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북나드리열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북나드리열차는 2009년 12월 7일 경북관광순환테마열차로 운행을 시작하여, 2017년 12월 1일 경북나드리열차로 명칭을 변경했다. 2021년 12월 31일 코레일과 경상북도의 계약 만료 및 차량 내구연한으로 인해 운행이 종료되었다. 주말에는 동대구, 영주, 분천역 등을 오가는 노선으로, 금요일에는 동대구, 포항, 청도 구간을 운행했다. 운행 중단과 재개를 반복했으며, 운행 기간 동안 차량 리뉴얼, 노선 변경, 야간편 신설 등의 변화를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철도 여행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는 1999년부터 한국 철도 100주년을 기념하여 제작되었으며, 주요 역과 철도 관련 시설에 비치되어 철도 팬과 여행객에게 의미를 지니지만, 일부 스탬프는 비치 장소 변경 또는 날인 불가능한 경우가 있어 확인이 필요하다.
  • 철도 여행 - 바다열차
    2007년부터 2023년까지 동해안 해안 절경을 감상하며 강릉시, 동해시, 삼척시를 잇는 관광 열차였던 바다열차는 도시통근형 디젤 액압 동차를 개조한 한국철도 9501계 디젤 동차를 사용하여 특실, 가족실, 스낵바 등으로 구성되었으나, 잦은 노선 변경과 차량 노후화, 지자체의 재정 지원 부족으로 인해 운행이 중단되었다.
  • 대한민국의 철도 운행 계통 - 무궁화호
    무궁화호는 대한민국의 여객열차로, 1983년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새마을호와 통일호의 중간 등급으로 장거리, 지방 노선의 역할을 해 왔으며, 2004년 이후 지방 노선의 주력 열차가 되었으나, 현재는 노후화된 차량과 ITX-마음의 등장으로 운행 구간과 정차역에 변화가 생기고 있다.
  • 대한민국의 철도 운행 계통 - ITX-새마을
    ITX-새마을은 2014년 5월 12일부터 운행을 시작한 한국철도공사의 간선 전기 동차로,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경전선, 동해선, 중앙선 등 다양한 노선에서 운행되며, 2013년에 총 23편성이 도입되었다.
  •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 우진산전
    우진산전은 1974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시스템 및 전기차 부품 제조 기업으로, 도시철도 차량, 경전철, 전기버스 등의 기술 개발과 국내외 사업 참여를 통해 성장해왔으며, VVVF 장치, 아폴로 전기버스 등을 생산하고 ISO 인증을 획득하여 품질 및 환경 관리 시스템을 갖추었다.
  •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경북나드리열차
열차 정보
열차명경북나드리열차
분천역에 정차중인 열차
사업자한국철도공사
기점동대구역
종점분천역
포항역
청도역
노선경부선
경북선
동해선
중앙선
대구선
운행 기간2009년 12월 7일 ~ 2021년 12월 31일

2. 연혁

2. 1. 경북관광순환테마열차 (2009년 ~ 2017년)

2009년 12월 7일 '''경북관광순환테마열차'''로 운행을 시작하였다. 2013년 12월 9일부터 2014년 1월 3일까지 운행을 중지했다가,[1] 2014년 1월 4일 운행을 재개하면서 차량 리뉴얼을 완료하였다.[2] 새로 바뀐 도색은 경상북도의 특색을 잘 나타내도록 만들어졌다.

2014년 2월 7일 '''경북 야간편'''을 신설하여 운행을 시작하였고, 애칭은 '''포항 한밤愛열차'''이다.[3] 기존 수요일에 운행하던 영덕/포항편 상품도 금요일로 운행일을 변경하고 명칭을 '''경북 바다편'''으로 변경하였다. 2015년 10월 16일 경북 야간편의 애칭을 '''청도불빛열차'''로 바꾸고, 운행 계통 역시 동대구~청도 구간으로 바뀌었다.

2016년 9월 27일부터 2017년 11월 30일까지 운행을 중지했다가,[4] 2017년 12월 1일 '''경북나드리열차'''로 명칭을 변경하고 운행을 재개하였다.

2. 2. 경북나드리열차 (2017년 ~ 2021년)


  • 2017년 12월 1일 : '''경북나드리열차'''로 이름을 바꾸고 운행을 다시 시작했다.[1]
  • 2021년 12월 31일 : 코레일과 경상북도 사이의 운행 계약이 끝나고, 열차의 수명이 다하여 운행이 종료되었다.[2]

2. 3. 임시 운행

2018년 11월 9일, 22일에 '''남북통일기원열차'''로 다음 구간을 운행하였다.

2018년 12월 31일, 2019년 1월 1일 '''새해 해돋이 임시 열차'''로 다음 구간을 운행하였다.

3. 운행 구간

경북나드리열차는 2017년에 리뉴얼되었으며, 2016년에는 운행이 중지되기 전까지 정해진 구간을 운행했다.

3. 1. 정규 운행 구간 (2017년 이후)

2017년 리뉴얼 이후 운행 구간은 다음과 같다.

요일열차번호운행 구간
토요일, 일요일2575, 2576동대구역 ~ 대구역 ~ 왜관역 ~ 구미역 ~ 김천역 ~ 상주역 ~ 점촌역 ~ 용궁역 ~ 영주역 ~ 춘양역 ~ 분천역
금요일2751, 2752동대구역 ~ 하양역 ~ 영천역 ~ 서경주역 ~ 포항역
금요일2753, 2754동대구역 ~ 경산역 ~ 청도역


3. 2. 과거 운행 구간 (2016년 이전)

2016년 운행 중지 직전 경북관광순환테마열차의 운행 구간은 다음과 같았다.

4. 차량 특징

(경북나드리열차로 개칭 및 열차 도색 변경 전의 모습이다.)]]

4. 1. 내부 시설

내부 시설은 기본적으로 무궁화호 도색 차량과 동일하나, 2호차 일부는 이벤트카페로 운영하고 있다. 3호차에는 노래방 시설, 이벤트용 좌석, 경북 지역 특산품 전시장을 설치하였고, 4호차에는 세미나실을 설치하는 등 약간의 개조를 하였다. 2013년 말에서 2014년 초까지 리뉴얼을 거치면서 지역 특산품 전시장은 사라지고, 그 자리에 간이카페 테이블과 좌석이 설치되었다. 차량은 4량 1편성으로, 차량번호는 9033-9133-9134-9034호이다.

4. 2. 디자인

(경북나드리열차로 개칭 및 열차 도색 변경 전의 모습이다.)]]

참조

[1] 웹사이트 경북순환테마열차 운행 중지안내 http://gbct-train.co[...] 2013-12-26
[2] 웹사이트 경북관광순환테마열차 정상 운행 안내 http://gbct-train.co[...] 2014-01-13
[3] 뉴스 경북관광순환테마열차 ‘포항 한밤愛’ 열차 운행 http://www.kyongbuk.[...] 경북일보 2014-02-08
[4] 웹사이트 경북관광순환테마열차 운행 중단 안내 http://gbct-train.co[...] 2016-10-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