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빈 최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빈 최씨는 전주 최씨 최도일의 딸로, 1454년에 태어났다. 1462년 예종의 후궁으로 간택되어 소훈에 봉해졌으며, 숙의를 거쳐 귀인으로 품계가 올랐다. 예종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으며, 사망 시기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묘는 경기도 고양시 대자산에 있다. 영조와 정조 때 공빈 최씨가 문종의 계비인지에 대한 논란이 있었으나, 최종적으로 문종의 왕비가 아니라는 결론이 내려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예종 - 성종 (조선)
성종은 조선의 제9대 국왕으로, 세조의 손자이자 덕종의 아들이며 예종의 뒤를 이어 즉위하여 정희왕후의 수렴청정을 거쳐 친정 후 홍문관 설치, 경국대전 반포 등 조선의 통치 체제 확립과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나, 폐비 윤씨 사사 사건과 서얼 차별 강화는 비판받기도 한다. - 조선 예종 - 세조 (조선)
세조는 조선의 제7대 왕으로서, 조카 단종을 폐위하고 왕위에 올라 왕권 강화를 위해 노력했으며, 육조직계제를 실시하고 경국대전 편찬을 시작하는 등 강력한 중앙집권 정책을 추진했다. - 전주 최씨 - 최순주
최순주는 일제강점기에 연희전문학교와 미국 뉴욕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연희전문학교 교수, 조선은행 총재, 재무부 장관 등을 역임했으며, 국회부의장으로서 사사오입 개헌안 가결을 선포했으나 신장병으로 사망했다. - 전주 최씨 - 최희섭
최희섭은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출신으로, 메이저 리그에서 활동 후 KBO 리그 KIA 타이거즈에서 뛰었으며, 현재 MBC 스포츠플러스의 야구 해설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 조선의 후궁 - 숙의 나씨 (중종)
조선 중종의 후궁인 숙의 나씨는 나주 나씨로, 중종의 총애를 받았으나 26세에 출산 중 사망하여 경빈 박씨와의 관계 속에서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으며, 그녀의 묘는 이천시의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었다. - 조선의 후궁 - 숙의 방씨
숙의 방씨는 철종의 후궁으로 두 딸을 낳았으나 모두 요절하였고, 사후 조귀인의 예에 따라 장례를 치렀으며 묘는 서삼릉 후궁 묘역으로 이장, 해당 묘역은 사적으로 지정되었고 드라마에서 묘사되기도 했다.
공빈 최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한글 | 공빈 최씨 |
한자 | 恭嬪 崔氏 |
로마자 표기 | Gongbin Choessi |
다른 이름 | 소훈 최씨 숙의 최씨 귀인 최씨 |
신상 정보 | |
출생 | 1454년 (추정) |
출생지 | 조선 |
사망 | 미상 |
사망지 | 조선 |
묻힌 곳 | 경기도 고양시 대자산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최도일 |
어머니 | 경주 정씨 정 부인 |
배우자 | 예종 |
자녀 | 없음 |
친척 | 최사강(증조부), 영순군의 처(자매) 등 |
가문 | |
출신 가문 | 전주 최씨 |
왕가 | 전주 이씨 (혼인으로) |
지위 | |
직위 | 정1품 빈 |
봉작 | 공빈 |
2. 생애
공빈 최씨는 1483년(성종 14년) 음력 6월 15일 종2품 숙의에서 종1품 귀인으로 봉해졌으나,[8] 예종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다. 언제 사망했는지는 알 수 없으나, 묘는 경기도 고양시 대자산에 경혜공주의 묘 근처에 있다.[3]
영조 때 공빈 최씨가 문종의 계비인가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1747년 (영조 23년), 충청도 유학 박통원이 《명사》 기록 등을 근거로 문종의 왕비에 대한 고찰을 청하는 상소를 올렸다. 영조는 《실록》을 확인하고, 공빈 최씨는 문종의 왕비가 아니며, 현덕왕후 이후 왕비는 없었다고 선언했다. 1791년 (정조 때)도 비슷한 상소가 올라왔으나, 정조 역시 영조 때의 기록과 《명사》 정본을 근거로 공빈 최씨가 문종의 왕비가 아니라고 확인했다. 대한제국 고종 때에도 유사한 상소가 있었으나, 고종은 상소 내용을 이해시키고 뉘우치게 하는 선에서 마무리했다.
2. 1. 초기 생애 및 입궁
전주 최씨 최도일의 딸로, 1462년(세조 8년) 음력 6월 11일 당시 세자였던 예종의 후궁으로 선발되어 종5품 소훈에 책봉되었다.[4] 공빈은 영순군의 부인과 자매간이며,[5] 공빈의 고모할머니들은 각각 함녕군과 금성대군의 부인이고, 고모는 임영대군의 부인으로 귀성군을 낳는 등 왕실과 여러 갈래로 얽힌 인척이다.[6][7]恭嬪|공빈중국어 최씨는 1454년 전주 최씨 가문의 최도일과 경주 정씨 부인 정씨의 막내딸로 태어났다. 그녀는 오빠와 언니가 있었는데, 언니 또한 1457년에 왕실과 혼인하였다. 1462년 6월 11일(세조 8년), 8세의 나이로 당시 세자였던 예종의 후궁으로 간택되어 세자빈 5품인 소훈으로 봉해졌다.[2]
2. 2. 후궁 생활
전주 최씨 최도일의 딸로, 1462년(세조 8년) 음력 6월 11일 당시 세자였던 예종의 후궁으로 선발되어 종5품 소훈에 책봉되었다.[4] 공빈은 영순군의 부인과 자매간이며,[5] 공빈의 고모할머니들은 각각 함녕군과 금성대군의 부인이었고, 고모는 임영대군의 부인으로 귀성군을 낳는 등 왕실과 여러 갈래로 얽힌 인척 관계였다.[6][7] 1483년(성종 14년) 음력 6월 15일 종2품 숙의에서 종1품 귀인으로 봉해졌다.[8] 예종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다.2. 3. 묘소
정조 때 공빈 최씨의 무덤에 대해 수소문하였는데, 지평 정필조는 "고양 대자동에 경혜공주 무덤이 있는데, 그 옆에 예장한 큰 무덤이 있으나 비석이 마멸되어 자세히 알 수 없다."고 하였다. 묘지기는 "최빈의 묘라고는 하는데 자세한 빈호는 알 수가 없다."고 하였고, 공빈 가문의 후손 최광억은 "공빈의 묘가 대자동 경혜공주 무덤 왼쪽에 있다고는 하는데 자세한 것은 알 수 없었다."고 하였다.[9]현재 공빈 최씨의 묘는 고양시 대자동 964-1번지 전주 최씨봉례공파종중회 선산 묘역에 있으며, 전주최씨 봉례공파에서는 매년 후손들이 공빈 최씨의 시향제를 올리고 있다. 전주최씨 봉례공파는 전주 최씨 중 가장 번성한 계파로 시조 최순작의 후손들이다. 문열공계 8세 평도공 최유경(평도공파), 9세 경절공 최사강(경절공파)에서 분파되어 10세 봉례증우의정 최승령을 시조로 모시고 있으며, 공빈 최씨는 11세 최도일의 막내딸이다. 9세 경절공 최사강(경절공파), 10세 봉례증우의정 최승령(봉례공파), 11세 최도일은 조선 왕조와 혼인 관계를 맺었다.
3. 사후 논란
영조 때 문종의 계비가 공빈 최씨인지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이 논란은 정조와 고종 때까지 이어졌다.
3. 1. 문종 계비 논란
1747년(영조 23년) 음력 12월 16일, 충청도의 유학 박통원이 문종의 왕비에 대해 다시 살펴볼 것을 요청하는 상소를 올렸다. 박통원은 다음과 같은 근거를 제시했다.[10]- 《명사》〈열전〉에 문종 시기 명나라에서 조선의 왕비에게 고명을 내린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 고양에 공빈 최씨의 것으로 추정되는 묘가 있으며, 최씨 족보에 따르면 실제로 공빈 최씨가 존재하고 그 시기가 문종 때로 추정된다.
- 현덕왕후가 사망한 후 12년 동안 세자빈 및 왕비 자리가 비어 있었다.
이에 영조는 《실록》을 검토하도록 지시했다.[10]
다음 날, 영조는 조현명과 원경하에게 최씨에 대해 물었다. 원경하는 북경에서 "권씨는 곧 최씨인데, 최씨는 최도일의 딸이다."라는 말을 들었다고 답했다. 영조는 "최도일은 임영대군 부인의 동생일 뿐"이라고 반박했고, 조현명은 《단종의궤》를 근거로 공빈 최씨에 대한 근거가 없다고 답했다. 영조는 강화도에 사람을 보내 《실록》을 자세히 알아보도록 했다.[11]
문제가 된 《명사》의 기록은 "문묘의 왕후 최씨"라는 내용으로, 청나라의 왕홍서가 작성했다. 청나라에 다녀왔던 영의정 김재로는 이를 "권씨"로 고쳤다. 영조가 묻자 김재로는 "모르는 사이에 놀라 바꿨다"고 답했다. 영조는 《실록》을 확인한 후에야 결정할 수 있으며, 왕홍서의 기록은 신뢰할 수 없다고 말했다.[12]
1747년(영조 23년) 음력 12월 21일, 영조는 춘추관 관리를 만나 공빈 최씨는 문종의 왕비가 아니며, 현덕왕후 이후 문종의 왕비는 없었다고 선언했다. 근거는 다음과 같다.[13]
- 현덕왕후 사후 문종이 후궁을 맞은 기록은 있으나 세자빈 책봉 기록은 없다.
- 소헌왕후 승하 시 세자빈 복제 및 문종 승하 시 왕비 복제를 마련하지 않았다.
- 문종 때 기록에 "공빈 최씨"라는 언급이 없다.
- 단종 때 강맹경 등이 "오랫동안 모후가 안 계셨으니 귀인 홍씨로 하여금 내정을 총괄하게 하소서"라는 상소를 올렸다.
영조는 왕홍서의 기록은 성씨를 잘못 쓴 것이고, 전주 최씨 족보에 공빈 최씨를 기록한 것은 억지라고 주장했다.[13]
1791년(정조 15년), 사간 윤행리가 다시 이 문제를 제기했다. 정조는 영조 때의 기록과 왕홍서의 《명사》 초고를 검토했다. 이후 반포된 《명사》 정본에는 문종의 왕비가 권씨로 기록되어 있어, 공빈 최씨는 문종의 왕비가 아니라고 선언했다.[14]
고종 때에도 비슷한 상소가 올라왔다. 조정은 상소를 올린 이국응을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고종은 상소 원본을 돌려주고 이국응을 이해시키도록 했다.[15]
4. 가족 관계
항목 | 내용 |
---|---|
아버지 | 최도일(崔道一, ?~1461)[5] |
어머니 | 경주 정씨(慶州 鄭氏; 1418–?) |
형제 | 오빠 : 최세현(崔世賢; 1439–?) |
올케 : 광산 김씨(光山 金氏; 1447–1513) | |
언니 : 전주 최씨 김제군부인(金堤郡夫人; 1441–1519), 형부 : 이부(李部) 영순군(永順君, 1444년 7월 3일 – 1470년 4월 1일) | |
고모 | 임영대군의 처 |
고모부 | 임영대군 (세종의 4남) |
시아버지 | 제7대 세조(1417~1468) |
남편 | 제8대 예종(1450~1469, 재위:1468~1469) |
참조
[1]
웹사이트
공빈최씨(恭嬪崔氏) ( ? -1462- ? )
https://m.blog.naver[...]
[2]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3]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4]
서적
세조실록 28권, 세조 8년 6월 11일 갑술 1번째기사
[5]
서적
세조실록 26권, 세조 7년 10월 5일 신미 2번째기사
[6]
뉴스
한국의 성씨 이야기〈34〉 전주최씨
https://news.naver.c[...]
2012-07-24
[7]
웹인용
만가보
http://kostma.net/Fa[...]
2017-05-18
[8]
서적
성종실록 155권, 성종 14년 6월 15일 병자 2번째기사
[9]
서적
정조실록 32권, 정조 15년 3월 16일 경인 1번째기사
[10]
서적
영조실록 66권, 영조 23년 12월 16일 임신 3번째기사
[11]
서적
영조실록 66권, 영조 23년 12월 17일 계유 1번째기사
[12]
서적
영조실록 66권, 영조 23년 12월 20일 병자 3번째기사
[13]
서적
영조실록 66권, 영조 23년 12월 21일 정축 2번째기사
[14]
서적
정조실록 32권, 정조 15년 3월 9일 계미 2번째기사
[15]
서적
고종실록 24권, 고종 24년 8월 15일 기해 2번째기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