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칼은 개과에 속하는 포유류로, 늑대와 유사한 외모를 가지고 있지만 귀가 크고 주둥이가 뾰족한 경우가 많다. 자칼은 가로줄무늬자칼, 검은등자칼, 황금자칼 세 종으로 분류되며, 이들은 유전적으로 근연관계가 아니다. 에티오피아늑대는 늑대에 가까운 종으로 분류된다. 자칼은 아시아 남부, 유럽 남동부, 아프리카 등지에 분포하며, 신화와 전설에서 교활한 마법사로 묘사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과 - 티베트모래여우
    티베트모래여우는 티베트고원의 스텝 및 반사막 지역에 서식하며 촘촘한 털과 좁은 주둥이를 가진 개과의 동물로, 고원우는토끼를 주로 사냥하며 서식지 파괴와 먹이 감소로 위협받지만 넓은 분포 지역으로 IUCN에서는 비위협군으로 분류된다.
  • 개과 - 포클랜드늑대
    포클랜드늑대는 포클랜드 제도에 서식했던 멸종된 개과 동물로, 무분별한 사냥과 잘못된 인식으로 19세기 후반 멸종되었으며, 갈기늑대와 가장 가까운 친척으로 추정되고, 다양한 가설과 함께 전 세계 박물관에 표본과 지명으로 남아있다.
  • 이란의 포유류 - 노루
    노루는 긴 목과 큰 귀를 가진 사슴과 동물로, 붉은색 또는 회색 털을 가지며, 유라시아 지역에 분포하고 삼림 지대에 서식하며 잡초를 먹고 살지만, 서식지 감소와 개체 수 변동으로 보호가 필요한 종이다.
  • 이란의 포유류 - 수달
    수달은 족제비과에 속하며 유선형 몸매와 물갈퀴 등 수중 생활에 적합한 특징을 지닌 반수생 포유류로, 물고기 외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전 세계에 분포하지만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
  • 우간다의 포유류 - 물영양
    물영양은 소과에 속하는 아프리카 포유류로, 물에 대한 의존성이 높고 수컷은 뿔을 가지며, 무리 생활을 하며 초식 생활을 하고, 서식지 감소와 밀렵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는 종이다.
  • 우간다의 포유류 - 들고양이
    들고양이는 고양이과의 야생 동물로, 유럽들고양이와 코카서스들고양이 두 아종이 있으며, 집고양이보다 크고 튼튼하며 줄무늬가 있는 털을 가지고 있지만, 잡종화와 서식지 파괴로 인해 보존 노력이 필요한 종이다.
자칼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이름자칼
영어 이름Jackal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식육목
개과
아과이누아과
개속 또는 루풀렐라속
가로줄무늬자칼
검은등자칼
황금자칼
에티오피아늑대(아비시니아자칼)
기타자칼(Jackal)이라고 불리는 종
특징
설명여러 종의 개과 동물
이동 속도약 16km/h
분포
자칼 분포도
자칼 분포도
분포 지역황금자칼: 노란색
가로줄무늬자칼: 빨간색
검은등자칼: 갈색

2. 어원

'자칼'이라는 이름은 영어 'jackal'에서 유래했다. 이 영어 단어는 1600년대부터 사용되었으며[1][2], 프랑스어 chacal프랑스어에서 왔다. 프랑스어 단어는 튀르키예어 çakaltr에서 비롯되었고, 이는 다시 페르시아어 شغال|shaghālfa에서 유래했다.[1][2][16] 페르시아어 단어의 최종 어원은 산스크리트어로 '울부짖는 것'을 뜻하는[1][2] शृगाल|śṛgālasa 또는 황금자칼을 의미하는 슈리가라(शृगाल|śṛgālasa)이다.[16]

중국에서는 사마상여의 『자허부』(「其上則有鵷鶵孔鸞、騰遠射干」)에 붙은 위나라 장읍의 주석에서 "사간(射干)은 여우를 닮았고 나무에 기댄다"고 설명하는데[17], 이 '사간'이 자칼로 여겨진다. 한역 불전에서는 '야간(野干)', '실가라(悉伽羅)' 등으로 음역되었다.[18][19] 자칼이 서식하지 않는 중국에서는 여우와 혼동되었으며, 일본에서도 마찬가지로 여우와 혼동되었다.

3. 분류 및 종

자칼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종들은 겉모습은 서로 비슷하지만, 유전적으로 반드시 가까운 관계는 아니다. 일반적으로 황금자칼, 검은등자칼, 가로줄무늬자칼 세 종을 자칼이라 부른다. 이 세 종은 약 6백만 년 전에 공통 조상에서 갈라져 나왔으며, 황금자칼은 아시아에서, 나머지 두 종은 아프리카에서 진화한 것으로 여겨진다.

과거 '시멘자칼' 또는 '붉은자칼'이라고 불렸던 에티오피아늑대(''Canis simensis'')는 이름과 달리 늑대에 더 가까운 종으로 분류된다. 상세한 종별 정보와 계통 관계는 하위 문단에서 다룬다.

3. 1. 현존하는 종

자칼이라고 불리는 세 종은 겉모습은 서로 비슷하지만 유전적으로 가까운 관계는 아니다. 약 6백만 년 전에 공통 조상에서 갈라졌으며, 황금자칼은 아시아에서, 나머지 두 종인 가로줄무늬자칼검은등자칼은 아프리카에서 진화한 것으로 여겨진다. 과거 '시멘자칼' 또는 '붉은자칼'로 불렸던 에티오피아늑대(''Canis simensis'')는 이름과 달리 늑대에 더 가까운 종으로 분류된다.

자칼과 코요테의 유사성 때문에 로렌츠 오켄은 1815년 그의 저서에서 이들을 고대 그리스어 θώς|토스grc "자칼"에서 유래한 ''Thos''라는 별도의 속으로 분류하려 했으나, 당시 학계에 큰 영향을 주지는 못했다. 1932년 안헬 카브레라는 자칼의 위쪽 어금니에 다른 ''Canis'' 동물에게는 없는 치경(cingulum)이 있다는 점만으로 속을 나눌 근거가 부족하다고 보아, 자칼을 계속 ''Canis'' 속에 포함시켰다.[3] 이후 1914년 에드먼드 헬러가 오켄의 ''Thos'' 속 분류를 다시 주장하기도 했으나, 현재는 ''Canis'' 또는 별도의 속(''Lupulella'')으로 분류하는 등 학계의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3]

늑대형 개과 동물(Caninae)은 유전적으로 밀접하게 관련된 육식동물 그룹으로, 모두 78개의 염색체를 가져 서로 교배가 가능하다. 이 그룹에는 ''Canis'' (, 회색 늑대, 코요테, 황금자칼, 에티오피아늑대 등), ''Cuon'' (승냥이), ''Lycaon'' (아프리카들개) 등이 포함된다.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결과, 아프리카의 두 자칼(검은등자칼, 옆줄무늬자칼)이 이 그룹에서 가장 먼저 분기된 것으로 나타나 아프리카 기원설을 뒷받침한다. 가장 최근에 인정된 구성원은 아프리카늑대(''C. lupaster'')인데, 과거 황금자칼의 아프리카 분파로 여겨졌다. 반면, 황금자칼은 늑대, 코요테와 유전적으로 더 가깝다. 일부 학자들은 아프리카의 두 자칼을 ''Canis'' 속에서 분리하여 별도의 속인 ''Lupulella''로 분류하거나,[6][7] 각각 ''Schaeffia''(옆줄무늬자칼)와 ''Lupulella''(검은등자칼)로 나누어야 한다고 제안하기도 한다.[5] 약 190만 년 전 지중해 유럽에 나타난 ''Canis arnensis''가 현대 자칼의 조상일 가능성이 제기된다.[4]

현재 자칼로 분류되는 주요 종은 다음과 같다.

종(Species)학명 및 명명자설명분포
검은등자칼
검은등자칼
Lupulella mesomelas
(슈레버, 1775)
몸집이 비교적 가볍고 날렵하며, 한때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Canis 종으로 여겨졌으나[8] 현재는 Lupulella 속으로 분류된다. 자칼 중 가장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며, 자신보다 훨씬 큰 동물을 사냥하기도 하고 무리 내 다툼도 잦은 편이다.[9]남아프리카케냐, 소말리아, 에티오피아 등 동아프리카 해안 지역
옆줄무늬자칼
옆줄무늬자칼
Lupulella adustus
(순데발, 1847)
다른 자칼들과 달리 주로 숲이 우거진 지역에 서식한다. 자칼 중 가장 온순하며 큰 포유류를 사냥하는 경우는 드물다.[10] 현재 Lupulella 속으로 분류된다.중앙아프리카남아프리카
황금자칼
황금자칼
Canis aureus
(린네, 1758)
자칼 중 가장 몸집이 크고 분포 지역이 넓다. 아프리카의 두 자칼 종보다는 늑대와 유전적으로 더 가깝다.동남유럽, 중동, 서아시아, 남아시아



에티오피아늑대 (과거 '시멘자칼' 또는 '붉은자칼'로 불렸으나, 현재는 늑대에 가까운 종으로 분류된다)

3. 2. 과거 자칼로 분류되었던 종

에티오피아늑대(''Canis simensis'')는 과거 '붉은자칼' 또는 '시멘자칼'이라고 불리기도 했으나, 유전적으로 늑대에 더 가까운 종으로 분류된다.

또한, 과거 황금자칼(''Canis aureus'')의 아프리카 지역 개체군으로 여겨졌던 무리가 있다. 이들은 유라시아 대륙의 황금자칼과 형태적 차이가 있었으며, 최근 유전자 분석 결과 늑대와 더 가까운 관계인 것으로 밝혀졌다.[22][20] 이 아프리카 개체군은 현재 아프리카늑대(''Canis lupaster'')라는 별도의 종으로 분류하는 것이 유력하다.

3. 3. 계통 관계

자칼이라고 불리는 종들은 겉모습은 서로 비슷하지만, 유전적으로 반드시 가까운 관계는 아니다. 특히 에티오피아늑대(''Canis simensis'')는 과거 '시멘자칼' 또는 '붉은자칼'로 불리기도 했으나, 실제로는 자칼보다는 늑대(''Canis lupus'')에 더 가까운 종으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자칼로 분류되는 세 종은 다음과 같다.

이 세 종은 약 6백만 년 전에 공통 조상으로부터 갈라져 나왔을 것으로 추정된다. 황금자칼은 아시아에서, 나머지 두 종(가로줄무늬자칼, 검은등자칼)은 아프리카에서 각각 진화한 것으로 보인다.

늑대형 개과 동물은 유전적으로 매우 가까운 대형 육식동물 집단으로, 모두 78개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다. 이 그룹에는 (''C. lupus familiaris''), 회색늑대(''C. lupus''), 코요테(''C. latrans''), 황금자칼(''C. aureus''), 에티오피아늑대(''C. simensis''), 검은등자칼(''C. mesomelas''), 옆줄무늬자칼(''C. adustus''), 승냥이(''Cuon alpinus''), 아프리카들개(''Lycaon pictus'') 등이 포함된다. 최근에는 아프리카늑대(''C. lupaster'')도 이 그룹에 포함되었는데, 이전에는 황금자칼의 아프리카 개체군으로 여겨졌었다. 이들은 모두 염색체 수가 같아 서로 교배가 가능하며 세포유전학적으로도 거의 구별되지 않는다.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에 따르면, 아프리카에 서식하는 두 자칼 종(가로줄무늬자칼, 검은등자칼)은 늑대형 개과 동물 중에서 가장 먼저 분기된, 즉 가장 기저에 위치하는 구성원으로 나타난다. 이는 늑대형 개과 동물이 아프리카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반면, 황금자칼은 이 두 아프리카 자칼보다는 아프리카늑대, 코요테, 늑대, 와 더 가까운 관계이다. 에티오피아늑대 역시 늑대와 유전적으로 가깝다. 따라서 현재 '자칼'로 불리는 종들은 하나의 단계통군(하나의 공통 조상에서 유래한 모든 후손을 포함하는 그룹)을 이루지 않는다.[21][22]

이러한 유전적 관계 때문에 분류학적 논쟁이 있어왔다. 1815년 로렌츠 오켄은 자칼과 코요테의 유사성에 주목하여 이들을 '토스'(θώς|토스grc, 고대 그리스어로 '자칼')라는 별도의 속으로 분류하자고 제안했지만, 당시 학계에 큰 영향을 주지는 못했다. 1932년 안헬 카브레라는 자칼의 위쪽 어금니 특징이 다른 ''Canis'' 속 동물들과 구별되기는 하지만, 이것만으로 속을 나눌 근거가 충분한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며 자칼을 계속 ''Canis'' 속에 두었다.[3] 1914년 에드먼드 헬러가 오켄의 '토스' 속 개념을 다시 주장하기도 했으나, 현재는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3]

최근에는 ''Canis'' 속이 Cuon이나 Lycaon 같은 다른 늑대형 개과 동물 속들을 포함하지 않으면 측계통군(공통 조상의 모든 후손을 포함하지 않는 그룹)이 된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두 아프리카 자칼을 별도의 속으로 분류하자는 주장이 나왔다. 예를 들어, 가로줄무늬자칼을 ''Schaeffia'' 속으로, 검은등자칼을 ''Lupulella'' 속으로 나누거나,[5] 두 종 모두를 ''Lupulella'' 속으로 묶자는 제안이 있었다.[6][7]

약 190만 년 전 지중해 유럽에 나타났던 ''Canis arnensis''는 현존하는 자칼 종들의 조상일 가능성이 있는 고대 개과 동물이다.[4]

4. 특징

몸길이는 65cm에서 106cm 정도이며, 꼬리 길이는 20cm에서 41cm 정도이다. 늑대와 외형이 비슷하지만, 귀가 더 크고 주둥이가 더 뾰족한 편인 경우가 많다.

아시아 남부에서 유럽 남동부, 그리고 아프리카에 걸쳐 분포한다. 주로 평원이나 숲에서 1마리에서 6마리 정도가 무리를 지어 생활한다. 밤에 활동하는 야행성 동물로, 다른 맹수가 먹다 남긴 동물의 사체를 찾아 먹거나 , 토끼, 족제비 등을 사냥하기도 한다. 식물성 먹이로는 사탕수수 등을 먹기도 하는 잡식성이다. 땅에 굴을 파는 능력이 뛰어나며, 한 번에 4마리에서 9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5. 생태

몸길이는 65cm에서 106cm 정도이며, 꼬리 길이는 20cm에서 41cm 정도이다. 늑대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귀가 더 크고 주둥이가 더 뾰족한 편이다. 주로 아시아 남부에서 유럽 남동부, 그리고 아프리카에 걸쳐 분포한다. 평원이나 숲에서 1마리에서 6마리 정도가 무리를 이루어 생활한다. 주로 밤에 활동하며, 다른 맹수가 먹다 남긴 동물을 먹기도 하지만, 직접 , 토끼, 족제비와 같은 작은 동물을 사냥하거나 사탕수수 같은 식물도 먹는 잡식성이다. 땅에 굴을 파는 능력이 뛰어나며, 한 번에 4마리에서 9마리 정도의 새끼를 낳는다.

6. 인간과의 관계

늑대()와 가까운 종인 황금자칼과 아비시니아자칼은 와 야생 상태에서 교배하여[21] 번식 능력이 있는 정상적인 새끼를 낳을 수 있다. 이렇게 (집개)와 자칼 사이에서 태어난 교배종(품종 또는 잡종)을 자칼 하이브리드(・도그)라고 부른다.

교배된 자칼의 종류에 따라 사나운 성격을 보이는 경우도 있지만, 울프독과 비교하면 몸집이 작다. 일부 국가에서는 자칼 하이브리드를 애완동물로 기르기도 한다. 하지만 일본에서는 자칼이 특정 동물로 지정되어 있어, 그 교배종인 자칼 하이브리드를 사육하려면 허가가 필요하다. 러시아에서는 공항에서 폭발물이나 마약을 탐지하는 탐지견으로 황금자칼시베리안 허스키의 교배 견종인 스리모프 도그를 활용하고 있다.

7. 문화

여우코요테처럼 자칼은 여러 문화권의 신화전설, 문학 작품 속에서 교활하거나 신성한 존재, 혹은 황량함과 죽음을 상징하는 등 다채로운 모습으로 등장한다. 성경, 인도의 ''판차탄트라'', 이집트 신화,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 및 문화 기록에서 자칼에 대한 언급을 찾아볼 수 있다.

7. 1. 신화 및 종교

여우코요테처럼 자칼은 종종 해당 지역의 신화와 전설에서 교활한 마법사로 묘사된다.

성경에는 자칼이 약 14번 언급되는데, 주로 황량함, 외로움, 버려짐을 나타내는 문학적 장치로 사용된다. 이는 자칼이 과거 도시의 폐허나 사람이 버린 지역에 서식하는 습성과 관련이 있다. 여러 성경 번역본에서는 자칼을 "들개"라고 부르기도 한다. 킹 제임스 성경 이사야서 13장 21절에 언급된 '슬픈 존재'에 대해 일부 해설가들은 이를 자칼이나 하이에나로 추정한다.[11]

인도의 ''판차탄트라'' 이야기에서는 자칼이 교활하고 현명한 존재로 등장한다.[12] 벵골의 탄트라 전통에서는 자칼이 여신 칼리를 상징하며, 칼리 여신은 고기를 바치면 자칼의 모습으로 나타난다고 전해진다.

세레르교와 세레르 창조 신화에 따르면, 자칼은 세레르족의 최고 신인 루그가 창조한 최초의 동물 중 하나이다.[13] 또한 죽은 고기를 찾아다니는 습성 때문에 죽음과 관련된 신들과 결부되기도 한다.

이집트 신화에서는 저승 신 아누비스와 우푸아우트가 자칼의 머리를 가진 반인반수 또는 자칼 자체의 모습으로 묘사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이 모티브로 삼은 동물은 실제 자칼이 아니라 아프리카 황금 늑대 (Canis lupaster|la)임이 밝혀졌다.[22][23]

힌두교에서는 여신 차문다(두르가의 분신인 7모신 중 하나)가 자칼을 탈것(바하나)으로 삼는다. 차문다는 화장터에 살며 수척한 몸으로 시체 위에 서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곤 한다. 마찬가지로 두르가의 또 다른 분신인 칼리 역시 수많은 자칼에 둘러싸여 화장터에 거주한다고 여겨진다. 동물의 고기를 공양하면 칼리가 자칼의 모습으로 사제 앞에 나타난다는 전승도 있다.[24]

7. 2. 문학

여우나 코요테처럼 자칼은 종종 그 지역의 신화와 전설에서 교활한 마법사로 묘사된다. 성경에는 자칼이 대략 14번 언급되는데, 주로 황량함, 외로움, 버려짐을 상징하는 문학적 장치로 사용된다. 이는 자칼이 과거 도시의 폐허나 사람이 버린 지역에 서식하는 습성과 관련이 있다. 여러 성경 번역본에서는 자칼을 "들개"라고 부르기도 한다. 킹 제임스 성경 이사야 13장 21절에 언급된 '슬픈 존재'에 대해, 일부 해설가들은 이것이 자칼이나 하이에나를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한다.[11]

인도의 ''판차탄트라'' 이야기에서는 자칼이 교활하고 현명한 존재로 등장한다.[12] 벵골 탄트라 전통에서 자칼은 여신 칼리를 상징한다. 전승에 따르면, 칼리 여신에게 고기를 바치면 그녀가 자칼의 모습으로 나타난다고 한다.

세레르교와 세레르 창조 신화에서는 자칼이 세레르족의 최고 신인 루그에 의해 창조된 최초의 동물 중 하나라고 주장한다.[13]

7. 3. 기타

여우나 코요테처럼 자칼은 종종 그 지역의 신화와 전설에서 교활한 마법사로 묘사된다. 성경에는 자칼이 대략 14번 언급되는데, 주로 과거 도시의 폐허나 인간이 버린 지역에 서식하는 습성과 관련하여 황량함, 외로움, 버려짐을 나타내는 문학적 장치로 사용된다. 여러 성경 번역본에서는 "들개"라고 불리기도 한다. 킹 제임스 성경 이사야 13장 21절에 나오는 '슬픈 존재'는 일부 해설가들에 의해 자칼이나 하이에나로 추정된다.[11]

인도의 ''판차탄트라'' 이야기에서는 자칼이 교활하고 현명한 존재로 등장한다.[12] 벵골 탄트라 전통에서는 자칼이 여신 칼리를 상징하며, 그녀에게 고기를 바치면 자칼의 모습으로 나타난다고 전해진다.

세레르교와 세레르 창조 신화에 따르면, 자칼은 세레르족의 최고 신인 루그가 창조한 최초의 동물 중 하나이다.[13]

참조

[1] 서적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2] 문서 OEtymD|jackal
[3] 웹사이트 None http://www.holgerhom[...]
[4] 간행물 A review on the Late Villafranchian medium-sized canid Canis arnensis based on the evidence from Poggio Rosso (Tuscany, Italy) http://www.sciencedi[...] 2016-11-01
[5] 간행물 Phylogeny of recent Canidae (Mammalia, Carnivora): relative reliability and the utility of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atasets
[6] 간행물 Phylogeny of the large extinct South American Canids (Mammalia, Carnivora, Canidae) using a ''total evidence'' approach
[7] 간행물 Rediscovering a forgotten canid species
[8] 서적 The Velvet Claw https://archive.org/[...] BBC Books
[9] 서적 The behavior guide to African mammals: including hoofed mammals, carnivores, primate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0] 웹사이트 Side-Striped Jackal http://www.canids.or[...] Canids.org 2010-03-19
[11] 웹사이트 Jackal http://classic.net.b[...] 2015-02-26
[12] 서적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Penguin UK 2014-04-18
[13] 간행물 Mythe de la création du monde selon les sages sereer http://www.kas.de/wf[...] Konrad Adenauer Stiftung 2009-06-23
[14] 웹사이트 Jackal | African Wildlife Foundation http://www.awf.org/w[...]
[15] 웹사이트 ジャッカル https://kotobank.jp/[...]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コトバンク) 2019-05-26
[16]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 Jackal http://www.etymonlin[...]
[17] 문서 漢書』司馬相如伝に引く『子虚賦』の注
[18] 문서 慧琳『一切経音義』
[19] 간행물 本邦に於ける動物崇拜
[20] 간행물 Towards resolving taxonomic uncertainties in wolf, dog and jackal lineages of Africa, Eurasia and Australasia https://doi.org/10.1[...] 2021-12-16
[21] 간행물 Genome sequence, comparative analysis and haplotype structure of the domestic dog https://www.nature.c[...]
[22] 간행물 The Cryptic African Wolf: Canis aureus lupaster Is Not a Golden Jackal and Is Not Endemic to Egypt http://www.plosone.o[...]
[23] 간행물 A wolf in jackal’s clothing http://phe-ethiopia.[...]
[24] 서적 Animals in stone:Indian mammals sculptured through time Brill Academic Pu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