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원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향원정은 경복궁 후원에 위치한 육각형 평면의 2층 정자로, 고종이 친정 체제를 강화하며 건청궁을 지을 때 연못을 파고 그 안에 섬을 만들어 건립했다. 1885년경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1887년 전등이 설치되어 명성황후가 스케이팅 파티를 열기도 했다. 을미사변 이후 명성황후의 시신을 화장한 재가 향원지에 뿌려지는 아픔을 겪기도 했다. 향원지는 사각형 연못으로, 향원정으로 연결되는 취향교와 열상진원을 포함한다. 2021년에 취향교는 원래 위치로 복원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못 - 경회루
경회루는 경복궁 안에 있는 2층 누각 건물로, 여러 차례 증축과 소실을 거쳐 현재는 정면 7칸, 측면 5칸 규모로 재건되었으며, 천원지방 사상과 유교적 상징성이 반영되어 국보로 지정되었다. - 대한민국의 못 - 수성못
수성못은 일제강점기에 홍수와 가뭄 방지를 위해 축조된 대구 수성구의 인공 호수로, 현재는 시민들의 휴식 공간이자 관광 명소이며, 록히드 L-1011 트라이스타를 개조한 시설이 있고 영화의 배경이 되기도 했다. - 서울특별시의 누정 - 보신각
보신각은 조선 시대 한양 도성의 문을 여닫는 시각을 알리던 종루에서 유래하여 고종이 이름을 내린 종각으로, 현재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복원되어 매년 제야의 종 타종 행사가 열리는 장소이며 한국 전통 범종의 의미를 공유한다. - 서울특별시의 누정 - 용양봉저정
용양봉저정은 조선 정조가 수원 현륭원에 행차할 때 쉬어가기 위해 건립된 목조 단청 기와집으로,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 경복궁 - 광화문
광화문은 조선시대에 지어져 여러 차례 훼손과 이전을 겪었으며, 2006년부터 고종 중건 당시 모습으로 복원되어 현재에 이르고, 2023년에는 월대가 복원되었다. - 경복궁 - 경무대
경무대는 조선 시대 경복궁 북쪽 후원으로, 조선 태조 때 건설되어 고종 때 과거 시험과 군사 훈련 장소로 활용되었으나 일제강점기에 훼손되었고, 해방 후 대통령 관저로 사용되면서 청와대로 개칭되었다.
향원정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정자 |
지정 종류 | 보물 |
지정 번호 | 1761호 |
지정일 | 2012년 3월 2일 |
소재지 | 서울 종로구 사직로 161 |
상세 정보 | |
시대 | 조선 시대 |
소유자 | 대한민국 (국유) |
관리자 | 문화재청 경복궁 |
2. 역사와 입지
향원정은 왕이나 왕족들이 휴식하고 거닐던 침전의 후원으로, 향원지(香遠池)와 녹산(鹿山) 등의 원림(苑林) 공간이 있다.[3] 남쪽에는 함화당, 집경당이 있다.
2. 1. 조선 시대
세조실록에 따르면, 세조 2년(1456)에 후원에 취노정(翠露亭)이란 정자를 짓고 그 앞에 연못을 파 연꽃을 심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 연못이 현재의 향원지 위치로 여겨진다.고종은 아버지 흥선대원군의 간섭에서 벗어나 친정체제를 구축하며 정치적 자립의 일환으로 건청궁을 지었는데, 그 건청궁 앞에 연못을 파서 그 가운데 섬을 만들고 향원정을 지었다. 정확한 창건연대는 기록되어 있지 않아 기록이 등장하는 가장 이른 시기인 1887년 이전으로만 추정되어오다가, 목재 연륜 조사를 통해 1881년과 1884년에 벌채한 목재가 사용된 것을 알아내어 1885년으로 추정한다. 이 때 향원정으로 들어가기 위한 목교인 취향교도 같이 지은 것으로 본다. 취향교는 본래 건청궁에서 바로 들어갈 수 있도록 북편에 두었는데, 한국 전쟁 때 부서진 것을 1953년에 복구하면서 남쪽으로 옮겨 놓았던 것을 2021년 다시 북쪽으로 복원하였다.[4]
1886년 11월에 전기등소 설치공사를 시작하여 1887년에 전기를 공급하기 시작했다. 1895년 1월 17일, 21일에는 명성황후가 서울의 서양인 거주자들을 불러 스케이팅 파티를 벌였다.[5] 을미사변 때 명성황후의 시신을 불태우고 남은 재가 향원지에 뿌려졌다.[4]
향원정은 왕과 그 가족들이 휴식을 취하는 공간으로 경복궁 후원의 아름다운 풍광 속에 안겨있는 상징적 대표 건물이다. 육각형 초석, 육각형 평면, 육모지붕 등 육각형의 공간을 구성하여 섬세하고 미려하게 다듬은 모든 구성요소들이 절묘한 조화를 이룬 비례감이 뛰어난 정자로 역사적, 예술적, 건축적으로 가치가 높다고 인정받아 보물로 지정되었다.
2. 2. 대한제국과 그 이후
고종은 아버지 흥선대원군의 간섭에서 벗어나 친정체제를 구축하며 정치적 자립의 일환으로 건청궁을 지었는데, 그 건청궁 앞에 연못을 파서 그 가운데 섬을 만들고 향원정을 지었다. 정확한 창건연대는 기록되어있지 않아 기록이 등장하는 가장 이른 시기인 1887년 이전으로만 추정되어오다가, 목재 연륜 조사를 통해 1881년과 1884년에 벌채한 목재가 사용된 것을 알아내어 1885년으로 추정한다. 이 때 향원정으로 들어가기 위한 목교인 취향교도 같이 지은 것으로 본다. 취향교는 본래 건청궁에서 바로 들어갈 수 있도록 북편에 두었는데, 6·25때 부서진 것을 1953년에 복구하면서 남쪽으로 옮겨 놓았던 것을 2021년 다시 북쪽으로 복원하였다.[4]1886년 11월에 전기등소 설치공사를 시작하여 1887년에 전기를 공급하기 시작했다. 1895년 1월 17일, 21일에는 명성황후가 서울의 서양인 거주자들을 불러 스케이팅 파티를 벌였다.[5] 을미사변때 명성황후의 시신을 불태우고 남은 재가 향원지에 뿌려졌다.[4]
향원정은 왕과 그 가족들이 휴식을 취하는 공간으로 경복궁 후원의 아름다운 풍광 속에 안겨있는 상징적 대표 건물이다. 육각형 초석, 육각형 평면, 육모지붕 등 육각형의 공간을 구성하여 섬세하고 미려하게 다듬은 모든 구성요소들이 절묘한 조화를 이룬 비례감이 뛰어난 정자로 역사적, 예술적, 건축적으로 가치가 높다고 인정받아 보물로 지정되었다.
3. 구조
향원정은 2층 목조 정자로, 육각형 평면을 띄고 있다. 1층은 온돌 바닥, 2층은 우물 마루 형태이다. 장대석으로 마감한 낮은 기단 위에 육각형 초석을 놓고, 그 위에 일층과 이층을 관통하는 육모기둥을 세웠다. 1층은 평난간을 두른 툇마루, 2층은 계자난간을 두른 툇마루를 두었다. 천장은 우물천장이며, 사방 모든 칸에는 완자살창틀을 달았다. 겹처마의 육모지붕으로, 추녀마루가 모이는 중심점에 절병통을 얹어 장식했다.[4]
3. 1. 건축적 특징
향원정은 육각형 평면을 가진 2층 목조 정자 건물이다. 1층은 온돌 바닥, 2층은 우물 마루 형태로 되어있다. 높이는 10.5m이다. 창호는 4분합이며, 2층은 들어열개문으로 지어졌다. 1층은 남북 방향으로, 2층은 남쪽으로 출입문이 있다. 공포는 1출목 2익공 형태이다. 지붕은 육각형 모임지붕으로, 막새기와로 이루어졌으며 절병통이 있다.[4]장대석으로 마무리한 낮은 기단 위에 육각형 초석을 놓고, 그 위에 일층과 이층을 관통하는 육모기둥을 세웠다.
공포(栱包)는 이층 기둥 위에 짜여지는데, 기둥 윗몸을 창방(昌枋)으로 결구하고 기둥 위에 주두(柱枓:대접받침)를 놓고 끝이 둥글게 초각(草刻)된 헛첨차를 놓았다. 일출목(一出目)의 행공첨차(行工檐遮)를 받치고, 다시 소로를 두어 외목도리(外目道里) 밑의 장혀를 받친 물익공이다.
1층 평면은 바닥 주위로 평난간을 두른 툇마루를 두었고, 이층 바닥 주위로는 계자난간을 두른 툇마루를 두었다. 천장은 우물천장이며 사방둘레의 모든 칸에는 완자살창틀을 달았다.
처마는 겹처마이며 육모지붕으로, 중앙의 추녀마루들이 모이는 중심점에 절병통(節甁桶)을 얹어 치장하였다.
3. 2. 주련
향원정 각 모서리에는 주련이 한 개씩 총 여섯 개가 걸려 있었다. 주련은 향원지를 신선 세계에 비유하는 내용으로 지어졌다. 여섯 주련 중 두 번째 주련은 분실되었다. 나머지 주련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1]# 玉池龍躍舞(옥지용약무): 신선이 사는 연못에 용이 뛰쳐 오르며 춤추네.
# (분실)
# 千山華月逈(천산화월형): 천 개의 산에는 빛나는 달이 멀리까지 비추고
# 萬里衆星明(만리중성명): 만리에는 별무리가 밝게 빛나네.
# 崑閬雲霞積(곤랑운하적): 곤륜산 봉우리에는 구름과 노을이 쌓였고
# 蓬壺日月長(봉호일월장): 신선 사는 봉래산에는 세월도 길도다.
4. 권역
향원정은 경복궁 후원에 위치한 권역으로, 향원지와 취향교, 열상진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 향원지(香遠池): 4605m2 크기의 네모난 연못으로, 모서리는 둥글게 조성되었다. 연못 안에는 연꽃, 수초, 잉어 등이 살고 있다. 향원지의 물은 북쪽 언덕의 '열상진원(洌上眞源)'이라는 샘에서 나온다. 세조 2년(1456)에 취노정(翠露亭)을 짓고 연못을 만들어 연꽃을 심었다는 기록이 세조실록에 남아있는데, 이 연못이 현재 향원지로 추정된다.[6] 향원지 남쪽에 대한민국 최초의 전기발전소인 전기등소가 설치되면서 향원지의 물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했고, 이 때문에 '물불'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다. 1887년 3월 6일, 향원정을 중심으로 경복궁 내에 약 450개의 전구가 처음으로 불을 밝히게 되었다. 하지만 발전기 냉각수로 사용된 향원정 물이 뜨거워져 물고기가 죽는 일이 발생했고, 이 때문에 도깨비의 저주라는 소문이 돌아 한동안 전등 운영이 중단되기도 했다.
- 취향교(醉香橋): 향원정으로 건너갈 수 있도록 만든 다리다. 처음에는 건청궁에서 향원정으로 바로 갈 수 있게 향원정 북쪽에 설치되었으나,[7][8] 일제강점기에 일본식으로 변형되었다. 이 다리는 6·25 전쟁 때 파괴되었다가 1953년 관람객의 편의를 위해 향원정 남쪽에 다시 설치되었다.[9] 이후 2021년에 원래 위치인 북쪽에 아치형 목교로 복원되었다.[10] 조선시대 연못에 놓인 목교 중 가장 길다(길이 32m, 폭 165cm). 다리 동쪽에는 담장이 있었고, 담장에는 인유문(麟遊門)과 봉집문(鳳集門)이 있어 연못 주변은 더욱 아늑한 분위기를 자아냈다.
- 열상진원(洌上眞源): 향원지에 물을 공급하는 샘이다. 향원지 서북쪽에 위치하며, 화강암으로 둘러싸여 있고 예서체 글씨가 새겨져 있다. '한강의 상류인 열수(洌水)의 참된 근원'이라는 뜻을 담고 있는데, 이는 상징적인 표현이다.[3]
4. 1. 향원지
향원지(香遠池)는 4605m2(약 1395평)의 네모난 연못인데, 모서리를 둥글게 구성했다. 내부에는 연꽃과 수초가 자라고, 잉어 등 물고기가 살고 있다. 향원지의 물은 북쪽 언덕 밑에 솟아나는 '열상진원(洌上眞源)'이라는 샘물에서 나온다. 향원지 남측에 대한민국 최초의 전기발전소인 전기등소를 설치할 때 향원지에서 물을 끌어올려 전기를 생산하여 ‘물불’이라 부르기도 했다.[6] 1887년 3월 6일, 처음으로 전등을 사용해 경복궁 내 향원정을 중심으로 약 450개의 전구를 밝히게 되었다. 그러나 발전기 냉각수로 사용되던 향원정의 물이 뜨거워져 연못 내의 물고기들이 다 익어 죽는 사태가 발생했다. 이에 사람들은 도깨비의 저주라고 생각해 한동안 전등 운영이 중지되기도 하였다.세조 2년(1456)에 후원에 취노정(翠露亭)이란 정자를 짓고 그 앞에 연못을 파 연꽃을 심었다는 기록이 세조실록에 나타나는데, 이 연못이 현재의 향원지 위치로 여겨진다.
4. 2. 취향교
취향교(醉香橋)는 향원정에 가기 위해 설치한 다리다. 처음 설치 당시에는 건청궁에서 향원정으로 바로 갈 수 있도록 향원정 북쪽에 4열의 돌 적심으로 설치되었다.[7][8] 그러나 일제강점기에 일본풍으로 나무 적심 위에 간이다리를 새로 놓았다. 이 다리는 6·25 전쟁 때 파괴되었다가 1953년에 관람 편의를 위하여 향원정 남쪽에 다시 세워졌었다.[9] 2021년 원래 위치인 북쪽에 아치형 목교로 복원되었다.[10] 조선시대 원지에 놓인 목교로는 가장 길다(길이 32m, 폭 165cm). 다리 동쪽에는 담장이 있었고, 담장에는 인유문(麟遊門)이란 일각문(一角門)이, 그 남쪽에는 봉집문(鳳集門)이 있어 연못은 한층 아늑했다.4. 3. 열상진원
열상진원(洌上眞源-)은 향원지의 수원이다. 향원지 서북쪽에 있으며, 샘을 화강암으로 둘러싼 뒤 그 위에 예서로 글씨를 새겼다. 한강의 다른 이름인 열수(洌水)의 상류로 참된 근원이라는 뜻이다. 실제 한강의 수원은 태백시의 검룡소이므로, 여기서 참된 근원이라 함은 상징적 표현이다.[3]
5. 사진
참조
[1]
웹인용
"[궁궐의 현판과 주련-경복궁_ 향원정 권역]"
https://www.cha.go.k[...]
2010-06-18
[2]
간행물
문화재청고시제2012-29호(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http://gwanbo.mois.g[...]
관보(정호)
2012-03-02
[3]
웹인용
"[궁궐의 현판과 주련-경복궁_ 향원정 권역]"
https://www.cha.go.k[...]
문화재청
2021-11-15
[4]
서적
경복궁 향원정 보수공사 해체실측 및 수리보고서
https://www.cha.go.k[...]
2022-08-03
[5]
저널
Th Korean Repository
1895
[6]
웹인용
128년 전 궁궐을 환히 밝힌 우리나라 최초의 전기발전소 터, 경복궁에서 확인!
https://www.cha.go.k[...]
문화재청
2015-05-27
[7]
문서
북궐도형
[8]
문서
궁궐지
[9]
웹인용
경복궁 취향교 복원, 노후된 향원정 보수
https://www.cha.go.k[...]
문화재청
2017-05-02
[10]
웹인용
고종 거닐던…조선 수난사 담긴 경복궁 취향교
https://www.hani.co.[...]
2017-1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