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어는점 내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는점 내림은 용액의 어는점이 순수한 용매의 어는점보다 낮아지는 현상이다. 이는 비휘발성 용질이 용매에 첨가될 때 발생하며, 증기압 내림과 엔트로피 증가로 설명된다. 어는점 내림은 용질의 몰랄 농도와 어는점 내림 상수에 비례하며, 묽은 용액의 어는점 내림은 간단한 일차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진한 용액의 경우, 용질의 성질을 고려한 더 복잡한 공식을 사용한다. 어는점 내림은 자동차 부동액, 제설제, 생물체의 생존 전략, 몰 질량 측정, 순도 분석, 식품 품질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물질량 - 기체 상수
    기체 상수는 이상 기체 법칙의 비례 상수로, 기체 1몰의 온도를 1K 높이는 데 필요한 에너지로 해석되며, 볼츠만 상수나 특별 기체 상수로 표현될 수 있고, 2019년 SI 단위계 개정 이후 정확한 값을 가진다.
  • 물질량 - 아보가드로 수
  • 상전이 - 녹는점
    녹는점은 고체가 액체로 변하는 온도로, 물질의 순도 확인 및 소재 개발에 활용되며, 압력, 불순물, 결정 구조 등의 영향을 받는다.
  • 상전이 - 승화 (화학)
    승화는 고체가 액체 상태를 거치지 않고 기체로 직접 변하는 물리적 변화 과정으로, 드라이아이스나 요오드와 같은 물질에서 나타나며 동결건조, 지문 검출, 고순도 물질 정제 등에 활용된다.
  • 화학적 성질 - 에너지 준위
    에너지 준위는 양자 역학적 계에서 입자가 가질 수 있는 특정 에너지 값으로, 원자 내 전자의 양자화된 에너지 상태를 나타내며 분자에서는 전자, 진동, 회전 에너지 준위가 존재하고, 에너지 준위 간 전이는 광자의 흡수 또는 방출을 수반한다.
  • 화학적 성질 - 양쪽성
    양쪽성은 산과 염기 모두로 작용할 수 있는 성질을 나타내며, 브뢴스테드-로우리 이론에 따라 양성자를 주고받을 수 있는 물, 아미노산 등이 대표적이며, 용액의 pH에 따라 산 또는 염기로 작용하는 산화아연 등도 존재한다.
어는점 내림
개요
정의용매의 어는점이 용질의 첨가로 인해 낮아지는 현상
관련 개념끓는점 오름
증기압 내림
삼투압
상세 정보
설명용액의 성질 중 하나인 총괄성에 속함
적용 분야부동액 제조
제설제 사용
아이스크림 제조 시 어는점 조절
이론
공식ΔTf = Kf · m
ΔTf어는점 내림 (단위: °C 또는 K)
Kf몰랄 어는점 내림 상수 (단위: °C kg/mol 또는 K kg/mol)
m용질의 몰랄 농도 (단위: mol/kg)
응용
분자량 측정어는점 내림을 이용하여 미지 물질의 분자량을 결정할 수 있음
혼합물 분석혼합물의 조성 및 순도 분석에 활용

2. 원리

어는점 내림은 증기압 내림, 농도 및 엔트로피 변화, 화학 퍼텐셜 등 다양한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다.

용액의 어는점은 순수한 용매의 어는점보다 낮아지는데, 이는 끓는점 오름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20] 몰 어는점 내림은 용매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며, 용질의 종류와는 관계가 없다. 몰 어는점 내림과 끓는점 오름의 관계식을 이용하면 용질의 분자량을 구할 수 있다. 이러한 관계는 묽은 용액(이상 용액)에서 잘 성립되지만, 진한 용액에서는 성립되지 않는다.[20]

전해질 용질은 용액 속에서 이온으로 분리되어 입자 수가 증가하므로, 비전해질 용질보다 어는점 내림 효과가 더 크다. 예를 들어, 염화 나트륨나트륨 이온과 염화 이온으로 이온화하여 입자 수가 2배가 되므로, 같은 몰수의 설탕보다 어는점 내림이 약 2배 더 크게 나타난다.[20]

어는점 내림 현상은 제설제로 이용될 수 있다. 도로에 소금을 뿌리면 영하에서도 얼음이 녹아 물이 된다.

2. 1. 증기압 내림

액체의 어는점은 고체와 액체, 기체가 평형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온도이며, 액체와 고체의 증기압 곡선이 교차하는 지점이다. 용매의 증기압보다 용액의 증기압이 낮아지면 용액의 증기압 곡선의 교차점이 낮아진다.[20] 비휘발성 용질이 휘발성 액체 용매에 첨가되면 용액의 증기압은 순수한 용매보다 낮아진다. 그 결과, 고체는 순수한 용매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 용액과 평형을 이루게 된다.[2]

2. 2. 농도 및 엔트로피

액체 용액에서 용매는 용질이 첨가됨에 따라 희석되어, 어는 데 필요한 분자 수가 적어진다(순수한 용매에 비해 용액에서 용매의 농도가 낮아진다).[20] 용질은 용매가 응고되는 것을 막거나 방해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희석시켜서 주어진 순간에 용매가 어는 시도를 할 확률을 감소시킨다. 평형의 재확립은 어는 속도가 액화 속도와 같아지는 더 낮은 온도에서 이루어진다.

또한 용액의 무질서도(엔트로피)가 순수한 용매보다 크기 때문에, 어는 현상이 억제되어 더 낮은 온도에서 어는점에 도달한다.

2. 3. 화학 퍼텐셜

어는점은 액체 용매와 고체 용매가 평형을 이루는 온도이며, 이들의 증기압은 같다.[2] 어는점에서 액체와 고체의 화학 퍼텐셜은 같으며, 용액의 화학 퍼텐셜은 순수한 용매보다 낮기 때문에 더 낮은 온도에서 평형이 이루어진다. 모든 총괄성은 용질이 존재할 때 용매의 화학 퍼텐셜이 감소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 감소는 엔트로피 효과이다. 용액의 더 큰 무작위성(순수한 용매와 비교하여)은 어는 현상에 반대 작용을 하므로, 액체 용액과 고체 용액 상 사이의 평형이 달성되기 전에 더 넓은 범위에서 더 낮은 온도가 필요하다.[2]

3. 계산

액체의 어는점은 고체와 액체, 기체가 평형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온도이며, 액체의 증기압 곡선과 고체의 증기압 곡선이 교차하는 지점이다. 용매의 증기압보다 용액의 증기압이 낮아지면 용액의 증기압 곡선의 교차점이 낮아진다. 바닷물이 민물보다 잘 얼지 않는 현상이 그 예시이다. 실험적으로도 용매의 어는점보다 용액의 어는점이 낮아지며 그 관계는 끓는점 오름의 경우와 같다.[20]

1kg의 용매에 용질 1몰을 녹였을 때의 어는점 내림을 몰 어는점 내림이라고 하는데, 이 값은 용매에 따라 결정되고 용질의 종류와는 관계가 없다. 몰 어는점 내림을 이용하여 용질의 분자량을 구할 수 있다.

용질이 비전해질인 경우에는 용액 속에서 입자의 수에 변화가 없지만, 전해질인 경우에는 이온으로 분리하기 때문에 입자 수가 증가한다. 예를 들어 염화 나트륨나트륨 이온과 염화 이온으로 이온화하기 때문에 염화나트륨 자체는 하나이지만 이론적으로는 2가지가 된다. 이 때문에 염화 나트륨 1몰이 완전히 이온화하면 용질 입자의 몰수가 2몰의 효과를 나타내게 되어 이온이 되지 않는 설탕에 비해서 끓는점 오름이나 어는점 내림은 약 2배가 된다.[20]

3. 1. 묽은 용액

이상 용액이거나 용질의 농도가 매우 작을 경우, 어는점 내림은 몰랄 농도에 관한 일차식으로 표현된다.[20]

:\Delta T_F = K_Fmi

이때 ''ΔT''F는 내려간 온도, ''K''F는 어는점 내림 상수, m은 몰랄 농도, i는 반트호프 계수를 의미한다.

그러나 위 공식은 묽은 용액에서만 적용되는 공식으로, 고농도의 용액에서는 용질의 성질도 고려해야 한다.[21][22]

만약 용액을 이상 용액으로 취급한다면, 어는점 내림의 정도는 용질의 농도에만 의존하며, 이는 용액의 어는점 내림 상수("블래그던의 법칙")를 사용하여 간단한 선형 관계식으로 추정할 수 있다.

: \Delta T_f \propto \frac{\text{용해된 물질의 몰 수}}{\text{용매의 질량}}

: \Delta T_f = K_fbi

여기서:

  • \Delta T_f는 어는점 강하로, 순수한 용매의 어는점 T_f^0에서 용액의 어는점 T_f를 뺀 값으로 정의되며, 위의 공식은 모든 인수가 양수이므로 양수 값을 갖는다. 위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된 \Delta T_f로부터 용액의 어는점을 T_f = T_f^0 - \Delta T_f로 계산할 수 있다.
  • K_f는 어는점 내림 상수로, 용질이 아닌 용매의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참고: 실험을 수행할 때, ''k'' 값이 높을수록 어는점 강하를 더 크게 관찰하기 쉽다.)
  • b몰랄 농도 (용매 1kg당 용질의 몰 수)
  • i는 반트호프 인자 (용질의 화학식 단위당 이온 입자 수, 예: NaCl의 경우 i = 2, BaCl2의 경우 3)


선택된 용매에 대한 어는점 내림 상수 ''K''f의 몇 가지 값은 다음과 같다.[11]

화합물어는점 (°C)Kf (K⋅kg/mol)
아세트산16.63.90
벤젠5.55.12
캠퍼179.839.7
이황화 탄소−1123.8
사염화 탄소−2330
클로로포름−63.54.68
사이클로헥세인6.420.2
에탄올−114.61.99
에틸 에테르−116.21.79
나프탈렌80.26.9
페놀417.27
01.86[12]


3. 2. 진한 용액

위 공식은 묽은 용액에서만 적용되는 공식으로, 고농도의 용액에서는 용질의 성질도 고려해야 한다. 2010년에 제안된 이온결합 물질이 녹았을 경우 어는점 내림 공식은 다음과 같다.[21][22]

:

\Delta T_\text{F} = \frac{\Delta H^\text{fus}_{T_\text{F}} - 2RT_\text{F} \cdot \ln a_\text{liq} - \sqrt{2\Delta C^\text{fus}_p T^2_\text{F}R \cdot \ln a_\text{liq} + (\Delta H^\text{fus}_{T_\text{F}})^2}}{2\left(\frac{\Delta H^\text{fus}_{T_\text{F}}}{T_\text{F}} + \frac{\Delta C^\text{fus}_p}{2} - R \cdot \ln a_\text{liq}\right)}.



이때 ''T''F는 순수한 용질의 어는점, ''a''liq는 용매의 활동도, Δ''H''fusTF는 ''T''F에서 용매의 융해열, Δ''C''fusp는 액체 상태와 고체 상태의 열용량 차이를 의미한다. 용매의 활동도는 피처 방정식 등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23][24][25][26]

4. 활용

어는점 내림 현상은 실생활 및 산업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된다.

제설제를 도로에 뿌리면 어는점 내림 현상에 의해 영하의 온도에서도 얼음이 녹아 결빙을 방지할 수 있다. 염화 나트륨은 물의 어는점을 낮추는 효과가 있지만, 도로 표면 온도가 매우 낮으면 효과가 없다. 그래서 염화 칼슘, 염화 마그네슘 등 다른 염이나 여러 물질의 혼합물이 사용되기도 한다.[3]

자동차 냉각수는 물과 에틸렌 글리콜 혼합물로 만들어지는데, 어는점 내림 현상 덕분에 겨울철에도 라디에이터가 얼지 않는다.[3]

극심한 추위에서 서식하는 생물들은 소르비톨, 글리세롤과 같은 물질을 체내에 고농도로 생성하여 어는점 내림 현상을 이용한다. 이를 통해 주변 환경이 얼어붙는 상황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5] 예를 들어, 북극에 사는 무지개 송어는 글리세롤 등의 분자를 생성하여 겨울철 얼어붙은 강어귀에서 생존한다.[5]

어는점 내림은 저온법이라 불리는 몰 질량 측정에도 활용된다. 과거 유기 화학에서 유용하게 사용되었으며, 어는점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몰 질량을 구하는 방법이다.[8] 이상 용액이거나 용질의 농도가 매우 작을 경우, 어는점 내림은 몰랄 농도에 관한 일차식으로 표현된다.

: \Delta T_F = K_Fmi

: 이때 ''ΔT''F는 내려간 온도, ''K''F는 어는점 내림 상수, m은 몰랄 농도, i는 반트호프 계수를 의미한다.

시차 주사 열량 측정법(DSC)을 이용한 분석에서 어는점 내림은 물질의 순도를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21][22]

유제품 산업에서는 우유에 물 첨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어는점 내림(FPD) 측정을 사용한다. FPD가 0.509°C 이상인 우유는 물이 첨가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10]

4. 1. 제설

제설제를 도로에 뿌리면 어는점 내림 현상에 의해 영하의 온도에서도 얼음이 녹아 흘러내리므로 결빙을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염화 나트륨은 물의 어는점을 낮출 수 있다. 도로 표면 온도가 이보다 낮으면 염화 나트륨은 효과가 없으며, 염화 칼슘, 염화 마그네슘 또는 여러 물질의 혼합물과 같은 다른 염이 사용된다.[3]

최근 한국에서는 환경 문제를 고려하여 포름산 나트륨, 포름산 칼륨, 아세트산 나트륨, 아세트산 칼륨과 같은 친환경 제설제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염들은 금속, 특히 철에 부식성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3] 한편, 국민의힘은 제설제 사용과 관련하여 예산 문제를 제기하며, 효율적인 제설 작업 및 예산 집행을 위한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4. 2. 부동액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냉각수는 물과 에틸렌 글리콜의 혼합물이다. 어는점 내림은 겨울철에 라디에이터가 어는 것을 방지한다.[3]

4. 3. 생물학적 응용

어는점 내림은 극심한 추위에서 사는 일부 유기체에 의해 사용된다. 그러한 생물들은 진화를 통해 소르비톨 및 글리세롤과 같은 다양한 화합물을 고농도로 생성할 수 있다. 용질의 이 높은 농도는 그들 내부의 물의 어는점을 낮추어 주변의 물이 얼거나 주변 공기가 매우 추워져도 유기체가 얼어붙는 것을 방지한다.[5] 용해된 용질은 나무의 수액과 다른 액체가 겨울에 어는 것을 방지한다.[4] 부동액 화합물을 생성하는 유기체의 예로는 겨울철에 얼어붙은 강어귀에서 생존하기 위해 글리세롤 및 기타 분자를 생성하는 북극에 사는 무지개 송어와 같은 일부 종의 어류가 있다.[5] 봄비 개구리(''Pseudacris crucifer'')와 같은 다른 동물에서는 추운 온도에 대한 반응으로 몰랄 농도가 일시적으로 증가한다. 봄비 개구리의 경우, 어는 온도는 개구리의 간에서 글리코겐의 대규모 분해를 유발하고, 그 결과 대량의 포도당이 혈액으로 방출된다.[6]

4. 4. 몰 질량 측정 (저온법)

어는점 내림을 이용하여 용질의 몰 질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저온법이라고 불리며, 과거 유기 화학에서 유용하게 사용되었다. 어는점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몰 질량을 구하는 방법으로, 20세기 초 교과서에 유용한 분석 절차로 소개되기도 했다.[8] 예를 들어, 코헨의 1910년 저서 ''실용 유기 화학''에서는 나프탈렌의 몰 질량을 ''Beckmann freezing apparatus''를 사용하여 결정하는 방법이 설명되어 있다.[8]

이상 용액이거나 용질의 농도가 매우 작을 경우, 어는점 내림은 몰랄 농도에 관한 일차식으로 표현된다.

:

\Delta T_F = K_Fmi



이때 ''ΔT''F는 내려간 온도, ''K''F는 어는점 내림 상수, m은 몰랄 농도, i는 반트호프 계수를 의미한다.

이 공식을 이용하면 어는점 내림을 통해 용질의 해리 정도나 몰 질량을 측정할 수 있다. 용질의 몰 질량은 ''m''B와 용해된 용질의 양을 비교하여 결정한다. 이 방법은 주로 비극성 용매를 사용하는 유기 화합물에 유용하다.[7]

실험실에서는 라우르산을 사용하여 어는점 내림을 통해 미지의 물질의 몰 질량을 조사할 수 있다. 라우르산은 순수한 화합물의 녹는점이 비교적 높고 (43.8 °C), 어는점 내림 상수가 3.9 °C·kg/mol이기 때문에 선택된다. 미지의 물질과 함께 라우르산을 녹여 냉각시킨 후 혼합물이 어는 온도를 기록하면, 미지 화합물의 몰 질량을 결정할 수 있다.[9]

4. 5. 순도 분석

시차 주사 열량 측정법(DSC)을 이용한 분석에서 어는점 내림은 물질의 순도를 분석하는 도구로 사용된다. 결과는 몰%로 표시되지만, 다른 분석 방법이 실패하는 경우 이 방법이 유용하다.[21][22]

이는 녹는점 측정 장치로 불순한 고체 혼합물의 녹는점을 측정할 때 관찰되는 녹는점 강하와 같은 원리이다. 녹는점과 어는점은 모두 액체-고체 상전이를 의미하기 때문이다(방향은 다르지만).[9]

끓는점 오름과 어는점 내림은 원리적으로 이 목적에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어는점 내림 상수가 끓는점 오름 상수보다 크고, 어는점을 정밀하게 측정하기가 더 쉬운 경우가 많으므로 어는점 내림을 이용한 측정이 더 정확하다.

4. 6. 식품

유제품 산업에서 우유에 물이 첨가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어는점 내림(FPD) 측정을 사용한다. FPD가 0.509°C 이상인 우유는 물이 첨가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10]

참조

[1] 논문 Controlling the hardness of ice cream, gelato and similar frozen desserts 2021-03-18
[2] 서적 General Chemistry Prentice-Hall 2002
[3] 웹사이트 Salt Doesn't Melt Ice—Here's How It Makes Winter Streets Safer https://www.scientif[...]
[4] 뉴스 Q & A https://www.nytimes.[...] 2022-02-10
[5] 논문 The freeze-avoidance response of smelt ''Osmerus mordax'': initiation and subsequent suppression 6353 http://jeb.biologist[...]
[6] 서적 Animal Physiology: From Genes to Organisms Thomson Brooks/Cole, Belmont, CA 2005
[7] 웹사이트 Bioetymology – Biomedical Terms of Greek Origin http://bioetymology.[...]
[8] 서적 Practical Organic Chemistry https://archive.org/[...] MacMillan and Co. 1910
[9]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faculty.sites[...] 2019-07-08
[10] 웹사이트 Freezing Point Depression of Milk http://www.dairyuk.o[...] Dairy UK
[11] 서적 Physical Chemistry Freeman 1990
[12] 서적 SI Chemical Data 5th ed. John Wiley & Sons
[13] 논문 Estimation of Freezing Point Depression, Boiling Point Elevation, and Vaporization Enthalpies of Electrolyte Solutions
[14] 논문 Calculations of Freezing Point Depression, Boiling Point Elevation, Vapor Pressure and Enthalpies of Vaporization of Electrolyte Solutions by a Modified Three-Characteristic Parameter Correlation Model
[15] 논문 Correlation and Prediction of Activity and Osmotic Coefficients of Aqueous Electrolytes at 298.15 K by the Modified TCPC Model
[16] 논문 Correlation and Prediction of Thermodynamic Properties of Some Complex Aqueous Electrolytes by the Modified Three-Characteristic-Parameter Correlation Model
[17] 논문 Correlation and Prediction of Thermodynamic Properties of Nonaqueous Electrolytes by the Modified TCPC Model
[18] 논문 A Simple Two-Parameter Correlation Model for Aqueous Electrolyte Solutions across a Wide Range of Temperatures†
[19] 서적 基礎物理化学 東京教学社 1997
[20] 글로벌2 어는점 내림
[21] 저널 인용 Estimation of Freezing Point Depression, Boiling Point Elevation, and Vaporization Enthalpies of Electrolyte Solutions
[22] 저널 인용 Calculations of Freezing Point Depression, Boiling Point Elevation, Vapor Pressure and Enthalpies of Vaporization of Electrolyte Solutions by a Modified Three-Characteristic Parameter Correlation Model
[23] 저널 인용 Correlation and Prediction of Activity and Osmotic Coefficients of Aqueous Electrolytes at 298.15 K by the Modified TCPC Model
[24] 저널 인용 Correlation and Prediction of Thermodynamic Properties of Some Complex Aqueous Electrolytes by the Modified Three-Characteristic-Parameter Correlation Model
[25] 저널 인용 Correlation and Prediction of Thermodynamic Properties of Nonaqueous Electrolytes by the Modified TCPC Model
[26] 저널 인용 A Simple Two-Parameter Correlation Model for Aqueous Electrolyte Solutions across a Wide Range of Temperatur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