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인은 중국 선종의 제5대 조사로, 동산법문을 창시하여 중국 선종 발전의 토대를 마련했다. 7세에 출가하여 도신에게 가르침을 받고 깨달음을 얻었으며, 30년간 스승을 섬긴 후 법의를 이어받았다. 빙무산으로 옮겨가 700명이 넘는 제자들을 가르쳤으며, 그의 가르침은 수심요론에 담겨 전해진다. 신수와 혜능을 제자로 두었으며, 그의 동산법문은 북종선과 남종선으로 이어져 당대와 송대에 선종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74년 사망 - 세노라
세노라는 오만족 출신으로 장낙진의 사위가 되어 힘을 키워 웨이샨 일대를 통일하고 649년 대몽국을 건국하여 왕위에 오른 인물이다. - 674년 사망 - 왕발
당나라 초기의 시인이자 문장가인 왕발은 초당사걸 중 한 명으로, 어린 시절 신동으로 이름을 날렸으나 정치적 이유로 출사가 금지되었고, 〈등왕각서〉와 〈송두소부지임촉주〉 등의 작품을 통해 문학적 재능을 인정받았다. - 601년 출생 - 마주 (601년)
마주는 수나라에서 태어나 당나라 시대에 활동하며 교관으로 관직 생활을 시작, 장하의 식객을 거쳐 고구려 태종의 부름으로 문하성에서 근무하고 감사관으로 임명되어 활발한 활동을 펼쳤으나 48세의 나이로 사망한 인물이다. - 601년 출생 - 문덕황후 (당나라)
문덕황후는 수나라 장군 장손성의 딸이자 당 태종 이세민의 황후로, 뛰어난 지혜와 덕망으로 태종의 치세에 큰 영향을 미치고 검소함과 백성을 생각하는 마음으로 태종을 보좌하여 현명한 황후의 표본으로 평가받는다. - 선불교 - 양갱
양갱은 중국에서 유래된 과자로, 일본에서 팥 등으로 재료를 대체하여 현재의 형태로 발전했고, 한천의 발명으로 널리 퍼졌으며, 한국에 전래되어 다과나 선물용으로 즐겨지고, 무시요칸, 네리요칸, 미즈요칸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 선불교 - 선 (불교)
선은 참선을 통해 깨달음을 얻어 부처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불교 종파로, 달마 대사에 의해 중국에서 시작되어 이심전심을 중시하며 동아시아 국가로 전파되어 발전했다.
홍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홍인 |
한자 표기 | 弘忍 |
로마자 표기 | pinyin: Hóngrěn Wade-Giles: Hung²-jen³ 일본어 로마자: Kōnin/Gunin Revised Romanization: Hong'in |
생몰년 | 601년 - 674년 |
사망 날짜 (음력) | 상원 2년 10월 23일 |
시호 | 대만선사 |
존칭 | 선종 제5조 |
출생지 | 기주 황매현 |
종교 | 불교 |
종파 | 선종의 동산법문 |
거주지 | 풍무산 (동산, 황매산) |
가계 | |
스승 | 도신 |
제자 | 혜능 신수 법여 |
2. 생애
홍인은 기주 황매(현재의 후베이성)에서 태어나,[9] 일곱 살 때 기주 쌍봉산 동산사에서 선종의 제4대 조사인 도신을 따라 출가하였다.[9] 도신을 30년간 스승으로 모셨으며, 51세에 스승의 법의를 받아 선종의 제5대 조사가 되었다.[9]
홍인은 쌍봉산 동쪽의 빙무산으로 옮겨 가르침을 펼쳤는데, 당시 700명이 넘는 사람들이 그의 가르침을 받기 위해 모여들었다.[9] 그의 가르침은 절의 이름을 따서 '동산법문'이라 불렸으며,[9] 중국 선종 발전의 기반을 다졌다.
2. 1. 출생과 출가
홍인은 기주(현재의 후베이성) 황매에서 태어났다.[9] 7세(혹은 12세) 때 기주 쌍봉산 동산사에서 도신을 만나 출가하였다.[9] 도신에게 가르침을 받아 깨달음을 얻고 그의 법을 이었다.[9]2. 2. 동산법문의 개조
도신에게 30년간 가르침을 받고 51세에 그의 뒤를 이어 선종 제5대 조사가 되었다.[9] 쌍봉산 동쪽 빙무산으로 옮겨가 법문을 선양하였고, 그의 문하에 700명이 넘는 제자가 모였다.[9] 이때 그의 가르침을 '''동산법문'''이라 불렀다.[9] 동산법문은 중국 선종 발전의 토대가 되었다. 어린 나이에 출가하여 능가사자기에서는 7세, 속고승전에서는 12세에 동산의 4조 도신의 제자가 되었고, 후에 황매현의 풍무산(동산)에 머물면서 교화에 전념하여 중국 선종의 본류가 되는 동산법문을 발전시켰다.3. 사상
홍인의 선사상은 마음의 본성(심성(心性))에 철저할 것을 강조하고, 마음을 지키는 것(수심(守心))을 수행의 핵심으로 삼았다.[9] 이는 번뇌와 망상에서 벗어나 본래 청정한 마음을 깨닫는 것을 중요하게 여긴 것이다. 이러한 가르침은 수심요론(修心要論)에 잘 나타나 있다.
3. 1. 수행법
홍인은 명상 수행에 초점을 맞춘 가르침을 펼쳤다.[3] 『수심요론』에 따르면, 순수한 마음이 "분별하는 생각, 허망한 생각, 그리고 귀속적인 견해"에 의해 가려진다고 보았다.[4] 허망한 생각을 제거하고 자신의 자연스러운 깨달음에 대한 끊임없는 자각을 유지하면 열반이 자연스럽게 일어난다고 가르쳤다.홍인은 『수심요론』에서 두 가지 구체적인 명상 기법을 제시했다. 첫째, "하늘 너머 지평선이 사라지는 곳을 바라보며 '하나'의 형상을 주시하라. … 명상을 시작하는 사람들이 마음이 산만해지는 것을 발견하면, 마음을 '하나'의 형상에 집중하는 것이 좋다"고 가르쳤다.[5] 여기서 '하나'는 한자 '一'로, 수평선과 유사한 하나의 가로획 모양이며 마음과 부처 본성의 통일성을 비유한다.
둘째, 마음속의 과정을 관찰하는 법을 가르쳤다. "자신의 의식을 조용하고 주의 깊게 바라보아, 그것이 흐르는 물이나 반짝이는 신기루처럼 항상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도록 하라. … 그 동요가 평화로운 안정으로 녹아들 때까지. 이 흐르는 의식은 돌풍처럼 사라질 것이다. 이 의식이 사라지면, 모든 환상도 함께 사라질 것이다."[6]
4. 제자
홍인의 제자로는 현적, 혜능, 신수, 지선, 혜장, 법여, 현약 등이 있었으며, 이 중 혜능이 법통을 이어받아 제6대 조사가 되었다.[9]
전설에 따르면, 홍인은 23인의 제자에게 각자 깨달음을 표현하게 했는데, 신수와 혜능이 게송으로 답하였다. 홍인은 혜능의 게송을 보고 그에게 가사와 법통을 물려주었다고 한다.[9]
후대의 전승에 따르면, 홍인은 도신이 죽은 후 승려 공동체를 "쌍봉" 중 동쪽에 위치한 동산으로 옮겼다. 도신과 홍인의 가르침은 동산법문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동산법문은 홍인의 제자이자 당시 가장 유명한 불교 승려였던 우취안 신슈(606?–706)에 의해 장려된 "진정한" 선불교 가르침으로 여겨졌다.
선대 조사 | ||||
---|---|---|---|---|
5 | 달마 대사 홍인 (601-674)(제5조) (WG Ta-man Hung-jen, Jpn. Gunin) | |||
6 | 옥천 신수 (605?-706) (WG Yü-Ch'uan shen-hsiu, Jpn. Jinshū) | 혜능 (638-713) (WG Hui-neng, Jpn. Enō) | ||
7 | 북종 | 청원 행사 (660-740) (WG Ch'ing-yüan Hsing-ssu, Jpn. Seigen Gyōshi) | 남악 회양 (677-744) (wg Nan-yüeh Huai-jang, Jpn. Nangaku Ejō) | 하택 신회 (WG Ho-tse Shen-hui, Jpn. Kataku Jin'e)[8] |
8 | 석두 희천 (700-790) (WG Shih-tou Hsi-chien, Jpn. Sekitō Kisen) | 마조 도일 (709-788) (WG Ma-tsu Tao-i, Jpn. Baso Dōitsu) | 남종 (WG Ho-tse School, Jpn. Kataku School) | |
9 | 법안종 운문종 조동종 | 홍주종 임제종 | ||
5대손: 규봉 종밀 (780–841) ((圭峰 宗密 WG Kuei-feng Tsung-mi, Jpn. Keihō Shūmitsu) |
신수는 북종선을 열었고, 혜능은 남종선을 열어 중국 선종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제자로는 양경의 법주가 되는 대통 신수, 후에 스스로 7조가 되려 했던 제자 하택신회에 의해 6조가 된 조계 혜능이 있다. 각 문파는 후에 북종, 남종이라 불리며, 당대·송대를 중심으로 선종을 발전시켰다.
5. 게송
6. 평가
홍인은 도신과 함께 초기 선종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특히, 그의 동산법문은 혜능의 남종선과 우취안 신슈의 북종선으로 이어져 중국 선종의 주류를 형성하게 되었다.[7] 그의 가르침은 선(禪) 수행의 핵심을 담은 《수심요론》에 잘 나타나 있는데, 이는 선사(禪師)의 가르침을 담은 가장 오래된 책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7]
홍인은 소박하고 겸손한 인물로 묘사되지만, 그의 가르침은 당나라 수도인 장안과 낙양의 승려들에게 큰 존경을 받았다.[7] 만년에는 많은 귀족들이 그의 가르침을 따랐다고 전해진다.
신수는 홍인의 제자로서 북종선을 발전시켰고, 혜능은 남종선을 발전시켰다. 이 두 분파는 당과 송 시대에 선종 발전의 중심축이 되었다.
참조
[1]
서적
Transmission of Light
1990
[2]
서적
1986
[3]
서적
1986
[4]
서적
2003
[5]
서적
1994-1988
[6]
서적
2003
[7]
서적
1994-1988
[8]
웹사이트
Huineng (Hui-neng) (638—713)
https://www.iep.utm.[...]
[9]
백과사전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선종의 발달 > 홍인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10]
서적
육조단경
2023-09-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