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진(Dust Bowl)은 1930년대 미국과 캐나다 대평원에서 발생한 심각한 가뭄과 먼지 폭풍으로 인한 생태적, 경제적 재앙을 의미한다. 1920년대의 농업 확장과 가뭄, 토양 침식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했으며, 대규모 이주와 사회적 고통을 야기했다. 미국 정부는 토양 보전, 방풍림 조성, 농업 지원 등 다양한 정책을 통해 대응했으며, 도로시아 랭의 사진과 존 스타인벡의 소설 '분노의 포도'와 같은 예술 작품을 통해 이 비극이 널리 알려졌다. 황진은 환경 파괴와 인간의 노력이 가져온 결과에 대한 중요한 교훈을 제시하며, 오늘날까지도 지속 가능한 농업과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아메리카의 기근 - 여름 없는 해
1816년 여름 없는 해는 1815년 탐보라 화산 폭발로 인한 화산재 때문에 전 세계적인 기온 저하, 농작물 흉작, 기근을 야기하며 사회, 경제, 문화,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친 기후 이상 현상이다.
황진 | |
---|---|
개요 | |
![]() | |
다른 이름 | 더티 서티즈 (Dirty Thirties) |
원인 | 장기간의 가뭄 부적절한 토지 관리 기술 |
발생 기간 | 1930년대 |
발생 지역 | 미국의 그레이트 플레인스 지역 |
영향 | 심각한 토양 침식 농업 파괴 경제적 어려움 대규모 이주 |
배경 | |
시기 | 1930년대 |
지역 | 미국의 그레이트 플레인스 |
주요 주 | 콜로라도주 캔자스주 뉴멕시코주 오클라호마주 텍사스주 |
원인 | |
복합적 요인 | 1930년대의 심각한 가뭄 고온 지속적인 토지 이용 방식 |
환경적 영향 | |
주요 현상 | 심한 먼지 폭풍 (블랙 블리자드) 농작물 피해 가축 폐사 인간의 건강 문제 |
토지 관리 | 건식 농업과 심토 쟁기질 후 광활한 지역의 표토가 날아감. |
사회경제적 영향 | |
경제적 어려움 | 농업 생산량 급감, 재산 가치 하락 |
이주 | 수십만 명의 농부와 가족들이 일자리를 찾아 서부로 이동 |
오키스 | 이주민들을 경멸적으로 부르는 용어. |
건강 문제 | 먼지 흡입으로 인한 호흡기 질환 증가 |
정부 대응 | |
뉴딜 정책 |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의 뉴딜 정책을 통해 토양 보존 및 농업 지원 프로그램 시행 |
토양 보존국 (Soil Conservation Service) | 토양 침식 방지 및 지속 가능한 농업 기술 장려 |
장기적 영향 | |
농업 기술 변화 | 토양 보존 기술의 발전과 도입 |
환경 인식 증가 | 환경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인식 증가 |
정책 변화 | 토지 관리 및 환경 보호 정책 강화 |
문화적 영향 | |
문학 및 예술 | 먼지 그릇 시대를 배경으로 한 다양한 작품 등장 |
대표 작품 | 존 스타인벡의 《분노의 포도》 도로시아 랭의 사진 작품 |
추가 정보 | |
관련 용어 | 블랙 블리자드 |
관련된 인물 | 프랭클린 D. 루스벨트, 존 스타인벡, 도로시아 랭 |
참고 문헌 | |
추가 자료 | 미국 농업안정청 (Farm Service Agency) 미국 자연자원보존국 (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
2. 지리적 특성 및 초기 역사
더스트볼 지역은 주로 서경 100도선 서쪽의 대평원에 위치하며, 지형은 북쪽의 구릉지대부터 리아노 에스타카도의 평평한 평원까지 다양하다. 고도는 동쪽의 약 762.00m에서 로키 산맥 기슭의 약 1828.80m까지 이른다. 이 지역은 반건조 지역으로 연간 강우량이 약 50.80cm 미만이며, 장기간의 가뭄과 이례적인 습윤 기간이 번갈아 나타난다.[3] 비가 많이 오는 해에는 비옥한 토양이 풍부한 농산물을 생산하지만, 건조한 해에는 농작물이 실패한다. 또한 강풍의 영향을 받는 지역이다.[4]
2. 1. 초기 정착과 농업 방식의 문제점
더스트볼 지역은 대평원의 서경 100도선 서쪽에 위치하며, 반건조 지역으로 연간 강우량이 약 50.80cm 미만이다. 이 지역은 원래 짧은 풀 초원 생태계였으나, 초기 유럽과 미국의 탐험가들은 이곳을 그레이트 아메리칸 사막이라 부르며 농업에 부적합하다고 여겼다.[3] 지표수와 목재 부족으로 인해 다른 지역보다 정착과 농업에 매력적이지 않았다.미국 연방 정부는 1862년 준거법을 통해 농업을 위한 평원 정착과 개발을 장려했고, 정착민들에게 160acre 면적의 토지를 제공했다. 남북 전쟁 종식(1865년)과 첫 번째 대륙횡단 철도 완공(1869년) 이후, 이주민과 이민자들이 대평원에 도착하여 경작지가 크게 증가했다.[5][6] 이례적으로 습윤했던 시기는 정착민들과 연방 정부가 이 지역의 기후가 영구적으로 변했다는 믿음을 갖게 했다.[7] 초기 농업은 주로 목장이었지만, 1886년부터 시작된 혹독한 겨울, 1890년의 짧은 가뭄, 과방목으로 인해 많은 토지 소유자들이 경작지를 늘리게 되었다.
미국 정부는 경작의 어려움을 인식하고, 킨케이드 법(1904년)에 따라 네브래스카주 서부 준거민들에게 640acre를, 1909년 확대 준거법에 따라 대평원의 다른 지역에서는 320acre를 부여하는 등 준거법에서 제공되는 면적을 확대했다. 20세기 초, 유럽 정착민들이 평원에 도착했고, 이례적으로 습윤한 날씨는 반건조 지역이 대규모 농업을 지원할 수 있다는 의견을 뒷받침하는 듯했다. 기계식 경운과 수확 같은 기술 발전으로 더 큰 부지를 운영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평원의 생태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농부들은 대평원의 표토를 광범위하게 심경했다. 이로 인해 건조 기간과 강풍에도 토양과 수분을 가두는 토착 풀이 제거되었다. 특히 소형 가솔린 트랙터와 콤바인의 기계화는 불모의 초원을 경작지로 전환하는 결정에 기여했다.[8] 1930년대 가뭄 동안, 고정되지 않은 토양은 먼지로 변해 바람에 날려 거대한 구름을 만들었고, 때로는 하늘을 검게 만들었다. 이러한 먼지 기둥은 동부 해안까지 도달하여 뉴욕시와 워싱턴 D.C.를 강타했다. AP 통신 기자 로버트 E. 가이거는 1935년 4월 14일 "검은 일요일" 검은 눈보라를 목격했고, AP 통신의 에드워드 스탠리는 "더스트볼"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9][10]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혁명으로 밀과 기타 작물 공급이 감소하여 농산물 가격이 상승했고, 이는 농부들이 경작을 급격히 증가시키도록 장려했다. 뉴멕시코주 동부와 텍사스주 북서부의 리아노 에스타카도에서 농지 면적은 1900년에서 1920년 사이에 두 배가 된 후 1925년에서 1930년 사이에 세 배가 되었다.[6] 이 기간 동안 농부들이 선호했던 농업 방식은 대규모 침식을 일으키는 조건을 만들었다.[1] 심경은 토양을 고정하고 수분을 유지하는 토착 풀을 제거했다. 또한, 목화 농부들은 겨울 동안 들판을 헐벗은 채로 두었고, 짚을 태워 토양의 유기 영양소와 지표 식물을 고갈시켰다. 결과적으로, 환경에 대한 영향을 무시하고 수확을 최우선으로 한 무모한 경작으로 인해, 인재에 가까운 현상이 발생했다.[66]
3. 가뭄과 먼지 폭풍
더스트볼은 대평원의 반건조 지역에서 발생했으며, 연간 강우량은 약 50.80cm 미만이었다. 이 지역은 장기간의 가뭄과 이례적인 습윤 기간이 번갈아 나타나고 강풍이 부는 곳이다.[3][4] 초기에는 유럽식 농업에 부적합하다고 여겨져 그레이트 아메리칸 사막이라고 불렸으나, 1862년 준거법을 통해 농업 정착과 개발이 장려되었다.[5] 남북 전쟁이 끝난 1865년과 첫 번째 대륙횡단 철도가 완공된 1869년 이후 정착민들이 유입되면서 경작지가 크게 늘었다.[5][6]
이례적으로 습윤했던 시기는 정착민들과 연방 정부가 이 지역 기후가 영구적으로 변했다는 믿음을 갖게 했다.[7] 초기 농업은 주로 목장이었지만, 1886년부터 시작된 혹독한 겨울과 1890년의 짧은 가뭄, 과방목으로 인해 많은 토지 소유자들이 경작지를 늘리게 되었다. 미국 정부는 킨케이드 법(1904년)과 1909년 확대 준거법을 통해 준거민들에게 더 많은 토지를 주었다. 20세기 초, 유럽 정착민들이 평원에 도착했고, 습윤한 날씨는 반건조 지역이 대규모 농업을 지원할 수 있다는 생각을 확인시켜 주는 듯했다. 동시에 기계식 경운과 수확 기술 발전으로 더 큰 부지를 운영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평원 생태계를 잘 몰랐던 농부들은 대평원의 처녀 표토를 광범위하게 심경했다. 이로 인해 건조기와 강풍에도 토양과 수분을 가두는 토착 풀이 제거되었다. 특히 소형 가솔린 트랙터와 콤바인의 급속한 기계화는 불모의 초원을 경작지로 바꾸는 결정에 기여했다.[8] 1930년대 가뭄 동안, 고정되지 않은 토양은 먼지로 변했고, 바람이 이 먼지를 거대한 구름으로 날려 "검은 눈보라" 또는 "검은 회오리"라고 불리는 먼지 기둥이 발생했다. 이 먼지 기둥은 동부 해안까지 도달하여 뉴욕시와 워싱턴 D.C. 같은 도시를 강타했다.[9][10]
더스트볼의 가뭄과 침식은 텍사스 팬핸들과 오클라호마 팬핸들을 중심으로 발생했으며, 뉴멕시코, 콜로라도, 캔자스의 인접 지역에도 영향을 미쳤다.[11] 수만 명의 빈곤한 가정이 농장을 버리고 이주했으며, 1936년까지 손실은 하루 2500만달러에 달했다.[12]
1920년대에는 비교적 좋은 강우량과 온화한 겨울 등 유리한 기후 조건[13] 덕분에 대평원 지역의 정착과 경작이 증가했지만, 1930년 여름부터 이례적으로 건조한 시대에 접어들었다.[14] 이후 10년 동안 북부 평원 지역은 1895년 이후 가장 건조했던 7년 중 4년을 겪었고,[15] 캔자스 주는 가장 건조했던 12년 중 4년을 겪었다.[15] 텍사스 서부[16]를 포함한 남부 지역 전체는 1941년 기록적인 폭우가 내릴 때까지 평년 이상의 강우량을 기록한 시기가 전혀 없었다.[17] 1930년대에 대평원 지역에 심각한 가뭄이 들면서 당시의 농업 관행으로 인해 토양 침식과 표토 유실이 발생했다. 가뭄으로 표토가 건조해지면서 부서지기 쉬워졌고,[18] 일부 지역에서는 가루처럼 고운 입자로 변했다. 토착 풀이 없어 대평원의 강한 바람이 표토를 휩쓸어 거대한 먼지 폭풍을 일으켰다.[18]
더스트볼 이후 많은 농지가 침식되었다. 1941년 캔자스 주 농업 실험장은 토착 풀을 복원할 것을 제안하는 보고서를 발표했다.[51]
많은 데이터 분석 결과 가뭄의 원인은 해수 온도 이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서양의 해수면 온도는 일반적인 대기 순환에 간접적인 영향을, 태평양의 해수면 온도는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25][26][27]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 취임 후 100일 동안 미국 연방 정부는 자연 환경 균형 회복을 위한 정부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토양보전국(Soil Conservation Service, SCS)을 설립했다. SCS는 1994년에 자연자원보전청(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NRCS)으로 개편되었다.
3. 1. 주요 먼지 폭풍 사건
1933년 11월 11일, 매우 강력한 먼지 폭풍이 사우스다코타(South Dakota) 농지의 표토를 휩쓸었다.[19] 1934년 5월 9일부터 이틀 동안 지속된 강력한 먼지 폭풍은 더스트볼(Dust Bowl)에서 가장 심각한 폭풍 중 하나로, 대평원의 표토를 엄청난 양으로 날려 버렸다. 먼지 구름은 시카고까지 날아가 12e6의 먼지를 쌓아 놓았다.[20] 이틀 후, 같은 폭풍은 클리블랜드, 버팔로, 보스턴, 뉴욕시, 워싱턴 D.C.[21] 등 동쪽 도시에 도달했다. 자유의 여신상과 미국 국회의사당과 같은 기념물들이 시야에서 사라졌다.[22] 그 겨울(1934~35년) 뉴잉글랜드에는 붉은 눈이 내렸다."검은 일요일(Black Sunday)"로 알려진 1935년 4월 14일에는 캐나다에서 텍사스주까지 대평원 전체를 휩쓴 최악의 "검은 눈보라" 20개가 발생했다. 이 폭풍은 광범위한 피해를 입혔고 낮을 밤으로 바꾸는 듯했다. 목격자들은 어떤 시점에서는 앞이 약 1.52m도 보이지 않았다고 증언했다.[23]
3. 2. '더스트 볼' 용어의 유래
AP 통신의 기자 로버트 E. 가이거는 1935년 4월 14일 "검은 일요일" 검은 눈보라를 목격하기 위해 오클라호마주 보이시 시티에 있었다. AP 통신의 캔자스시티 뉴스 편집자 에드워드 스탠리가 가이거의 뉴스 기사를 다시 쓰면서 "더스트볼"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9][10]"더스트볼"이라는 용어는 원래 먼지의 영향을 받은 지리적 지역을 가리키는 것이었지만,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사건 자체를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 ("더러운 30년대"라는 용어도 때때로 사용된다).
4. 사회적, 경제적 영향
대공황으로 인해 텍사스주, 아칸소주, 오클라호마주 등 그레이트플레인스 지역의 농업은 큰 타격을 입었다. 1차 세계 대전 동안 농경지와 수입은 급증했지만, 대공황과 1930년대에는 감소했다.[41] 더스트 볼(Dust Bowl)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농경지는 텍사스와 오클라호마 팬핸들(panhandles) 지역의 약 1600만 에이커(16e6acre)에 달했다. 미국 농무부 토양보전청(U.S. Department of Agriculture's Soil Conservation Service)이 가장 심각한 풍식 지역으로 지정한 20개 카운티는 더스트 볼 기간 동안 대평원 이주민의 대다수가 거주하던 곳이었다.[38]
1930년대 남부 대평원 주의 이주는 다른 지역보다 더 컸지만, 이 지역 출신 이주민의 수는 1920년대에 비해 약간 증가했을 뿐이다. 따라서 더스트 볼과 대공황은 남부 이주민들의 대규모 이주를 야기하지 않았고, 단지 이주민들이 계속 이동하도록 부추겼을 뿐이다. 다른 지역에서는 대공황으로 인해 경제적 문제로 이동성이 제한되어 이주가 감소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대평원의 인구는 더스트 볼과 대공황 동안 감소했지만, 그 감소는 대평원을 떠나는 이주민 수가 극단적으로 많았기 때문이 아니라 대평원 외부에서 이 지역으로 이주하는 사람이 부족했기 때문이었다.[38]
4. 1. 대규모 이주와 '오키'
이 재앙은 이 지역의 대공황의 경제적 영향을 심화시켰다. 1935년, 4년 동안 지속된 가뭄으로 많은 가정이 농장을 떠나 일자리를 찾아 다른 지역으로 이동해야 했다.[28] 농장의 버려짐과 엄청난 표토 손실로 인한 재정적 파탄은 널리 퍼진 기아와 빈곤으로 이어졌다.[29] 더스트 볼(Dust Bowl) 상황은 텍사스 팬핸들(Texas Panhandle), 오클라호마 팬핸들(Oklahoma Panhandle) 및 주변 대평원(Great Plains) 지역의 이재민들의 인근 지역으로의 대량 이동을 부추겼다. 50만 명이 넘는 미국인들이 집을 잃었고, 단 한 번의 폭풍으로 350채가 넘는 주택이 철거되어야 했다.[30]


심각한 가뭄과 먼지 폭풍으로 많은 사람들이 집을 잃었고, 다른 사람들은 은행으로부터 담보 대출이 압류당하거나, 일자리를 찾아 농장을 버릴 수밖에 없다고 느꼈다.[31] 많은 미국인들이 일자리를 찾아 서쪽으로 이주했다. 부모들은 가족과 소지품을 낡은 차("고물차")에 싣고 서쪽으로 향했다.[32] 특히 캔자스와 오클라호마 주민 중 일부는 먼지 폐렴이나 영양실조로 병들어 죽었다.[20]
1930년에서 1940년 사이에 약 350만 명이 대평원 주에서 이주했다.[34] 1년 조금 넘는 기간 동안 8만 6천 명이 넘는 사람들이 캘리포니아로 이주했는데, 이 수치는 1849년 골드러시 당시 그 지역으로 이주한 이주민 수보다 많다.[35] 이주민들은 오클라호마, 아칸소, 미주리, 아이오와, 네브래스카, 캔자스, 텍사스, 콜로라도 및 뉴멕시코의 농장을 버렸지만, 일반적으로 "오키(Okie)", "아키(Arkies)", 또는 "텍시(Texies)"라고 불렸다.[36] "오키"와 "아키"와 같은 용어는 1930년대에 모든 것을 잃고 대공황 동안 가장 고통받던 사람들을 지칭하는 표준적인 용어가 되었다.[37]
그러나 모든 이주민이 장거리 이동을 한 것은 아니었다. 대부분은 더스트 볼의 영향을 심하게 받은 카운티에서 영향이 적은 다른 카운티로 이동하는 주 내부 이동에 참여했다.[38] 너무 많은 가족이 농장을 떠나 이동했기 때문에 대평원 주에서는 이주민과 거주민의 비율이 거의 같았다.[34]
인구조사국 통계 및 기타 기록, 그리고 1930년대에 캘리포니아에 온 약 11만 6천 가구에 대한 1939년 농업경제국(Bureau of Agricultural Economics)의 직업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남서부 사람들의 43%만이 이주하기 직전에 농업에 종사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모든 이주민 중 거의 3분의 1이 전문직 또는 사무직 근로자였다.[39] 일부 농부들은 이주할 때 비숙련 노동을 해야 했으며, 농업 부문을 떠나는 것은 이주 농부들이 나중에 더 높은 임금을 받는 준숙련 또는 고숙련 분야에 종사할 가능성이 훨씬 더 높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더 큰 사회적 이동성으로 이어졌다. 농부가 아닌 사람들은 농부보다 직업적 하락을 더 많이 경험했지만, 대부분의 경우 고숙련 이주민이 준숙련 작업으로의 하락을 경험할 가능성이 가장 높았기 때문에 그들을 빈곤으로 몰아넣을 만큼 심각하지 않았다. 준숙련 작업은 고숙련 작업만큼 임금이 높지 않았지만, 이러한 근로자 대부분은 빈곤하지 않았다. 대부분의 경우, 더스트 볼이 끝날 무렵 이주민들은 일반적으로 남아 있기로 선택한 사람들보다 더 나은 상황이었다.[38]
대공황이 끝난 후 일부 이주민들은 원래 주로 돌아갔다. 많은 다른 사람들은 정착한 곳에 남아 있었다. 캘리포니아 인구의 약 8분의 1이 오키(Okie) 출신이다.[40]
4. 2. 농업 및 인구 변화
1930년대 가뭄 동안, 고정되지 않은 토양은 먼지로 변했고, 바람이 이 먼지를 거대한 구름으로 날려 하늘을 검게 만들었다. "검은 눈보라" 또는 "검은 회오리"라고 불리는 이러한 먼지 기둥은 미국 동부 해안까지 도달하여 뉴욕시와 워싱턴 D.C.와 같은 도시를 강타했다. 평원에서는 시야가 약 0.91m 이하로 줄어드는 경우가 흔했다. AP 통신 기자 로버트 E. 가이거는 1935년 4월 14일 "검은 일요일" 검은 눈보라를 목격하기 위해 오클라호마주 보이시 시티에 있었다. AP 통신의 캔자스시티 뉴스 편집자 에드워드 스탠리는 가이거의 뉴스 기사를 다시 쓰면서 "더스트볼"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9][10]더스트볼의 가뭄과 침식은 텍사스 팬핸들과 오클라호마 팬핸들을 중심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뉴멕시코주, 콜로라도주, 캔자스주의 인접 지역에도 영향을 미쳤다.[11] 더스트볼은 저당금을 지불하거나 농작물을 재배할 수 없었던 수만 명의 빈곤한 가정이 농장을 버리도록 강요했으며, 1936년까지 손실은 하루 2500만달러에 달했다.[12] 이들 가정 중 많은 수는, 대부분 오클라호마 출신이었기 때문에 "오키"라고 불렸으며, 캘리포니아주와 다른 주로 이주했지만, 대공황으로 인해 그곳의 경제 상황이 자신들이 떠나온 곳보다 별로 나아지지 않았음을 알게 되었다.
대공황에 더해 이 재해의 피해를 입으면서, 텍사스주, 아칸소주, 오클라호마주 등 그레이트플레인스에서는 많은 지역에서 농업이 붕괴되었고, 농민들은 농촌을 떠날 수밖에 없었다. 350만 명이 이주했고, 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찾아 캘리포니아주 등 서부로 이주했다.
오클라호마주에서는 인구의 15%가 캘리포니아주뿐만 아니라 텍사스주, 캔자스주, 뉴멕시코주로 이주했다. 오클라호마주 출신 이주민들은 최소 30만 명에서 40만 명으로 추산된다. 그들은 "오키(Okie)"라고 불렸고, 이 명칭은 현재에도 여전히 경멸적인 뉘앙스로 사용된다.
5. 정부의 대응
더스트 볼 재난은 정부의 토지 관리 및 토양 보전 정책 참여를 크게 확대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여러 단체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재난에 대응했는데, 토양보전청은 상세한 토양 지도를 작성하고 항공 사진을 촬영하여 피해 지역을 파악했다. 미국산림청은 프레리 주립 조림 프로젝트를 통해 사유지에 방풍림을 조성하여 토양 침식을 줄이고자 했다. 재정착 행정부는 평원의 건조한 지역에 거주하는 소규모 농장 소유주들이 다른 토지로 이주하도록 장려했다.[27]
5. 1. 주요 정책
프랭클린 D. 루즈벨트 대통령은 1933년 취임 후 100일 동안 국가의 생태적 균형을 회복하고 토양 보전을 위한 프로그램을 신속하게 시작했다.[42] 1933년 8월, 해럴드 L. 아이크스 내무장관은 휴 해먼드 베넷을 중심으로 토양 침식 서비스를 설립했다. 이 기관은 1935년에 미국 농무부로 이관되어 토양 보전청으로 재편되었으며, 현재는 자연자원보전청(NRCS)으로 알려져 있다.[42]뉴딜 정책의 일환으로, 1936년 의회는 토양 보전 및 국내 할당법을 통과시켜 토지 소유주들이 정부 보조금을 농장 노동자들과 공유하도록 했다. 이 법은 농산물과 농민들이 구매하는 상품의 가격 평등에서 농촌과 비농촌 인구의 소득 평등으로 평등 목표를 전환했다.[43]
정부는 농업 조정법(AAA)에 따라 가격 안정을 위해 농민들에게 돈을 지불하고 600만 마리 이상의 돼지를 도살하도록 명령했다. 연방 잉여 구제 공사(FSRC)는 잉여 농작물을 규제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루즈벨트는 1935년 5월 14일 AAA에 대한 연설에서 가뭄 상황과 정부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강조했다.[44] FSRC는 잉여 농산물을 구호 단체에 제공했으며, 빈곤층을 위해 면화 제품도 추가했다.[45]
1935년, 연방 정부는 가뭄 구제 서비스(DRS)를 설립하여 구호 활동을 조정했다. DRS는 비상 지역 카운티에서 소를 매입하고, 부적합한 동물은 도살했으며, 나머지는 FSRC에 배정하여 전국 가정에 식량을 공급했다.[46]
루즈벨트는 시민보존단에 대평원 방풍림을 조성하도록 지시하여 바람을 막고 토양을 보호했다. 또한, 농부들에게 윤작, 등고선 경작 등 토양 보전 기술 교육을 시작했다.[47][48] 1937년, 정부는 토양 보전 방법을 채택하는 농부들에게 에이커당 1USD를 지불하는 운동을 시작했다. 1938년까지 날리는 토양의 양이 65% 감소했으며,[45] 1939년 가을, 규칙적인 강우로 가뭄이 종료되었다.
가뭄 종료 후에도 정부는 보전 방법의 지속적인 사용을 장려했으며, 시행된 프로그램들은 농민과 연방 정부 간의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데 기여했다.[49]
대통령 가뭄 위원회는 1935년에 1934년부터 1935년 중반까지 정부의 농업 지원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했다.[50]
5. 2. 보전 노력의 성과와 한계
프랭클린 D. 루즈벨트 대통령 취임 후, 정부는 토양 보전과 생태계 복원을 위한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1933년, 휴 해먼드 베넷 아래 토양 침식 서비스가 설립되었고, 1935년에는 농무부 산하 토양 보전청으로 개편되었다. 현재는 자연자원보전청(NRCS)으로 알려져 있다.[42]뉴딜 정책의 일환으로 1936년 토양 보전 및 국내 할당법이 통과되어 토지 소유주들이 정부 보조금을 농장 노동자들과 공유하도록 했다. 이 법은 농촌과 비농촌 인구 간 소득 평등을 목표로 했다.[43]
정부는 농업 조정법(AAA)에 따라 가격 안정을 위해 농민들에게 돈을 지불하고 600만 마리 이상의 돼지를 도살하도록 했다. 연방 잉여 구제 공사(FSRC)는 잉여 농산물을 구호 단체에 분배했다.[44] 가뭄 구제 서비스(DRS)는 소를 매입하여 도살하거나 FSRC에 배정하여 식량을 배포했다.[46]
시민보존단은 캐나다에서 텍사스주 애빌린까지 2억 그루가 넘는 나무를 심는 대평원 방풍림 사업을 진행했다. 또한, 농부들에게 토양 보전 기술 교육을 실시했다.[47][48] 1938년까지 날리는 토양의 양이 65% 감소했지만, 토지는 여전히 제대로 된 생계를 제공하지 못했다.[45] 1939년 가을, 가뭄이 끝나고 강우가 돌아오면서 상황이 개선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노력은 농민과 정부 간의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데 기여했다.[49] 대통령 가뭄 위원회는 1935년에 정부 지원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했다.[50]
6. 장기적인 경제적 영향
1930년대 말까지 많은 지역에서 표토의 75% 이상이 날아갔으며, 토지 황폐화는 지역에 따라 크게 달랐다. 먼지폭풍은 토양 침식으로 인한 단기적인 경제적 결과 외에도 심각한 장기적인 경제적 결과를 초래했다.[51]
농지 가치 하락과 작물 전환의 어려움 외에도, 먼지 폭풍의 장기적인 영향에 대해서는 다른 관점들이 존재한다. 패트릭 앨리트는 동료 역사가 도널드 워스터가 1970년대 중반 먼지폭풍 피해가 가장 심했던 지역을 재방문했을 때, 자본 집약적인 농업으로 인해 상황이 바뀌었다고 평가했다고 전한다. 그러나 워스터는 이러한 변화가 지속 불가능한 방식이라고 비판했다.[53] 반면 역사가 매슈 보니필드는 먼지폭풍의 장기적인 의미를 "고난과 역경을 견뎌내고 극복하는 인간 정신의 승리"라고 주장했다.[54]
2023년 "경제사 저널"의 한 연구는 먼지폭풍이 농지에 크고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평균 임금 소득에는 미미한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발견했다.[55]
6. 1. 농지 가치 하락
1940년까지 침식이 가장 심했던 지역의 농지 가치는 더 크게 하락했다. 침식이 심한 지역의 농지 1에이커당 가치는 침식이 적은 지역에 비해 28% 감소했고, 침식이 중간 정도인 지역은 17% 감소했다.[51] 장기적으로도 농지 가치는 먼지폭풍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침식이 심한 지역에서는 원래 농업 손실의 25% 미만만 회복되었다. 경제는 주로 1930년대와 1950년대를 거치면서 침식이 심한 지역의 상대적으로 큰 인구 감소를 통해 조정되었다.[51]농민들이 침식이 심한 지역에 더 적합한 작물로 전환하지 못한 것은 경제적 영향이 지속된 이유 중 하나이다. 표토량이 감소했기 때문에 곡물과 밀에서 가축과 건초로 전환하는 것이 더 생산적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대공황 기간과 적어도 1950년대까지 침식이 심한 지역에서 생산성이 떨어진 활동으로부터 농지의 상대적인 조정은 제한적이었다.
토지 이용 변화의 이점에 대한 무지, 평원 주(州)의 은행 파산율 증가로 인한 신용 부족 등은 농민들이 더 생산적인 농산물로 전환하지 못한 이유 중 일부이다. 먼지폭풍 지역에서는 다른 지역보다 은행 파산율이 더 높았기 때문에 농민들은 작물 생산을 전환하는 데 필요한 자본을 얻을 수 있는 신용을 얻을 수 없었다.[52] 가축이나 건초의 이윤은 여전히 미미했고, 농민들은 처음에는 작물을 바꿀 인센티브가 거의 없었다.
패트릭 앨리트는 동료 역사가 도널드 워스터가 1970년대 중반 먼지폭풍 피해가 가장 심했던 지역을 다시 방문했을 때의 반응을 다음과 같이 전한다.
자본 집약적인 농업이 그 광경을 바꿔놓았다. 대수층으로 깊이 파고든 우물, 집약적인 관개, 인공 살충제와 비료의 사용, 그리고 거대한 수확기가 비가 오든 오지 않든 매년 엄청난 농작물을 생산하고 있었다. 그가 인터뷰한 농부들에 따르면 기술이 오래된 문제에 대한 완벽한 해결책을 제공했으며, 과거의 나쁜 시절은 다시 오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반면 워스터의 관점에서는 이 광경은 미국의 자본주의적 첨단 기술 농부들이 아무것도 배우지 못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들은 지속 불가능한 방식으로 계속 일하고 있으며, 궁극적인 소비자에게 되돌아갈 수 있는 에너지보다 훨씬 저렴한 보조금 지원 에너지를 식량 생산에 사용하고 있었다.영어[53]
워스터의 비관론과는 대조적으로, 역사가 매슈 보니필드는 먼지폭풍의 장기적인 의미는 "고난과 역경을 견뎌내고 극복하는 인간 정신의 승리"라고 주장했다.[54]
2023년 "경제사 저널"의 한 연구는 먼지폭풍이 농지에 크고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평균 임금 소득에는 미미한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발견했다.[55]
6. 2. 작물 전환의 어려움
1930년대 말, 많은 지역에서 표토의 75% 이상이 사라졌다. 토지 황폐화는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먼지폭풍은 토양 침식으로 인한 단기적, 장기적 경제적 결과를 초래했다.[51]1940년까지 침식이 가장 심했던 지역의 농지 가치는 크게 하락했다. 침식이 심한 지역의 농지 1에이커당 가치는 침식이 적은 지역에 비해 28% 감소했고, 침식이 중간 정도인 지역은 17% 감소했다.[51] 장기적으로도 농지 가치는 먼지폭풍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침식이 심한 지역에서는 원래 농업 손실의 25% 미만만 회복되었다. 경제는 주로 1930년대와 1950년대를 거치면서 침식이 심한 지역의 인구 감소를 통해 조정되었다.[51]
농민들이 침식이 심한 지역에 더 적합한 작물로 전환하지 못한 것은 경제적 영향이 지속된 이유 중 하나이다. 표토량이 감소했기 때문에 곡물과 밀에서 가축과 건초로 전환하는 것이 더 생산적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대공황 기간과 적어도 1950년대까지 생산성이 떨어진 활동으로부터 농지의 상대적인 조정은 제한적이었다.
농민들이 더 생산적인 농산물로 전환하지 못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 토지 이용 변화의 이점에 대한 무지
- 평원 주(州) 은행 파산율 증가로 인한 신용 부족: 먼지폭풍 지역은 다른 지역보다 은행 파산율이 높아 농민들이 작물 생산 전환에 필요한 자본을 얻기 어려웠다.[52]
- 가축이나 건초의 낮은 이윤: 농민들이 작물을 바꿀 인센티브가 부족했다.
패트릭 앨리트는 동료 역사가 도널드 워스터가 1970년대 중반 먼지폭풍 피해가 가장 심했던 지역을 다시 방문했을 때의 반응을 다음과 같이 전한다.
> 자본 집약적인 농업이 그 광경을 바꿔놓았다. 대수층으로 깊이 파고든 우물, 집약적인 관개, 인공 살충제와 비료의 사용, 그리고 거대한 수확기가 비가 오든 오지 않든 매년 엄청난 농작물을 생산하고 있었다. 그가 인터뷰한 농부들에 따르면 기술이 오래된 문제에 대한 완벽한 해결책을 제공했으며, 과거의 나쁜 시절은 다시 오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반면 워스터의 관점에서는 이 광경은 미국의 자본주의적 첨단 기술 농부들이 아무것도 배우지 못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들은 지속 불가능한 방식으로 계속 일하고 있으며, 궁극적인 소비자에게 되돌아갈 수 있는 에너지보다 훨씬 저렴한 보조금 지원 에너지를 식량 생산에 사용하고 있었다.[53]
워스터의 비관론과는 대조적으로, 역사가 매슈 보니필드는 먼지폭풍의 장기적인 의미는 "고난과 역경을 견뎌내고 극복하는 인간 정신의 승리"라고 주장했다.[54]
2023년 "경제사 저널"의 한 연구는 먼지폭풍이 농지에 크고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평균 임금 소득에는 미미한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발견했다.[55]
7. 예술과 문화에 미친 영향
이 위기는 사진작가, 음악가, 작가들에 의해 기록되었는데, 그중 많은 사람들이 대공황 기간에 연방 정부에 고용되었다. 독립 예술가들의 작품 또한 먼지 그릇과 대공황의 위기에 영향을 받았다. 이주민들은 그들이 가는 곳마다 음악 문화에 영향을 미쳤는데, 특히 오클라호마 이주민들은 전통적인 컨트리 음악을 캘리포니아로 가져왔다. 오늘날 "베이커스필드 사운드"는 이주민들이 컨트리 음악을 도시로 가져온 후 발전한 이러한 융합을 설명하는 용어이다. 그들의 새로운 음악은 로스앤젤레스 남쪽까지 많은 컨트리 댄스홀의 확산을 불러일으켰다.
2003년~2005년 HBO TV 시리즈 ''카니발''은 먼지 그릇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7. 1. 주요 작품
농업안보국은 대공황의 위기를 기록하기 위해 사진작가들을 고용했다. 도로시아 랭과 같은 예술가들은 급여를 받는 일을 하면서 도움을 받았다.[56] 그녀는 먼지 폭풍과 이주민 가족들의 모습을 담은 사진들을 촬영했는데, 그 중 가장 유명한 사진은 ''캘리포니아의 빈곤한 완두콩 수확자. 일곱 자녀의 어머니''[56]이다. 이 사진은 수척해 보이는 여성인 플로렌스 오웬스 톰프슨이 세 명의 자녀를 안고 있는 모습으로, 먼지 그릇에 갇힌 사람들의 고난을 표현하고 다른 지역 사람들에게 그 영향과 인적 피해에 대한 인식을 높였다. 그러나 톰프슨은 훗날 사진의 무분별한 유포와 방송으로 인한 수익을 받지 못한 것에 분개했고, 이 사진 때문에 자신이 먼지 그릇의 "오키"로 인식된다고 느꼈다.[57]존 스타인벡은 농업안보국 직원이자 작가인 사노라 밥의 현장 기록에서 많은 부분을 차용하여,[58] 먼지 그릇으로 인해 삶의 터전을 잃은 이주 노동자와 농가에 대한 소설 ''분노의 포도''(1939)를 썼다. 밥의 소설 ''이름 없는 자들''은 1939년에 쓰여졌지만, 스타인벡의 성공에 가려 2004년에야 출판되었다.[59][60][61] 우디 거스리는 1940년 앨범 ''먼지 그릇 발라드''를 통해 대공황 중 먼지 그릇 시대에 오클라호마에서 캘리포니아로 이주한 농부들과 함께 여행하며 그들의 전통 민요와 블루스를 배우면서 얻은 경험을 노래했다. 그는 "먼지 그릇 트루바두르"라는 별명을 얻었다.[62]
2014년 공상과학 영화 ''인터스텔라''는 전 세계 작물에 영향을 미치는 병원균으로 인해 다시 먼지 폭풍이 휩쓸고 있는 황폐해진 21세기 미국을 보여준다. 감독 크리스토퍼 놀란은 1930년대 위기에서 영감을 얻고, 2012년 다큐멘터리 ''더스트 볼''의 인터뷰를 특징으로 하여 더 많은 유사점을 끌어냈다.[63]
2017년, 그랜트 말로이 스미스는 앨범 ''더스트 볼 - 아메리칸 스토리''를 발매했다.[64]
참조
[1]
웹사이트
Did dust storms make the Dust Bowl drought worse?
http://ocp.ldeo.colu[...]
2018-11-09
[2]
웹사이트
Drought: A Paleo Perspective – 20th Century Drought
http://www.ncdc.noaa[...]
National Climatic Data Center
2009-04-05
[3]
웹사이트
A History of Drought in Colorado: lessons learned and what lies ahead
http://ccc.atmos.col[...]
Colorado Water Resources Research Institute
2000-02
[4]
웹사이트
A Report of the Great Plains Area Drought Committee
http://newdeal.feri.[...]
Hopkins Papers, Franklin D. Roosevelt Library
1936-08-27
[5]
웹사이트
The Great Plains: from dust to dust
http://www.planning.[...]
Planning Magazine
1987-12
[6]
서적
Regions at Risk: a comparison of threatened environments
http://www.unu.edu/u[...]
United Nations University Press
2007-12-06
[7]
서적
Drought in the Dust Bowl Years
http://drought.unl.e[...]
National Drought Mitigation Center
2007-12-06
[8]
웹사이트
The American Experience: Drought
https://www.pbs.org/[...]
PBS
2015-03-15
[9]
웹사이트
The Black Sunday Dust Storm of 14 April 1935
http://www.srh.noaa.[...]
National Weather Service
2010-08-24
[10]
서적
The American Language
Alfred A. Knopf
[11]
서적
A History of Us: War, Peace and all that Jazz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12-22
[12]
영상매체
Bust: America – The Story of Us
A&E Television Networks
[13]
웹사이트
Northern Rockies and Plains Average Temperature – October to March
http://www.ncdc.noaa[...]
National Climatic Data Center
2014-09-17
[14]
웹사이트
Northern Rockies and Plains Precipitation, 1895–2013
http://www.ncdc.noaa[...]
National Climatic Data Center
2014-09-17
[15]
웹사이트
Kansas Precipitation 1895 to 2013
http://www.ncdc.noaa[...]
National Climatic Data Center
2014-09-17
[16]
웹사이트
Texas Climate Division 1 (High Plains): Precipitation 1895–2013
http://www.ncdc.noaa[...]
National Climatic Data Center
2014-09-17
[17]
웹사이트
The Weather of 1941 in the United States
https://journals.ame[...]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09-14
[18]
서적
Areas of Intense Drought Distress, 1930–1936
https://fraser.stlou[...]
U.S. Works Progress Administration / Federal Reserve Archival System for Economic Research (FRASER)
1937-01
[19]
간행물
The Drought of 1934
https://fraser.stlou[...]
U.S. Drought Coordinating Committee / Federal Reserve Archival System for Economic Research (FRASER)
1935-07-15
[20]
웹사이트
Surviving the Dust Bowl
https://web.archive.[...]
2011-09-19
[21]
서적
Main Street in Crisis: The Great Depression and the Old Middle Class on the Northern Plains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2]
웹사이트
Dust Bowl: Causes, Definition & Years
https://www.history.[...]
2023-04-24
[23]
뉴스
If It Rains ...
https://tile.loc.gov[...]
W.D. Wallach & Hope
1935-04-15
[24]
뉴스
Nearly week siege of dust storm in county
https://collections2[...]
1935-03-21
[25]
간행물
On the Cause of the 1930s Dust Bowl
https://www.science.[...]
2004-03-19
[26]
간행물
Would Advance Knowledge of 1930s SSTs Have Allowed Prediction of the Dust Bowl Drought?
2008-07-01
[27]
간행물
What we learned from the Dust Bowl: lessons in science, policy, and adaptation
2014-06
[28]
서적
A Cultural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 The 1930s
Lucent Books, Inc.
[29]
영상매체
American Plenty
BBC
[30]
웹사이트
First Measured Century: Interview:James Gregory
https://www.pbs.org/[...]
Public Broadcasting Service (PBS)
2007-03-11
[31]
서적
On the Dirty Plate Trail
University of Texas Press
[32]
서적
A Cultural History
[33]
서적
Nature, Class, and New Deal Literature: The Country Poor in the Great Depress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09-23
[34]
서적
Dust Bowl: The Southern Plains in the 1930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35]
서적
Dust Bowl – The Southern Plains in the 1930s
Oxford University Press
[36]
웹사이트
First Measured Century: Interview:James Gregory
https://www.pbs.org/[...]
PBS
2007-03-11
[37]
서적
Dust Bowl
2004
[38]
논문
Refugees from Dust and Shrinking Land: Tracking the Dust Bowl Migrants
2018
[39]
서적
American Exodus: The Dust Bowl Migration and Okie Culture in California
Oxford University Press
1991
[40]
서적
On the Dirty Plate Trail
2007
[41]
논문
The Enduring Impact of the American Dust Bowl: Short and Long-run Adjustments to Environmental Catastrophe
http://nrs.harvard.e[...]
2018-11-09
[42]
서적
The Living Landscape, Second Edition: An Ecological Approach to Landscape Planning
Island Press
2008
[43]
서적
Agricultural Policy and Trade Liberalization in the United States, 1934–1956; a Study of Conflicting Policies
E. Droz
1957
[44]
간행물
Public Papers of the Presidents of the United States: F.D. Roosevelt, 1935, Volume 4
Best Books
1938
[45]
웹사이트
Timeline: The Dust Bowl | American Experience | PBS
https://www.pbs.org/[...]
2020-10-04
[46]
간행물
Monthly Catalog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38
[47]
서적
Texas
Writers' Program Texas
[48]
서적
Chronicles of Oklahoma
Oklahoma Historical Society
[49]
서적
A Cultural History
1999
[50]
웹사이트
Drought of 1934: The Federal Government's Assistance to Agriculture
https://fraser.stlou[...]
2014-10-15
[51]
논문
The Enduring Impact of the American Dust Bowl: Short and Long-run Adjustments to Environmental Catastrophe
http://nrs.harvard.e[...]
[52]
논문
Droughts, Floods, and Financial Distress in the United States
2009-12
[53]
서적
A Climate of Crisis: America in the Age of Environmentalism
2014
[54]
서적
Dust Bowl: Men, Dirt and Depression
1979
[55]
논문
Dust Bowl Migrants: Environmental Refugees and Economic Adaptation
https://www.cambridg[...]
2023
[56]
웹사이트
Destitute Pea Pickers in California: Mother of Seven Children, Age Thirty-two, Nipomo, California. Migrant Mother
http://www.wdl.org/e[...]
World Digital Library
2013-02-10
[57]
서적
Through Women's Eyes
Bedford/St. Martin's
[58]
웹사이트
The Dust Bowl – Sanora Babb biography
https://www.pbs.org/[...]
PBS
2021-05-02
[59]
웹사이트
Whose Names Are Unknown: Sanora Babb
http://www.hrc.utexa[...]
Harry Ransom Center
2015-12-22
[60]
웹사이트
Biographies: Sanora Babb
https://www.pbs.org/[...]
PBS
2016-02-13
[61]
웹사이트
The forgotten Dust Bowl novel that rivaled 'The Grapes of Wrath'
https://www.smithson[...]
2016-05-23
[62]
뉴스
Robert Burns unplugged
http://www.boston.co[...]
2007-12-05
[63]
뉴스
How Ken Burns' surprise role in 'Interstellar' explains the movie
https://www.washingt[...]
2014-11-06
[64]
뉴스
Kingman gets a mention on Dust Bowl album
https://kdminer.com/[...]
2017-06-01
[65]
웹사이트
Expressive Original Songs Steeped In the Dirt & Reality of the Dust Bowl-Depression Era
http://nodepression.[...]
2017-05-22
[66]
문서
田家・2016年
[67]
문서
田家・2016年
[68]
뉴스
『インターステラー』の世界は、現実に起こりうる?
https://wired.jp/201[...]
2014-1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