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공립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공립학교는 국가 또는 지방 정부의 재정 지원을 받아 운영되는 학교를 의미하며, 유아 교육부터 고등 교육까지 다양한 유형이 존재한다. 한국을 비롯하여 미국, 영국, 일본 등 여러 국가에서 국공립학교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각 국가별로 교육 시스템과 운영 방식에 차이가 있다. 한국에서는 국립학교와 공립학교로 구분되며, 더불어민주당 등은 국공립학교 확충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기도 한다. 하지만, 사학 비리 및 역사 왜곡 논란 등 운영과 관련된 문제점도 제기되고 있다. 공립학교는 사립학교에 비해 학력 신장에 대한 논의가 있으며, 학교 운영과 관련하여 수업료 및 급식비 미납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영미권에서는 중앙 정부(연방 정부, 지방 정부) 등이 설립한 학교를 통칭하여 공립학교라고 부르는 경향이 강하다. 특히 국립 학교가 매우 적은 미국에서는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진다.
공립학교는 설립 주체 및 운영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뉜다.
2. 국가별 국공립학교
반면, 대한민국과 일본처럼 중앙 정부가 설립한 학교가 공교육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국가에서는 공립학교를 지방 정부가 설립한 학교만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차이는 아래 표와 같다.국가 미국 등의 경우 대한민국 등의 경우 대분류 공립 (公立) 국공립 (國公立) 소분류 국립 (國立) 주립 (州立) 국립 공립 시립 (市立) 도립 (道立) 예시 공군사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부산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강원도립대학교
이러한 국가별 국공립학교의 개념 및 운영 방식의 차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2.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국공립학교는 국립학교와 공립학교로 나뉜다. 국공립 교육은 조선시대 성균관에서부터 이어져 온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유아교육부터 고등교육까지 전반적인 교육을 제공하며, 특히 고등교육기관은 중앙 정부가, 초·중등교육기관은 지방 정부가 주로 설립·운영한다.
기록상 최초의 공교육 제도는 고려 시대에 시행되었다. 성종은 학제(학제|學制한국어)를 제정하여 국립 학교 시스템을 시행했는데, 이는 중국의 송나라와 당나라의 공교육 시스템을 모델로 한 것이었다. 학제는 수도에 국자감, 기타 지역에 향학(향학|鄕學한국어)이라 불리는 국립 대학을 운영하는 것을 포함했다. 성종 6년(987년)에는 향학에서 학문 시스템과 교육 과정을 관리하기 위해 의사 1명과 학자 1명이 임명되었고, 학문 교육에는 지리, 역사, 수학, 법학 등이 포함되었다. 성종 11년(992년)에는 전국적인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주(州)와 군(郡)에 주학(주학|州學한국어)이라 불리는 최초의 국립 공립학교가 개교했다.
한국 전쟁 이후, 대한민국에서는 유치원을 제외하고 공립학교(1~12학년) 교육이 의무이다. 공교육의 모든 측면은 교육부의 책임이며, 교육부는 학교 관리, 자금 배분, 교사 및 학교 인증, 그리고 전국적으로 표준화된 교과 과정을 개발한다. 2000년, 대한민국은 GDP의 4.2%를 교육에 지출했으며, 2007년 유엔 교육 지수에서 대한민국은 세계 8위를 기록했다.
2. 1. 1. 한국의 공립학교 논쟁
대한민국의 교육은 조선의 성균관 등에서 알 수 있듯, 국공립학교의 역사가 상당하다. 대한민국의 각 지방 정부는 유아교육기관과 초·중등교육기관(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등)을 주로 설립하여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반면, 중앙 정부는 고등교육기관(대학, 대학원대학 등)을 설립하여 운영하고, 각 일선 대학에 교육기관을 부설하는 식으로 유아교육부터 초·중등교육기관 전반을 설치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1]
2. 2. 미국
미국에서 "공립학교(Public School)"는 연방 정부, 주 정부, 지방 정부의 재정 지원을 받아 운영되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를 의미하며, 무상 교육을 제공한다.[1] 사립학교는 일반적으로 정부가 소유하지 않은 교육 기관을 지칭한다.
미국 연방 정부의 교육 역할은 제한적이며, 미국 헌법 수정 제10조에 따라 교육에 대한 직접적인 통제는 주 정부의 권한이다. 미국 교육부는 워싱턴 D.C.에 있으며, 교육에 대한 연방 정부의 역할을 감독한다. 공립학교에 대한 직접적인 규제는 주 및 지역 정부에서 수행하며, 워싱턴 D.C.의 학교는 컬럼비아 특별구 정부의 규제를 받는다.
공립학교는 주로 지방 정부에서 제공하며, 교육 과정, 자금 조달, 교육 및 기타 정책은 지역 선출 교육 위원회를 통해 학군에 대한 관할권을 갖는다. 학군은 주법의 규정에 의해 권한을 부여받은 특별 목적 지구이다. 일반적으로 주 정부는 초등학교와 고등학교의 거의 모든 활동에 대한 최소 기준을 설정하고, 학교를 지원하기 위해 지방 학교 세금을 부과할 수 있는 자금 및 권한을 부여하며, 주로 재산세를 통해 지원한다. 연방 정부는 연방 최소 기준을 충족하는 주 및 학군에 대한 지원금을 지원한다.
공립학교는 일반적으로 다음 세 단계로 나뉜다.
초등학교가 유치원 또는 1학년부터 5학년 또는 6학년까지 포함하고 중학교가 6학년 또는 7학년과 8학년을 포함하는 중학교 형식이 점점 더 일반적이다.
주에서 운영하고 보조금을 지급하는 고등 교육 기관도 "공립"이라고 불린다. 공립 대학교는 일반적으로 수업료를 부과하지만, 사립 대학교가 부과하는 수수료보다 훨씬 낮으며, 특히 주 거주 요건을 충족하는 학생의 경우 더욱 그렇다. 커뮤니티 칼리지, 주립 칼리지, 그리고 주립 대학교는 고등 교육의 공립 기관의 예이다.
2. 3. 영국
잉글랜드는 강력한 국비 지원 학교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잉글랜드의 국비 지원 학교에는 아카데미 학교(academy schools), 커뮤니티 학교(community schools), 종교 학교(faith school), 재단 학교(foundation school), 잉글랜드의 자유 학교(free schools), 그래머 스쿨(grammar school), 수학 학교(maths schools), 스튜디오 학교, 대학교 기술 칼리지(university technical college), 잉글랜드의 국립 기숙 학교 목록(state boarding schools) 및 시티 기술 칼리지(City Technology College) 등 여러 종류가 있다.[10]
잉글랜드 국비 지원 학교의 약 3분의 1은 종교 학교(faith school)이다.[11] 이 학교들은 종교 단체와 관련이 있으며, 대부분 잉글랜드 교회(faith schools)(약 2/3) 또는 로마 가톨릭 교회(약 3/10) 소속이다. 다른 기독교 교회와 관련된 학교도 있으며, 2011년에는 유대교 42개, 이슬람교 12개, 시크교 3개, 힌두교 1개의 종교 학교가 있었다.[12] 종교 학교(faith school)에는 종교 아카데미 학교(academy schools), 자율 지원 학교(voluntary aided school), 자율 통제 학교(voluntary controlled school)와 같은 하위 범주가 있으며, 대부분의 자율 통제 학교는 종교 학교이다.
이 모든 학교는 국세와 지방세로 자금을 지원받는다. 잉글랜드의 모든 국비 지원 학교는 12개 과목으로 구성된 잉글랜드의 국가 커리큘럼(National Curriculum)을 따라야 한다.[13] 모든 국립 학교는 학생과 사회의 정신적, 도덕적, 문화적, 정신적, 신체적 발달을 촉진하고, 이후 삶의 기회, 책임 및 경험을 위해 학생들을 준비시키는 균형 있고 광범위한 커리큘럼을 제공해야 한다.[14]
교육부 장관(Secretary of State for Education)은 각 법정 커리큘럼 과목에 대해 관련 주요 단계에서 가르쳐야 하는 내용과 사항을 간략하게 설명하는 학습 프로그램을 제시해야 한다.[15] 교사는 모든 학생에 대해 높은 기대를 가져야 하며, 예상되는 표준보다 성취도가 현저히 높은 학생들을 위한 고강도 학습을 계획해야 한다. 또한, 의도적으로 야심찬 목표를 설정하기 위해 적절한 평가를 사용해야 한다.[14]
많은 수의 국비 지원 중등학교가 전문 학교(specialist school)이며, 학교가 전문화된 하나 이상의 과목을 개발하기 위해 추가 자금을 지원받는다. 예를 들어 현재 5개의 전문 분야를 갖춘 사이렌스터 디어 파크 학교(Cirencester Deer Park School)가 있다. 국립 학교는 수영 강습 및 현장 학습과 같은 과외 활동(extracurricular activity)에 대한 학부모의 지불을 요청할 수 있지만, 이러한 요금은 자발적이어야 한다.
종합 학교(Comprehensive school)는 일반적으로 학업 성취도나 적성을 기준으로 입학을 선택하지 않는 약 11~18세 학생을 위한 중등학교를 말하며, 학업 성적을 기준으로 입학이 제한되는 선택 학교 시스템과는 대조적이다. 이 용어는 1940년대에 실험적으로 국립 학교로 도입되어 1965년부터 잉글랜드와 웨일스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잉글랜드 중등학생의 약 90%가 종합 국립 학교에 다닌다. 종합 학교는 재정적 고려나 성취도와 관계없이 모든 어린이에게 잉글랜드의 국가 커리큘럼(entitlement curriculum)을 제공하며, 디자인 기술(Design and Technology) 및 직업 학습과 같은 실용적인 과목을 포함하는 더 광범위한 커리큘럼이 제공된다.
국립 학교의 기술 교육은 중등학교 시절에 도입되어 전문대학(FE) 및 고등 교육(HE)으로 이어진다. 전문대학은 직업 지향 교육과 일반 중등 교육을 함께 제공한다. 학생들은 광범위한 견습 과정과 학습을 준비하기 위해 전문대학(Further Education College) 또는 6학년(sixth form college)에 진학할 수 있다. 직업 자격증의 주요 제공 기관으로는 비즈니스 기술 교육 위원회(Business and Technology Education Council), 런던 시립 길드 연구소(City and Guilds of London Institute) 및 에덱셀(Edexcel)이 있다. 고등 국립 증명서(Higher National Certificate) 및 고등 국립 디플로마(Higher National Diploma)는 일반적으로 1년 및 2년의 전일제 학습이 필요하며, HNE 또는 디플로마의 학점은 학부 학위로 이전될 수 있다. HNC 및 HND 외에도, 다른 직업 자격증에 관심 있는 학생들은 고도로 숙련된 기술자가 되도록 교육하는 파운데이션 학위(foundation degree)를 취득할 수 있다. 국립 견습 서비스(National Apprenticeship Service)는 16세 이상인 사람들이 견습(apprenticeship)에 참여하여 기술자(Tradesman)를 배우는 직업 교육을 제공한다. 견습 과정을 통해 60개 이상의 자격증을 얻을 수 있으며, 보통 1~3년 동안 지속된다. 직업 견습생은 훈련 기간 동안 유급 임금을 받으며, 기술을 연마하기 위해 학교에서 하루를 보내고 나머지 시간을 직장에서 보낸다.
그래머 스쿨(Grammar schools)은 지방 정부(local government), 재단 또는 아카데미 신탁에서 운영될 수 있으며, 학업 능력을 기준으로 학생을 선발한다.[16] 중세(medieval) 그래머 스쿨의 원래 목적은 라틴어 교육이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커리큘럼은 고대 그리스어, 영어 및 기타 유럽 언어, 자연 과학, 수학, 역사, 지리, 미술 등으로 확대되었다. 일부 지역에서는 학생들이 11+ 시험(eleven plus exam)에 합격하면 그래머 스쿨(grammar school)에 입학할 수 있다. 또한 많은 수의 고립된 전면 선택 그래머 스쿨과 수십 개의 부분 선택 학교(partially selective school)가 있다.[17] 잉글랜드에서 가장 오래된 국립 학교는 서기 700년에 설립된 베벌리 그래머 스쿨(Beverley Grammar School)이다.[18]
2. 4. 일본
일본의 공립학교는 도도부현, 시정촌(시에 도쿄도의 구 포함), 조합(특별지방공공단체의 조합)이 설치한다.[1] 지방독립행정법인인 공립대학법인이 설치하는 대학(공립대학) 및 그 부속학교도 여기에 포함된다.[1]
국립학교(문부과학성)나 사립학교(학교법인·주식회사·개인)와 구분할 때 사용하는 용어이다.[1] 지방공공단체의 교육위원회나 교육청이 관리하며, 유치원, 초등학교부터 대학교까지 포함된다.[1] 단, 공립대학의 관리 및 집행은 지방공공단체의 장(도도부현 지사, 시정촌장, 일부사무조합의 관리자)이 수행하며, 교육위원회는 관여하지 않는다.[1]
공립학교에서는 특정 종교, 교파에 따른 종교 교육은 할 수 없지만, 크리스마스나 할로윈 정도는 용인되는 경우가 많다.[1]
2. 5. 기타 국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국립 학교는 국가가 통제하는 학교를 의미한다. 1996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학교법에 따라 공식적으로 공립 학교라고 불리지만, 구어체에서는 이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이 법은 공립 학교와 사립 학교의 두 가지 범주를 인정했다. 낮은 수업료를 받는 사립 학교는 정부의 지원을 받으며, 변동적인 규모의 보조금을 받는다. 높은 수업료를 받는 전통적인 사립 학교는 정부 보조금을 받지 못한다. 국립 학교는 모두 국유이며, 예전에는 "모델 C" 또는 반사립 학교로 불렸던 섹션 21 학교도 포함한다. 이 학교들은 운영 위원회와 어느 정도의 예산 자율성을 가지고 있지만, 여전히 국가가 완전히 소유하고 있으며 국가에 책임을 진다.[1]
캐나다 헌법에 따라, 캐나다의 공립학교 교육은 주 정부의 책임이며, 따라서 주마다 많은 차이가 있다. 주니어 유치원 또는 이와 동등한 프로그램은 온타리오와 퀘벡에서 공식 프로그램으로 존재하며, 유치원 또는 이와 동등한 프로그램은 모든 주에서 이용 가능하지만, 주 정부의 자금 지원과 제공되는 시간 수준은 매우 다양하다. 약 6세에 시작하는 1학년부터 12학년 또는 그에 상응하는 학년까지 국왕 자금 지원을 받는 보편적인 접근이 가능하다.
일부 캐나다 주는 종교적 선택에 따라 분리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왕의 자금 지원과 규제를 받는 종교 기반 교육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온타리오에서는 로마 가톨릭 학교를 "공립학교"가 아닌 "가톨릭 학교" 또는 "분리 학교"라고 부르지만, 이러한 학교는 정의상 세속적인 학교와 마찬가지로 "공립" 학교이다.
브라질과 멕시코와 같은 일부 라틴 아메리카 국가에서는, 국공립학교라는 용어(스페인어로 escuelas públicases, 포르투갈어로 escolas públicaspt)가 연방, 주 또는 시 정부가 소유하고 수업료를 받지 않는 교육 기관에 사용된다. 이러한 학교는 초등 교육부터 대학교육까지 모든 교육 단계에서 존재한다. 멕시코는 9년간의 무상 의무 초·중등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파나마는 유치원부터 9학년까지 11년의 의무 교육을 실시하며, 어린이는 4~5세에 처음 입학하고, 부모는 자녀가 학업을 하는 경우 25세까지 재정적 지원을 법적으로 해야 한다.
아르헨티나의 교육은 국가 정부, 주 및 연방 지구와 사립 기관이 공유하는 책임이지만, 기본 지침은 역사적으로 교육부에서 정했다. 아르헨티나에서는 대통령 도밍고 사르미엔토의 "주권자는 교육받아야 한다"는 주장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여기서 "주권자"는 국민을 의미한다.
방글라데시 전역에서 국공립 학교를 찾아볼 수 있다. 이들은 '정부 고등학교'로 불린다. 이 학교들은 주로 1학년부터 10학년까지의 학생들을 가르치며, 10학년 학생들을 위한 시험을 실시한다. 모든 공립 학교는 국립 교육 과정(National Board Curriculum)을 따른다. 많은 어린이들, 특히 여학생들이 외딴 지역에서 5학년을 마친 후 학교를 중퇴한다. 하지만 다카나 치타공과 같은 대도시에서는 이런 현상이 흔하지 않다.
중국에서 국공립학교는 정부 내 교육 부처의 자금 지원과 관리를 받는다. 특히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최근 몇 년간 학교에서 제공하는 자리가 늘어나면서 학생의 학부모에게 상당한 수업료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최고의 국공립학교는 종종 매우 선별적이다. 입학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학생도 비교적 낮은 요건을 충족하고 학부모가 추가 수수료를 지불할 의사가 있다면 입학할 수 있다. 일부 학부모는 학문적으로 자격이 되지 않더라도 자녀를 좋은 학교에 보낼 수 있다는 생각에 감사하는 반면, 다른 학부모는 빈곤한 배경을 가진 사람에게 공정하지 않다고 생각한다.[2]
홍콩에서 "정부 학교"라는 용어는 정부가 자금을 지원하는 무상 학교를 지칭한다. 또한 홍콩의 다수를 차지하며 많은 수가 종교 단체에서 운영하는 보조 학교, 직접 보조 계획 학교, 사립 학교, 그리고 홍콩의 국제 학교가 있다.
인도에서 현재 추정에 따르면, 인도 전체 학교의 80%가 국공립학교[7]이며, 정부가 교육의 주요 제공자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공교육의 낮은 질 때문에 인도 어린이의 27%가 사립 교육을 받고 있다.
인도네시아의 교육은 교육문화부와 종교부의 두 정부 부처에서 감독한다. 교육은 국공립학교, 사립학교, 또는 홈스쿨링을 통해 받을 수 있다. 정부는 12년의 의무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말레이시아의 교육은 교육부와 고등교육부의 두 개의 정부 부처에서 관리한다. 교육은 연방 정부의 책임이지만, 각 주에는 해당 주의 교육 문제를 조정하는 교육부가 있다. 교육을 규정하는 주요 법률은 1996년 교육법이다. 교육은 정부 지원 학교, 사립학교, 또는 홈스쿨링을 통해 받을 수 있다. 법에 따라 초등 교육은 의무 교육이다.
필리핀은 1863년부터 공립 교육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이는 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스페인의 식민지화 시대에 만들어졌으며, 모든 자치구에 남학교와 여학교를 설립하도록 의무화했다. 필리핀의 현대 공립학교는 교육부에서 운영한다.
스리랑카의 대부분의 학교는 무상 교육의 일환으로 정부에 의해 운영된다. 1980년대 지방 의회 제도가 확립되면서 중앙 정부는 대부분의 학교 통제권을 지방 정부에 넘겼다. 그러나 식민지 시대부터 존재해 온 오래된 학교는 중앙 정부가 유지하여 국립 학교, 지방 학교, 피리벤의 세 가지 유형의 정부 학교를 만들었다.
]덴마크의 학교 시스템은 오늘날 정부와 지방 자치체의 세금 기반 재정 지원을 받으며, 보육부터 초등 및 중등 교육, 고등 교육까지 지원되며, 공립학교와 대학교의 정규 학생에게는 수업료가 부과되지 않는다. 덴마크의 공립 초등학교는 의무 교육 전체 기간을 포함하며, ''폴케스콜레''(문자 그대로 '국민 학교' 또는 '공립 학교')라고 불린다.
프랑스 교육 시스템은 고도로 중앙 집권적이고, 체계적이며, 다방면으로 분화되어 있다.
독일의 교육은 주로 정부가 제공하며, 통제는 주 정부(독일의 연방주)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자금은 연방 및 주 정부의 두 단계에서 지원됩니다.
아일랜드 공화국에서 중등 교육은 중등학교, 커뮤니티 학교, 종합 학교, 그리고 (구) 직업 학교인 커뮤니티 칼리지로 구성된다. 대부분의 중등학교는 공립 자금으로 운영되며, 국가는 이를 규제하지만 사유화되어 관리된다.
이탈리아에서는 1859년, 이탈리아 통일 2년 전에 공립 학교 시스템 또는 교육 시스템이 존재했다.
네덜란드의 경우 공립학교, 특수학교(종교), 일반특수학교(중립)는 정부의 재정 지원을 받으며, 특정 기준을 충족하면 정부로부터 동등한 재정 지원을 받는다. 이 학교들은 공식적으로는 무상교육이지만, 학부모의 기여를 요청할 수 있다.
루마니아에서 고등학교까지의 모든 학교는 루마니아에서 공립 자금으로 운영되며 국가 교육부의 규제를 받는다.
러시아의 교육은 주로 국가가 제공하며, 교육과학부가 규제한다. 지방 당국은 연방법의 틀 내에서 관할 구역 내의 교육을 규제한다.
스코틀랜드에서 공립학교는 "지방 자치구 또는 카운티 교육 당국이 운영하는 주립 학교로, 일반적으로 수업료가 없고 지방 및 국가 세금 기여로 지원된다."[27]
스페인의 경우 초등 교육(EP)과 의무 중등 교육(ESO)은 스페인의 기초 교육을 구성합니다. 이 두 단계의 교육은 의무적이며 모든 사람에게 무료입니다. 일반적으로 5세에서 16세 사이의 학생들이 10년 동안 학교에 다니는 과정으로 구성됩니다.
스웨덴에서 국공립 학교는 세금으로 재정 지원을 받는다. 이는 초등학교(스웨덴어: grundskolasv)와 중고등학교(스웨덴어: gymnasiumsv), 그리고 대학교에 모두 적용된다.
호주에서 정부 학교는 공립 또는 주립 학교로도 알려져 있으며, 호주 시민권자와 영주권자는 무료로 다닐 수 있지만, 사립 학교는 수업료를 부과한다.[30]
뉴질랜드의 경우 국립 학교와 국립 통합 학교 모두 정부의 재정 지원을 받는다. 후자는 이전 사립 학교였으나, 현재는 "사립 학교 조건부 통합법 1975"에 따라 "해당 학교가 제공하는 교육의 특별한 특성을 보존하고 보호하는 기반"으로 국립 시스템에 "통합"되었다.[33]
3. 공립학교의 유형
3. 1. 유치원
공립 유치원의 관리·운영은 기본적으로 시(市)·정(町)·촌(村) 교육위원회가 담당한다. 도도부현(都道府県) 교육위원회가 관리·운영하는 유치원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3. 2. 초등학교·중학교·의무교육학교
대한민국에서는 유치원을 제외한 공립학교(1~12학년) 교육이 의무이다. 공교육의 모든 측면은 교육부의 책임이며, 교육부는 학교 관리, 자금 배분, 교사 및 학교 인증, 그리고 전국적으로 표준화된 교과 과정을 개발한다.[10] 2000년, 대한민국은 GDP의 4.2%를 교육에 지출했다.[10] 2007년 유엔 교육 지수에서 대한민국은 세계 8위를 기록했다.[10]
기록상 최초의 공교육 제도는 고려 시대에 시행되었다. 국립 학교 시스템은 성종이 제정한 학제에 따라 시행되었으며, 이는 중국의 송나라와 당나라의 공교육 시스템을 모델로 했다. 학제는 수도에 국자감, 기타 지역에 향악(鄕學)이라 불리는 국립 대학을 운영하는 것을 포함했다.[10] 성종 6년(987년), 향악에서 학문 시스템과 교육 과정을 관리하기 위해 의사 1명과 학자 1명이 임명되었다.[10] 학문 교육에는 지리학, 역사, 수학, 법학 등이 포함되었다.[10] 성종 11년(992년)에는 전국적인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주(州)와 군(郡)에 주학(州學)이라 불리는 최초의 국립 공립학교가 개교했다.[10]
일본의 경우, 초등학교, 중학교, 의무교육학교의 관리·운영은 각 지방 공공 단체의 교육위원회가 담당한다. 기본적으로 초등학교, 중학교 또는 의무교육학교는 시정촌 교육위원회, 고등학교는 도도부현 교육위원회가 관리·운영하지만, 중고등학교 연계형 중학교 등에서는 도도부현립인 경우도 있다. 또한, 초등학교, 중학교 또는 의무교육학교에 대해서는 시정촌에 설치 의무가 부과되어 있다.[10]
공립 초등학교는 입학 시험이 없고, 학령에 도달한 사람에게는 주민표와 연동하여 취학 통지가 보내져, 지역의 공립 초등학교에 입학한다. 공립 중고등학교 연계형 학교에서는 작문이나 실기, 적성 검사 등 시험이 부과된다.[10]
3. 3. 고등학교·중등교육학교
일본의 국공립 고등학교 및 중등교육학교는 각 지방 공공 단체의 교육위원회가 관리·운영한다.
공립 초등학교는 입학 시험이 없고, 학령에 도달한 사람에게는 주민표와 연동하여 취학 통지가 보내져, 지역의 공립 초등학교에 입학한다. 공립 중고등학교 연계형 학교에서는 작문이나 실기, 적성 검사 등 시험이 부과된다.
공립 고등학교는 입시에서 내신서가 중시되며, 지역에 따라서는 종합선발·학교군 제도(그룹제)나 학군제 등이 있기 때문에, 희망한 학교에 진학하지 못하거나, 통학 구역이 제한되는 등의 특징이 있었다. 그것을 싫어한 수험생에 의해, 1970년대 무렵부터 도시부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의 많은 학교가 난관 대학 합격자 수를 떨어뜨렸다. 최근, 학구 폐지나 필기 시험 중시, 독자 입시의 도입 등의 개혁이 진행되고 있으며, 솔선해서 행한 도립 고등학교에서는 난관 대학의 합격자가 대폭 증가하는 등 개혁이 높이 평가되고 있으며, 다른 도도부현도 그것을 따라 개혁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공립 고등학교가 통폐합되는 사례는 늘고 있다. 2022년 시점의 전국 고등학교 수는 4824개교(국립 15개교, 공립 3489개교, 사립 1320개교)이며, 1992년의 전국 고등학교 수 5001개교에서 677개교 감소했다.[36] 이 677개교라는 숫자는 폐교가 된 공립 고등학교의 수와 동일하며, 공립 고등학교의 통폐합이 진행되고 있음을 뒷받침한다.[36] 또한 국립 고등학교와 사립 고등학교의 수는, 30년 전과 거의 변하지 않았다.[36]
전국적인 경향으로, 저출산과 과소화에 따른 공립 학교의 통폐합은 잇따르고 있으며, 헤이세이 23년도~헤이세이 30년도의 통폐합 수는 헤이세이 대합병 당시의 통폐합과 같은 페이스이다.[37] 예를 들어, 이바라키현에서는 1976년~2005년도에 111개교가 폐교되었다.[38] 통폐합된 학교의 부지 활용은 "폐교사 리활용형", "학교 자원 활용형", "신규 시설 건설형", "부지 활용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소유 운영은 "공공 소유/공공 운영", "공공 소유/민간 운영", "민간 소유/민간 운영"으로 분류할 수 있다.[38] 과소화에 시달리는 농산촌 지역의 경우, 공립 초등학교·중학교의 폐교는 지역에 새로운 육아 세대가 정주하기 어렵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집락의 더욱 심각한 저출산 고령화를 가속화시키는 한 요인이 된다.[38] 그 때문에, 입지의 도도부현 외에서 전국 모집을 실시하는 고등학교도 증가하고 있다.
3. 4. 특수학교
기본적으로 공립 특수학교 설치, 관리, 운영은 광역자치단체 교육청에서 담당하지만, 기초자치단체 교육청에서도 설치, 관리, 운영할 수 있다. 또한 광역자치단체는 공립 특수학교 설치 의무가 부과되어 있다.
광역자치단체립 또는 기초자치단체립 어느 경우든 특수학교 교직원은 광역자치단체 교육청이 임명권자이며 급여 부담자이다. 단, 기초자치단체립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단순 노무 직원은 기초자치단체가 임명권자 및 급여 부담자이다.
3. 5. 고등교육기관
미국에서 "주립 대학교"(state university)는 주립 대학교 시스템 내의 대학교를 가리키는 구어체 표현이다. 커뮤니티 칼리지, 주립 칼리지는 고등 교육의 공립 기관이다. 많은 주립 대학교가 미국에서 우수한 고등 교육 기관으로 간주되지만, 아이비 리그와 같은 특정 사립 대학교 및 칼리지에 비해 순위가 낮다. 몇몇 주에서는 공립 대학교의 행정부가 일반 선거 투표를 통해 선출된다.[1]
대한민국에서는 고려 성종 때 제정된 학제에 따라 국립 학교 시스템이 시행되었으며, 수도에 국자감, 지방에 향학(鄕學)이라는 국립 대학을 운영했다. 현대에는 대학교를 포함한 고등 교육 기관이 특정 조건(가족 소득 및 학교 성적)에 따라 국가 지원을 받을 수 있다.[1]
말레이시아의 고등 교육은 고등교육부가 담당한다.[1]
덴마크에서는 고등 교육이 정부와 지방 자치체의 세금 기반 재정 지원을 받으며, 대학교의 정규 학생에게는 수업료가 부과되지 않는다.[1]
프랑스의 ''그랑제콜''은 공립 대학교의 주류 틀에서 벗어난 고등 교육 기관이다. 이들은 규모가 작고 학생 선발에 있어 매우 까다로우며, 공학과 같은 단일 분야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프랑스의 그랑제콜은 명성이 높으며, 전통적으로 프랑스 과학자와 임원의 대부분을 배출했다.[1]
독일에서 대부분의 고등 교육 기관은 주에서 보조금을 받으므로 슈타아틀리헤 호흐슐렌de(공립 대학)이라고도 불린다. 대부분의 독일 주에서 공립 대학 입학은 여전히 저렴하며, 한 학기당 약 200EUR이다. 2005년에 많은 주에서는 더 나은 교육 품질을 달성하기 위해 한 학기당 500EUR의 추가 수수료를 도입했다. 객원 또는 대학원생에 대한 추가 수수료는 많은 대학에서 부과된다.[1] 파호호슐레de(전문대)는 게잠트슐레de 또는 김나지움de에서 아비투어de를 취득하거나, 파호베르슐레de에서 파호호슐라이페de 시험을 통과한 졸업생들이 진학할 수 있는 고등 교육 기관이다.[1]
이탈리아는 오랜 역사의 대학교를 가지고 있으며, 1088년에 설립된 볼로냐 대학교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이다. 이탈리아의 공립 대학교는 저소득층 학생에게는 무료이며 소득에 따라 등록금이 증가한다. 각 대학교는 학생의 소득에 따라 최대 등록금을 결정한다.[1]
루마니아에서는 대학교와 같은 고등 교육 기관이 특정 조건(가족 소득 및 학교 성적)에 따라 국가 지원을 받을 수 있다.[1]
스웨덴의 국공립 대학교는 세금으로 재정 지원을 받는다. 다만, 대학교에서 공부할 때는 숙소와 교재 관련 비용을 지불해야 할 수 있다.[1]
4. 공립학교 관련 논의
공립학교는 지방공공단체의 교육위원회나 교육청이 관리하며, 유치원부터 대학교까지 포함한다.[1] 국립학교나 사립학교와 구분되며, 설치자는 도도부현, 시정촌, 조합 등이 있다. 공립대학 및 그 부속학교는 지방독립행정법인인 공립대학법인이 설치한다.
공립학교에서는 특정 종교 교육은 금지되지만, 크리스마스나 할로윈 같은 행사는 허용되는 경우가 많다.
4. 1. 학력 격차
공립학교가 사립학교에 비해 학력을 충분히 신장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공립과 사립 간의 학력 격차가 존재한다는 지적이 있다.[39] 2007년에 실시된 전국 학력 조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구분 | 공립학교 평균 정답률 | 사립학교 평균 정답률 | 차이 |
---|---|---|---|
초등학교 6학년 산수 A (기초력) | 82.1% | 92.1% | 10%p |
초등학교 6학년 산수 B (응용력) | 63.6% | 77.1% | 13.5%p |
위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사립학교 학생의 정답률이 더 높았다.[39] 이는 사립학교가 있는 도시 지역뿐만 아니라, 사립학교를 선택하기 어려운 지방에서도 공립학교의 교육 역량 강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는 배경이 된다.[39]
한편, 교육학자 후지타 히데노리는 이러한 비판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며, 언론의 비판적인 논조를 지적하기도 한다. 그는 일본의 의무 교육이 제도, 기능, 실천 면에서 국제적으로 매우 높은 수준에 있다고 주장한다.[40]
교육재생회의와 중앙교육심의회 위원을 역임한 카게야마 히데오는 핀란드의 예를 들어 가정에서의 교육 기회가 중요함을 강조하며, 일본의 교사들이 가정 교육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재정 부담 증가에 대한 우려에 대해 교직원들이 급여에 걸맞은 일을 하고 있다고 반박했다.[41]
민간인 교장 출신 후지와라 카즈히로는 학생의 학력을 5단계로 나누었을 때, 최저(1)와 최고(5) 수준의 학생은 학교에서만 가르치기 어렵다고 지적한다. 그는 지역 사회의 역할이 약화되면서 최저 수준 학생들에 대한 지원이 어려워졌고, 최고 수준 학생들은 학원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한다.[43]
여유 교육의 일환이었던 종합적인 학습의 시간에 대해서는, 학습 학원들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면서 혼란스러운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39] 이는 사립학교 입학 시험에서 지식 응용 능력을 요구하는 경향이 강화되었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있다.[39]
4. 2. 학교 운영 문제
공립학교에서는 수업료 및 급식비 미납도 문제가 되고 있다.[1]참조
[1]
간행물
"Mr. Wheelock's Cure"
The New England Historical and Genealogical Register
1998-07
[2]
논문
School Choice in China: Past, Present, and Future
2019
[3]
서적
The Struggle for Democracy in Education: Lessons from Social Realities
Routledge
[4]
서적
Educating Migrant Children in Urban Public Schools in China: Unravelling the Implementation Paradox
Springer
[5]
논문
A deep reflection on the "key school system" in basic education in China
2007-04
[6]
웹사이트
China adopts amendment to Compulsory Education Law
http://www.gov.cn/en[...]
2006-06-30
[7]
뉴스
Telangana TS Results
http://www.aptsmanab[...]
AP TS Manabadi Results
[8]
뉴스
A special report on India: Creaking, groaning: Infrastructure is India's biggest handicap
http://www.economist[...]
The Economist
2008-12-11
[9]
웹사이트
The progress of school education in India
http://www.gprg.org/[...]
Global Poverty Research Group
2007-03
[10]
웹사이트
Types of school
https://www.gov.uk/t[...]
2023-09-18
[11]
웹사이트
Governance & Affiliations
https://www.educatio[...]
2023-09-18
[12]
뉴스
Catholic faith schools in academy switch
https://www.bbc.com/[...]
2011-12-03
[13]
웹사이트
National curriculum
http://www.teacherne[...]
Department for Children, Schools and Families
[14]
웹사이트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framework for key stages 1 to 4
https://www.gov.uk/g[...]
2021-09-11
[15]
웹사이트
Education Act 2002 Part 6
http://www.legislati[...]
H M Government
2018-04-01
[16]
웹사이트
Types of school
https://www.gov.uk/t[...]
2021-09-12
[17]
웹사이트
The Right to a Comprehensive Education
http://www.socialist[...]
2002-11-16
[18]
웹사이트
History
http://www.beverleyg[...]
2012-07-06
[19]
웹사이트
Post Primary Education
https://www.educatio[...]
[20]
웹사이트
Irish constitution and education
http://www.citizensi[...]
2022-01-17
[21]
웹사이트
A New Problem in Ireland: Where to Find a Non-Catholic School?
https://www.theatlan[...]
2013-10-03
[22]
웹사이트
Transition Year
https://www.educatio[...]
[23]
웹사이트
Tax and contribution to Public school in Italy
https://www.miur.gov[...]
Ministero dell'Istruzione Ministero dell'Università e della Ricerca
2020-08-21
[24]
웹사이트
Differences between Paritarie and private schools
https://www.miur.gov[...]
Ministero dell'Istruzione Ministero dell'Università e della Ricerca
2020-08-21
[25]
웹사이트
OECD Analysis for private and public schools
https://www.oecd.org[...]
2020-08-21
[26]
서적
Report of the Science and Art Department of the Committee of Council on Education
https://books.google[...]
Office of Public Sector Information
2024-11-30
[27]
웹사이트
Public, adj.
https://dsl.ac.uk/en[...]
2024-11-29
[28]
서적
The Public general statutes: passed in the thirty-fifth and thirty-sixth years of the reign of her Majesty Queen Victoria.
https://books.google[...]
2024-11-29
[29]
웹사이트
Scotland's Curriculum For Excellence-An Introduction
https://www.bbc.co.u[...]
BBC Scotland News
2011-08-16
[30]
웹사이트
School fees in Australia
http://studyinaustra[...]
Study in Australia
[31]
웹사이트
Inequalities baked into Australia's education system
https://www.afr.com/[...]
Nine Entertainment
2022-11-29
[32]
웹사이트
What schooling and training is there for my family and me?
http://www.immi.gov.[...]
Department of Immigration and Citizenship
[33]
웹사이트
Private Schools Conditional Integration Act 1975 No 129 (as at 19 May 2017), Public Act Contents
http://www.legislati[...]
New Zealand Parliamentary Counsel Office
2017-08-12
[34]
웹사이트
Improving School Leadership: Country background report for New Zealand
https://www.oecd.org[...]
OECD Directorate for Education
2017-08-12
[35]
웹사이트
Education Act 1989 No 80 (as at 14 July 2017), Public Act 3 Right to free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http://www.legislati[...]
2017-08-12
[36]
웹사이트
全国募集や特色学科に活路 公立高「定員割れ」に苦心、加速する少子化色濃く
https://www.sankei.c[...]
産経新聞社
2023-01-16
[37]
웹사이트
小中高等学校の統廃合の現状と課題
https://www.soumu.go[...]
文部科学省
2020-06-23
[38]
논문
公立小中学校の統廃合プロセスと廃校舎利活用に関する研究-茨城県過去30年間全廃校事例の実態把握と農山村地域への影響-
日本建築学会
2008
[39]
뉴스
「総合学習」進化する塾 公教育のもたつき尻目に先へ
産経新聞
2008-02-18
[40]
서적
義務教育を問いなおす
筑摩書房
2005-07-06
[41]
웹사이트
義務教育特別部会(第20回)議事録・配付資料
http://www.mext.go.j[...]
[42]
웹사이트
【公教育を問う】第1部 私立人気の影で(2)塾頼みの学力格差是正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08-07-08
[43]
간행물
「教育格差の助長」か「フェアな教育機会の提供」か 和田中 藤原和博校長
朝日新聞出版
2008-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