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드노라아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드노라아과는 잎이 없는 완전기생식물로, 숙주 식물의 뿌리에 기생하며, 지하 또는 지상에서 개화한다. 꽃은 악취로 곤충을 유인하여 수분하며, 열매는 다육질이고 씨앗을 많이 포함한다. 히드노라아과는 히드노라속과 프로소판케속으로 나뉘며,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 아라비아 반도, 중남미 등지에 분포한다. 계통 분류상 쥐방울덩굴과에 속하며, 쥐방울덩굴아과로 분류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52년 기재된 식물 - 미라클프루트
미라클프루트는 서아프리카 원산의 관목으로, 열매 속 미라큘린이라는 당단백질 때문에 신맛이나 쓴맛을 단맛으로 바꾸는 특징을 지니며, 식용 외 야자술 감미료나 맥주, 칵테일 향료 등으로 쓰인다. - 1852년 기재된 식물 - 나비난초
나비난초는 한국과 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깊은 산 속에서 자라며 붉은 자색 꽃을 피우고 관상용으로 재배되며, 특히 일본에서 많은 사랑을 받는 품종 개량이 활발한 식물이다. - 쥐방울덩굴과 - 족도리풀
족도리풀은 중국, 한반도, 일본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3~5월에 짙은 자줏빛 꽃을 피우며 관상용이나 약재로 사용되지만, 엷은잎족도리풀의 뿌리는 약재로 쓰이는 반면 지상부에는 신장 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성분이 있어 주의해야 한다. - 쥐방울덩굴과 - 개족도리풀
개족도리풀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개요를 작성할 수 없다.
| 히드노라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분포 | |
| 분포 지역 |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아시아의 건조 지역 |
| 분류학적 정보 | |
| 계 | 식물계 |
| 미분류군 | 속씨식물군 |
| 미분류군 | 목련군 |
| 목 | 후추목 |
| 과 | 쥐방울덩굴과 |
| 아과 | 히드노라아과 |
| 학명 | Hydnoroideae Walp., 1852 |
| 모식 속 | 히드노라 Thunb. |
| 속 | 히드노라 프로소판체 |
| 특징 | |
| 기생 | 기생 식물 |
2. 특징
히드노라아과는 잎이 완전히 없는 전(全)기생식물이다.[2][12][13] 줄기의 관다발은 여러 겹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산재 중심주적이다.[12] 물관은 단공을 가진다.[12] 사부의 색소체는 녹말 입자나 단백질 과립을 결여한다.[13] 관다발 형성층에 의한 이차 생장은 하지 않는다.[12]
히드노라아과는 꽃의 악취를 통해 바구미나 시체파리와 같은 곤충을 유인하여 수분한다.[2] 히드노라 아프리카나(Hydnora africana)에는 강한 냄새가 나는 '미끼'가 있으며, 히드노라 요한니스(Hydnora johannis)의 향기는 '쿠쿨루스'라고 불리는 화피 끝 부분에서 발생한다.[2] 꽃은 지상에 있거나 지하에 있을 수 있다.[2] 열매는 식용 가능하고 향긋한 과육을 가지고 있어 호저, 원숭이, 자칼, 코뿔소, 아르마딜로 및 인간과 같은 동물을 끌어들인다.[2]
히드노라아과는 구세계와 신세계(아메리카) 사이에 분리된 분포를 보인다. 알려진 10종의 히드노라 속은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 아라비아 반도의 건조 지역에 분포한다.[29] 이와 대조적으로, 7종의 프로소판체속은 중남미에서 발견된다.[33][34] 히드노라과의 기원은 백악기 후기(9100만 년 전)에, 히드노라속과 프로소판체속의 왕관군(가장 최근의 공통 조상)은 5500만 년 전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27] 현재의 분포를 고려하면 왕관군 나이는 아프리카와 남미 사이의 지각 분열 시기로 거슬러 올라갈 수도 있다.[28]
히드노라아과는 크게 히드노라속과 프로소판케속으로 나뉜다.
2016년 APG IV 분류 체계에서 쥐방울덩굴과에 포함되었으며,[35] 그 이전의 2009년 APG III 분류 체계, 2003년 APG II 분류 체계에서는 별개의 히드노라과(Hydnoraceae)로 다루어졌다.[36][37] 1998년 APG 분류 체계에서는 히드노라과가 인정되지 않았다.[38]
[1]
논문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꽃은 비교적 크고 양성이며 방사대칭이다. 지하부에서 발생하여 지상으로 뻗어 나오지만, 토양 속에서 개화하는 경우도 있다.[2][12][13] 꽃덮이 조각은 3-4(-5)개로, 두껍고 다육질이며, 기부에서 합생한다.[12] 수술은 3-4(-5)개가 1개의 고리에 있고, 꽃덮이와 붙어 있으며, 약은 다수이다.[12][13] 프로소판케 속은 바깥쪽에 1개의 고리의 가수술을 가진다.[12][13] 심피는 3(-4)개로 합생하고, 암술대는 없으며, 암술머리는 1-3개이다.[12][13] 씨방은 1실, 하위자방이며, 측막 태좌(프로소판케 속) 또는 정생 태좌(히드노라 속)이다.[12] 배주는 다수이고 직생배주이며, 주피는 1장으로 퇴화적이며, 두꺼운 주심을 가진다.[12][13]
열매는 다육질로 비열개(히드노라 속) 또는 횡주렬개한다(프로소판케 속).[12][13] 미세(1mm 이하)한 씨앗을 다수(때로는 9만 개) 포함한다.[12][13] 씨앗은 아라비노스나 녹말을 포함하는 내배유를 가지며, 외배유는 얇고, 배는 작고 미분화되어 있다.[12][13] 염색체 수는 n = 12이다.[13]
색소체 DNA는 극히 퇴화적이며 광합성 유전자는 소실되어 24kbp-29kbp 밖에 없다 (일반적인 식물에서는 120kbp-160kbp).[13][14] 일부 종은 약한 발열성을 띠며, 이는 냄새를 퍼뜨리는 수단일 것으로 추정된다.[5]
3. 생태
''히드노라''(Hydnora) 속 식물의 숙주는 일반적으로 대극과에 속하며 ''아카시아'' 속에 속한다.[2] ''프로소판케''(Prosopanche) 속 식물의 숙주는 다양한 종의 ''프로소피스''(Prosopis) 및 기타 콩류가 포함된다. 히드노라속의 숙주는 감람과, 콩과의 자귀나무아과 및 대극속에 한정되지만, 프로소판케속은 더 넓은 숙주 범위를 보인다.[13]
꽃은 악취를 풍기며, 파리목이나 딱정벌레(가죽부인과, 꽃벌레과, 풍뎅이과 등)에 의해 수분된다.[12] 꽃이 발열하는 것도 보고되었으며, 아마 냄새를 강화할 것이다.[13] 꽃에 산란하는 곤충도 있다.[13] 또한 열매는 아마 포유류에게 먹힘으로써 종자가 산포된다.[13]
4. 분포

5. 하위 분류
6. 계통 분류
분자 데이터는 이들을 후추목(Piperales)에 위치시키며, 쥐방울덩굴과(Aristolochiaceae) 내에 포함되고, 후추과(Piperaceae) 또는 삼백초과(Saururaceae)와 관련이 있다.[3][2][9][10] 쥐방울덩굴과 내에서의 위치는 명확하지 않지만, 쥐방울덩굴아과 + 락토리스속의 자매군임이 제시되는 경우가 많다.[13] 하지만 일반적으로 쥐방울덩굴과를 구성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4군(락토리스속, 히드노라아과, 족도리풀아과, 쥐방울덩굴아과)을 각각 독립된 과로 하는 의견도 있다.[21]히드노라과 2022년 현재에는 쥐방울덩굴과에 포함시키는 경우도 많다. 이 경우, 쥐방울덩굴과 히드노라아과로 분류한다. 히드노라아과 * 히드노라속 7종, 아프리카・마다가스카르・아라비아 반도 * 프로소판케속 6종, 코스타리카・남아메리카 남부
참조
[2]
논문
Molecular data place Hydnoraceae with Aristolochiaceae
[3]
논문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4]
논문
The strangest plant in the world
http://journals.co.z[...]
1986-12-01
[5]
논문
Floral thermogenesis of three species of Hydnora (Hydnoraceae) in Africa
2009-07
[6]
문서
The Genus Hydnora
http://www.odu.edu/~[...]
[7]
논문
Detecting and Characterizing the Highly Divergent Plastid Genome of the Nonphotosynthetic Parasitic Plant ''Hydnora visseri'' (Hydnoraceae)
2016-02-01
[8]
문서
List of sequenced plastomes: Flowering plants.
[9]
논문
Mitochondrial DNA suggests at least 11 origins of parasitism in angiosperms and reveals genomic chimerism in parasitic plants
2007-12
[10]
논문
Single-Copy Nuclear Genes Place Haustorial Hydnoraceae within Piperales and Reveal a Cretaceous Origin of Multiple Parasitic Angiosperm Lineages
[11]
웹사이트
"''Hydnoraceae''"
https://powo.science[...]
Kew Botanical Garden
[12]
웹사이트
Hydnoraceae C.A. Agardh
https://www.delta-in[...]
1992 onwards
[13]
웹사이트
Hydnoroideae
http://www.mobot.org[...]
2001 onwards
[14]
웹사이트
葉緑体ゲノム
https://photosyn.jp/[...]
日本光合成学会
[15]
서적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mit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der Nutzpflanzen nebst einer Übersicht über die Florenreiche und Florengebiete der Erde. I. Band: Allgemeiner Teil. Bakterien bis Gymnospermen
[16]
서적
An integrated system of classification of flowering plants
Columbia University Press
[17]
서적
バイオディバーシティ・シリーズ (2) 植物の多様性と系統
裳華房
[18]
서적
植物系統分類の基礎
北隆館
[19]
논문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
[20]
논문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21]
논문
Discordant phylogenomic placement of Hydnoraceae and Lactoridaceae within Piperales using data from all three genomes
[22]
웹사이트
"''Hydnora''"
https://powo.science[...]
Kew Botanical Garden
[23]
웹사이트
"''Prosopanche''"
https://powo.science[...]
Kew Botanical Garden
[24]
문서
Walpers, Wilhelm Gerhard. Annales Botanices Systematicae 3: 513. 1852.
[25]
논문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26]
문서
Rafaël Govaerts (ed.): Hysnoraceae - Data Sheet at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of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Royal Botanic Gardens, Kew.
[27]
논문
Single-Copy Nuclear Genes Place Haustorial Hydnoraceae within Piperales and Reveal a Cretaceous Origin of Multiple Parasitic Angiosperm Lineages
https://journals.plo[...]
[28]
논문
Discordant Phylogenomic Placement of Hydnoraceae and Lactoridaceae Within Piperales Using Data From All Three Genomes
https://www.frontier[...]
[29]
논문
A taxonomic revision of the genus Hydnora (Hydnoraceae)
https://www.biorxiv.[...]
[30]
웹인용
Prosopanche de Bary {{!}} Plants of the World Online {{!}} Kew Science
http://powo.science.[...]
2024-06-10
[31]
논문
The First Plastid Genome of the Holoparasitic Genus Prosopanche (Hydnoraceae)
https://www.mdpi.com[...]
[32]
논문
Detecting and Characterizing the Highly Divergent Plastid Genome of the Nonphotosynthetic Parasitic Plant Hydnora visseri (Hydnoraceae)
https://academic.oup[...]
[33]
논문
Taxonomy and Natural History of Hydnora (Hydnoraceae)
https://scholarship.[...]
[34]
웹인용
Prosopanche de Bary {{!}} Plants of the World Online {{!}} Kew Science
http://powo.science.[...]
2024-06-10
[35]
논문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https://academic.oup[...]
[36]
논문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https://academic.oup[...]
[37]
논문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
https://academic.oup[...]
[38]
논문
An Ordinal Classification for the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http://www.bergians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