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할릴 이날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할릴 이날즉은 1916년 오스만 제국에서 태어난 역사학자이다. 앙카라 대학교에서 근대사를 전공하고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런던, 파리 등에서 연구 활동을 펼쳤다. 그는 오스만 제국의 사회, 경제적 측면에 대한 연구에 집중했으며, 특히 오스만 법체계, 토지제도, 티마르 제도 등을 탐구했다. 대표 저서로는 《오스만 제국: 고전기 1300-1600》이 있으며, 오스만 제국 역사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2016년 사망했으며, 터키 연구소 회원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튀르키예의 저술가 - 바흐리예 위초크
    바흐리예 위초크는 터키의 학자이자 정치인으로, 앙카라 대학교 최초의 여성 교수를 역임하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이슬람 율법 비판 후 암살되었다.
  • 튀르키예의 백세인 - 네즈데트 위루으
    네즈데트 위루으는 1980년 튀르키예 쿠데타 당시 제1군 사령관으로 활동했으며 이후 육군 사령관과 군 참모총장, 대통령 위원회 사무총장을 역임하며 군부 및 정치적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한 튀르키예 군인이다.
  • 튀르키예의 백세인 - 젤랄 바야르
    튀르키예의 정치인 젤랄 바야르는 민주당을 창당하여 튀르키예의 제3대 대통령을 역임하며 서방과의 관계 강화와 경제 발전을 추진했으나 1960년 쿠데타로 축출되었다.
  • 튀르키예의 과학자 - 알리 바르다코을루
    알리 바르다코을루는 1952년 튀르키예에서 태어나 이스탄불 대학교에서 법학을, 아타튀르크 대학교에서 이슬람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2003년 국가 종무국 수장으로 임명되어 튀르키예와 유럽에서 현대적인 이슬람 지도자로 활동했다.
  • 튀르키예의 과학자 - 바흐리예 위초크
    바흐리예 위초크는 터키의 학자이자 정치인으로, 앙카라 대학교 최초의 여성 교수를 역임하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이슬람 율법 비판 후 암살되었다.
할릴 이날즉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81년 3월에 열린 오스만 문서 및 흑해 지역 콜로키움에서 할릴 이날즉
1981년 3월에 열린 오스만 문서 및 흑해 지역 콜로키움에서 할릴 이날즉
출생일1916년 9월 7일
출생지오스만 제국 이스탄불
사망일2016년 7월 25일
사망지터키 앙카라
국적터키
다른 이름할릴 이나르츠크
학력
모교앙카라 대학교
시카고 대학교
빌켄트 대학교
런던 대학교
직업역사학자
활동 기간1940년–2016년

2. 생애

할릴 이날즉은 1916년 오스만 제국의 콘스탄티니예(현 이스탄불)에서 1905년 크림반도에서 이주해 온 크림 타타르 가문에서 태어났다.[3][4][5][6] 정확한 생년월일에 대해서는 기록마다 차이가 있어, 터키에서는 5월 26일을, 미국에서는 7월 4일을 기념일로 삼았으며[23], 9월 7일 출생이라는 기록도 있다.[3] 그의 가족은 전쟁을 피해 1924년 앙카라로 이주했다. 아버지 세이트 오스만 누리(Seyit Osman Nuritr)가 가족을 떠나 이집트로 이주하면서, 할릴 이날즉은 어머니 밑에서 성장했다.[24]

앙카라 가지 멕테비(Ankara Gazi Mektebitr)에서 초등교육을, 앙카라 가지 무알림 멕테비(Ankara Gazi Muallim Mektebitr)에서 중등교육을 받았고, 발리케시르 네자티 베이 무알림 멕테비(Balıkesir Necati Bey Muallim Mektebitr)에서 고등교육을 마쳤다.[7] 중·고등학교 시절에는 교사를 꿈꿨으나, 대학에 진학할 무렵 역사학자의 길을 택했다.[25] 1936년 앙카라 대학교 언어, 역사, 지리학부에 입학하여 근대사를 전공했고, 1940년에 졸업했다.[7]

졸업 후 모교의 근대사학과 조교로 임용되었는데, 이는 그의 티무르에 대한 연구를 눈여겨본 메흐메트 푸아트 쾨프륄뤼의 도움이 있었다. 1942년에는 《탄지마트와 불가르 문제(Tanzimat ve Bulgar Meselesitr)》라는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 논문은 오스만 제국 말기 불가리아 문제를 다루면서 터키 역사학계에서 사회경제적 접근법을 시도한 초기 연구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1943년 12월 조교수가 되었고, 오스만 제국의 사회 및 경제적 측면에 대한 연구에 집중했다. 이를 위해 부르사의 오스만 사법 기록과 이스탄불의 오스만 기록 보관소에서 연구를 수행했다. 1947년에는 터키 역사 협회 회원이 되었다.[3]

1949년, 앙카라 대학교의 파견으로 런던으로 가 대영 박물관에서 오스만 및 튀르크 비문을 연구하고, 런던 대학교 동양 아프리카 연구 학교(SOAS)에서 파울 비테크의 세미나에 참석했다. 이때 버나드 루이스와 같은 영향력 있는 역사가들과 교류했다. 1950년에는 파리에서 열린 학회에 참석하여 페르낭 브로델을 만났으며, 그의 연구는 이날즉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1951년 터키로 돌아와 1952년 앙카라 대학교 정교수가 되었다. 이후 컬럼비아 대학교(1953-54)와 하버드 대학교(1956-57)에서 객원 교수 및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터키 복귀 후에는 오스만, 유럽, 미국 역사뿐만 아니라 행정 조직 및 아타튀르크 개혁에 대해 강의했다. 1967년에는 프린스턴 대학교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객원 교수로 강의했다. 1966년 국제 동남 유럽 연구 협회(Association Internationale des Etudes du Sud-Est Européen프랑스어)에 가입했고, 1971년부터 1974년까지 회장을 역임했다.[3]

1971년 하버드 대학교와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정규 교수직을 제안받았으나 터키에 남기를 원해 거절했다. 하지만 당시 터키의 정치적 혼란이 심화되고 학생들의 갈등이 교육 환경에 영향을 미치자, 1972년 시카고 대학교의 교수 초빙을 수락하여 미국으로 건너갔다. 1986년까지 시카고 대학교에서 오스만 제국 역사를 가르쳤다.[11] 그의 대표 저작인 《오스만 제국: 고전기 1300-1600(The Ottoman Empire: The Classical Age 1300-1600영어)》은 시카고 대학교 재직 중이던 1973년에 출간되었다.

1990년부터 1992년까지 하버드와 프린스턴에서 다시 객원 교수로 강의했다. 1992년, 빌켄트 대학교의 초청을 받아 터키로 돌아와 역사학과를 설립하고 대학원 과정을 가르쳤으며,[3] 사망할 때까지 이 대학에 재직했다.[13] 1993년에는 자신이 소장하고 있던 오스만 제국 역사 관련 서적, 저널, 별쇄본 컬렉션을 빌켄트 대학교 도서관에 기증했다.[8] 빌켄트 대학교는 이 자료들을 기반으로 할릴 이날즉 오스만 연구 센터를 설립하여 공개했다.[26] 그는 세르비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 역사 과학과 회원, 터키 연구소 회원 등 여러 국제 학술 단체의 회원 및 회장으로 활동했다.[9]

할릴 이날즉의 묘, 이스탄불 파티흐 모스크.


이날즉은 2016년 7월 25일에 사망했으며,[10] 이스탄불의 파티흐 모스크 경내에 안장되었다.

3. 학문적 업적 및 특징

할릴 이날즉 학문의 가장 큰 특징은 오스만 제국의 역사를 외부 시각이 아닌 오스만인 내부의 관점에서 접근하고, 이를 위해 평생 원사료 연구에 천착했다는 점이다.[27] 그는 다양한 언어 구사 능력을 바탕으로 오스만 시대의 정치, 사회, 경제 전반을 연구했으며, 특히 오스만 법체계, 토지제도, 티마르 제도, 도시사, 개혁기 사회경제 변천사 등에서 중요한 학문적 성과를 남겼다.[27]

이날즉은 연구 초기부터 서구의 편향된 서술과 터키 내부의 민족주의적 역사관 모두를 비판하며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연구를 강조했다.[11][3] 그는 프란츠 바빙거의 메흐메트 2세 묘사를 서구 편견의 예로 들었으며,[11] 피상적 일반화를 경계하고 사회경제적 요인 분석의 중요성을 역설했다.[3] 특히 오스만 사법 기록 등 1차 사료를 적극 활용하여[12] 사회경제적 실상을 규명하고, 오스만 왕조의 카이 부족 기원설이 후대에 조작된 것임을 밝히는 등[11] 기존 통념을 바로잡는 데 기여했다.[13] 그의 연구는 오스만사 연구의 지평을 사회경제사 분야로 넓혔으며,[28] 이매뉴얼 월러스틴 등 후대 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13]

3. 1. 연구 방법론

할릴 이날즉 연구의 핵심은 오스만 제국의 역사를 외부인의 시각이 아닌 오스만인 내부의 관점에서 접근하고, 이를 위해 평생 원사료 연구에 집중했다는 점이다. 그는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뿐만 아니라 아랍어, 이란어, 이탈리아어 등 다양한 언어를 습득하여 방대한 사료를 직접 다룰 수 있었다. 이러한 능력을 바탕으로 오스만 시대의 정치, 사회, 경제 등 광범위한 영역을 연구했으며, 특히 오스만 법체계, 토지제도, 티마르 제도, 도시사, 개혁기의 사회경제적 변화 등에서 중요한 학문적 성과를 거두었다.[27]

앙카라대학교 시절 푸아트 쾨프륄뤼의 지도를 받으며 초기에는 터키 민족주의적 사관의 영향을 받았으나, 외메르 뤼트피 바르칸을 통해 프랑스 아날학파의 방법론을 접하게 되었다. 특히 1950년 파리에서 페르낭 브로델의 기념비적인 저작 《펠리페 2세 시대의 지중해와 지중해 세계》를 접한 후 그의 역사관은 극적으로 변화했다. 이후 이날즉은 오스만 역사를 지중해 세계, 국제 무역, 경제, 사회, 제도 변화라는 더 넓은 시야에서 탐구하기 시작했다. 마르크스주의를 수용하지는 않았지만, 농민, 도시 노동자, 물질 문화, 오스만 제국 형성의 경제적 요인 등 사회경제적 측면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는 점에서 마르크스주의 역사가들과 공통된 문제의식을 공유하기도 했다. 영국 교환교수 시절에는 폴 위트텍과의 교류를 통해 사료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해석하는 안목을 더욱 발전시켰다. 이를 바탕으로 그는 방대한 오스만 공문서를 활용하여 토지 제도, 인구, 농업 생산성, 공업, 교역, 세금 등 구체적인 주제들을 심도 있게 다루었다. 또한 그는 제자들에게 오스만 고문서의 적극적인 활용을 강조하여, 오스만사 연구의 지평을 기존의 정치사 중심에서 사회경제사 영역으로 확장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28]

이날즉의 연구는 오스만 제국의 사회경제적 구조 분석에 집중되었다.[14] 그는 연구 초기부터 서구 자료에 나타나는 적대적이고 편향된 서술과 터키 내부의 과장되고 민족주의적인 역사 해석 모두를 경계하며 객관적이고 균형 잡힌 시각을 유지하려 노력했다. 예를 들어, 프란츠 바빙거가 메흐메트 2세를 피에 굶주린 가학적인 인물로 묘사한 것을 서구의 편향된 서술의 대표적인 사례로 비판했다.[11] 그는 오스만 역사에 대한 피상적인 일반화를 비판하며, 이러한 접근 방식이 구체적인 사료 연구 부족으로 인해 사회경제적 측면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결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3] 특히 그는 오스만 사법 기록(시질, sicil)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오스만 사회의 실제 모습을 파악하려 한 선구적인 역사가였다. 그가 연구를 시작한 1940년대만 해도 이러한 기록들은 터키의 문자 개혁(1928년) 이후 해독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거의 활용되지 못하고 창고에 방치되거나 심지어 파기되고 있었다.[12]

이날즉은 실증적인 연구를 통해 오스만 및 터키 역사에 관한 여러 잘못된 통념과 오류를 바로잡는 데 기여했다.[13] 대표적으로 오스만 왕조가 카이 부족 출신이라는 통설이 실제로는 15세기 이후 정치적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이야기임을 밝혀냈다.[11] 사회학자 이매뉴얼 월러스틴은 이날즉이 독창적인 방법론으로 역사학 연구 분야 자체를 혁신했으며, 그의 영향을 받은 수많은 후학들이 다양한 사회경제적, 문화적 관점에서 역사를 탐구하도록 이끌었다고 높이 평가했다.[13]

그는 푸아드 쾨프릴뤼, 페르낭 브로델, 외메르 뤼트피 바르칸 등 당대 최고의 역사가들의 연구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14]

4. 주요 논저

할릴 이날즉은 오스만 제국 및 터키 공화국의 역사, 특히 사회경제사 분야에서 방대한 연구 성과를 남겼다. 그의 주요 논저는 다음과 같다.

주요 논저 목록
연도원제 (언어)한국어 번역 제목 (비공식)비고
1943Tanzimat ve Bulgar Meselesitr탄지마트와 불가리아 문제TTK 출판. 이후 Eren Yayıncılık에서도 출간.[17][20]
1948The Origin of the Ottoman-Russian Competition and the Don-Volga Canal (1569)영어오스만-러시아 경쟁의 기원과 돈-볼가 운하 (1569)앙카라: Türk Tarih Kurunui Basimevi 출판.[17]
1954Hicri 835 Tarihli Suret-i Defter-i Sancak-ı Arvanidtr히크리력 835년 알바니아 산자크 등록부 사본TTK 출판. 오스만 제국 초기 중요 토지 대장 연구로 평가받음.[15][16]
1954Fatih Devri Üzerinde Tetkikler ve Vesikalartr정복자 시대에 대한 조사와 문서TTK 출판. 앙카라.[17][20]
1956Kanûnnâme-i Sultânî ber Mûceb-i Örf-i Osmanî: II. Mehmed ve II. Bayezid Devirlerine Ait Yasaknâme ve Kanûnnâmelertr오스만 관습법에 따른 술탄 법령집: 메흐메트 2세와 바예지드 2세 시대의 금지령과 법령R. Anhegger와 공저, TTK 출판.
1960Mehmed the Conqueror (1432-1481) and his Time영어정복자 메흐메트(1432-1481)와 그의 시대학술지 Speculum, Vol. 35, No. 3 게재.
1968The Policy of Mehmed II toward the Greek Population of Istanbul and the Byzantine Buildings of the City영어이스탄불의 그리스인과 도시의 비잔틴 건물에 대한 메흐메트 2세의 정책학술지 Dumbarton Oaks Papers, Vol. 23/24 게재.[18]
1969Capital Formation in the Ottoman Empire영어오스만 제국의 자본 형성학술지 경제사 저널, Vol. 29, No. 1 게재.[19]
1969Ottoman Policy and Administration in Cyprus after the Conquest영어정복 이후 키프로스에서의 오스만 정책과 행정[17]
1973The Ottoman Empire: the Classical Age, 1300-1600영어오스만 제국: 고전기 1300-1600Weidenfeld and Nicholson 출판. 2003년 터키어판(Osmanlı İmparatorluğu Klasik Çağ (1300–1600)tr) Yapı Kredi Yayınları에서 출간.[17][20]
1978Gazavât-ı Sultân Murâd b. Mehemmed Hân İzladi ve Varna Savaşları (1443-1444) Üzerinde Anonim Gazavâtnâmetr술탄 무라드 빈 메헴메드 한의 성전: 이즐라디와 바르나 전투(1443-1444)에 관한 익명 성전록M. Oğuz와 공저, TTK 출판.
1978The Ottoman Empire: Conquest, Organization and Economy영어오스만 제국: 정복, 조직 및 경제Variorum Reprints 출판.
1980Türkiye’nin Sosyal ve Ekonomik Tarihi / Social and Economic History of Turkey (1071-1920)tr터키의 사회 및 경제사 (1071-1920)O. Okyar와 공동 편저, Meteksan 출판.
1985Studies in Ottoman Social and Economic History영어오스만 사회 및 경제사의 연구Variorum Reprints 출판.
1993Osmanlı İmparatorluğu Toplum ve Ekonomi Üzerinde Arşiv Çalışmaları, İncelemelertr오스만 제국 사회와 경제에 대한 기록 연구 및 조사Eren 출판.
1993The Middle East and the Balkans under the Ottoman Empire영어오스만 제국 하의 중동과 발칸인디애나 대학교 출판 (Indiana University Turkish Studies and Turkish Ministry of Culture Joint Series Volume 9).
1993The History of the Black Sea Trade: the Register of Customs of Caffa영어흑해 무역사: 카파 세관 등록부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출판. (1996년 Sources and Studies on the Ottoman Black Sea: The Customs Register of Caffa 1487–1490영어 와 관련 가능성 있음)[17]
1994Süleyman the Second and his Time영어쉴레이만 2세와 그의 시대C. Kafadar와 공동 편저, Isis Press 출판.
1994An Economic and Social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1300–1914영어오스만 제국의 경제 및 사회사, 1300–1914도널드 쿼타트와 공동 편저,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출판. 터키어판(Osmanlı İmparatorluğu'nun Ekonomik ve Sosyal Tarihi Cilt 1 /1300-1600tr (2001), Cilt 2 / 1600–1914tr (2004)) Eren Yayıncılık에서 출간.[17][20]
1995From Empire to Republic: Essays on Ottoman and Turkish Social History영어제국에서 공화국으로: 오스만 및 터키 사회사에 관한 에세이Eren 출판.
1998Essays in Ottoman History영어오스만 역사의 에세이[17]
1999Osmanlıtr (12권)오스만N. Göyünç, E. İhsanoğlu, Y. Halaçoğlu와 공동 편저, Yeni Türkiye Yayınları 출판.
2000Osmanlı’da Devlet, Hukuk, Adâlettr오스만 제국의 국가, 법, 정의Eren Yayıncılık 출판.[17][20]
2003Şâir ve Patron, Patrimonyal Devlet ve Sanat Üzerinde Bir İncelemetr시인과 후원자, 세습 국가와 예술에 대한 연구Doğu Batı Yayınları 출판.[17][20]
2004Osmanlı Uygarlığı/ Ottoman Civilizationtr (2권)오스만 문명Günsel Renda와 공동 편저, 문화부 출판.
?Osmanlı İmparatorluğu – Toplum ve Ekonomitr오스만 제국 – 사회와 경제Eren Yayıncılık 출판.[17][20] (출판년도 불명)
2005Makaleler 1: Doğu Batıtr논문 1: 동양 서양Doğu Batı Yayınları 출판.[17][20]
2005ABD Tarihitr미국사Allan Nevins/Henry Steele Commager 저서 번역, Doğu Batı Yayınları 출판.[17][20]
2006Turkey and Europe in History영어역사 속의 터키와 유럽Eren 출판.
2006Tanzimat / Değişim Sürecinde Osmanlı İmparatorluğutr탄지마트 / 변화 과정 속의 오스만 제국M. Seyitdanlıoğlu와 공동 편저, Phoenix Yayınları 출판. (2011년 İş Bankası Kültür Yayınları 판본도 있음)[17][20]
?Balkanlartr발칸Prof. Dr. Erol Manisalı와 공저.[17][20] (출판년도 불명)
2007Atatürk ve Demokratik Türkiyetr아타튀르크와 민주 터키Kırmızı Yayınları 출판 (초판 2007년 7월, 2판 2007년 12월).[17][20]
2009Devlet-i Aliyyetr숭고한 국가İş Bankası Kültür Yayınları 출판 (초판 2009).[17][20]
?Kuruluş – Osmanlı Tarihini Yeniden Yazmaktr건국 – 오스만 역사 다시 쓰기[17][20] (출판년도 불명)
2010Kuruluş Dönemi Osmanlı Sultanlarıtr건국기 오스만 술탄들İSAM Yayınları 출판.
2010Osmanlılartr오스만인들[17][20]
?OSMANLILAR, Fütühat ve Avrupa İle İlişkilertr오스만인들, 정복과 유럽과의 관계[17][20] (출판년도 불명)
2011Has-Bağçede 'Ayş u Tarab – Nedimler Şairler Mutriplertr특별 정원에서의 향연 - 시종, 시인, 음악가들İş Bankası Kültür Yayınları 출판.[17][20]
2011Kuruluş ve İmparatorluk Sürecinde Osmanlıtr건국과 제국 과정 속의 오스만[17][20]
2011Rönesans Avrupası Türkiye'nin Batı Medeniyetiyle Özdeşleşme Sürecitr르네상스 유럽: 터키의 서구 문명 동화 과정İş Bankası Kültür Yayınları 출판.[17][20]
2013Osmanlı ve Modern Türkiyetr오스만과 현대 터키Timaş Yayınları 출판.[17][20]
2014Devlet-i 'Aliyye: Tagayyür ve Fesad, Osmanlı İmparatorluğu Üzerine Araştırmalar IItr숭고한 국가: 변화와 부패, 오스만 제국 연구 IIİş Bankası Kültür Yayınları 출판.[17][20]
2016Osmanlı Tarihinde İslamiyet ve Devlettr오스만 역사 속 이슬람과 국가İş Bankası Yayınları 출판.



그의 가장 중요한 저서 중 하나는 1954년 앙카라에서 출판된 Hicrî 835 tarihli Sûret-i defter-i sancak-i Arvanidtr(알바니아 산자크의 A.H. 835년 등록부 사본)였다.[15][16]

5. 영향 및 평가

이날즉의 연구는 오스만 제국의 사회적, 경제적 분석에 집중되었다.[14] 그는 연구 초기에 서구 자료에서 나타나는 적대적이고 편향된 서술과 터키 내부의 과장되고 민족주의적인 역사관 모두를 비판하고 극복하고자 했다. 예를 들어, 그는 프란츠 바빙거가 메흐메트 2세를 지나치게 부정적으로 묘사한 것을 편향된 서구 서술의 한 사례로 지적했다.[11] 또한, 그는 오스만 역사에 대한 피상적이고 일반화된 접근 방식이 사회적, 경제적 측면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결여하고 있다고 비판했다.[3]

이날즉은 오스만 사회의 구체적인 모습을 파악하기 위해 오스만 시대의 사법 기록을 본격적으로 연구한 선구적인 역사가였다. 그가 연구를 시작한 1940년대에는 터키의 문자 개혁 등의 영향으로 이러한 사료들이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방치되거나 파기되는 경우가 많았다.[12]

그의 연구는 오스만 및 터키 역사에 대한 기존의 잘못된 통념들을 바로잡는 데 기여했다.[13] 대표적으로 오스만 왕조가 카이 부족 출신이라는 주장이 15세기에 정치적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것임을 밝혀냈다.[11] 사회학자 이매뉴얼 월러스틴은 이날즉이 독창적인 연구 방법론을 통해 역사학 분야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으며, 그의 영향을 받은 많은 학자들이 다양한 사회경제적, 문화적 관점에서 오스만사를 연구하게 되었다고 평가했다.[13]

한편, 이날즉 자신은 푸아드 쾨프릴뤼, 페르낭 브로델, 외메르 뤼트피 바르칸과 같은 학자들의 연구에서 영향을 받았다.[14]

6. 수상


  • 튀르크소이 명예 훈장.[21]

참조

[1] 문서 Prof. Dr. Melek Delibaşı'nın İnalcık hakkındaki bir yazısı http://dergiler.anka[...]
[2] 웹사이트 Halil Inalcık http://eurasia-acade[...] Eurasia Academy 2016-07-28
[3] 웹사이트 Öz Geçmişi / CV http://www.inalcik.c[...] Halil İnalcık's website 2016-07-25
[4] 백과사전 Constantinople, the capital of the Turkish Empire... https://books.google[...] The Encyclopædia Britannica 1911
[5] 웹사이트 Britannica, Istanbul http://concise.brita[...]
[6] 서적 Türk tarihçiliğinde dört sima: Halil İnalcık, Halil Sahillioğlu, Mehmet Genç, İlber Ortaylı Istanbul Metropolitan Municipality 2006
[7] 백과사전 İnalcık, Halil Milliyet
[8] 웹사이트 HALİL İNALCIK COLLECTION http://library.bilke[...] Bilkent University Library
[9] 웹사이트 Associate Members | About | The Institute of Turkish Studies http://turkishstudie[...] 2016-07-28
[10] 뉴스 Leading Turkish historian Halil İnalcık dies at age 100 http://www.dailysaba[...] 2016-07-28
[11] 웹사이트 Tarihi düzelten adam http://t24.com.tr/k2[...] T24 2015-11-19
[12] 저널 Türk-İslam-Osmanlı Şehirciliği ve Halil İnalcık'ın Çalışmaları http://ktp.isam.org.[...] 2005
[13] 웹사이트 Tarihçi Halil İnalcık Hayatını Kaybetti https://bianet.org/b[...] 2016-07-28
[14] 저널 Prof. Dr. Halil İnalcık http://atif.sobiad.c[...] 2016-07-25
[15] 저널 Introduction of the Berat in Ottoman Diplomatics
[16] 웹사이트 Living History Halil İnanvcik http://www.turkishai[...] Turkish Airlines web site 2011-03-20
[17] 웹사이트 Makaleleri http://www.inalcik.c[...] Halil Inalcık's website 2016-07-25
[18] 저널 The Policy of Mehmed II toward the Greek Population of Istanbul and the Byzantine Buildings of the City 1969
[19] 저널 Capital Formation in the Ottoman Empire 1969
[20] 웹사이트 Kitapları http://www.inalcik.c[...] Halil İnalcık's website 2016-07-25
[21] 웹사이트 HONOUR MEDAL OF TURKSOY AWARDED TO PROF. DR. HALIL INALCIK http://www.turksoy.o[...] Turksoy 2012-02-16
[22] 서적 Islamic gunpowder empires: Ottomans, Safavids, and Mughals https://archive.org/[...] Westview Press 2011
[23] 저널 Halil İnalcık 1916? - 2016 Middle East Studies Association of North America 2017
[24] 뉴스 ‘Hocaların Hocası’ Halil İnalcık kimdir? https://www.cnnturk.[...] 2019-02-23
[25] 저널 Hocaların Hocası Halil İnalcık’ın Ardından http://english.isam.[...] 2019-02-22
[26] 저널 Hocaların Hocası Halil İnalcık’ın Ardından http://english.isam.[...] 2019-02-22
[27] 저널 Hocaların Hocası Halil İnalcık’ın Ardından http://english.isam.[...] 2019-02-22
[28] 저널 Halil İnalcık 1916? - 2016 Middle East Studies Association of North America 2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