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활동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활동도는 혼합물 내 성분의 '유효 농도'를 나타내는 열역학적 개념으로, 순수한 상태에서의 퓨가시티에 대한 해당 성분의 퓨가시티 비율로 정의된다. 화학 퍼텐셜을 통해 표현되며, 온도, 압력, 농도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변화한다. 활동도는 이상 용액을 전제로 하며, 농도에 따라 달라지는 특징을 갖는다. 활동도 계수를 통해 몰 분율과 연관되며, 물질의 이탈 성향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활성도 계수는 무차원량으로 몰 분율, 몰랄 농도 등과 관련되며, 표준 상태의 선택에 따라 달라진다. 활동도는 평형 증기압 측정, 깁스-듀헴 관계, 총괄성, 전기화학적 방법 등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 이온 용액에서는 평균 이온 활동도, 평균 이온 활동도 계수 개념을 사용하며, 드바이-히켈 이론 등을 통해 예측할 수 있다. 활동도는 화학 퍼텐셜을 정의하는 데 사용되며, 용액, 기체, 고체 등 다양한 상태에서 근사하여 활용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물리화학 - 활성화 에너지
    활성화 에너지는 화학 반응이 일어나기 위해 반응물이 넘어야 하는 최소 에너지 장벽으로, 반응 속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촉매에 의해 조절될 수 있고, 아레니우스 식으로 표현되며, 다양한 화학 현상 이해에 필수적인 개념이다.
  • 물리화학 - 전해질
    전해질은 용액에서 이온으로 해리되어 전기 전도성을 갖는 물질로, 생체 내에서 세포막 전위 유지 및 신경-근육 기능 조절에 필수적이며, 농도와 해리 정도에 따라 강전해질과 약전해질로 나뉜다.
활동도
일반 정보
명칭활동도
정의혼합물 내에서 어떤 화학종의 유효 농도를 나타내는 척도
기호a
특성
설명이상적인 상태에서 벗어난 실제 기체 또는 용액의 거동을 보정하기 위해 열역학에서 사용되는 개념
적용화학 반응의 평형 상수, 전기화학 전지 전위, 용해도 등에 대한 정확한 예측 가능
계산
공식a = γ * c
γ활동도 계수
c농도
활동도 계수
설명이상적인 용액으로부터 벗어남을 보정하는 무차원 계수
희석 용액1에 가까워짐
활용
평형 상수반응물 및 생성물의 활동도를 사용하여 더 정확하게 정의
전기화학네른스트 식에서 이온의 활동도를 사용하여 전지 전위를 계산
용해도난용성 염의 용해도곱을 활동도를 사용하여 정확하게 표현

2. 정의

혼합물 1에 포함되어 있는 A성분의 활동도를 a1라고 하고, A의 퓨가시티를 f1, 순수한 상태로 존재하는 물질 A의 퓨가시티를 f0라고 하면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a1=f1/f0

루이스는 활동도를 일컬어 혼합물 중의 퓨가시티를 순수한 상태에 있을 때의 값과 비교한 ‘상대적 퓨개시티’라고 불렀다. 그리고 순수한 상태를 다른 말로 표준상태라고 지칭했다.[4][5]

종 i의 상대적인 활동도 ai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a_i = e^{\frac{\mu_i - \mu^{\ominus}_i}{RT}}

여기서 μi는 관심 조건에서의 종 i의 (몰) 화학 퍼텐셜이고, μ^{\ominus}_i는 정의된 일련의 표준 조건에서 해당 종의 (몰) 화학 퍼텐셜이며, R은 기체 상수, T는 열역학적 온도, e는 지수 상수이다.

또는 이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mu_i = \mu_i^{\ominus} + RT\ln{a_i}

일반적으로 활동도는 화학 퍼텐셜을 변화시키는 모든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요인에는 농도, 온도, 압력, 화학 종 간의 상호 작용, 전기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황에 따라 이러한 요인 중 일부, 특히 농도와 상호 작용이 다른 요인보다 더 중요할 수 있다.

활동도는 표준 상태의 선택에 따라 달라지므로 표준 상태를 변경하면 활동도도 변경된다. 즉, 활동도는 화합물이 표준 상태 조건에 있을 때와 비교하여 얼마나 "활성화"되었는지를 설명하는 상대적인 용어이다. 원칙적으로 표준 상태의 선택은 임의적이지만, 수학적 또는 실험적 편의성을 위해 선택되는 경우가 많다. 또는, 통계 역학에서 "절대 활동도"(예: 도피도) λ를 정의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lambda_i = e^{\frac{\mu_i}{RT}}\,

이 정의는 \mu_i = 0의 해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표준 상태로 설정하는 것에 해당한다.

'''절대 활성도''' (absolute activity영어)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따라서 a는 '''상대 활성도''' (relative activity영어)라고 불리기도 한다.

:

\begin{cases}

\lambda_i \equiv \exp(\mu_i/RT) \\

\displaystyle\frac{\lambda_i}{\lambda_i^\circ} = \frac{\Delta\mu_i}{RT}

\end{cases}


3. 특징

순수한 상태의 성분은 온도와 압력이 일정하면 항상 같은 퓨개시티 값을 갖는다. 그러나 혼합물에서 성분의 퓨개시티는 농도와 다른 성분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활동도는 혼합물의 농도를 나타내는 셈이다. 활동도는 이상 용액을 전제로 하는데, 이상 용액은 용매와 용질 분자의 크기가 같고 분자간 힘이 모두 같은 용액이다. 즉, 순수한 상태든 혼합물이든 분자 간 상호작용의 크기가 같다.

두 상이 인접해 있을 때 한 성분의 활동도가 두 상에서 같다면 그 성분은 이동하지 않지만, 한 상에서의 활동도가 크면 활동도가 큰 상에서 작은 상으로 이동한다. 활동도는 어떤 성분과 혼합되어 있는지에 따라 달라지며, 분자 에너지는 분자 상호작용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고, 분자 에너지는 주위 분자의 종류에 영향을 받는다. 이 분자 에너지를 분자의 성격 또는 활동도로 표현한다.

활동도는 농도에 따라 달라진다. 순수한 상태에서는 활동도가 1이며, 이는 이상 용액에 해당한다. 농도가 달라지면(몰분율 변화) 활동도는 1이 아닌 값을 갖는다. 활동도 계수(γi)는 활동도와 농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혼합물에서 성분 i의 활동도(ai)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4][5]

: ai = γixi

여기서 xi는 혼합물 중 i 성분의 몰분율이다. 활동도는 물질의 이탈 성향을 나타내는 개념적 도구로, 깁스 에너지 및 화학 퍼텐셜과 관련이 있다.

종 i의 상대적인 활동도 ai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a_i = e^{\frac{\mu_i - \mu^{\ominus}_i}{RT}}

여기서 μi는 관심 조건에서의 종 i의 (몰) 화학 퍼텐셜, μ^{\ominus}_i는 표준 조건에서 해당 종의 (몰) 화학 퍼텐셜, R은 기체 상수, T는 열역학적 온도, e는 지수 상수이다.

또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mu_i = \mu_i^{\ominus} + RT\ln{a_i}

활동도는 화학 퍼텐셜을 변화시키는 모든 요인(농도, 온도, 압력, 화학 종 간 상호작용, 전기장 등)에 따라 달라진다. 활동도는 표준 상태의 선택에 따라 달라지므로, 표준 상태를 변경하면 활동도도 변경된다.

이상적인 혼합물의 경우, 성분 i화학 퍼텐셜라울의 법칙에 따라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mu_i (p,T) = \mu_i^\circ (T) + RT \ln x_i

여기서, \mu_i^\circ는 기준 화학 퍼텐셜, x_i는 성분 i의 몰 분율, p는 압력, T는 온도이다.

실제 계에서는 화학 퍼텐셜은 다음과 같이 '''활성도'''로 표시된다.

:\mu_i(p,T) = \mu_i^\circ (T) + RT \ln a_i



:\Delta \mu_i = RT \ln a_i \iff a_i = e^{\Delta \mu_i / RT}

이다.

용액의 경우, 용질의 농도가 0에 가까워질수록 라울의 법칙과의 차이가 작아지므로, 용매 및 용질의 활성도는 몰 분율로 근사된다(x_{\mathrm{solvent}} \to 1, x_{\mathrm{solute}} \to 0에 따라 a_{\mathrm{solvent}} \to x_{\mathrm{solvent}}, a_{\mathrm{solute}} \to x_{\mathrm{solute}}).

4. 활성도 계수

활동도 계수(γi)는 활동도와 실제 농도 (몰분율, 몰랄 농도, 몰농도 등)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무차원 값이다.

: ai = γixi

여기서 ai는 활동도, xi는 성분 i의 몰분율이다.[6] 활동도 계수는 용액의 비이상성을 나타내는 척도로, 1에 가까울수록 이상 용액에 가깝다.

활성도 계수(γi)는 활성도를 측정된 몰 분율 (또는 기체 상의 yi), 몰랄 농도 bi, 질량 분율 wi, 몰 농도 ci 또는 질량 농도 ρi와 관련시킨다.

:a_{ix} = \gamma_{x,i} x_i,\ a_{ib} = \gamma_{b,i}\frac {b_i} {b^{\ominus}},\, a_{iw}=\gamma_{w,i} w_i,\ a_{ic} = \gamma_{c,i} \frac{c_i}{c^{\ominus}},\, a_{ir} = \gamma_{\rho,i} \frac{\rho_i}{\rho^{\ominus}}\,

표준 몰랄 농도 bo (일반적으로 1 mol/kg) 또는 표준 몰 농도 co (일반적으로 1 mol/L)로 나누는 것은 활성도와 활성도 계수가 모두 무차원량이 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하다.[5]

활성도 계수가 1에 가까울 때, 해당 물질은 헨리의 법칙에 따라 거의 이상적인 거동을 보인다. 이러한 경우, 활성도는 적절한 무차원 조성 척도 xi, bi/bo 또는 ci/co로 대체될 수 있다.

국제 순수 및 응용 화학 연합(IUPAC)은 라울의 법칙을 사용하여 활성도 계수를 정의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 활성도 계수에 기호 fi를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5]

: ai = fixi

이는 이상적인 수치로부터의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 희석 용액의 경우, 용액 및 용질의 활량 계수는 1에 가까워진다 (xsolvent → 1, xsolute → 0에 따라 γsolvent → 1, γsolute → 1).

5. 표준 상태

활동도는 표준 상태의 선택에 따라 달라진다. 기체의 경우, 표준 압력(일반적으로 1기압 또는 1)에서의 퓨가시티를 사용한다. 역사적 관례에 따라 퓨가시티는 압력의 차원을 가지므로 무차원 활동도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a_i = \frac{f_i}{p^{\ominus}} = \varphi_i y_i \frac{p}{p^{\ominus}}

여기서 \varphi_i는 해당 물질의 무차원 푸개시티 계수이고, y_i는 기체 혼합물에서의 몰 분율이다. (순수 기체의 경우 y_i=1) 그리고 p는 전체 압력이다. p^{\ominus} 값은 표준 압력으로, 데이터 출처에 따라 1 atm (101.325 kPa) 또는 1 bar (100 kPa)와 같을 수 있으며, 항상 명시되어야 한다.[7]

일반적인 혼합물의 경우, 순수한 물질의 활동도를 1로 정의한다. 활동도 계수를 사용할 때는 일반적으로 라울의 법칙에 따라 정의된다.

:a_i = f_i x_i\,

여기서 f_i는 라울의 법칙 활동도 계수이다. 활동도 계수가 1이라는 것은 라울의 법칙에 따른 이상적인 거동을 나타낸다.

희석 용액의 경우, 이상적인 거동을 보이는 1 mol/L 또는 1 mol/kg의 가상 용액을 표준 상태로 설정한다. 표준 상태, 따라서 활성도는 조성을 측정하는 데 무엇을 사용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몰랄 농도는 비이상적인 혼합물의 부피가 엄격하게 가산되지 않고 온도에 따라 달라지므로 종종 선호된다. 몰랄 농도는 부피에 의존하지 않지만 몰 농도는 부피에 의존한다.[7]

용질의 활성도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begin{align}

a_{c,i} &= \gamma_{c,i}\, \frac{c_i}{c^{\ominus}} \\[6px]

a_{b,i} &= \gamma_{b,i}\, \frac{b_i}{b^{\ominus}}

\end{align}

6. 측정

휘발성 물질의 활동도는 평형 부분 증기압을 측정하여 결정할 수 있다. 용매가 물인 경우, 수분 활성도 ''aw''는 평형 상태의 상대 습도이다. 수크로스염화 나트륨과 같은 비휘발성 성분은 대부분의 온도에서 측정 가능한 증기압을 가지지 않으므로, 이 방법을 사용할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대신 ''용매''의 증기압을 측정할 수 있다. 깁스-듀헴 관계를 사용하면 용매 증기압의 농도 변화를 용질의 활동도로 변환할 수 있다.

용액의 밀도를 측정하여 성분의 활동도가 압력에 어떻게 의존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실제 용액은 순수 성분의 (몰) 부피의 가산성에 대한 편차를 가지는데, 이는 용액의 (몰) 부피와 비교하여 편차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압력에 따른 화학 퍼텐셜의 변화를 측정하는 부분 몰 부피의 사용이 포함된다.

총괄성, 특히 어는점 내림을 이용하여 종의 활동도를 결정할 수도 있다. 어는점 내림 기술을 사용하면 다음 관계식을 통해 약산의 활동도를 계산할 수 있다.

: ''b''′ = ''b''(1 + ''a'')

여기서 ''b''′는 모든 총괄성 측정(이 경우 Δ''T''fus)에 의해 결정된 용질의 총 평형 몰랄 농도이고, ''b''는 적정에 의해 얻은 공칭 몰랄 농도이며, ''a''는 종의 활동도이다.

활동도 및 활동도 계수를 결정할 수 있는 전기화학적 방법도 있다.

용액 내 이온의 평균 이온 활동도 계수 ''γ''±의 값은 데바이-휘켈 방정식, 데이비스 방정식 또는 피처 방정식을 사용하여 추정할 수도 있다.

7. 이온 용액에서의 활동도

용질이 용액 내에서 이온으로 해리될 때(예: 염), 이온들은 서로 강하게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용액은 비이상적인 거동을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이온 해리 과정을 고려해야 한다. 양이온과 음이온의 활동도(''a''+, ''a'')를 각각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액체 용액에서 특정 이온(예: Ca2+)의 활동도 계수는 실험적으로 측정할 수 없다. 왜냐하면 용액 내에서 한 이온의 전기화학적 전위만을 독립적으로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음이온 없이 양이온만 첨가하거나, 그 반대의 경우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평균 이온 활동도, 평균 이온 몰랄 농도, 평균 이온 활동도 계수라는 개념을 도입한다.


  • 평균 이온 활동도: ''a''''ν'' = ''a''+''ν''+''a''''ν''
  • 평균 이온 몰랄 농도: ''b''''ν'' = ''b''+''ν''+''b''''ν''
  • 평균 이온 활동도 계수: ''γ''''ν'' = ''γ''+''ν''+''γ''''ν''


여기서 ''ν'' = ''ν''+ + ''ν''는 이온 해리 과정에 관련된 화학량론적 계수를 나타낸다.

개별 이온의 활동도 계수 ''γ''+와 ''γ''는 결정할 수 없지만, 평균 이온 활동도 계수 ''γ''±는 측정 가능하다. 이 값은 충분히 묽은 용액의 경우 드바이-휘켈 이론을 사용하여 예측할 수 있다. 더 높은 농도의 전해질 용액에서는 드바이-휘켈 이론을 확장해야 하며, 피처 방정식과 같은 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 강한 이온성 용질(완전 해리)의 활동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a''2 = ''a''''ν'' = ''γ''''ν''''m''''ν''

8. 응용

화학 퍼텐셜은 활동도를 이용하여 정의되며, 화학 반응의 평형 상수, 반응 방향 등을 예측하는 데 사용된다. 활동도는 실제 용액 및 혼합물의 열역학적 거동을 정확하게 기술하는 데 필수적이다.[4][5]

활동도는 퓨개시티와 함께 물질의 이탈 성향을 나타내는 개념적 도구로 사용된다. 활동도와 퓨개시티는 혼합물에 존재하는 한 성분의 에너지를 나타내는 또 다른 도구이며, 혼합물과 부분성질에 대한 개념들과 직접 연결된다.

종 i의 상대적인 활동도 ai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a_i = e^{\frac{\mu_i - \mu^{\ominus}_i}{RT}}

여기서 μi는 관심 조건에서의 종 i의 (몰) 화학 퍼텐셜이고, μ^{\ominus}_i는 정의된 일련의 표준 조건에서 해당 종의 (몰) 화학 퍼텐셜이며, R은 기체 상수, T는 열역학적 온도, e는 지수 상수이다.

이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도 있다.

:\mu_i = \mu_i^{\ominus} + RT\ln{a_i}

일반적으로 활동도는 농도, 온도, 압력, 화학 종 간의 상호 작용, 전기장 등 화학 퍼텐셜을 변화시키는 모든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활동도는 표준 상태의 선택에 따라 달라지므로, 표준 상태를 변경하면 활동도도 변경된다. 즉, 활동도는 화합물이 표준 상태 조건에 있을 때와 비교하여 얼마나 "활성화"되었는지를 설명하는 상대적인 용어이다.

화학 활동도는 화학 퍼텐셜을 정의하는 데 사용되며, 화학 퍼텐셜은 온도, 압력 및 활동도에 따라 달라진다.

:\mu_i = \mu_i^{\ominus} + RT\ln{a_i}

여기서 R은 기체 상수이고 \mu_i^{\ominus}은 표준 조건에서의 \mu_i 값이다. 화학 퍼텐셜의 단위는 줄/몰(J/mol), 즉 물질량당 에너지이다.

활동도를 포함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이 단순화할 수 있다.


  • 화학 용액의 경우:
  • 용매의 활동도는 1이다(희석 용액에 대해서만 유효한 근사치).
  • 낮은 농도에서 용질의 활동도는 표준 농도에 대한 농도의 비율로 근사할 수 있다.
  • 낮은 압력에서 기체 혼합물의 경우, 활동도는 기체의 분압과 표준 압력의 비율과 같다.
  • 고체에 대해 균일한 단일 종 고체는 표준 조건에서 활동도가 1이다. 순수한 액체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상적인 혼합물의 경우, 성분 i의 화학 퍼텐셜라울의 법칙에 따라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mu_i (p,T) = \mu_i^\circ (T) + RT \ln x_i

여기서, \mu_i^\circ는 기준 화학 퍼텐셜, x_i는 성분 i의 몰 분율, p는 압력, T는 온도이다.

이에 반해 실제 계, 즉 라울의 법칙이 성립하지 않는 계에서는 화학 퍼텐셜은 '''활동도'''로 표시된다.

:\mu_i(p,T) = \mu_i^\circ (T) + RT \ln a_i

용액의 경우, 용질의 농도가 0에 가까워질수록 라울의 법칙과의 차이가 작아지므로, 용매 및 용질의 활성도는 몰 분율로 근사된다.

9. 근사

낮은 농도의 용액이나 낮은 압력의 기체 혼합물에서는 활동도를 농도 또는 분압으로 근사할 수 있다. 이는 계산을 단순화하지만, 비이상성이 큰 경우에는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7]


  • 화학 용액의 경우, 낮은 농도에서 용질의 활동도는 표준 농도에 대한 농도의 비율, 즉 ai = ci/co영어로 근사할 수 있어 농도와 거의 같다.
  • 낮은 압력에서 기체 혼합물의 경우, 활동도는 기체의 분압과 표준 압력의 비율, 즉 ai = pi/po영어로 근사할 수 있어 1기압(또는 1bar)의 표준 압력에 비해 기압(또는 bar) 단위의 분압과 같다.


용액의 경우, 용질의 농도가 0에 가까워질수록 라울의 법칙과의 차이가 작아지므로, 용매 및 용질의 활성도는 몰 분율로 근사된다. 활성도는 분압을 기준 압력 1 bar로 나눈 값이나, 몰 농도를 기준 농도 1 mol/L로 나눈 값으로 근사된다.

참조

[1] 논문 Outlines of a new system of thermodynamic chemistry https://babel.hathit[...] 1907
[2] 서적 General Chemistry Prentice Hall 2002
[3] 논문 pH Paradoxes: Demonstrating that it is not true that pH ≡ −log[H+]
[4] 간행물 activity (relative activity), ''a''
[5] 간행물
[6] 문서 Physical Chemistry – A Molecular Approach University Science Books
[7] 간행물 Principles of Thermodynamics CRC Press
[8] 논문 The Conceptions of Electrical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wo Phases and the Individual Activities of Ions 1929
[9] 간행물 pH
[10] 논문 Meaning and measurability of single ion activities, the thermodynamic foundations of pH, and the Gibbs free energy for the transfer of ions between dissimilar materials 2015
[11] 논문 Ion Trios: Cause of Ion Specific Interactions in Aqueous Solutions and Path to a Better pH Definition https://pubs.acs.org[...] 2024
[12] 간행물 The ASME Handbook on Water Technology for Thermal Systems 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13] 서적 熱力学 現代的な視点から 培風館 2000-04-12
[14] 서적 物理化学(上) 東京化学同人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