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영대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임영대군은 조선 세종의 넷째 아들로, 문종과 세조의 동생이다. 1428년 임영대군에 봉해졌고, 무예에 능하며 성균관에 입학하기도 했다. 계유정난 당시 형 수양대군을 적극 도왔으며, 세조 즉위에 기여했다. 하지만 궁중 여인과의 부적절한 관계, 인사 청탁 논란 등으로 인해 직첩을 회수당하기도 했다. 1469년에 사망했으며, 슬하에 9남 2녀를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20년 출생 - 서거정
조선 초기의 문신이자 학자인 서거정은 문과 급제 후 6조 판서와 좌찬성을 지내며 《경국대전》, 《동국통감》, 《동국여지승람》 등 국가적인 편찬 사업에 참여하여 조선의 문물 제도 정비에 기여했고, 《동문선》, 《필원잡기》 등의 저술을 통해 조선 초기의 문학을 집대성하여 문충이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그의 호는 사가정역명칭의 유래가 되었다. - 1420년 출생 - 조려
조려는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세조의 왕위 찬탈에 반대하여 벼슬을 버리고 단종에 대한 절개를 지켜 이조참판에 추증되고 서산서원에 배향되었으며, 정절이라는 시호를 받은 인물이다. - 1469년 사망 - 프라 필리포 리피
프라 필리포 리피는 15세기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로, 마사초의 영향을 받아 종교화를 현실적으로 묘사했으며, 프라토 대성당의 프레스코화를 비롯한 여러 작품을 남겼다. - 1469년 사망 - 예종 (조선)
조선의 제8대 왕인 예종은 세조의 아들로, 형 의경세자의 요절 후 왕세자가 되어 즉위했으나 짧은 재위 기간 동안 정희왕후의 수렴청정과 훈구 세력의 영향력 아래 있었고 남이의 옥이 일어났다. - 조선의 과학자 - 정약용
정약용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로, 실학 사상 집대성, 과학 기술 분야 업적, 500여 권의 저술을 통한 사회 개혁 주장 등으로 유네스코 세계기념인물에 선정되었다. - 조선의 과학자 - 지석영
지석영은 조선 후기의 의학자이자 개화 사상가로, 종두법 도입에 기여했지만 일제강점기에는 그의 업적이 식민지배 정당화에 이용되었다는 비판적 시각도 존재하며, 《우두신설》 등의 저서를 통해 의학 지식을 전파한 다재다능한 인물이다.
임영대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작위 | 조선 세종의 왕자 |
휘 | 이구(李璆) |
자 | 헌지(獻之) |
시호 | 정간(貞簡) |
출생일 | 1420년 1월 29일 |
사망일 | 1469년 2월 11일 (향년 49세) |
출생지 | 한성, 조선 |
사망지 | 한성, 조선 |
묘소 | 내선동, 의왕시, 경기도, 대한민국 |
부친 | 세종 |
모친 | 소헌왕후 심씨 |
종교 | 유교(성리학) |
본관 | 전주 이씨 |
가족 관계 | |
배우자 | 부부인 의령 남씨(초실) 제안부부인 전주 최씨(계실) 부부인 안동 안씨(삼실) |
자녀 | 9남 7녀 |
작위 | |
작위명 | 임영대군 |
기타 | |
로마자 표기 | Yi Gu |
2. 생애
임영대군 이구는 세종 2년 1월 6일 세종과 소헌왕후 심씨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문종, 세조의 친동생이다. 어릴 적부터 자존심이 강하고 부모와 형제에게 효도와 우애를 다했으며, 성품이 곧아 칭찬을 많이 받았다. 아버지 세종의 총애를 받았으며, 둘째 형인 수양대군처럼 무예에도 능했다.[3] 그러나 궁중 여인들과의 부적절한 관계로 구설수에 오르기도 했다.
1428년(세종 10년) 임영대군(臨瀛大君)에 봉해졌으며, 1430년(세종 12년) 수양대군, 안평대군과 함께 성균관에 입학하여 수학하였다.[3] 1442년 원윤이 되었고, 아버지 세종의 명을 받아 총통 제작을 맡아 군기감에서 일하기도 하였다. 1445년 총통 제작과 1450년 활자 제작에 참여하였다.
남지의 딸과 혼인하였으나, 정신질환으로 인해 혼인 한 달 만에 헤어졌다.[4][5] 이후 최사강의 손녀이자 최승녕의 딸인 제안부부인 최씨와 혼인하여 5남 2녀를 두었고, 안동 안씨와 재혼하여 4남 5녀를 두었다. 1440년 20세의 나이에 영의정에 올랐다.[6]
1453년 계유정난으로 수양대군이 정권을 잡자, 임영대군은 수양대군을 크게 도왔고, 세조로 즉위하는 데 기여했다.[7] 세조 반정 이후 양녕대군, 효령대군과 함께 왕실의 수장이 되었고, 1469년 1월 21일에 50세로 사망하여 경기도 의왕시에 안장되었다.[8]
2. 1. 생애 초반
임영대군 이구는 1420년(세종 2년) 1월 6일 세종과 소헌왕후 심씨의 넷째 아들이며 문종, 세조의 친동생이다. 둘째 형인 수양대군처럼 무술에 능하였다.[3]어려서 부터 긍지를 가지고 부모와 형제에게 효우(孝友)를 지키며 청백하게 생활하였다. 성격에 꾸밈이 없고 사특(私慝)함이 없어서 늘 진실하고 대쪽같다고 칭찬을 들었다. 1428년(세종 10년)에 대광보국 임영대군(大匡輔國 臨瀛大君)에 봉해졌으며 이듬해 명나라의 사신인 지신사 정흠지(鄭欽之)로부터 단자(段子) 5필을 선물로 받았다. 1430년(세종 12년)에 형 수양대군(晉平大君) 이유(李瑈, 뒷날의 세조), 안평대군 이용(李瑢)과 함께 성균관에 입학하여 수학하였다.[3]
무예에 능하여 1433년 3월에는 형 수양대군과 함께 경회루에서 승마 시범을 보이기도 했다. 부왕 세종의 총애가 깊어 세종은 여러번 그의 집에 거둥하였다.
2. 2. 총통 제작과 관료 생활
1439년(세종 21년) 작첩을 빼앗겼으나 1440년 다시 임영대군에 봉해졌다. 1442년 원윤이 되었으며, 아버지 세종이 그에게 총통 제작을 맡기어 군기감에서 일하기도 하였다. 세종의 명을 받아 동생인 금성대군과 함께 총통, 화차를 제작하였다.[9]1450년(문종 즉위년)에 맏형 문종의 명을 받아 화차를 제작하였다. 1452년 문종이 죽고 조카인 단종이 즉위하면서 황보인, 김종서 등이 황표정사를 빌미로 국정을 장악하려 할 때 크게 불만을 나타내기도 하였다.[9]
이후 안평대군과 수양대군 사이에서 갈등이 벌어질 때 그는 둘째 형인 수양대군의 편을 들었다.[9] 1445년 총통 제작과 1450년 활자 제작에 참여하였다. 세조가 권력을 장악하자 그를 보좌하였다.[9]
2. 3. 세조 반정 이후
1453년 계유정난으로 수양대군이 정권을 잡자, 임영대군은 수양대군을 크게 도왔고, 수양대군이 세조로 즉위하는 데 기여했다.[7] 세조 반정을 지지하여 임영대군은 양녕대군, 효령대군과 함께 왕실의 수장이 되었고, 형제들인 문종, 안평대군, 금성대군 등과 달리 큰 시련을 겪지 않았다. 예종 원년인 1469년 1월 21일에 50세로 사망하였다.[8]2. 4. 불행한 가정 생활과 여성 편력
남지의 딸과 혼인하였으나, 그녀는 정신질환이 있었다. 1433년(세종 15년) 6월 14일 세종은 영의정 황희, 좌의정 맹사성, 우의정 최윤덕 등을 불러 "임영대군의 아내 남씨는 나이가 12세가 넘었는데 아직 오줌을 싸고 눈빛이 바르지 못한데다가 혀가 심히 짧고 행동이 놀라고 미친듯한 모습이기에 내쳐야 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그 후 혼인 한 달 만에 군부인 남씨는 강제 이혼을 당했고, 임영대군 이구는 1433년 12월 의정부우찬성 최사강의 손녀이자 요절한 최승녕의 딸을 부부인으로 간택하였다. 최승녕은 출세하지 못하고 젊은 나이에 일찍 세상을 떠났지만, 그의 아버지 최사강은 문과 급제자도 아니면서 의정부 우찬성(종1품)을 지냈으며 세종 시대의 몇 안 되는 권세가 중 한 명이었다.
제안부부인 최씨의 고모이며 최사강의 다른 딸 둘은 세종의 서제(庶弟)이자 태종 이방원과 신빈 신씨 사이의 소생 서자인 함녕군의 부인이 되었고, 다른 딸은 세종의 여섯째 아들인 금성대군의 부인이 되어 태종, 세종 부자의 사돈이 되었다. 이때 그의 장남 최승녕의 딸까지 임영대군의 부인이 되어 왕실과 삼중 인척관계를 형성하였다.
부부인 최씨에게서 5남 2녀를 두었으며, 세 번째로 안동 안씨와 재혼하여 4남 5녀를 낳았다. 임영대군의 장남은 오산군이며 계취 연안 김씨와의 사이에 7남을 두었다.
1439년(세종 21년) 5월 3일 대궐이 발칵 뒤집어졌다. 세종이 영의정 황희와 우의정 허조를 급히 불렀기 때문이다. 세종은 두 사람을 불러 임영대군 이구의 '문제'를 털어놓은 다음 처리 방향을 함께 의논했다.[13]
이구의 '문제'는 다름 아닌 '섹스 스캔들'이었다. 이구는 이미 그 전에도 대궐의 여종 막비와 가야지와 사통(私通)했으나 세종은 일단 묵인해주었다.[13] 언관들은 계속 처벌을 주청했으나 세종은 이를 묵살했다. 또 세종실록에 의하면 세종 19년 4월에는 악공의 딸인 기생 금강매(錦江梅)에게 빠져 아예 첩으로 삼겠다고 말하자 세종은 "정직하게 말하는 게 가상하여 특별히 허락"해주기도 했다.[13] 이때 승지 허후가 "대군의 축첩은 옳지 못하며 굳이 첩을 두려면 기생이 아니라 양갓집에서 간택하는 것이 좋겠다"고 건의하자 세종은 버럭 화를 냈다.[13] 그럴 때마다 부왕 세종대왕은 "그렇다면 종친들의 기첩(妓妾)을 다 쫓아내란 말이냐?"라며 아들을 두둔하였다.
이처럼 세종이 사실상 묵인했던 이구의 문제가 1년 후인 세종 21년 5월 크게 불거진 것은 금강매에게 푹 빠져 학문을 내팽개쳤을 뿐만 아니라 막비, 가야지 외에도 또 다른 여종 금질지까지 사통하는 등 여색(女色)에서 헤어날 기미를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13]
당장 이구의 직첩을 회수하여 대군 자격을 박탈했다. 1년 후 이구는 대군 자격을 회복한다.[13] 그런데 그의 여성 편력은 중단되지 않고 계속되었다. 직첩 회복 1년 후인 세종 23년 임영대군은 이복동생인 화의군과 함께 궐 밖의 여인 2명을 몰래 궁 안에 들이려다가 광화문 문지기에게 발각돼 다시 직첩을 빼앗기고 3년 가까이 대궐 안에서 연금 생활을 해야 했다.[13]
2. 5. 인사 청탁 논란
광평대군과 함께 인사 청탁을 하여 논란이 되었다. 신효창의 친손녀는 광평대군의 부인이고 외손녀는 임영대군의 부인이었는데, 1437년 신효창이 두 대군에게 편지를 보내 자신의 비첩(婢妾)이 낳은 서자 신근지를 벼슬에 앉힐 것을 청탁하였다.[14] 신근지는 임영대군에게는 처서외삼촌이 된다.처외조부 신효창의 청탁으로 형 광평대군과 함께 신근지의 벼슬을 청탁하였다. 형제가 부왕 세종대왕을 찾아가 "근지는 사예(射藝)에 능하여 마땅히 쓸 만합니다.[14]"라고 말하였다. 왕명으로 병조에서 그 재주를 시험하니, 보사(步射)와 기사(騎射)에 모두 합격하였다. 그러나 뒤에 논란이 되어 신효창과 신근지의 임명장은 빼앗겼다가 도로 되돌려받았다.[14]
2. 6. 죽음
이구는 1469년 1월 21일에 사망하여 현재 경기도 의왕시에 안장되었다.[8] 그는 죽으면서 왕자 간에 서로 분쟁을 일으키지 말 것과 백성들에게 해를 끼치지 말라는 두 가지 유훈을 남겼다. 슬하에 9남 2녀를 두었는데, 그 중 아들 구성군은 훗날 영의정까지 오르며 승승장구했으나 정희왕후에게 숙청당하여 유배되었다.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조부/조모 | 태종 | 1367년 | 1422년 | 조선 제3대 왕 |
원경왕후 민씨 | 1365년 | 1420년 | ||
외조부/외조모 | 심온 | 1375년 | 1419년 | 청천부원군 |
순흥 안씨 | ? | 1444년 | 삼한국대부인 | |
부/모 | 세종 | 1397년 | 1450년 | 조선 제4대 왕 |
소헌왕후 | 1395년 | 1446년 | ||
형제자매 | 정소공주 | 1412년 | 1424년 | 큰누나 |
문종 | 1414년 | 1452년 | 형, 조선 제5대 왕 | |
정의공주 | 1415년 | 1477년 | 작은누나 | |
세조 | 1417년 | 1468년 | 형, 조선 제7대 왕 | |
안평대군 | 1418년 | 1453년 | 형 | |
광평대군 | 1425년 | 1444년 | 남동생 | |
금성대군[10] | 1426년 | 1457년 | 남동생 | |
평원대군 | 1427년 | 1445년 | 남동생 | |
영응대군 | 1434년 | 1467년 | 남동생 | |
부인 | 의령 남씨 | 1426년 | ? | 남지의 딸, 정신질환으로 이혼 |
전주 최씨 | 1420년 | ? | 최사강의 손녀, 최승녕의 딸[11] | |
안동 안씨 | 1422년 | ? | ||
자녀 | 오산군 이주 | 1437년 | 1489년 | 장남, 제안부부인 소생 |
귀성군 이준 | 1441년 | 1479년 | 차남, 제안부부인 소생[12] | |
정양군 이순 | 1442년 | 1492년 | 3남, 제안부부인 소생 | |
팔계군 이정 | 1454년 | ? | 4남, 제안부부인 소생, 함녕군의 양손자로 출계 | |
환성군 이징 | 1456년 | ? | 5남, 제안부부인 소생 | |
중모현주 | 1435년 | ? | 장녀, 제안부부인 소생, 신승선과 혼인 | |
청하현주 | 1445년 | ? | 차녀, 제안부부인 소생, 순흥 안씨 안우건과 혼인 | |
영양군 이함 | 1458년 | 1526년 | 6남, 안동 안씨 소생 | |
단계부정 이인 | 1460년 | 1521년 | 7남, 안동 안씨 소생 | |
윤산군 이탁 | 1462년 | 1487년 | 8남, 안동 안씨 소생 | |
옥천군 이옥 | 1464년 | ? | 9남, 안동 안씨 소생 | |
전주 이씨 | 1456년 | ? | 3녀, 안동 안씨 소생, 김풍공과 혼인 | |
전주 이씨 | ? | ? | 4녀, 안동 안씨 소생, 전윤식과 혼인 | |
전주 이씨 | 1458년 | ? | 5녀, 안동 안씨 소생, 권형과 혼인 | |
전주 이씨 | 1466년 | ? | 6녀, 안동 안씨 소생, 민영과 혼인 |
- 측실 : 금강매(錦江梅, 1430년 ~ ?) - 악공의 딸
임영대군은 세 부인에게서 9남 6녀를 두었고, 측실에게서 자녀를 두었다.
4. 평가 및 비판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함께 이전 출력을 제공해주시면 수정 작업을 진행하겠습니다.)
5. 관련 작품
참조
[1]
일반
[2]
서적
조선왕 시크릿 파일 - 우리가 몰랐던 조선 왕들의 인성과 사생활 이야기
https://books.google[...]
옥당북스
2018-09-14
[3]
서적
조선 왕실 로맨스: 우리가 몰랐던 조선 왕실의 결혼과 사랑 이야기
https://books.google[...]
옥당북스
2019-10-10
[4]
서적
조선왕조실록 3 세종 문종 단종: 백성을 사랑한 사대부의 임금
https://books.google[...]
다산초당
[5]
서적
조선을 뒤흔든 16가지 연애사건: 신분과 사회를 뛰어넘은 조선 최대의 스캔들
https://books.google[...]
Dasan Books
2010-07-28
[6]
서적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연표
https://books.google[...]
휴머니스트
2015-06-22
[7]
서적
조선왕조실록 4: 세조·예종·성종 {{!}} 백성들의 지옥, 공신들의 낙원
https://books.google[...]
다산초당
2021-06-24
[8]
웹사이트
Cemetery of Grand Prince Imyeong
http://english.cha.g[...]
[9]
일반
[10]
일반
[11]
일반
[12]
일반
[13]
뉴스
[이한우의 역사속의 Why] 세종 4男 임영대군 여종들과의 섹스 스캔들
http://www.chosun.co[...]
조선일보
2008-10-04
[14]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