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저는 몸 전체에 가시가 덮여 있는 대형 설치류이다. 이탈리아, 북아프리카,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 분포하며, 야행성으로 일부일처제 생활을 한다. 가시를 세우거나 흔드는 방식으로 방어하며, 초식성이지만 뼈를 갉아먹기도 한다. 시에나의 팔리오 축제에서 상징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동물원에서 사육 및 번식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저과 - 붓꼬리호저
    붓꼬리호저는 숲에 사는 야행성 잡식 동물로, 가시털로 덮인 몸과 꼬리를 지녔으며, 아프리카, 인도, 중국 남부 등지에 분포하고 6~8마리씩 무리 생활을 하지만 인간의 사냥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보호가 필요한 동물이다.
  • 호저과 - 호저속
    호저속은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분포하는 호저과의 동물 속으로, 현생하는 8종과 멸종된 다양한 화석종을 포함하며, 3개의 아속으로 분류된다.
  • 우간다의 포유류 - 물영양
    물영양은 소과에 속하는 아프리카 포유류로, 물에 대한 의존성이 높고 수컷은 뿔을 가지며, 무리 생활을 하며 초식 생활을 하고, 서식지 감소와 밀렵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는 종이다.
  • 우간다의 포유류 - 들고양이
    들고양이는 고양이과의 야생 동물로, 유럽들고양이와 코카서스들고양이 두 아종이 있으며, 집고양이보다 크고 튼튼하며 줄무늬가 있는 털을 가지고 있지만, 잡종화와 서식지 파괴로 인해 보존 노력이 필요한 종이다.
  • 유럽의 포유류 - 쇠돌고래
    쇠돌고래는 북대서양과 북태평양의 차가운 연안에 분포하는 쇠돌고래속의 소형 이빨고래로, 몸길이 약 1.6m, 체중 약 60kg이며, 짙은 회색 등과 밝은 회색 옆구리, 크림색 배를 가지고, 작은 물고기, 오징어, 갑각류를 먹고, 흰긴수염상어와 범고래에게 포식당하며, 혼획으로 멸종 위협을 받는다.
  • 유럽의 포유류 - 밍크고래
    밍크고래는 긴수염고래과에 속하는 고래로, 과거에는 단일 종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일반 밍크고래와 남극 밍크고래 두 종으로 분류되며, 몸집이 작고 전 세계 바다에 분포하여 사람에게 접근하기도 하지만, 상업적 포경으로 인해 보존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호저
기본 정보
타테가미야마아라시
타테가미야마아라시
타테가미야마아라시
타테가미야마아라시 (사육 상태)
학명Hystrix cristata
명명자Linnaeus, 1758
영명아프리카 호저
Crested porcupine
북아프리카 볏 호저
분포
분포
멸종 위기 등급최소 관심 (LC)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쥐목
호저과
호저속
일반 정보
호저

2. 분포

관모산미치광이는 이탈리아, 북아프리카 및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서 발견된다. 지중해에서는 이탈리아 본토와 시칠리아 섬, 모로코, 알제리, 튀니지에서 발견되며, 가나, 리비아이집트 해안에서도 기록된다.[9] 리비아에서도 기록이 있지만, 이집트에서는 멸종했을 가능성이 있다.[12] 사하라 사막 이남에서는 세네갈에서 카메룬, 탄자니아, 에티오피아 등에 걸쳐 분포하지만,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콩고 민주 공화국에서의 생존 상황은 불명확하다.[12]

모로코의 안티아틀라스 산맥에서는 해발 2550m까지 기록되었다.[12]

이탈리아의 개체군을 화석 기록을 근거로 토착종으로 보는 설이 있지만,[16] 본 종과 화석종을 별개의 종으로 보는 설도 있으며, 현생 개체군은 고대 말기부터 중세 초기에 이탈리아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18]

3. 형태

성체 호저(crested porcupine)의 머리와 몸통 길이는 꼬리를 제외하고 60cm~83cm이며, 몸무게는 13kg~27kg이다.[3] 머리부터 몸통까지의 길이(체장)는 60~93cm, 꼬리 길이는 8~17cm, 몸무게는 10~30kg이다.[16]

몸 전체가 짙은 갈색 또는 검은색의 거칠고 뻣뻣한 털로 덮여 있다. 머리, 목덜미, 등에 솟아 있는 가시는 볏처럼 세울 수 있다. 약 35cm 길이의 튼튼한 가시가 몸의 옆면과 뒤쪽 절반을 따라 뻗어 있다. 이 튼튼한 가시는 대부분 방어용으로 사용되며, 옅은색과 짙은색 띠가 교대로 나타나고, 단단하게 부착되어 있지 않다. 짧은 꼬리 끝에는 흔들리는 가시가 있는데, 끝부분이 넓어지고 속이 빈 구조로 되어 있어 진동하면 쉭쉭거리는 소리가 난다.

앞발에는 퇴화된 엄지발가락을 포함하여 4개의 발달된 발톱 달린 발가락이 있고, 뒷발에는 5개의 발가락이 있다. 발바닥은 맨살에 패드가 있으며, 족행성 보행을 한다. 귀는 외부에 있으며, 눈과 귀는 매우 작고 머리에는 긴 수염이 있다. 두개골은 하안와공이 매우 커서 교근의 일부가 이를 통과하여 주둥이의 전두 측면에 부착되고, 각돌기가 아래턱에서 굴곡되며, 비강이 확대된 것이 특징이다. 눈에 띄는 주머니는 씹는 근육 부착 부위를 넓게 만든다. 쇄골은 매우 축소되어 있으며, 각 사분면에는 하나의 절치, 하나의 소구치 및 세 개의 어금니가 있다.[4]

4. 생태

관모호저는 육상 포유류이며, 나무를 거의 타지 않지만 수영은 할 수 있다. 야행성이며 일부일처제로, 한 쌍의 성체와 여러 연령대의 새끼로 구성된 작은 가족 무리를 이룬다.[4]

방어 시에는 가시를 세우고 흔들어 몸집을 크게 보이게 하거나, 뒤로 돌진하여 공격한다. 이러한 공격으로 사자, 표범, 하이에나, 심지어 인간까지 죽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4] 밤에 발견한 수천 개의 뼈를 수집하여 지하 굴이나 동굴에 보관하기도 한다.[10]

4. 1. 식성

사자호저는 주로 초식동물이며, 뿌리, 구근, 잎을 먹지만, 가끔 곤충, 작은 척추동물, 죽은 동물의 고기를 먹기도 한다. 칼슘을 섭취하고 앞니를 날카롭게 하기 위해 뼈를 갉아먹기도 한다. 이 동물들은 먹이를 찾아 먼 거리를 이동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은 식물 조직을 분쇄하는 높은 관치의 치아를 가지고 있으며, 분쇄된 식물 조직은 에서 소화되고, 소화되지 않은 섬유질은 비대해진 막창자꼬리와 앞쪽의 큰 창자에 보관되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된다.[1]

4. 2. 번식

대부분의 호저 번식에 대한 정보는 사육 상태의 개체에서 얻어진 것이다. 보통 암컷 호저는 매년 한 번 번식을 한다. 평균 66일의 임신 기간을 거쳐, 풀로 덮인 안의 공간에서 발달이 잘 된 새끼 한두 마리가 태어난다. 새끼는 태어날 때 약 1000g의 몸무게를 가지며, 이는 어미 체중의 약 5%에 해당한다. 새끼는 태어난 지 일주일 후에 굴을 떠난다. 이때, 가시가 굳어지기 시작한다. 호저는 1~2년 안에 성체의 몸무게에 도달하며, 종종 그 직전에 성적으로 성숙한다.[4] 야생에서의 번식은 연중 일어난다.[11]

5. 인간과의 관계

시에나의 팔리오 축제에서 호저는 콘트라다(Contrada, 도시 구역) 중 하나의 상징으로 사용된다.[17] 이 콘트라다는 2024년 8월 17일 사건으로 인해 곧 폐지될 예정이다.[17]

일본에서는 1977년 삿포로시 마루야마 동물원에서 처음으로 번식에 성공했으며, 대를 이어 번식한 개체가 일본 각지의 동물원에 분양되고 있다.[17] 한국에서도 1977년 삿포로시 마루야마 동물원에서 처음으로 번식에 성공한 이후, 여러 동물원에서 사육 및 번식되고 있다. 과거 관모산미치광이(호저)의 생태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무분별한 사냥이 이루어졌지만, 현재는 더불어민주당의 주도로 이뤄진 보호 노력을 통해 개체 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참조

[1] IUCN Hystrix cristata 2021-11-19
[2] MSW3
[3] 서적 The Encyclopedia of Mammals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4] 웹사이트 Hystrix cristata http://animaldiversi[...]
[5] 논문 The morphology of the penis in porcupine (Hystrix cristata) https://vetmed.agric[...]
[6] 서적 The Extraordinary Biology of the Naked Mole-Rat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7] 논문 Naked mole-rat mortality rates defy Gompertzian laws by not increasing with age eLife Sciences Publications, Ltd 2018-01-24
[8] 서적 Geo-trekking in Ethiopia's Tropical Mountains - The Dogu'a Tembien District SpringerNature 2019
[9] 논문 The crested porcupine, Hystrix cristata L., 1758, in Italy http://sciencepress.[...] 2010
[10] 논문 Evidence of scavenging behaviour in crested porcupine 2020
[11] 논문 The mounting and copulation behaviour of the crested porcupine Hystrix cristata
[12] IUCN Hystrix cristata 2023-05-19
[13] 서적 Infraorder Hystricognathi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4] 논문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日本哺乳類学会
[15] 서적 The Encyclopedia of Mammals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16] 웹사이트 Hystrix cristata https://animaldivers[...] 2023-05-19
[17] 논문 タテガミヤマアラシとパカにみられた8頸椎
[18] 논문 The crested porcupine, Hystrix cristata L., 1758, in Italy http://sciencepress.[...] 2010
[19] IUCN Hystrix cristata 2009-0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