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트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트곡은 일반적으로 대중에게 인기를 얻어 판매량이나 차트 순위에서 좋은 성적을 거둔 노래를 의미한다. 미국과 영국에서는 빌보드 핫 100 차트 40위, 영국 싱글 차트 75위 안에 드는 경우를 히트곡으로 간주하며, 차트 순위 외에도 차트에 머무는 기간도 히트곡의 관련성에 영향을 미친다. 대한민국에서는 과거 음반 판매량을 기준으로 했으나, 현재는 디지털 음원 시장의 발달로 스트리밍 횟수가 중요한 기준이 되었으며, 일본에서는 스트리밍 서비스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1억 회 재생을 새로운 히트곡의 기준으로 평가하기도 한다. 여러 아티스트의 히트곡을 모은 컴필레이션 앨범이나 특정 아티스트의 히트곡을 모은 베스트 앨범 형태로 발매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히트곡 | |
---|---|
일반 정보 | |
정의 | 대중적인 인기를 얻거나 상업적으로 성공한 녹음된 노래 |
관련 용어 | |
관련 용어 | 인기곡, 베스트셀러 |
2. 히트곡의 기준
시대와 음악 시장 환경에 따라 히트곡을 판단하는 기준은 변화해왔다. 미국과 영국에서 싱글은 일반적으로 ''빌보드'' 핫 100의 40위 안에 들거나 영국 싱글 차트의 75위 안에 들면 히트곡으로 여겨진다.[1][2] ''기네스 영국 히트 싱글 북''은 1970년대부터 이 정의를 사용해왔다. 오피셜 차트 컴퍼니가 2007년 6월 23일에 웹사이트에서 차트 크기를 확대하면서, 차트 규칙에 다운로드 싱글이 포함된 이후 싱글 시장이 증가했기 때문에 적어도 100위 안에 드는 것이 히트곡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대부분의 경우, 음악 차트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머물렀는지가 최고 순위와 관계없이 '히트'로서의 관련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히트 싱글은 최고 순위에 따라 ''넘버원 히트'', ''톱 5 히트'', ''톱 10 히트'', ''톱 20 히트'', ''톱 40 히트'' 등으로 다양하게 불린다. 영국에서는 라디오 재생이 공식 차트에 포함되지 않아, 이것이 노래의 인기를 완전히 반영하지는 못한다. 주간 차트 순위는 다른 싱글의 동시 판매량과 직접 비교하여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싱글이 차트에 진입하지 못했지만, 판매량이 저조한 시기에 다른 싱글보다 더 많이 판매되어 "히트"로 간주되는 경우가 드물지 않다.
일본의 음악 시장에서는 1989년 이후 일본 레코드 협회가 출하 매수에 따라 골드 디스크 인증을 하고 있다. 2003년 6월까지는 20만 장의 출하 매수로 "골드 인증"을 받았지만, 음악 시장의 변화에 따라 그 이후에는 10만 장의 출하 매수로 골드 인증이 주어진다. 또한 100만 장의 판매량을 기록한 싱글은 밀리언 셀러라고 불리며, 오랫동안 히트의 기준으로 여겨져 왔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착우타, 다운로드 판매, 유튜브 등 새로운 음악과의 접촉 방법이 생겨나 CD 판매만으로 곡의 히트 기준을 삼는 것이 어려워졌다. 일본 레코드 협회는 2006년부터 착우타 풀 등 유료 음악 배포에 대해 다운로드 인증을 하고 있다. 2008년에는 미국 빌보드가 한신 콘텐츠 링크가 운영하는 빌보드 재팬으로 일본에 진출하여, CD 판매 외에 다운로드, 라디오 온에어 횟수, 유튜브 시청 횟수 등을 합산한 독자적인 복합 차트 공개를 시작했다.
2. 1.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과거 음반 판매량을 기준으로 히트곡을 선정했으나, 현재는 디지털 음원 시장의 발달로 스트리밍 횟수가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되었다. 1989년부터 일본 레코드 협회의 골드 디스크 인증이 도입되어 출하량에 따라 골드, 플래티넘, 밀리언 셀러 등의 인증을 부여하고 있다. 2000년대 이후 착신음, 음원 다운로드, 유튜브 등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음악을 소비하는 방식이 변화하면서, 히트곡의 기준도 다양화되고 있다.2. 1. 1. 스트리밍 시대의 히트 기준
2015년 Apple Music이 국내 서비스를 시작하고, 2016년에는 Spotify가 일본에 진출하는 등, 구독(정액제) 스트리밍 서비스가 음악 업계에서 해마다 영향력을 더해가고 있다. 이에 따라 아이묭 등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인기를 얻는 아티스트가 증가하는 추세이다.[10]음악 저널리스트 시바 나츠노리는 2020년에는 히트곡이 탄생하는 곳이 CD에서 구독형 스트리밍 서비스로 완전히 옮겨가고, 판매량 100만 장을 대신하여 재생 횟수 "1억 회"가 구독 시대의 "히트의 새로운 기준"이 되었다고 평가했다.[10]
2. 2. 미국
미국에서는 국내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음악 차트인 빌보드 핫 100의 상위 40위 안에 랭크되는 것이 히트의 기준이라고 여겨진다. 히트 싱글은 최고 순위에 따라 '넘버원 히트', '톱 5 히트', '톱 10 히트', '톱 20 히트' 또는 '톱 40 히트' 등으로 다양하게 불린다.[1]2. 3. 영국
영국에서는 오피셜 차트 컴퍼니(OCC)가 집계하는 영국 싱글 차트 75위 안에 최소 1주 이상 랭크되는 것이 히트곡의 기준으로 여겨진다.[2] 디지털 다운로드의 성장으로 2000년대 초반까지 감소했던 싱글 판매량이 회복되었으며, 2011년은 영국 싱글 판매량의 기록적인 해였다.[2]3. 일본의 초기 히트곡
1914년 (다이쇼 3년) 마츠이 스마코가 극단 예술좌의 공연 『부활』 극중가로 부른 「카츄샤의 노래」(작사: 시마무라 호게츠·소마 교후, 작곡: 나카야마 신페이)는 이전의 전통적인 일본 음악이나 동요·창가와는 다른 유행가의 선구자이며, 일본 최초의 히트곡으로 여겨진다.[6]
1928년 (쇼와 3년) 사토 치야코는 「하부 항구」, 「도쿄 행진곡」 등의 레코드를 10만 장 이상 판매하여 일본 최초의 히트 가수로 여겨진다.[7][8]
4. 베스트 앨범
히트곡들을 모은 컴필레이션 음반을 베스트 앨범이라고 한다. 음반 회사는 여러 아티스트의 히트곡을 모아 컴필레이션 앨범을 발매하거나, 특정 아티스트의 히트곡을 모아 히트곡 앨범을 발매한다.
참조
[1]
서적
Rock, Pop, Folk Dictionary
Humanitas Publishing House
[2]
웹사이트
BPI 2011 stats: Market down, album sales fall 5.6%—but digital up 26.6%
http://www.musicweek[...]
[3]
웹사이트
Music forums focusing on chart music with chart and entertainment discussion.
http://www.buzzjack.[...]
[4]
웹사이트
ヒットソング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3-06-25
[5]
웹사이트
ヒットソング(hit song)の意味・使い方をわかりやすく解説 - goo国語辞書
https://dictionary.g[...]
2023-06-25
[6]
웹사이트
日本初のヒット曲「カチューシャの唄」を流行させた島村抱月の驚くべきプロモーション手法
https://diamond.jp/a[...]
2013-09-20
[7]
웹사이트
日本の流行歌スターたち(7)佐藤千夜子 波浮の港~君恋し
https://www.hmv.co.j[...]
[8]
웹사이트
山形県天童市/著名人/佐藤千夜子
https://www.city.ten[...]
[9]
웹사이트
本当の「ヒット曲」は、どこに隠れているのか {{!}} ゲーム・エンタメ
https://toyokeizai.n[...]
2016-02-23
[10]
웹사이트
「1億回」が“ヒットの新基準”、2020年の大ヒット曲とその理由(柴 那典) @gendai_biz
https://gendai.med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