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바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숨바섬은 인도네시아 동누사틍가라 주에 위치한 섬으로, "원래의 사람들"을 의미하는 숨바어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역사적으로는 자바의 영향을 받았으며, 1522년 유럽인이 처음 도달했고 1866년 네덜란드령 동인도가 되었다. 숨바섬은 낮은 석회암 언덕 지형을 가지며, 건기와 우기로 구분되는 사바나 기후를 보인다. 숨바섬은 왈라세아 지역에 속하며 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 기원의 동식물이 혼합되어 있으며, 특히 조류가 풍부하다. 섬의 원래 숲은 농작물 재배로 인해 파괴되었지만, 멸종 위기 종 보호를 위한 국립공원이 지정되었다. 행정적으로는 4개의 군으로 나뉘며, 각 군은 지방 정부 지역을 구성한다. 숨바섬은 씨족 사회와 계층 사회가 공존하는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거석 문화가 특징적이다. 또한, 숨바섬은 인도네시아에서 가난한 섬 중 하나로, 건강, 물, 전기 등 여러 가지 개발 과제를 안고 있다. 숨바섬은 땅게두 폭포, 푸루 캄베라 해변 등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영화의 배경이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레일리아구의 생태지역 - 애드미럴티 제도
애드미럴티 제도는 파푸아뉴기니 마누스 주의 섬들로, 마누스섬을 포함한 여러 섬으로 구성되어 고온 다습한 기후와 고유종이 서식하는 독특한 생태계를 지니며, 1767년 명명 후 독일령 뉴기니, 오스트레일리아 위임통치령을 거쳐 제2차 세계 대전 격전지였고, 현재는 파푸아뉴기니 영토이며 코코넛 재배와 진주 채취가 주요 산업이다. - 오스트레일리아구의 생태지역 - 부루섬
부루섬은 인도네시아 말루쿠 제도에 위치한 세 번째로 큰 섬으로, 산악 지형과 열대 우림, 독특한 동식물상을 보유하고 있으며, 과거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지배와 정치범 수용소 이용의 역사를 거쳐 현재는 농업이 주요 산업인 부루 군과 남부 부루 군으로 나뉜다. - 인도네시아의 생태지역 - 월리스선
월리스선은 앨프리드 러셀 월리스가 제안한 동남아시아와 오세아니아 사이의 생물지리학적 경계선으로, 순다 대륙붕과 사훌 대륙붕을 나누며 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의 생물상 차이를 보여주는 중요한 개념이다. - 인도네시아의 생태지역 - 할마헤라섬
할마헤라섬은 인도네시아 북말루쿠주에서 가장 큰 K자 모양의 화산섬으로, 활화산인 두코노 화산이 있으며 다양한 민족과 언어가 공존하고 고유종이 서식하며 역사적 사건과 경제 성장을 겪은 섬이다. - 열대·아열대 건조활엽수림 - 레비야히헤도 제도
레비야히헤도 제도는 멕시코의 화산섬 군도로, 독특한 생태계를 이루어 다양한 고유종의 서식지이며 해양 보호 구역 및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열대·아열대 건조활엽수림 - 소순다 열도
소순다 열도는 지질학적으로 화산 기원인 북부 열도와 비화산성인 남부 열도로 구분되며, 코모도왕도마뱀과 같은 고유종이 서식하고 인도네시아와 동티모르의 행정 구역으로 나뉘어 다양한 종교가 분포한다.
숨바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리 | |
위치 | 인도네시아 |
군도 | 소순다 열도 |
면적 | 11243.78 km2 |
순위 | 73번째 |
최고봉 | 왕가메티산 |
해발고도 | 1225 m |
행정 구역 | |
국가 | 인도네시아 |
주 | 동누사틍가라주 |
최대 도시 | 와잉아푸 |
최대 도시 인구 | 71,752명 (와잉아푸시 및 캄베라 지역) |
인구 통계 | |
인구 | 820,506명 (2023년 중반 추정) |
인구 밀도 | 72.97명/km2 |
민족 | 주로 숨바족 |
언어 | 주로 토착 숨바어군 (캄베라어, 맘보루어, 아나칼랑어, 와누카카어, 웨제와어, 람보야어, 코디어, 롤리어) 및 인도네시아어 (인도네시아의 공용어) |
주민 | 숨바인; 숨바인족 |
기타 정보 | |
토착어 이름 | Humba / Hubba (숨바어) |
2. 명칭
"숨바(Sumba)"라는 이름은 원주민 숨바어 단어 ''humba'' 또는 ''hubba''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원래의", "원주민의", "토착의" 또는 "간섭 없음"을 의미한다. 이는 섬의 원주민들을 지칭하는 민족명이었으며, 그들은 자신들을 ''tau Humba'' 또는 ''tau Hubba'' (원주민/tau Humbazlm 또는 '원래의 사람들')로 불렀다. 한편, 숨바 문화 영토(숨바 섬과 그 주변 바다 포함)는 ''tana wai humba'' 또는 ''tana wae hubba''(숨바어)로도 알려져 있으며, "우리 고향" 또는 "숨바 사람들의 모국"을 의미한다.
숨바섬의 역사가들에 따르면, 숨바섬은 한때 북쪽에 있는 인접한 섬들, 즉 플로레스와 숨바와섬과 연결되어 있었다.[6]
12세기경 자바인의 대량 이주로 인해 'h'는 's'로 바뀌었는데, 이는 ''humba''가 자바어 단어 ꦲꦸꦩ꧀ꦧꦃ (''umbah'', "씻다" 또는 "정화하다")와 유사하게 들리기 때문이다.
3. 역사
플로레스와 숨바는 숨바 원주민과 플로레스 원주민이 건설한 고대 석교인 ''카타카 린디와투''(숨바 언어)로 연결되어 있었다.[6] 두 섬을 연결하는 ''카타카 린디와투'' 주변의 높은 수준의 사회화로 인해, 문명이 그 지역(오늘날 북부 숨바와 동숨바 군의 일부에 해당)에서 발생했다고 여겨진다. 이 이야기는 움부 푸라 워하(2007)가 그의 저서 역사, 심의 및 동숨바의 관습/Sejarah, Musyawarah dan Adat Istiadat Sumba Timurid에 기록한 숨바 구전 전통에 속한다.[6]
숨바인들의 역사적인 문명의 유적은 BC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7] 섬의 중앙 지역(중부 숨바)에서 수천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거석 매장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석조 기반의 매장 전통은 숨바인들에 의해 여전히 살아있으며, 오늘날 학자들이 관찰할 수 있는 '살아있는 고대 전통'이 되었다.[7] 숨바섬에서 발견된 거석 유적에는 돌멘 무덤, 입석, 거석 조각상, 석조 울타리, 평탄한 테라스 등이 있다. 숨바의 거석 전통 자체는 높은 품질 기준에 따라 제작되고 조각된 오래된 거석으로 특징지어진다.[8]
섬에서는 몇몇 고대 도구들도 발견되었다. 아나칼랑 지역에서 발굴된 사각형 자귀가 주목할 만하다.[9] 1920년대에 멜롤로[10]에서 발견된 항아리 매장 유적[11]은 중요한 고고학적 발견 중 하나이며, 약 BCE 2,87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2]
12세기경 동부 자바의 싱가사리 왕국은 몽골을 격퇴한 후 동남아시아 해양 영토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했으며, 이후 이 왕국은 제국인 마자파힛으로 발전했다.[13] 숨바섬은 마자파힛의 지배를 받았으며, "''숨바''"라는 단어 자체는 마자파힛 시대에 처음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고대 자바어 필사본인 ''파라라톤''과 가자 마다의 ''숨파 팔라파'' 서약에 언급됨).[13] 이 단어 자체는 숨바 원주민에 따르면 섬의 원어인 ''훔바'' 또는 ''후바''를 자바어로 가장 가깝게 대체한 것으로 여겨진다.[13] 자바인은 마두라와 캉겐 경로를 통해 숨바섬에 도착했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숨바섬의 닭 품종 DNA 분석을 통해 조사되었으며, 이 닭 품종은 자연적으로 자바 동부 지역과 인접한 섬 (이 경우, 아마도 캉겐 제도)에만 고유종이다.[13]
1522년에 최초로 유럽인이 도달했다.
1866년까지 네덜란드령 동인도에 속하게 되었다. 하지만 20세기가 되기 전까지는 네덜란드의 직접적인 지배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1522년, 숨바섬의 천연자원을 착취하기 위해 포르투갈인들이 배를 타고 섬에 도착했다. 이후 1600년대에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이 지역에 진출했다. 역사적으로 백단향은 이 섬에서 유럽으로 수출되는 주요 상품이었으며, 당시 순다섬은 구어체로 ''백단향 섬''[14] 또는 영어로 ''샌들 섬''(Sandel Island)으로도 알려졌다.
1866년 순다섬은 네덜란드령 동인도 식민 권력에 의해 지배를 받았다. 1886년 네덜란드에 의해 서순다 라우라 지역에서 도우에 빌렌가 예수회 선교 프로그램으로 시작되었다.[15] 숨바 섬은 식민지화 이전에는 여러 소규모 집단으로 나뉘어 거주했으며, 그 중 일부는 마자파힛 왕국과 종속 관계에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3. 1. 구전 전통
숨바섬의 역사가들에 따르면, 숨바섬은 한때 북쪽에 있는 인접한 섬들, 즉 플로레스와 숨바와섬과 연결되어 있었다.[6]
플로레스와 숨바는 숨바 원주민과 플로레스 원주민이 건설한 고대 석교인 ''카타카 린디와투''(숨바 언어)로 연결되어 있었다.[6] 두 섬을 연결하는 ''카타카 린디와투'' 주변의 높은 수준의 사회화로 인해, 문명이 그 지역(오늘날 북부 숨바와 동숨바 군의 일부에 해당)에서 발생했다고 여겨진다. 이 이야기는 움부 푸라 워하(2007)가 그의 저서 역사, 심의 및 동숨바의 관습/Sejarah, Musyawarah dan Adat Istiadat Sumba Timurid에 기록한 숨바 구전 전통에 속한다.[6]
3. 2. 고대 문명 유적
숨바인들의 역사적인 문명의 유적은 BC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7] 섬의 중앙 지역(중부 숨바)에서 수천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거석 매장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석조 기반의 매장 전통은 숨바인들에 의해 여전히 살아있으며, 오늘날 학자들이 관찰할 수 있는 '살아있는 고대 전통'이 되었다.[7] 숨바섬에서 발견된 거석 유적에는 돌멘 무덤, 입석, 거석 조각상, 석조 울타리, 평탄한 테라스 등이 있다. 숨바의 거석 전통 자체는 높은 품질 기준에 따라 제작되고 조각된 오래된 거석으로 특징지어진다.[8]
섬에서는 몇몇 고대 도구들도 발견되었다. 아나칼랑 지역에서 발굴된 사각형 자귀가 주목할 만하다.[9] 1920년대에 멜롤로[10]에서 발견된 항아리 매장 유적[11]은 중요한 고고학적 발견 중 하나이며, 약 BCE 2,87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2]
3. 3. 자바의 영향
12세기경 동부 자바의 싱가사리 왕국은 몽골을 격퇴한 후 동남아시아 해양 영토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했으며, 이후 이 왕국은 제국인 마자파힛으로 발전했다.[13] 숨바섬은 마자파힛의 지배를 받았으며, "''숨바''"라는 단어 자체는 마자파힛 시대에 처음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고대 자바어 필사본인 ''파라라톤''과 가자 마다의 ''숨파 팔라파'' 서약에 언급됨).[13] 이 단어 자체는 숨바 원주민에 따르면 섬의 원어인 ''훔바'' 또는 ''후바''를 자바어로 가장 가깝게 대체한 것으로 여겨진다.[13] 자바인은 마두라와 캉겐 경로를 통해 숨바섬에 도착했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숨바섬의 닭 품종 DNA 분석을 통해 조사되었으며, 이 닭 품종은 자연적으로 자바 동부 지역과 인접한 섬 (이 경우, 아마도 캉겐 제도)에만 고유종이다.[13]
3. 4. 유럽 식민지 시대
1522년, 숨바섬의 천연자원을 착취하기 위해 포르투갈인들이 배를 타고 섬에 도착했다. 이후 1600년대에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이 지역에 진출했다. 역사적으로 백단향은 이 섬에서 유럽으로 수출되는 주요 상품이었으며, 당시 순다섬은 구어체로 ''백단향 섬''[14] 또는 영어로 ''샌들 섬''(Sandel Island)으로도 알려졌다.
1866년 순다섬은 네덜란드령 동인도 식민 권력에 의해 지배를 받았다. 1886년 네덜란드에 의해 서순다 라우라 지역에서 도우에 빌렌가 예수회 선교 프로그램으로 시작되었다.[15] 숨바 섬은 식민지화 이전에는 여러 소규모 집단으로 나뉘어 거주했으며, 그 중 일부는 마자파힛 왕국과 종속 관계에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20세기 초까지 네덜란드의 직접적인 지배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4. 지리, 기후 및 생태
숨바섬의 풍경은 인도네시아 다른 섬들의 가파른 화산 지형이 아닌 낮은 석회암 언덕으로 이루어져 있다. 5월부터 11월까지는 건기이고, 12월부터 4월까지는 우기인 사바나 기후이다. 섬의 서쪽은 동쪽보다 더 비옥하고 인구 밀도가 높다.[16]
일반적으로 숨바섬은 원래 곤드와나 남반구 초대륙의 일부로 여겨졌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이 섬은 동남아시아 가장자리에서 분리되었을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대부분 원래 낙엽 몬순 숲으로 덮여 있었고, 건기 동안 습한 상태를 유지하는 남쪽 경사면은 상록 우림이었다.[18]
섬 북쪽 부분은 극도로 건조하며, 산림 벌채와 침식으로 토양이 고갈되었다.[17]
숨바섬은 왈라세아 지역에 속하며 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 기원의 식물과 동물이 혼합되어 있다. 독특한 동식물상 때문에 숨바섬은 세계 야생 생물 기금에 의해 숨바 낙엽수림 생태 지역으로 분류되었다.[18] 과거에는 풍부한 삼림으로 덮여 있었지만, 과도한 방목과 야외 소각으로 황폐해져 현재 삼림 피복률은 10% 정도에 불과하다.
4. 1. 동물상
숨바섬은 포유류는 적지만, 조류가 풍부하여 거의 200종이 서식한다.[18] 이 중 7종은 고유종이며, 다른 여러 종은 숨바섬 또는 인근 섬에서만 발견된다.[18] 고유종 조류에는 멸종 위기에 처한 숨바 애클렉터스 앵무, 은둔적인 숨바 부북 올빼미, 숨바 멧새, 붉은목과일비둘기, 숨바 코뿔새가 있다.[18] 이 외에도 숨바 녹색 비둘기, 숨바 파리잡이, 살구빛가슴 태양새와 같은 3종의 흔한 조류도 서식한다.[18]숨바 코뿔새(또는 ''율랑 숨바''(''Rhyticeros everetti''))는 멸종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19] 무분별한 산림 벌채는 이들의 생존을 위협하며, 개체수는 4,000마리 미만으로 추정된다.[19] 코뿔새는 최대 100제곱킬로미터 면적의 지역을 오갈 수 있다.[19]
바다악어는 여전히 일부 지역에서 발견될 수 있다.[18]
4. 2. 위협과 보존
숨바섬의 원래 숲은 대부분 옥수수, 카사바 등 농작물 재배를 위한 개간으로 사라졌고, 작은 고립된 지역만 남아있다.[20] 섬의 인구 증가로 인해 이러한 개간이 계속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조류에게 위협이 된다.[20] 1998년에는 멸종 위기 종 보호를 위해 라이왕기 왕가메티 국립공원과 마누푸 타나 다르 국립공원이 지정되었다.5. 행정
숨바섬은 동누사틍가라 주의 일부이며, 섬 자체에는 단일 행정 기구가 존재하지 않는다.[21][22][23] 2007년 1월 2일 서숨바 군에서 두 개의 새로운 군이 창설되면서, 숨바섬과 인근의 작은 섬들은 4개의 군(지방 정부 지역)으로 재편성되었다. 이 4개의 군은 숨바바랏군(서숨바), 숨바바랏다야군(남서숨바), 숨바틍아군(중앙숨바), 숨바티무르군(동숨바)이다. 2023년 기준, 이들 군은 주 전체 인구의 14.7%를 차지한다. 주도는 숨바섬이 아닌 서티모르의 쿠팡에 있다.
Kode Wilayah | City or Regency 이름 | 법률 (제정 연도 포함) | 면적 (km2) | 인구 2010 인구 조사 | 인구 2020 인구 조사 | 인구 2023 중반 추정치 | 수도 | HDI[24] 2022 추정치 |
---|---|---|---|---|---|---|---|---|
53.11 | 동숨바 군(숨바티무르) | UU 69/1958 | 7000.50 | 227732 | 244820 | 255498 | 와잉가푸 | 0.6617 (Medium) |
53.12 | 서숨바 군 (숨바바랏) | UU 69/1958 | 737.42 | 110993 | 145097 | 152414 | 와이카부바크 | 0.6443 (Medium) |
53.17 | 중앙숨바 군 (숨바틍아) | UU 3/2007 | 2,060.54 | 62485 | 85482 | 90521 | 와이바쿨 | 0.6271 (Medium) |
53.18 | 남서숨바 군 (숨바바랏다야) | UU 16/2007 | 1445.32 | 284903 | 303650 | 322073 | 탐볼라카 | 0.6315 (Medium) |
'숨바섬' | 11243.78 | 686113 | 779049 | 820506 |
6. 문화
숨바섬 서쪽에는 씨족과 정치적으로 자율적인 마을로 구성된 분절 사회가 거주하고 있으며, 숨바섬 북부와 동부에는 씨족 연합으로 구성되고 "왕"(''라자'')이 선택되어 실제 정치적 권력을 행사하는 계층 사회(카스트 기반[27])가 있다.[26] 따라서 서숨바는 민족적으로나 언어적으로 더 다양하다.[28] 두 시스템은 동시에 3계층 계급 시스템(귀족, 일반인, 노예)과 공존하며, 이는 역설적으로 서부 분절 사회의 평등주의적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는다.[26]
마을은 거의 항상 여러 씨족의 구성원을 포함하는데, 이는 각 세대마다 많은 젊은이들이 원래 속했던 마을이 아닌 다른 마을에 정착하기 때문이다.
2021년 현재 숨바섬은 동남아시아 산악 부족의 전통에 가깝게 남아 있으며, 집단 매장을 위해 돌멘과 같은 거석 기념물을 여전히 건설하는 마지막 장소이다. 매년 100개 이상의 거석 무덤이 섬에서 계속 건설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동부와 서부의 차이를 반영한다. 서부 분절 사회는 동부 계층 사회보다 훨씬 더 많은 돌멘을 건설했다. 동부의 돌멘은 더 크고, 더 풍부하게 장식되어 있으며 왕족에게만 사용된다. 숨바섬 서부에 위치한 코디 마을인 와인푸에는 약 1,400개의 돌멘이 있으며, 이는 섬에서 가장 높은 밀집도를 보인다.
숨바족은 오스트로네시아인과 멜라네시아인의 혼합된 조상을 가지고 있다. 숨바섬에는 9개의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를 사용하는 24개의 민족 집단이 있으며, 가장 큰 언어 집단은 숨바섬 동부 절반에서 25만 명이 사용하는 캄베라어이다.
인구의 25~30%가 애니미즘 마라푸 종교를 믿는다. 나머지는 기독교인이며, 대다수는 네덜란드 칼뱅주의 신자이고 상당수는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이다. 소수의 수니파 무슬림은 해안 지역에서 발견될 수 있다.
젊은 세대는 마라푸를 거부하는 것으로 보인다.
숨바섬은 특히 매우 상세한 손으로 짠 ''이캇'' 직물로 유명하다. 서숨바의 이캇은 동부에서 생산되는 이캇과 현저히 다르다. 디자인은 기하학적 모티프뿐이며, 그물무늬 비단뱀 가죽을 모방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31]
언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순바어''' 사용자가 다수를 차지한다. 종교는 토착 종교인 애니미즘의 '''마라푸'''(Marapu)'''교'''가 25~30%이며, 나머지는 대부분 기독교이며, 수니파의 이슬람교는 소수이며 해안 지역에 거주한다. 또한, 정령 "마라푸"를 신앙하는 애니미즘도 남아 있다.
숨바섬에는 거석 분묘가 각지에 있으며, 현재도 전통적인 방식으로 계속 만들어지고 있다. 분묘의 형태는 지역에 따라 다양하며, 돌의 크기, 조각 유무, 묘의 입지 등 마을에 따라 다르다. 가장 큰 묘석은 길이가 5m인 것이 있다.
6. 1. 거석 문화
순바섬에는 거석 분묘가 각지에 있으며, 현재도 전통적인 방식으로 계속 만들어지고 있다. 분묘의 형태는 지역에 따라 다양하며, 돌의 크기, 조각 유무, 묘의 입지 등 마을에 따라 다르다. 가장 큰 묘석은 길이가 5m인 것이 있다.7. 개발과 생활 수준
숨바섬은 인도네시아에서 손꼽히는 가난한 섬 중 하나이다.
==== 건강 ====
인구의 상당수가 말라리아로 고통받고 있으나, 섬 서부에서는 이 질병이 거의 근절되었다. 영아 사망률은 높은 편이다.
==== 물 ====
숨바섬에서 물 확보는 중대한 과제 중 하나이다. 건기에는 많은 하천이 말라붙어, 주민들은 부족한 물을 얻기 위해 우물에 의존한다.[32] 주민들은 물을 길어오기 위해 하루에도 여러 번 수 킬로미터를 이동해야 한다. 주로 여성과 아이들이 물을 구하러 가고, 남성들은 일터로 나간다. 숨바 재단은 마을에 우물을 파는 데 필요한 후원을 모금하고, 섬의 빈곤을 줄이기 위해 노력해 왔다. 2013년 2월 기준으로 숨바 재단은 48개의 우물과 191개의 급수 시설을 관리하며, 15개 학교에 물과 위생 시설을 제공하고, 말라리아 발병률을 약 85% 감소시켰다.[33]
==== 전기 ====
숨바섬의 전력은 주로 디젤 발전기에서 공급된다.[34] PT 하이윈드사가 동숨바의 카둠불 지역에 건설하는 3MW 규모의 풍력 발전소(PLTB)와 서숨바의 보도 훌라 바이오매스 발전소(PLTBm) 등 새로운 신재생 에너지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기존의 다른 신재생 에너지 전력 프로젝트로는 태양광 PV와 소수력 발전이 있다.[35]
7. 1. 건강
인구의 상당수가 말라리아로 고통받고 있으며, 섬 서부에서는 이 질병이 거의 근절되었다. 영아 사망률이 높다.7. 2. 물
숨바섬에서 물을 구하는 것은 주요 과제 중 하나이다. 건기에는 많은 시냇물이 말라붙고, 마을 사람들은 부족한 물을 얻기 위해 우물에 의존한다.[32] 마을 사람들은 물을 길어오기 위해 하루에도 여러 번 몇 킬로미터를 이동해야 한다. 주로 여성과 아이들이 물을 구하러 가고, 남자들은 일터에 나간다. 숨바 재단은 마을에 우물을 파는 데 필요한 후원을 모금하고, 섬의 빈곤을 줄이기 위해 노력해 왔다. 2013년 2월 기준으로 숨바 재단은 48개의 우물과 191개의 급수 시설을 관리하며, 15개의 학교에 물과 위생 시설을 제공하고, 말라리아 발병률을 약 85% 감소시켰다.[33]7. 3. 전기
숨바섬의 전력은 주로 디젤 발전기에서 공급된다.[34] PT 하이윈드사가 동숨바의 카둠불 지역에 건설하는 3MW 규모의 풍력 발전소(PLTB)와 서숨바의 보도 훌라 바이오매스 발전소(PLTBm) 등 새로운 신재생 에너지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기존의 다른 신재생 에너지 전력 프로젝트로는 태양광 PV와 소수력 발전이 있다.[35]8. 관광
숨바섬에는 다양한 관광 명소가 있다. 동수바 군의 수도인 와인가푸에서 북서쪽으로 50km 떨어진 곳에는 땅게두 폭포가 있다.[36] 와인가푸에서 북서쪽으로 30km 떨어진 곳에는 푸루 캄베라 해변이 있다.[36] 와인가푸에서 남서쪽으로 87km 떨어진 타림방 만은 6월부터 9월 사이에 2~3미터 높이의 파도가 있어 서퍼들의 천국이다.[37] 탐볼라카에서 남서쪽으로 42km 떨어진 와투 만도락 만은 절벽이 있는 백사장이다.[38] 와인가푸에서 동쪽으로 24km 떨어진 곳에는 발라키리 해변이 있으며, "춤추는 나무"로 유명하다.[39]
서수바에는 숨바 호스피탈리티 재단이 있다. 이 재단은 숨바 전역의 저소득층 학생들에게 접객업 관련 직업 교육을 제공한다.[40] 니히 숨바는 세계 5대 친환경 호텔 중 하나이자 ''트래블 + 레저''에서 2016년과 2017년 세계 최고의 호텔로 선정되었다.[41]
9. 순바섬을 배경으로 한 작품
몰리 수리야 감독의 말리나의 내일이 이 섬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Provinsi Nusa Tenggara Timur Dalam Angka 2024
Badan Pusat Statistik
2024-02-28
[2]
간행물
Provinsi Nusa Tenggara Timur Dalam Angka 2024
Badan Pusat Statistik
2024-02-28
[3]
간행물
Biro Pusat Statistik
2011
[4]
간행물
Badan Pusat Statistik
2021
[5]
간행물
Provinsi Nusa Tenggara Timur Dalam Angka 2024
Badan Pusat Statistik
2024-02-28
[6]
웹사이트
Kampung Wunga, Tanah Kelahiran Masyarakat Sumba
https://kebudayaan.k[...]
[7]
서적
Gold Jewellery of the Indonesian Archipelago
https://books.google[...]
Editions Didier Millet
2013-02-02
[8]
웹사이트
Kampung Tarung Sumba
https://kebudayaan.k[...]
[9]
서적
Archaeology: Indonesian Perspective : R.P. Soejono's Festschrift
https://books.google[...]
Yayasan Obor Indonesia
2013-02-02
[10]
웹사이트
Melolo, map
https://www.google.c[...]
[11]
학술지
New evidence on the early human occupation in Sumba Islands
https://www.scienced[...]
2024-06-15
[12]
학술지
The occurrence of enamel hypoplasia, porotic hyperostosis and cribra orbitalia in three prehistoric skeletal assemblages from Indonesia
https://hrcak.srce.h[...]
2024-06-15
[13]
웹사이트
Antara Majapahit, Sumba, dan Ayam Jantan Merah
http://lipi.go.id/li[...]
[14]
서적
Philips' International Atlas
George Philip and Son
1943
[15]
서적
State of Authority: The State in Society in Indonesia
https://books.google[...]
SEAP Publications
2013-02-02
[16]
간행물
Provinsi Nusa Tenggara Timur Dalam Angka 2024
Badan Pusat Statistik
2024-02-28
[17]
웹사이트
Sumba
https://www.sumba-in[...]
2024-06-15
[18]
서적
Terrestrial Ecoregions of the Indo-Pacific: A Conservation Assessment
https://books.google[...]
Island Press
2013-02-02
[19]
웹사이트
Sumba Hornbills under increasing threat of extinction
http://www.antaranew[...]
Antara News
2013-02-02
[20]
문서
[21]
간행물
Biro Pusat Statistik
2011
[22]
간행물
Badan Pusat Statistik
2021
[23]
간행물
Provinsi Nusa Tenggara Timur Dalam Angka 2024
Badan Pusat Statistik
2024-02-28
[24]
웹사이트
"[New Method] Human Development Index by Regency/City 2020-2022"
https://ntt.bps.go.i[...]
Statistics Indonesia
2023-02-13
[25]
웹사이트
Religion in Indonesia
https://e-database.k[...]
[26]
학술지
Aspects de la gestion des dolmens et des tombes collectives actuels dans les sociétés de l’île de Sumba (Indonésie)
https://journals.ope[...]
2024-06-15
[27]
서적
Culture and Customs of Indonesia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3-02-02
[28]
서적
East of Bali: From Lombok to Timor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2013-02-02
[29]
웹사이트
Marapu and other weird things in Sumba
http://www.whatsnext[...]
2024-06-15
[30]
뉴스
Sumba on show in Bali
http://www.thejakart[...]
2024-06-15
[31]
웹사이트
Ikat from West Sumba, Indonesia
https://ikat.us/ikat[...]
2024-06-15
[32]
뉴스
Taking Sumba by surprise
http://www.thejakart[...]
2024-06-15
[33]
웹사이트
The Sumba Foundation
http://www.sumbafoun[...]
2024-06-15
[34]
웹사이트
System Impact Study of the Eastern Grid of Sumba Island, Indonesia. Steady-State and Dynamic System Modeling for the Integration of One and Two 850-kW Wind Turbine Generators
https://www.nrel.gov[...]
2016-01
[35]
웹사이트
100% Renewable energy Atlas: Sumba Island, Indonesia
https://www.100-perc[...]
2020-04-21
[36]
웹사이트
7 Tips For Visiting Tanggedu Waterfall In Sumba Indonesia
https://londonerinsy[...]
2017-03-09
[37]
웹사이트
Tarimbang to Waingapu, itinerary
https://www.google.c[...]
[38]
웹사이트
Sumba
https://www.komodoto[...]
2024-06-15
[39]
웹사이트
"Dancing trees" of Walakiri Beach, photo
https://www.vikascha[...]
2024-06-23
[40]
웹사이트
Sumba Hospitality Foundation
https://www.sumbahos[...]
2024-06-15
[41]
웹사이트
Indonesia home to 'world's best hotel' of 2016
http://www.thejakart[...]
2024-06-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