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공무원 노동조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무원 노동조합은 공무원의 노동 조건 개선과 권익 보호를 위해 조직된 단체이다. 공무원 노사 관계는 민간 부문과 비교하여 사용자가 분산되어 있고, 조직률이 높으며, 교섭 구조가 다원화되어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국가별로 공무원 노동조합의 결성 및 활동에 대한 법적, 제도적 차이가 있으며, 특히 대한민국에서는 공무원 노조 결성을 둘러싸고 역사적으로 많은 논쟁과 갈등이 있었다.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등에서도 공무원 노동조합의 활동과 관련된 다양한 사례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무원 노동조합 - 전국교직원노동조합
    1989년 설립된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한국교원노동조합의 효시를 이어받아 교원노조 설립 움직임 속에 창립되었으며, 해직 사태를 겪었으나 합법화 후 '참교육' 이념을 바탕으로 교원 권익 향상과 교육 개혁을 추구하며 민주노총, 국제교육연맹에 가입, 정부와 갈등 속에서도 법외노조 통보 후 대법원 판결로 노조 지위를 회복한 교원 노동조합이다.
  • 공무원 노동조합 -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전국공무원노동조합은 대한민국 공무원의 노동 조건 개선과 권익 보호를 위해 설립된 전국 단위 노동조합으로, 파업, 분열, 통합을 거쳐 법내노조로 인정받았으며 민주노총에 가입, 공직사회 개혁과 사회 불평등 해소 등을 목표로 한다.
  • 노동관계 - 노동조합
    노동조합은 근로자의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을 위해 자주적으로 단결하여 만들어진 단체이며, 임금, 근무시간 등 노동조건에 대한 단체교섭 권한을 가지며 필요시 파업 등의 쟁의행위를 수행한다.
  • 노동관계 - 최저임금
    최저임금은 저임금 노동자의 생활 안정과 소득 격차 완화 등을 목표로 법으로 정한 임금의 최저 수준을 의미하며, 고용 감소나 물가 상승 등의 논쟁이 있지만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다.
공무원 노동조합
공무원 노동조합
개요
유형노동조합
적용 대상공무원
목표근로 조건 개선, 권익 보호
역사
배경공무원의 노동자로서의 권리 인식 증대
합법화 시기국가별 상이
법적 지위
국가별 규정각국 법률에 따라 노동3권 보장 정도 차이
제한 사항단체 행동권 제한 (일부 국가)
정치적 중립 의무
활동
단체 교섭임금, 근로 조건 등 협상
고충 처리조합원 애로사항 해결
정책 건의정부 정책에 대한 의견 제시
국제 연대
국제 공무원 노조 연맹PSI
목적공무원 노조 간 협력 및 정보 교환
주요 쟁점
정치적 중립성노조 활동 범위 논쟁
단체 행동권파업권 인정 여부
조합원 자격관리자, 고위 공무원 포함 여부
현황 및 전망
조직률국가별, 직종별 편차 큼
미래 과제사회적 지지 확보
전문성 강화
변화하는 노동 환경에 대한 대응

2. 특징

공무원 노동조합은 민간 부문 노동조합과 비교했을 때 몇 가지 특징을 가진다. 우선, 공무원 노조는 사용자가 여러 기관으로 분산되어 있고 계층적인 구조를 가진 반면, 민간 부문 노조는 단일 사용자를 상대한다.[23] 또한, 공무원 노조는 조직률이 높은 반면, 민간 부문 노조는 낮은 편이다.

단체 교섭 권한, 노사 관계 영향력, 분쟁 조정 절차, 제3자의 관심도 등에서도 양자는 차이를 보인다. 공무원 노조는 합의 도출 권한이 제한적이며 의회 등 상급 기관의 승인이 필요하고, 사회적, 정치적 성격을 띠며 국민에게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 또한, 세분화된 분쟁 조정 절차를 통해 노사 갈등을 조정하며, 시민과 언론의 관심이 높고 교섭 대표는 많은 외부 압력을 받는다. 반면, 민간 부문 노조는 교섭 대표가 재량권을 가지며, 노사 관계 영향력은 개별 기업 차원으로 한정되고, 노사 간 억제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며, 대체 가능성으로 인해 큰 관심을 받지 않는다.[23]

2. 1. 공무원과 민간부문 노사관계 비교

공무원(Public sector unions영어)과 민간 부문 노사 관계는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보인다.[23]

구분공무원민간 부문
노사 당사자사용자가 분산, 계층화됨단일 사용자
조직률높음낮음
교섭 구조다원화일원화
단체 교섭 권한합의 도출 권한 제한, 상급 기관(의회 등) 승인 필요교섭 대표 재량권 보유
노사 관계 영향력사회, 정치적 성격, 국민에게 큰 영향개별 기업 차원 한정
분쟁 조정 절차 여부세분화된 절차로 권위적 조정, 중재노동조합 단체 행동권, 기업 직장 폐쇄 등 노사 억제력으로 해결
제3자 관심서비스 영향으로 시민, 언론 관심 높음, 교섭 대표 외부 압력 노출대체 가능성으로 큰 관심 없음



1930년대 중반,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연방 긴급 구호 기구(WPA) 노동자들의 노조 결성 시도에 반대했다.[12] 루스벨트는 민간 부문 단체 교섭은 지지했지만, 공공 부문은 반대했다.[13] 1937년, 루스벨트는 정부 직원의 단체 교섭은 공무에 적용될 수 없으며, 행정 공무원이 정부 직원 단체와의 논의에서 고용주를 대표하거나 구속할 수 없다고 밝혔다.[14]

1958년, 뉴욕 시장 로버트 F. 와그너 주니어는 시 공무원에게 단체 교섭 권리, 노조에 전속 대표성을 부여하는 행정 명령("작은 와그너 법")을 발표했다.[15] 1962년,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행정명령 10988호를 발표해 연방 공무원 노조 지위를 향상시켰다.[16]

1960년대 이후 공공 부문 노조는 빠르게 성장하여 조합원에게 좋은 임금과 연금을 보장했다. 주 및 지방 정부 고용은 1950년 400만 명에서 2009년 1,660만 명으로 4배 증가했다.[17] 2009년, 미국 공공 부문 노조원 수는 790만 명으로, 사립 부문(740만 명)을 넘어섰다.[18]

2011년, 각 주 재정 위기와 공화당 승리 이후, 공공 부문 노조는 위스콘신 등에서 보수 공화당 의회 공격을 받았다.[19][20] 보수 주 의회는 노조 단체 교섭 능력 축소를 시도했다. 보수주의자들은 공공 노조가 상사 선출에 기여해 강력하며, 관대한 연금 제도가 주 예산에 부담을 준다고 주장했다.[22]

3. 국가별 현황

미국에서는 헌법상 명문 규정은 없으나, 연방헌법상 결사의 자유에 따라 모든 근로자의 단결체가 인정된다. 1962년 케네디 대통령의 행정명령으로 연방공무원의 단결권 및 단체교섭권이 인정되었고, 1978년 법률로 정비되었다.[23] 공무원 노동조합은 대부분 전국 단위 직종별 노조로 조직되어 있으며, 주요 조직으로는 전국교육협회, 미국지방정부 공무원협회, 경찰관협회, 국제소방협회 등이 있다.[23] 군인, 외교, 정보, 기밀업무 종사자 등을 제외하고는 폭넓게 단결권이 인정되며, 주정부에 따라 단체 행동권도 허용된다.[23]

영국에서는 1946년 노동당 정부 정책으로 공무원 노사관계도 일반 노동관계법 적용을 받게 되었다. 군인, 보안 담당, 정보 요원을 제외하고는 노동조합 가입이 허용된다.[23] 1993년 전국 및 지방정부공무원노동조합(70만 명), 전국 공무원 노동조합(60만 명), 의료서비스 노동조합(20만 명)이 통합하여 UNISON을 결성, 영국 최대 노동조합이 되었다.[23] 단체 행동권은 원칙적으로 허용되나, 가스, 수도 등 필수 공익 사업의 파업은 제한된다.[23]

프랑스1946년 프랑스 제4공화국 헌법 및 공무원법을 통하여 공무원의 단결권과 파업권을 보장한다.[23] 경찰, 법관, 소방관, 교도관 등에도 단결권이 보장되나, 군인은 단결권이 부인된다.[23] 단체 행동권은 원칙적으로 허용되지만, 파업 예고제를 도입하고 특정 범주 공무원에 대해서는 파업권 행사를 제한한다.[23]

독일1918년 노동조합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바이마르 시대에 기본법으로 단결의 자유를 보장했다. 경찰관, 소방공무원, 군인 등 모든 직종 공무원의 단결권이 보장된다. 독일 노동조합은 산업별 또는 직업별 전국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단체로는 독일 노동조합총연맹, 독일공무원연맹, 독일기독교노동조합총연맹 등이 있다. 2001년에는 290만 조합원 규모의 노동조합 베르디가 탄생했다. 단체 교섭은 인정되나, 협약 체결권은 인정되지 않고 있다. 고용직 공무원은 쟁의권이 인정되나 정규직은 쟁의권이 부인된다.[23]

일본1945년 미군정하에서 노동관계법을 제정했으나, 1948년 국가공무원법을 개정하여 공무원에 대해 단체협약권과 단체행동권을 금지시켰다. 경찰, 소방, 해상보안청, 감옥, 방위청 직원, 판사, 자위대원 등은 직원단체 결성 및 가입이 금지되어 있다. 관리직, 국가공무원, 지방공무원은 각각 별도의 직원단체를 조직하며, 대한민국의 공무원 직장협의회와 비슷한 성격을 가진다. 상급노조 가입은 가능하나, 단체 교섭은 이루어져도 협약 체결권과 단체 행동권은 인정되지 않는다.[23]

코스타리카에서는 1948년 코스타리카 내전 이후 공공 부문 노동조합이 등장했다. 노동조합은 농업 부문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은행, 의료, 교육 분야에 대한 정부 규제는 물론 임금 및 근로 조건 개선을 지지한다.

3. 1. 대한민국

제1공화국, 제2공화국, 군사 정부를 거치면서 공무원 노조 설립은 번번이 좌절되었다. 허정공무원은 국가의 공복이므로 노동자가 될 수 없다는 논리로 공무원 노조 및 교원 노조에 부정적인 입장을 취했고, 관계자들을 문책하거나 해임, 파면하는 등 강경하게 대응했다.[24][26][27] 장면 내각 역시 공무원 노조 결성을 엄금했다. 박정희, 전두환 군사 정부 또한 공무원 노조를 불법으로 규정했다.

1987년 오종렬 등을 중심으로 전국교직원조합(전교조)이 출범하였고, 1989년 전국교직원노동조합으로 승격, 민주노총에 가입하였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1999년 합법화되었다.

2002년에는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 전국공무원노동조합 등 여러 공무원 노동조합이 출범하였다.

3. 1. 1. 제1공화국 시절

대한민국에서는 1948년부터 공무원 노조의 결성이 추진되었다. 그러나 제1공화국 당시 교통부 장관과 무임소 장관을 역임한 허정은 공무원 노조 결성을 강력하게 반대했다. 당시 전진한은 초대 사회부 장관이었고, 허정은 초대 내각에서 40일 만에 사임한 민희식의 뒤를 이어 교통부 장관으로 부임했다.[24]

허정전진한 사이에 공무원노동조합 가입 문제로 논쟁이 벌어졌다.[24] 허정은 공무원이 노동조합에 가입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했고, 전진한은 공무원도 가입해야 한다는 주장으로 맞섰다. 장택상에 의하면 이 때문에 3일 연속으로 국무회의가 열렸는데, 하루는 전진한이 크게 화를 내며 장관직을 사임했다고 한다.[24] 허정공무원은 국가의 공복이므로 노동자가 될 수 없다고 보았다.

3. 1. 2. 제2공화국 시절

1960년 4월 29일 대구의 여러 중등학교 대표 약 60명이 중등교원노조를 결성한 것을 필두로 국민학교 교원들의 노조도 결성되었다. 5월 22일에는 서울에서 전국의 교원 대표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전국교원노조연맹'(全國敎員勞組聯盟)이 조직되었다. 새로 조직된 이 연맹은 종래의 '대한교련'(大韓敎聯)을 즉시 해체하고 연맹을 유일한 전국교원조직으로 정부가 공식적으로 승인해줄 것을 요구했다.[25][26]

제2공화국 출범 직후 공무원 노조와 교사 노조 결성이 추진되었으나 1961년 국무총리이던 장면은 노동조합 결성을 엄금하고, 관계자들을 해임, 파면조치했다.

3. 1. 3. 군사 정부 시절

박정희전두환 군사 정부는 공무원의 노동조합 조직을 불법으로 규정하여 원천적으로 금지했다.[1] 1987년 오종렬 등을 중심으로 전국교직원조합(약칭 전교조)이 출범했다.[1] 노태우 정부는 교원의 노동조합 결성을 불법으로 간주하고 탄압했으나, 전교조는 경찰과 공안의 탄압을 피해 1989년 오종렬 등을 중심으로 전교조로 승격되었고, 민주노총이 출범하자 산하 기관으로 가입했다.[1]

1989년 당시 전교조 결성 운동이 일어났는데, 당시 교원 노조는 불법이었다.[1] 조선일보 등은 전교조 출범을 집중적으로 비판했다.[1] 1989년 5월 26일 조선일보는 사설에서 "교원노조 문제는 단순히 노동3권을 보장하는 문제가 아니다"라며 비판했고, 칼럼에서도 "우리가 직면한 교육현실의 고질적인 현안들에 대한 근본적인 조명과 타개에 의해서만 그 해결의 실마리가 잡힐 것"이라고 지적했다.[1] 그러나 이는 교원 노조 설립의 정당성에 관해 논쟁하기보다는 사상 논쟁으로 몰아가려 했으며, 교원 노조 설립을 금지하는 법률 자체가 사상의 자유결사의 자유를 침해함에도 형식적 법치주의만을 강조했다는 비판이 있다.[1] 전교조는 이후 1999년에 교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합법화되었다.[1]

3. 1. 4. 2000년대 이후

2002년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 전국공무원노동조합, 민주공무원노동조합, 법원공무원노동조합 등 대한민국의 공무원 노동조합 조직이 출범했다. 이 중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을 제외한 전국공무원노동조합, 민주공무원노동조합, 법원공무원노동조합은 민주노총 가입을 결정했다. 이에 대해 조선일보는 사설을 통해 비판을 제기했다. 조선일보는 2009년 9월 22일 "이 나라 정부에는 공식적인 위계를 따르는 공무원 조직이 따로 있고, 공무원노조가 조종하는 별도 명령계통의 공무원 조직이 또 하나 생기는 셈이다. 공식 위계조직은 정부·여당이 하는 일을 집행하는 조직이고 공무원노조 조직은 정부·여당이 하는 일을 방해하고 비판하고 공격하는 조직이 된다. 이런 나라, 이런 정부가 온전히 돌아가겠는가"라며 지적했다.[28] 그러나 미디어오늘은 "조선일보는 미래를 점치는 역술인이라도 된 것일까. 미래의 상황을 조선일보 시각대로 전망하고 그것을 근거로 비판논리를 내세우고 있는 모습을 어떻게 봐야할까"라며 조선일보를 비판하기도 했다.[29]

3. 2. 미국

미국에서는 근로자의 단결권을 보장하는 헌법상 명문규정은 없으나, 연방헌법상 결사의 자유에 따라 모든 근로자들의 단결체에 단결의 자유가 인정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962년 케네디 대통령의 행정명령 제10988호에 따라 연방공무원의 단결권 및 단체교섭권이 인정되었고, 1978년 연방공무원제도개혁법에 따라 법률로 정비되었다.[23]

공무원 노동조합의 결성형태는 특별하게 강제하는 규정이 없기 때문에 순수한 공무원으로 구성된 조직, 민간부문 노동자와 같이 참여하는 조직, 다양한 직종이 포함된 조직 등이 있으나 대부분 전국 단위 직종별 노조로 조직되어 있다. 대표적인 노동조합으로 각 지방단위 교육위원회에 속하는 교원 230만 명으로 구성된 전국교육협회, 조합원 120만명의 미국지방정부 공무원협회, 조합원 130만명의 경찰관협회, 조합원 15만명의 국제소방협회 등이 있다.[23]

노동조합의 조직대상에서 제외되는 직종은 제복을 입은 공무원, 외무공무원, 연방내외 안보나 정보수집업무 담당 공무원, 감독직, 관리직, 기밀업무, 인사업무 담당자 등으로 군인, 외교, 정보, 기밀업무 종사자만 제외하고 거의 제한없이 큰 틀로 인정하고 있고, 주정부에 따라 직종별로 단체 행동권이 허용되고 있다.[23]

노동조합은 일반적으로 정부 직원을 우회했는데, 이는 문민 봉사가 시작되기 전 정치 정당에서 사용하던 후원 시스템에 의해 주로 통제되었기 때문이다. 우체국 직원들은 노동조합을 결성했다. 전국 우편 배달부 협회는 1889년에 시작되어 빠르게 성장했다. 1960년대 중반까지 6,400개의 지역 지부에 175,000명의 회원을 보유했다.[7]

1890년대부터 여러 경쟁적인 우편 사무원 조직이 등장했다. 합병 논의는 수년 동안 질질 끌다가 마침내 1961년에 NFPOC, UNMAPOC 등이 합병하여 전미 우편 사무원 연맹이 되었다. 1971년의 또 다른 합병 라운드를 통해 미국 우편 노동자 연맹(APWU)이 탄생했다. 2012년 APWU는 33만 명의 회원을 보유했다.[8] 다양한 우편 노동조합은 파업을 하지 않았다.

역사가 조셉 슬레이터는 "불행하게도 공공 부문 노동조합에게 20세기 전반기 역사에서 가장 고통스럽고 지속적인 이미지는 보스턴 경찰 파업이었다. 파업은 1940년대 말까지 법원과 관리들이 정기적으로 언급했다."라고 말한다.[9] 캘빈 쿨리지 주지사는 파업을 진압했고, 주의회는 경찰 통제권을 시 공무원으로부터 빼앗았다.[10]

경찰 파업은 1920년대 공공 부문에 대한 노동조합의 관심을 위축시켰다. 주요 예외는 대도시에서 공립학교 교사들의 노동조합이 등장한 것이었다. 그들은 미국 교원 연맹(AFT)을 결성했고, AFL에 가입했다. 교외와 소도시에서는 전국 교육 협회(NEA)가 활동했지만, 노동조합이 아닌 전문 단체라고 주장했다.[11]

3. 3. 영국

영국에서는 1946년 노동당 정부의 정책으로 공무원 노사관계도 일반 노동관계법 적용을 받게 되었다. 조직 형태에 대한 법적 제약은 없으며, 주로 직업별로 조직되고 있다. 군인, 보안 담당, 정보 요원은 노동조합 가입이 금지되어 있다.[23]

전국 및 지방정부공무원노동조합(70만 명), 전국 공무원 노동조합(60만 명), 의료서비스 노동조합(20만 명)이 1993년 통합하여 UNISON을 결성하여 영국 최대 노동조합이 되었다.[23]

단체 행동권은 원칙적으로 허용되나, 가스, 수도 등 필수 공익 사업의 파업은 제한된다. 자발적인 조정과 중재가 오랜 관행이나 교섭 결렬 시 공무원 중재 재판소를 통하여 분쟁을 해결한다.[23]

3. 4. 프랑스

프랑스는 1946년 프랑스 제4공화국 헌법 및 공무원법을 통하여 공무원도 일반 근로자와 같이 단결권과 파업권을 보장함으로써 일반 사기업체 근로자와 같이 일반 노동관계법 적용을 받고 있고, 노동조합 조직형태에 대한 법적 제약이 없다.[23] 경찰, 법관, 소방관, 교도관 등에도 단결권이 보장된다.[23] 군인은 단결권이 부인되고 있으나, 일반 결사체는 구성할 수 있다.[23]

단체행동권은 원칙적으로 허용되나 파업예고제를 도입하고 있고, 경찰관과 교도관 등 특정범주 공무원에 대해서는 파업권 행사를 제한하고 있으며, 공공질서에 중대한 침해를 미칠 경우 파업규제권을 가진다.[23]

3. 5. 독일

독일1918년 자본가 대표와 노동자 대표가 협정을 체결, 노동조합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바이마르 시대에 독일의 기본법 제9조에서 모든 국민에게 단결의 자유를 보장함으로써 제도적으로 확립되었다. 조직 형태나 가입 대상에 제한이 없으므로 경찰관, 소방공무원, 군인 등 모든 직종 공무원이 포괄적으로 단결권이 보장된다.

독일 노동조합은 2차대전 이후 산업별 노조 체제가 확립된 가운데 산업별 또는 직업별 전국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시 전국중앙연맹을 결성하고 있다. 공공부문 노동자는 독일 노동조합총연맹, 독일공무원연맹, 독일기독교노동조합총연맹 등이 주요 단체다. 2001년 3월 18일에는 독일노총의 290만 조합원 규모의 노동조합 베르디가 탄생했다.

단체 교섭은 연방정부, 자치주, 기초단체를 대표하는 8인씩의 공동 대표단을 구성하여 교섭을 하고, 근로 조건이 입법 사항임을 이유로 교섭권은 인정하고 있으나, 협약 체결권은 인정하지 않고 있다. 고용직 공무원은 쟁의권이 인정되나 정규직은 쟁의권이 부인된다.[23]

3. 6. 일본

일본은 1945년 미군정하에서 노동관계법을 제정했고, 경찰을 제외한 공무원의 노동 3권을 보장하고 일부에 대해 단체행동권을 제한하였으나, 공무원노조의 대규모 파업으로 1948년 국가공무원법을 개정하여 공무원에 대해 노동관계법의 적용을 배제시키고 단체협약권과 단체행동권을 금지시켰다.

공무원이 가입하는 단체는 직원단체라고 부르며, 경찰, 소방, 해상보안청, 감옥, 방위청 직원, 판사, 자위대원은 직원단체를 결성하거나 가입할 수 없도록 되어 있고, 지방공무원법상 경찰, 소방직원에 대해서도 직원단체 결성이 금지되어 있다. 관리직, 국가공무원, 지방공무원은 각각 별도의 직원단체를 조직하여 일반 민간 노동조합과는 다르며, 대한민국의 공무원 직장협의회나 독일 직원협의회와 비슷한 성격의 공무원 단체라 할 수 있다. 상급노조에 가입은 가능하고, 단체교섭은 이루어지나 협약체결권이 없고, 단체 행동권도 인정되지 않는다.[23]

3. 7. 코스타리카

1800년대 후반, 다양한 도시 및 산업 직종의 근로자를 지원하기 위해 노동 조합이 처음 등장했다.[1] 1934년 유나이티드 프루트 파업과 같은 폭력적인 탄압에 직면한 후, 노동 조합은 1948년 코스타리카 내전 이후 더 많은 권력을 얻었으며, 공공 부문 노동 조합이 등장했다.[1] 이전 행정부와 의회는 코스타리카 노동 조합에 거의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으나,[2] 루이스 기예르모 솔리스 정부와 2014년 입법 의회가 출범하면서, 솔리스와 시민 행동당 및 광역 전선 소속 8명의 의원은 노동 조합의 목소리를 경청하겠다고 약속했다. 자유주의자 오토 게바라는 이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2]

오늘날 코스타리카 노동 조합은 교육 및 의료 분야를 포함한 공공 부문에서 가장 강력하다.[1] 또한 노동 조합은 농업 부문에서도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1] 일반적으로 코스타리카 노동 조합은 은행, 의료, 교육 분야에 대한 정부 규제는 물론 임금 및 근로 조건 개선을 지지한다.[3]

공공 부문 노동 조합의 중요한 문제 중 하나는 전 대통령 라우라 친치야가 거부권을 행사한 '절차 노동법'(Código Procesal Laboral)의 통과 여부이다.[4] 친치야 전 대통령은 이 법이 통과되면 경찰, 의료 서비스 직원, 의사 등 응급 서비스 근로자의 파업을 허용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루이스 기예르모 솔리스 대통령은 절차 노동법 문제는 재임 첫 해 안에 마무리되어야 한다고 밝혔다.[5] 입법 의회 의장 헨리 모라 히메네스도 공공 부문 노동 조합과 마찬가지로 이 법을 지지했다.[4]

참조

[1] 웹사이트 Historia del Sindicalismo http://sitrapequia.o[...] Sindicato de Trabajadores(as) Petroléros Químicos y Afines 2014-05-04
[2] 뉴스 Sindicalismo gana voces en el Congreso e impulsa su agenda http://www.nacion.co[...] La Nacion 2014-06-02
[3] 뉴스 Sindicatos alzarán la voz contra modelo neoliberal en celebraciones del 1° de mayo http://www.nacion.co[...] 2014-04-30
[4] 뉴스 Presidente del Congreso se reúne con sindicatos y promete cambios al Código de Trabajo http://www.nacion.co[...] 2014-05-02
[5] 뉴스 Luis Guillermo Solís avala plazo de un año para resolver veto a reforma laboral http://www.nacion.co[...] 2014-05-06
[6] 뉴스 Greece hit by nationwide strike over austerity http://news.bbc.co.u[...] BBC News 2010-02-10
[7] 서적 Congress Oversees the Bureaucracy https://archive.org/[...] U. of Pittsburgh Press 1976-05-15
[8] 간행물 Labor Unions 1977
[9] 간행물 The Boston Police Strike https://books.google[...] 2011
[10] 서적 A city in terror: Calvin Coolidge and the 1919 Boston police strike Beacon Press 1975
[11] 서적 Blackboard Unions: The AFT and the NEA, 1900-1980 1992
[12] 간행물 "Contesting the Status of Relief Workers during the New Deal The Workers Alliance of America and the Works Progress Administration, 1935-1941." 2005
[13] 서적 Special Interest: Teachers Unions and America's Public Schools https://books.google[...] Brookings Institution Press
[14] 웹사이트 Letter on the Resolution of Federation of Federal Employees Against Strikes in Federal Service August 16, 1937 http://www.presidenc[...]
[15] 간행물 "Management's View of the New York City Experience," https://www.jstor.or[...] 1970-12
[16] 서적 Encyclopedia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public policy 2004
[17] 웹사이트 "Census Bureau Reports State and Local Government Employment Remains at 16.6 Million" https://www.census.g[...] U.S. Census Bureau 2010-08-10
[18] 웹사이트 The Trouble with Public Sector Unions http://www.nationala[...]
[19] 뉴스 Is this the end for organised labour in the US? https://www.theguard[...] guardian.co.uk 2011-03-11
[20] 뉴스 Public employees https://www.nytimes.[...]
[21] 뉴스 Budget crisis https://www.washingt[...]
[22] 서적 The Tea Party and the Remaking of Republican Conservatism https://archive.org/[...] Oxford UP
[23] 저널 韓國公務員勞動組合 團體交涉에 關한 硏究 2012-05-17
[24] 서적 대한민국 건국과 나 창랑기념사업회 1992
[25] 서적 제2공화국과 한국의 민주주의 종로서적 1983
[26] 서적 한국현대정치사의 이해 오름 1999
[27] 서적 한국현대정치사 3권:제2공화국 성문각 1986
[28] 뉴스 (사설) 공무원노조, 전교조가 넘어진 길 그대로 쫓아가나 http://www.chosun.co[...] 조선일보 2009-09-22
[29] 뉴스 공무원 단결에 심기 불편한 보수신문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09-09-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