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익인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익인간은 《삼국유사》의 단군신화에 등장하는 용어로,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환웅이 천부인을 받아 인간 세상을 다스리면서 홍익인간의 뜻을 실현했다는 내용이 전해진다.
홍익인간(弘益人間)이라는 말은 삼국유사의 단군신화에 나오는데, "옛날 환인(桓因)의 서자환웅(桓雄)이 천하에 뜻을 두고 자주 인간세상을 탐내어 찾았다. 아버지가 아들의 뜻을 알고 아래로 삼위태백(三危太伯)을 굽어보니 인간을 널리 유익하게(弘益人間) 할 수 있었다. 그리하여 천부인(天符印) 3개를 주어 인간세계로 보내 다스리게 하였다"라는 문장에서 비롯된 것이다.[7][8]
홍익인간은 대한민국 건국 이후 교육 이념으로 채택되었다.[9]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지도 이념인 자유주의 이념과 삼균주의(三均主義) 이념은 1948년 대한민국 헌법에 반영되어 광복 한국의 기초 이념이 되었다.[5]
대한민국에서는 1945년 교육심의회를 통해 교육 이념으로 채택되었으며, 1949년 제정된 교육법 제1조에 명시되어 교육의 근본 이념으로 자리 잡았다. 홍익인간은 민족주의를 넘어 인류 공영을 추구하는 이상으로, 민주주의, 기독교의 박애, 유교의 인, 불교의 자비와도 연결되는 가치로 해석된다. 대한민국 헌법은 3·1 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하며, 임시정부의 자유주의와 삼균주의 이념은 대한민국 건국의 기초가 되었다.
2. 유래
2. 1. 삼국유사 기록
삼국유사에 따르면, 환인의 아들 환웅이 인간 세상을 다스리고자 할 때, 환인이 "인간을 널리 이롭게 할 수 있다(弘益人間)"는 뜻에서 천부인 3개를 주어 보냈다는 기록이 있다.[7][8] 여기서 서자(庶子)는 장남이 아닌 모든 아들을 지칭하는 것으로, 조선시대 유교의 적서(嫡庶) 개념과는 차이가 있다.
弘益人間중국어은 현존하는 역사서 중에서는 삼국유사에 처음 등장한다.
3. 대한민국에서의 홍익인간
3. 1. 대한민국 교육 이념
홍익인간은 대한민국의 교육이념으로 독립 이후 미군정 시절부터 채택되었다. '홍익인간'은 비과학적이고 일제의 '팔굉일우'와 유사하다는 지적이 있었으나, 논란 끝에 1945년 12월 20일 교육심의회에서 대한민국의 교육이념으로 채택되었다.[9]
1949년 12월 31일 제정·공포된 교육법 제1조는 "교육은 홍익인간의 이념 아래 모든 국민으로 하여금 인격을 완성하고, 자주적 생활능력과 공민으로서의 자질을 구유하게 하여, 민주국가 발전에 봉사하며 인류공영의 이상 실현에 기여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고 교육의 근본이념을 밝히고 있다. 이는 대한민국의 교육이념을 대표하였다. 또한, 홍익인간은 '고루한 민족주의 이념의 표현이 아니라 인류공영이라는 뜻으로 민주주의 기본정신과 완전히 부합되는 이념이며, 민족정신의 정수로 일면 기독교의 박애정신, 유교의 인, 불교의 자비심과도 상통하는 전 인류의 이상'으로 보아 교육이념으로 삼았다고 설명하였다.[10]
3. 2. 대한민국 임시정부와의 연관성
대한민국 헌법 전문은 '대한민국은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고 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한국 독립의 모태가 되고 대한민국 건국의 정신적·사상적 기반이 되었음을 명시하였다.[5]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지도이념인 자유주의 이념과 삼균주의(三均主義) 이념은 1948년 대한민국 헌법에 반영되어 광복 한국의 기초이념이 되었다.[5]
참조
[1]
웹사이트
교육기본법
https://www.law.go.k[...]
2021-03-04
[2]
논문
A New Way of Seeing Country Social Responsibility
https://web.archive.[...]
Alexandru Ioan Cuza University
2014-01-16
[3]
백과사전
홍익인간(弘益人間)
http://encykorea.aks[...]
2021-12-11
[4]
논문
AhnHoSang and Dangun-nationalism
https://www.kci.go.k[...]
KCI dissertation
2018
[5]
뉴스
우리나라 개국(開國)의 기원(紀元)
http://www.suwon.com[...]
수원일보
2012-11-01
[6]
서적
지식사회의 정신적 인프라
학문사
2011
[7]
뉴스
‘한국족보발달사’ 통해 본 시대상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2-11-01
[8]
뉴스
하늘이 문을 연 날… 배달겨레 새 역사가 움텄다
https://web.archive.[...]
국방일보
2012-11-01
[9]
뉴스
홍익인간 법제화 논란
http://www.unn.net/C[...]
한국대학신문
2000-05-22
[10]
뉴스
단기 연호를 부활시켜 정체성을 바로 세우자
http://www.jejunews.[...]
제주일보
2012-1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