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노에 노부히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노에 노부히로는 1599년에 태어나 1649년에 사망한 일본의 귀족으로, 관백을 역임했다. 그는 고요제이 천황의 아들이자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양녀인 고노에 사키코의 외손자이며, 고노에 노부타다의 양자였다. 와카에 능했고, 가츠라 이궁과의 교류가 유명하며, 자필 일기인 『본원자성원기』를 남겼다. 그는 우대신, 좌대신을 거쳐 1623년 관백에 올랐으며, 1645년 출가하여 오우잔이라 칭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로마치 시대 황족 - 후시미노미야 요시히토 친왕
    후시미노미야 요시히토 친왕은 일본 난보쿠초 시대의 황족이자 북조 제3대 스코 천황의 맏아들로, 후시미노미야의 시조이며, 예술에 능통했고 그의 영지는 후손들에게 계승되었으며, 그의 아들은 현재 황실과 구 황족 간의 최근 공통 조상이다.
  • 무로마치 시대 황족 - 쇼코 여왕
    쇼코 여왕은 (내용 없음)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황족 - 후시미노미야 요시히토 친왕
    후시미노미야 요시히토 친왕은 일본 난보쿠초 시대의 황족이자 북조 제3대 스코 천황의 맏아들로, 후시미노미야의 시조이며, 예술에 능통했고 그의 영지는 후손들에게 계승되었으며, 그의 아들은 현재 황실과 구 황족 간의 최근 공통 조상이다.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황족 - 쇼코 여왕
    쇼코 여왕은 (내용 없음)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 고요제이 천황의 자녀 - 고미즈노오 천황
    고미즈노오 천황은 1596년에 태어나 1611년 즉위하여 1629년 양위한 일본의 108대 천황으로, 막부의 통제 속에서 권위 실추를 겪었으며 도후쿠몬인과 결혼하여 많은 자녀를 낳고 저서를 남겼다.
  • 고요제이 천황의 자녀 - 지인 법친왕
    지인 법친왕은 에도 시대 초기의 황족 출신 승려로, 카지이 몬제키를 계승하고 덴다이 좌주에 세 차례 임명되었으며, 종단 안정에 기여했을 뿐 아니라 다도, 서예, 와카에도 능통했던 인물이다.
고노에 노부히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씨족황별코노에가
법명본원자성원응산대운(本源自性院応山大云)
이명오우잔 (応山)
아명니노미야 (二宮)
로마자 표기Konoe Nobuhiro
생애
출생1599년 6월 24일
사망1649년 11월 15일
묘소교토부 교토시 키타구 무라사키노다이토쿠지쵸 53 다이토쿠지
관직
관위종1위, 관백, 좌대신
주군고미즈노오 천황 → 메이쇼 천황 → 고코묘 천황
가족 관계
아버지고요제이 천황
어머니츄카몬인
양아버지코노에 노부타다
형제참고
배우자코노에 노부타다의 딸
자녀히사츠구
히로토시 (寛俊)
나가키미 (長君)
치카코
코케이니 (高慶尼)
산지치온지의 비구니

2. 생애

고노에 노부히로는 게이초 4년(1599년) 5월 2일에 태어나 쇼호 2년(1645년) 출가하여 게이안 2년(1649년) 10월 11일에 사망하기까지 격동의 시대를 살았다. 와카에 매우 뛰어났으며, 숙부이자 가쓰라 이궁을 조영한 하치조노미야 도시히토 친왕과 매우 친밀했다. 가쓰라 이궁에서의 교류는 유명하며, 자필 일기로 『본원자성원기』를 남겼다.

2. 1. 출생과 가계

게이초 4년(1599년) 5월 2일에 태어났다. 아명은 시노미야(四宮)이고, 어머니는 태합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양녀 중화문원(고노에 사키히사의 딸)이다. 외삼촌 고노에 노부타다의 양자가 되어, 노부타다의 딸(어머니는 이에노뇨보)과 결혼했다. 그러나 아내는 아오사무라이와 밀통하는 등 사이가 나빠, 사망 직전의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중매를 의뢰하기도 했지만, 결국 별거하게 되었다.

고노에 노부히로의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고요제이 천황
어머니고노에 사키코추카 황태후
부인고노에 노부타다의 딸
궁녀 (家女房)
장남고노에 히사쓰구
차남히로토시(寛俊)간슈지(권수사)의 승려
장녀조쿤 여사(長君)
차녀고노에 히로코도쿠가와 미쓰쿠니의 부인
셋째 딸호케지의 수녀
넷째 딸산지-치온지-몬제키 사원의 수녀


2. 2. 관직 생활

게이초 10년 (1605년) 원복하여 정5위하에 올랐으며, 승전이 허락되었다. 게이초 11년 (1606년) 5월 28일, 종3위에 올라 공경의 반열에 들었다. 게이초 12년 (1607년) 곤츄나곤이 되었고, 게이초 16년 (1611년) 곤다이나곤을 거쳐, 게이초 17년 (1612년) 내대신에 임명되었다.

게이초 19년 (1614년) 우대신으로 승진하였고, 겐나 6년 (1620년) 좌대신을 거쳐, 겐나 9년 (1623년) 관백에 올랐다.

2. 3. 출가와 죽음

쇼호 2년 (1645년) 3월 11일, 출가하여 '''오잔(応山)'''이라 칭했다.[1] 게이안 2년 (1649년) 10월 11일에 5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 고노에가보리사인 교토 다이토쿠지에 묻혔다.[1]

3. 인물과 일화

고노에 노부히로는 사키히사노부타다에게서 문화인의 자질을 이어받아 여러 예능에 정통했다. 서예는 양아버지 노부타다의 삼형원류(고노에류)를 계승하여 뛰어난 솜씨를 보였고, 다도는 후루타 시게나리에게 배웠으며, 렌가에도 능했다. 친형 고미즈노오 천황을 중심으로 한 궁중 문화·문예 활동의 중심인물이었으며, 타쿠안 소호, 잇시 분슈, 쇼카도 쇼조 등 여러 문인과 교류하며 궁궐과의 가교 역할도 했다.

특히 로쿠죠미스지쵸(후에 시마바라로 이전)의 명기 요시노 타유를 두고 하이야 쇼에키와 경쟁한 일화로 유명하다. 요시노 타유가 하이야 쇼에키와 결혼하자 크게 낙담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3. 1. 문화적 재능

고노에 사키히사노부타다에게서 문화인의 자질을 이어받아 여러 예도에 정통했다. 서예는 양아버지인 노부타다의 삼형원류(고노에류)를 계승하여 탁월한 서예가였다.

다도는 후루타 시게나리에게 배웠고, 렌가에도 능숙했다. 친형 고미즈노오 천황을 중심으로 한 궁중 문화·문예 활동에서 토시히토 친왕, 료죠 법친왕, 이치죠 아키요시 등과 함께 중심적인 인물이었다. 또한 선승 타쿠안 소호와 잇시 분슈, 훗날 양아버지와 함께 간에이 삼필로 불리는 쇼카도 쇼조 등 문인들과 교류하며 궁궐과의 가교 역할도 했다.

로쿠죠미스지쵸(훗날 시마바라로 이전)의 제일 명기 요시노 타유를 두고 하이야 쇼에키와 겨룬 일화로도 알려져 있다. 요시노 타유가 하이야 쇼에키에게 기적에서 이름을 지우고 결혼했을 때 크게 낙담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3. 2. 문화 교류

코노에 사키히사노부타다의 문화인으로서 자질을 이어받아 여러 예도에 정통했다. 서예는 양아버지 노부타다의 삼형원류(별칭 코노에류)를 계승하여 탁월한 서예가였다. 다도는 후루타 시게나리에게 배웠고, 렌가도 능숙했다. 친형인 고미즈노오 천황을 중심으로 한 궁중 문화 및 문예 활동을 토시히토 친왕, 료죠 법친왕, 이치죠 아키요시 등과 함께 중심인물로 담당하였다. 또한 선승 타쿠안 소호와 잇시 분슈, 후에 양아버지와 함께 간에이 삼필로 이름을 올리는 쇼카도 쇼죠 등의 문인들과 교류가 있었으며, 궁궐 교량도 하였다.

로쿠죠미스지쵸 (후에 시마바라로 이전) 제일 명기인 요시노 타유를 하이야 쇼에키와 겨룬 일화로도 알려져 있다. 요시노 타유가 하이야 쇼에키에게 기적에서 이름을 지우고 결혼했을 때는 크게 낙담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3. 3. 요시노 타유와의 일화

고노에 사키히사노부타다의 뒤를 이어 여러 예도에 정통했던 고노에 노부히로는 로쿠죠미스지쵸 (후에 시마바라로 이전)의 제일 명기인 요시노 타유를 두고 하이야 쇼에키와 경쟁한 일화로도 알려져 있다.[1] 요시노 타유가 하이야 쇼에키에게 기적에서 이름을 지우고 결혼하자, 크게 낙담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1]

4. 계보

고노에 노부히로는 고요제이 천황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고노에 사키코이다.[2] 그는 고노에 노부타다의 딸과 결혼하여 정실로 삼았고, 이에뇨보를 측실로 두었다.[2]

고노에 노부히로는 여러 자녀를 두었는데, 아들로는 고노에 히사쓰구와 히로토시(寛俊)가 있다. 히로토시는 간슈지몬 대승정 법인이 되었다. 딸로는 나가키미(長君), 고노에 치카코, 홋켄지 코케이니, 산지치온지의 비구니가 있다. 나가키미는 히가시혼간지 코우에이의 아내가 되었고, 고노에 치카코는 미토번도쿠가와 미쓰쿠니고렌쥬가 되었다.[2]

고노에 가문의 가계도는 다음과 같다. 실선은 친자 관계, 세로 점선은 양자 관계, 가로 점선은 혼인 관계를 나타낸다.

4. 1.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고요제이 천황
어머니고노에 사키코추카 황태후
정실고노에 노부타다의 딸
측실이에뇨보
아들고노에 히사쓰구
아들히로토시 (寛俊)간슈지몬, 대승정 법인
나가키미 (長君)히가시혼간지 코우에이의 아내
고노에 치카코타이히메 (泰姫), 미토번도쿠가와 미쓰쿠니고렌쥬
홋켄지 코케이니
산지치온지의 비구니


4. 2. 가계도

부모
배우자와 자녀


참조

[1] 서적 The Imperial House of Japan 1959
[2] Kotobank 近衛信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