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꼬리도마뱀붙이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혹꼬리도마뱀붙이속은 몸통이 짧고 머리가 크며 다리가 짧고, 꼬리 끝에 작은 혹이 달린 당근 모양의 꼬리를 가진 도마뱀붙이류를 포함하는 속이다. 이들은 주로 사막이나 건조한 암반 지역에 서식하며, 야행성으로 곤충류, 절지동물, 소형 파충류 등을 먹고 산다. 오스트레일리아 고유종이며, 일부 종은 애완동물로 사육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눈그늘도마뱀붙이과 - 넓적꼬리도마뱀붙이속
넓적꼬리도마뱀붙이속은 도마뱀붙이과에 속하며, 불부린넓적꼬리도마뱀붙이, 챔피언넓적꼬리도마뱀붙이 등 여러 종의 도마뱀붙이를 포함하고 과거에는 다른 속으로 분류되었던 종들도 있다. - 눈그늘도마뱀붙이과 - 가생도톰꼬리도마뱀붙이
가생도톰꼬리도마뱀붙이는 오스트레일리아의 특정 지역 고지대에서 발견되며, 최대 7cm까지 자라는 난생 도마뱀붙이의 일종이다. - 알베르트 귄터가 명명한 분류군 - 황어
황어는 잉어과에 속하는 회유어로 한국, 중국 등지에 분포하며 잡식성이고 산란기에는 붉은 혼인색을 띠며 식용, 낚시 대상 등으로 활용된다. - 알베르트 귄터가 명명한 분류군 - 가는장어속
가는장어속은 뱀장어목 곰치아목에 속하는 어류 속으로, 붉은장어와 오렌지장어 등 6종이 속해 있으며 진흙장어과에 속한다.
혹꼬리도마뱀붙이속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Nephrurus |
명명자 | Günther, 1876 |
영명 | knob-tailed gecko |
생물학적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 |
강 | 파충류 |
목 | 유린목 |
하목 | 도마뱀붙이하목 |
과 | 눈그늘도마뱀붙이과 |
속 | 타마오야모리속 Nephrurus |
속 하위 분류 | 11개의 기술된 종, 본문 참조 |
2. 형태
혹꼬리도마뱀붙이속의 도마뱀들은 몸통이 짧고, 머리가 크며, 다리가 짧은 것이 특징이다. 꼬리는 당근 모양이며, 대개 끝에 작은 혹이 달려 있어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이 꼬리의 정확한 용도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사막이나 건조한 암반 지역에 주로 서식한다. 지표성이거나 반 지하성이며, 많은 종은 땅에 깊은 굴을 파서 생활한다. 야행성으로, 낮에는 바위 틈이나 굴에서 더위를 피하며 쉰다. 외부의 적으로부터 위협을 받으면 분기음(소리)을 내어 경고한다.
오스트레일리아의 고유 속이다.
이 속에서 가장 큰 종은 오니타마오야모리(''Nephrurus amyae'')로, 최대 몸길이는 16cm에 달한다. 또한 오스트레일리아에 서식하는 도마뱀붙이 중 가장 무거운 종이기도 하다.
3. 생태
식성은 육식성으로, 주로 곤충류나 절지동물, 작은 파충류 등을 잡아먹는다.
번식은 알을 낳는 난생 방식이다. 한 번에 2개의 알을 낳으며, 여러 번에 걸쳐 산란한다.
4. 분포
5. 하위 종
과거 ''Nephrurus milii'' (보리 드 생-뱅상, 1823)로 분류되었던 종은 현재 ''Underwoodisaurus milii'' (보리 드 생-뱅상, 1823)로 재분류되어 짖는도마뱀붙이(barking gecko)라고 불린다.
6. 인간과의 관계
혹꼬리도마뱀붙이속의 몇몇 종은 애완동물로 인기가 있어 사육 및 판매가 이루어진다. 대표적인 종으로는 ''넵푸루스 아미애'', ''넵푸루스 아스페르'', ''넵푸루스 킨투스'', ''넵푸루스 델리아니'', ''넵푸루스 라이비시무스'', ''넵푸루스 레비스'', ''넵푸루스 베르테브랄리스'', ''넵푸루스 휠레리'' 등이 있다.
이들은 주로 호주에 서식하는데, 호주 정부는 자국의 야생동물 보호를 위해 수출을 엄격히 금지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애완동물 시장에서 유통되는 혹꼬리도마뱀붙이는 과거 수출 금지 이전에 유럽이나 미국 등지로 반출되었던 개체들을 인공적으로 번식시킨 후손들이다. 이러한 제한적인 공급 때문에 희소성이 높아 가격이 비싸게 형성되어 있다. 주로 유통되는 종은 ''넵푸루스 레비스 레비스''(Nephrurus levis levis)와 ''넵푸루스 아스페르''(Nephrurus asper)이다.
사육 시에는 혹꼬리도마뱀붙이의 땅을 파는 습성을 고려해야 한다. 충분한 깊이로 모래 바닥재를 깔아주어 굴을 팔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좋다. 또한, 야생에서의 서식 환경과 유사하게 건조한 은신처와 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습식 은신처를 함께 제공하여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넵푸루스 아스페르''의 경우 다른 종들과 달리 산란기를 제외하면 깊은 굴을 잘 파지 않는 경향이 있어, 비교적 얕은 바닥재 환경에서도 사육이 가능하다.
7. 계통
참조
[1]
EMBL genus
www.reptile-database[...]
[2]
웹사이트
JCVI.org
http://jcvi.org/rept[...]
2010-05-24
[3]
서적
ヤモリ大図鑑 分類ほか改良品種と生態・飼育・繁殖を解説
誠文堂新光社
[4]
논문
Systematics and evolution of the Australian knob-tail geckos ( Nephrurus, Carphodactylidae, Gekkota): Plesiomorphic grades and biome shifts through the Miocene
[5]
Reptile Database
Nephrurus
www.reptile-database[...]
[6]
웹인용
JCVI.org
http://jcvi.org/rept[...]
2018-1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