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후쿠이랍토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쿠이랍토르는 일본 후쿠이현에서 발견된 수각류 공룡으로, 부분 골격 화석을 통해 처음 알려졌다. 발견 당시에는 드로마에오사우루스과로 분류되었으나, 이후 메갈랍토르류로 재분류되었다. 특징적으로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과와 티라노사우루스과와 유사한 이빨 구조와 큰 발톱을 가지고 있다. 키타다니 층에서 발견된 다른 공룡들과 함께 서식했으며, 현재는 메가랍토라과 또는 티라노사우루스류로 분류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화석 - 브리그모파이세터
    브리그모파이세터는 약 1400만~1500만 년 전 미오세에 살았던 멸종된 포식성 향유고래 속으로, 강력한 턱과 에나멜 이빨을 가졌으며 해양 포유류 등을 사냥한 범고래와 유사한 생태적 지위를 가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 일본의 화석 - 오토두스 앵거스티덴스
    오토두스 앵거스티덴스는 올리고세와 마이오세에 살았던 멸종된 상어 종으로, 백상아지와 비슷하지만 더 크고 톱니 모양의 이빨을 가진 강력한 포식자였으며, 메갈로돈과 관련이 있고 전 세계에서 화석이 발견되지만 한반도에서는 현재 서식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 티라노사우루스상과 - 티라노사우루스과
    티라노사우루스과는 백악기 후기에 번성했던 거대한 육식 공룡 무리로, 강력한 턱과 작은 앞다리를 특징으로 하며, 알베르토사우루스아과와 티라노사우루스아과로 나뉘고, 북아메리카와 아시아에 주로 분포했다.
  • 티라노사우루스상과 - 아에로스테온
    아에로스테온은 산토니안절에 살았던 몸길이 7.5~9m의 대형 육식 공룡으로, 초기에는 여러 분류군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여겨졌으나 이후 메가랍토라를 거쳐 티라노사우루스상과로 재분류되었으며, 뼈의 기낭화 구조를 통해 조류와 유사한 호흡 방식을 가졌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 2000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제노스밀루스
    제노스밀루스는 초기 플라이스토세 시대 북미에 살았던 멸종된 고양이과 동물로, 튼튼한 체격과 독특한 송곳니 형태를 지니며 사회적 동물이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 2000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레페노마무스
    레페노마무스는 백악기 전기에 살았던 세첨치아목 트라이코노돈트 포유류로, 랴오닝성 이셴 층에서 발견되었으며, 특히 R. robustus 화석에서 어린 프시타코사우루스 골격이 발견되어 중생대 포유류가 육식성이었음을 보여준다.
후쿠이랍토르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재구성된 골격
재구성된 골격
생물학적 분류
화석 범위백악기 전기,
학명Fukuiraptor
명명자아즈마 & 커리, 2000
타입 종Fukuiraptor kitadaniensis
타입 종 명명자아즈마 & 커리, 2000
분류
상위 분류수각아목
아목 계급 없음조비류
하목테타누라하목
하목 계급 없음코엘로사우루스류?
상과 계급 없음메가랍토라상과
하위 분류F. kitadaniensis 아즈마 & 커리, 2000 (모식종)
기타 정보
발견 장소기타다니층

2. 역사

복원된 골격과 홀형 화석 (오른쪽 하단)


모식 표본(FPDM-V97122)은 후쿠이현 카츠야마시 인근 키타다니 층 채석장에서 발견된 부분 골격이다. 이 표본은 성체가 아니었으며 성체는 더 컸을 것으로 추정된다. 채석장에서는 이 종에 속하는 다수의 상완골, 대퇴골, 이빨을 포함한 다른 개체의 유해가 많이 발견되었다.[3] 같은 지역에서 발견된 다른 개체들은 대부분 모식 표본보다 작은 유체(Currie & Azuma, 2006)였으며, 가장 작은 경우는 모식 표본 크기의 1/4 미만이었다. 세바야시 층의 역암 블록에서 발견된 이빨(NDC-P0001)도 후쿠이랍토르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진다.[4]

3. 특징

후쿠이랍토르의 크기 비교 (사람과 비교)


가늘고 긴 발가락뼈에서 알 수 있듯이, ''후쿠이랍토르''는 성체 여부에 관계없이 비교적 가볍게 만들어진 동물이었다.[1] 미성숙 홀로타입은 처음에 길이가 4.2m, 무게는 175kg으로 추정되었다.[1] 2010년 그레고리 폴은 길이를 5m, 무게를 300kg으로 추정했다.[5] 2016년 몰리나-페레즈와 라라멘디는 길이 4.3m, 무게 590kg으로 추정했다.[7]

''후쿠이랍토르''의 독특한 이빨은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과 (매우 압축되고 칼날 모양이며 주름진 에나멜질을 가지고 있음)와 티라노사우루스과 (톱니 근처에 사선 혈액 홈이 있음) 모두와 유사성을 보인다.[3] 홀로타입은 또한 매우 크고 평평한 수동 발톱(손톱)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드로마에오사우루스과로 처음 분류되는 데 기여했을 뿐만 아니라 (손톱이 발톱으로 오인되었기 때문에) 현재 메가랍토라로 분류되는 데에도 기여했다.[8]

4. 분류

후쿠이랍토르는 처음에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로 여겨졌으나, 이후 알로사우루스와 가까운 카르노사우루스류로 분류되었다. 최근 연구들은 후쿠이랍토르를 메가랍토라과로 분류하며, 이들은 네오베나토르과의 일부였을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분석에서는 모든 메가랍토라가 티라노사우루스상과이며, 후쿠이랍토르를 티라노사우루스류 공룡류로 재분류할 것을 제안한다.[9] 또 다른 분석에서는 후쿠이랍토르와 다른 메가랍토란이 알로사우루스상과이거나 티라노사우루스류가 아닌 기초적인 공룡류일 가능성을 제시한다.[10]

4. 1. 계통

처음 발견되었을 때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의 일원으로 여겨졌지만, 최초 기술자들은 이를 카르노사우루스류로, ''알로사우루스''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간주했다. 최근 연구에서는 수수께끼의 집단인 메가랍토라과에 속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들은 네오베나토르과의 일부였을 수 있다.[8] 그러나 최근 또 다른 분석에서는 모든 메가랍토라가 실제로 티라노사우루스류이며, 이에 따라 ''후쿠이랍토르''를 티라노사우루스류 공룡류로 재분류할 것이라고 제안했다.[9] 수각류 ''괄리초''에 대한 최근의 분지학적 분석은 ''후쿠이랍토르''와 다른 메가랍토란이 알로사우루스상과이거나 티라노사우루스류가 아닌 기초적인 공룡류일 가능성을 시사했다.[10]

''후쿠이랍토르''가 호주의 메가랍토란인 ''오스트랄로베나토르''와 가까운 친척이라는 주장이 있었지만,[11] 이후 연구에서는 ''오스트랄로베나토르''를 다른 파생된 남미 분류군과 함께 메가랍토르과 메가랍토란으로 분류하는 반면, ''후쿠이랍토르''는 메가랍토르과 밖의 메가랍토란으로 남아있다.[12]

2018년 Delcourt와 Grillo에 따른 메가랍토라에서 ''후쿠이랍토르''의 위치를 재구성한 분기도는 다음과 같다.[12]

{| class="wikitable"

|-

! 메갈랍토르류

|-

|

{| class="wikitable"

|-

|
후쿠이랍토르


|-

! 메갈랍토르과

|-

|

{| class="wikitable"

|-

|
무루스랍토르


|-

|

트라타이에니아
메갈랍토르
오르코랍토르
아에로스테온
오스트랄로베나토르



|}

|}

|}

Rolando 등의 연구에 의한(2022) 분기도는 다음과 같다.[30]

{| class="wikitable"

|-

! 메갈랍토르류

|-

|

{| class="wikitable"

|-

| 푸이안구베나토르

|-

|

{| class="wikitable"

|-

| 바유랍토르

|-

| 후쿠이랍토르

|-

! 메갈랍토르과

|-

|

{| class="wikitable"

|-

| Australian megaraptorid indet. (LRF 10/106)

|-

|

{| class="wikitable"

|-

|

오스트랄로베나토르


|-

! 계통군A

|-

|

{| class="wikitable"

|-

| 아오니랍토르

|-

|

{| class="wikitable"

|-

| Bajo Barreal Formation megaraptorid indet. (UNPSJB-Pv 944/958)

|-

|

{| class="wikitable"

|-

| 메갈랍토르

|-

|

{| class="wikitable"

|-

| --

|-

! 계통군B

|-

|

--
트라타이에니아
마이푸
--



|}

|}

|}

|}

|}

|}

|}

|}

5. 고생태

키타다니 층에서 발견된 비조류 공룡들의 층서적 위치


후쿠이랍토르 화석이 발견된 키타다니 층에서는 다른 척추동물 화석들도 보존되어 있다.[1] 이 지층에서 화석이 발견되어 이름이 붙여진 종으로는 조반류 후쿠이사우루스 테토렌시스[13], 용각류 후쿠이티탄 니포넨시스[14], 하드로사우루스류 코시사우루스 카츠야마[15], 수각류 후쿠이베나토르 파라독수스[16], 조류 후쿠이프테릭스 프리마[17] 등이 있다.

참조

[1] 논문 A new carnosaur (Dinosauria: Theropoda) from the Lower Cretaceous of Japan http://doc.rero.ch/r[...] 2000
[2] 웹사이트 A tooth of Fukuiraptor aff. F. kitadaniensis from the Lower Cretaceous Sebayashi Formation, Sanchu Cretaceous, Japan: 東京学芸大学リポジトリ http://ir.u-gakugei.[...] 2020-10-09
[3] 논문 New specimens, including a growth series, of ''Fukuiraptor'' (Dinosauria, Theropoda) from the Lower Cretaceous Kitadani Quarry of Japan https://www.research[...]
[4] 논문 A tooth of Fukuiraptor aff. F. kitadaniensis from the Lower Cretaceous Sebayashi Formation, Sanchu Cretaceous, Japan https://www.research[...] 2009
[5] 서적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6] 논문 Rates of Dinosaur Body Mass Evolution Indicate 170 Million Years of Sustained Ecological Innovation on the Avian Stem Lineage https://journals.plo[...] 2014-05-06
[7] 서적 Récords y curiosidades de los dinosaurios Terópodos y otros dinosauromorfos Larousse
[8] 논문 A new clade of archaic large-bodied predatory dinosaurs (Theropoda: Allosauroidea) that survived to the latest Mesozoic https://www.research[...] 2010
[9] 논문 Megaraptorans as members of an unexpected evolutionary radiation of tyrant-reptiles in Gondwana http://www.ameghinia[...]
[10] 논문 An Unusual New Theropod with a Didactyl Manus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Patagonia, Argentina 2016-07-13
[11] 논문 A New Megaraptoran Dinosaur (Dinosauria, Theropoda, Megaraptoridae) from the Late Cretaceous of Patagonia 2016-07-20
[12] 논문 Tyrannosauroids from the Southern Hemisphere: Implications for biogeography, evolution, and taxonomy https://www.scienced[...] 2018-12-15
[13] 논문 A new iguanodontian (Dinosauria: Ornithopoda) from the Lower Cretaceous Kitadani Formation of Fukui Prefecture, Japan http://dx.doi.org/10[...] 2003-04-11
[14] 논문 Fukuititan nipponensis, A New Titanosauriform Sauropod from the Early Cretaceous Tetori Group of Fukui Prefecture, Japan https://onlinelibrar[...] 2010
[15] 논문 New basal hadrosauroid (Dinosauria: Ornithopoda) from the Lower Cretaceous Kitadani Formation, Fukui, central Japan https://www.mapress.[...]
[16] 논문 A bizarre theropod from the Early Cretaceous of Japan highlighting mosaic evolution among coelurosaurians 2016-02-23
[17] 논문 An unusual bird (Theropoda, Avialae) from the Early Cretaceous of Japan suggests complex evolutionary history of basal birds 2019-11-14
[18] 웹사이트 Coelurosauria https://theropoddata[...] 2023-12-14
[19] 논문 A new carnosaur (Dinosauria: Theropoda) from the Lower Cretaceous of Japan 2000
[20] 웹사이트 フクイラプトルという学名になりました https://www.dinosaur[...] 福井県立恐竜博物館 2020-06-27
[21] 논문 New specimens, including a growth series, of ''Fukuiraptor'' (Dinosauria, Theropoda) from the Lower Cretaceous Kitadani Quarry of Japan https://www.research[...]
[22] 논문 A tooth of ''Fukuiraptor'' aff. ''F. kitadaniensis'' from the Lower Cretaceous Sebayashi Formation, Sanchu Cretaceous, Japan https://hdl.handle.n[...] Academic Information Committee, Tokyo Gakugei University
[23] 웹사이트 神流町恐竜センター 標本データベース http://data.dino-nak[...] 神流町恐竜センター 2022-10-14
[24] 서적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5] 서적 Récords y curiosidades de los dinosaurios Terópodos y otros dinosauromorfos Larousse
[26] 논문 A new clade of archaic large-bodied predatory dinosaurs (Theropoda: Allosauroidea) that survived to the latest Mesozoic https://www.research[...] 2010
[27] 논문 Megaraptorans as members of an unexpected evolutionary radiation of tyrant-reptiles in Gondwana http://www.ameghinia[...]
[28] 논문 An Unusual New Theropod with a Didactyl Manus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Patagonia, Argentina 2016-07-13
[29] 논문 Tyrannosauroids from the Southern Hemisphere: Implications for biogeography, evolution, and taxonomy https://www.scienced[...] 2018-12-15
[30] 논문 A large Megaraptoridae (Theropoda: Coelurosauria) from Upper Cretaceous (Maastrichtian) of Patagonia, Argentina https://www.nature.c[...] 2022-04-26
[31] 논문 A new iguanodontian (Dinosauria: Ornithopoda) from the Lower Cretaceous Kitadani Formation of Fukui Prefecture, Japan https://doi.org/10.1[...] 2003-04-11
[32] 논문 Fukuititan nipponensis, A New Titanosauriform Sauropod from the Early Cretaceous Tetori Group of Fukui Prefecture, Japan https://onlinelibrar[...] 2010
[33] 논문 New basal hadrosauroid (Dinosauria: Ornithopoda) from the Lower Cretaceous Kitadani Formation, Fukui, central Japan https://www.mapress.[...]
[34] 웹사이트 福井県勝山市で新種恐竜化石発見 学名は「ティラノミムス・フクイエンシス」 9月9日から福井県立恐竜博物館で展示 {{!}} 社会 {{!}} 福井のニュース https://www.fukuishi[...] 2024-03-15
[35] 논문 A bizarre theropod from the Early Cretaceous of Japan highlighting mosaic evolution among coelurosaurians https://www.nature.c[...] 2016-02-23
[36] 논문 An unusual bird (Theropoda, Avialae) from the Early Cretaceous of Japan suggests complex evolutionary history of basal birds https://www.nature.c[...] 2019-1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