 대부분이 책 삽화이고, 그렇지 않은 것은 100점 남짓이다. 그중에서 특히 뛰어난 작품들은 구성이 두드러지며, 이탈리아 르네상스 스타일과 독일 스타일이 혼합되어 있다.
1508년에는 처음으로 1개의 톤 블록(색판)을 사용한 키아로스쿠로 판화를 제작했다.[12] 1510년에는 3개의 판목을 사용한 『--』을 제작했는데,[13] 이는 라인 블록(선묘화의 주판)만으로는 만족스러운 마무리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처음에는 색깔만으로 인쇄하도록 설계되었다. 한스 발둥 그린과 루카스 크라나흐의 이후 키아로스쿠로 판화에서는 라인 블록도 사용하게 되었다.[14]
아우크스부르크 시민과 황제 궁정의 구성원들을 위해 종교화도 제작했다. 그 작품들의 대부분은 뮌헨과 빈 등의 갤러리에 있다. 초상화는 종교화보다 현대적인 감각을 지니고 있다.
4. 1. 회화
『테우어단크』의 삽화프리드리히 3세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의 초상화
4. 2. 판화
독일 미술사학자 프리드리히 빌헬름 홀슈타인은 부르크마이어가 834점의 목판화를 제작했으며, 그 대부분은 책 삽화를 위한 것이었다고 평가했다. 책에 사용되지 않은 단일 판화는 100점이 조금 넘는다. 그의 작품은 이탈리아 르네상스 양식과 기존의 독일 양식을 절묘하게 결합한 뛰어난 구성 능력을 보여준다.1508년경부터 부르크마이어는 1519년 막시밀리안 1세 황제가 사망할 때까지 목판화 작업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2] 그는 135점의 판화로 이루어진 『막시밀리안 1세의 개선 행렬』의 거의 절반을 담당했는데, 이 판화들은 크기가 크고 개성이 넘친다. 또한 『바이스쿠니히』(Weisskunig)와 『토어어단크』(Theuerdank)의 삽화 대부분을 제작했다. 그는 유명한 목판 세공사 요스트 드 네거와 긴밀히 협력했으며, 네거는 사실상 그의 출판인이었다.

그는 명암 목판화의 중요한 혁신가였으며, 1508년 판화에서 색조판을 처음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3] 그의 『--』(1510)은 세 개의 판을 사용한 최초의 명암 목판화이다.[4] 또한 선판만으로는 만족스러운 이미지를 만들 수 없었기 때문에 색으로만 인쇄되도록 디자인된 최초의 판화이기도 하다. 발둥과 루카스 크라나흐가 같은 시기에 제작한 다른 명암 목판화들은 선판만으로도 인쇄될 수 있었고 실제로 인쇄되기도 했다.[5] 그는 강철판에 에칭한 『비너스와 머큐리』(Venus and Mercury, 1520년경)[6] 한 점을 제작했지만, 쇼엥가우어에게서 훈련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조각은 시도하지 않았다.
부르크마이어 시대는 인류학과 새로운 인문주의 과학인 지리학(콘라트 켈테스가 빈 대학교에서 장려함)의 발전 시기였다.[7][8] 아우크스부르크의 벨저 가문의 상업적 사업을 구실로 삼아, 인문주의자 콘라트 포이팅거는 막시밀리안 황제를 설득하여 인도인에 대한 그의 인류학적 관심을 지원하고, 발타사르 슈프링거의 1505년에서 1506년 아프리카를 거쳐 인도로 향한 항해를 후원하게 하였다.[9] 1512년 막시밀리안이 막시밀리안 1세의 개선 행렬에 나오는 인도인에 대해 지시한 내용을 바탕으로, 뢰르크 컬더러는 일련의 (현재는 소실된) 그림을 제작했고, 이것이 1513년에서 1515년 알트도르퍼의 소형 그림의 지침이 되었으며, 다시 이것이 목판화의 모델이 되었다 (그중 절반은 현재 소실된 부르크마이어의 1516년에서 1518년 그림을 바탕으로 함) "칼리컷 사람들"을 보여주는 목판화였다.[10] 1508년 부르크마이어는 ''아프리카와 인도의 사람들'' 시리즈를 제작하여 슈프링거가 아프리카 해안과 인도에서 만난 사람들을 묘사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 시리즈는 "인류학이 방법론적 기초로 삼을 기본적인 분석 범주"를 만들어냈다.
5. 평가 및 영향
홀스타인은 부르크마이어의 목판화가 총 834점이며, 그 대부분이 책의 삽화이고, 그렇지 않은 것은 100점 남짓이라고 했다. 그중에서 특히 뛰어난 작품들은 구성이 두드러지며, 완벽하게는 아니지만 이탈리아 르네상스 스타일과 부르크마이어의 근본에 있는 독일 스타일이 혼합되어 있다.[11] 1508년경부터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1세를 위해 목판화 제작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고, 그것은 황제가 사망한 1519년까지 계속되었다. 『막시밀리안 1세의 개선』이라는 제목의 135점의 목판화 중 거의 절반은 인물을 화면 가득히 그려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 외에도 『바이스쿠니히(Weißkunig)』와 『토어어단크(Theuerdank)』의 삽화 대부분을 제작했다.
부르크마이어는 키아로스쿠로 판화의 발명가로서도 중요한 인물이다. 1508년에 처음으로 1개의 톤 블록(색판)을 사용했다.[12] 『죽음에 놀라는 연인들』(1510년)에서는 3개의 판목을 사용했다.[13] 라인 블록(선묘화의 주판)에서는 만족스러운 마무리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처음에는 색깔만으로 인쇄하도록 설계했다. 한스 발둥 그린과 루카스 크라나흐의 이후 키아로스쿠로 판화에서는 라인 블록도 사용하게 되었다.[14]
부르크마이어는 성공한 화가로, 아우크스부르크 시민과 황제 궁정의 구성원들을 위해 종교화도 제작했다. 그 작품들의 대부분은 뮌헨과 빈 등의 갤러리에 있다. 초상화는 종교화보다 현대적인 감각을 지니고 있다.
참조
[1]
서적
The Apocalypse and the Shape of Things to Com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22-10-11
[2]
문서
Landau & Parshall
[3]
웹사이트
Emperor Maximilian on Horseback
http://www.artbma.or[...]
Artbma.org
[4]
웹사이트
Lovers Surprised by Death
http://www.bodkinpri[...]
2006-11-06
[5]
서적
The Renaissance Print
Yale
[6]
웹사이트
Hans (the Younger) Burgkmair
http://www.artnet.de[...]
Artnet.de
[7]
서적
A People Born to Slavery": Russia in Early Modern European Ethnography, 1476–1748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21-12-24
[8]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Science: Volume 3, Early Modern Sci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12-24
[9]
학술지
Burgkmair's Peoples of Africa and India (1508) and the Origins of Ethnography in Print
https://arthistory.f[...]
2021-12-24
[10]
학술지
The people of Calicut: objects, texts, and images in the Age of Proto-Ethnography
2014-08
[11]
웹사이트
Hans Burckmair
http://www.newadvent[...]
[12]
웹사이트
Emperor Maximilian on Horseback
http://www.artbma.or[...]
[13]
웹사이트
Lovers Surprised by Death
http://www.bodkinpri[...]
[14]
서적
The Renaissance Print
Ya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