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동명 (시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동명은 1900년 강원도 강릉에서 출생한 시인으로, 1923년 《개벽》지에 시 〈당신이 만약 내게 문을 열어주시면〉을 발표하며 문단에 데뷔했다. 1925년 일본으로 건너가 유학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창씨개명을 거부하며 저항했다. 광복 후에는 이화여자대학교 교수를 역임하며 시집 《진주만》으로 아시아 자유 문학상을 수상했다. 1960년 초대 참의원에 당선되었으나 1968년 지병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당 당원 - 전영택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개신교 목사인 전영택은 1919년 한국 최초의 문학 동인지 《창조》를 창간하고, 단편소설 〈화수분〉, 〈소〉 등의 대표작을 남겼으며, 개신교 관련 간행물 발행, 중앙신학교 및 감리교신학대학교 교수, 한국문인협회 초대 회장 등을 역임했다.
  • 조선민주당 당원 - 조만식
    조만식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 한국의 민족주의 지도자이자 독립운동가로, 간디의 비폭력 저항 사상에 영향을 받아 실력 양성 운동에 참여하고 신탁통치 반대 운동을 주도했으나, 한국 전쟁 중 처형되었다.
  • 영생고등학교 동문 - 강소천
    강소천은 1931년 등단한 대한민국의 아동문학가(본명 강용률)로, 동요, 동시, 동화, 아동소설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하며 해방 후 아동문학 단체 및 잡지 발간에 힘썼고, 여러 대학에서 아동문학을 가르쳤다.
  • 영생고등학교 동문 - 박휘순
    박휘순은 2005년 KBS 공채 개그맨으로 데뷔하여 《개그콘서트》 등 코미디 프로그램과 영화, 드라마, 예능에서 활약하며 특유의 코믹한 캐릭터와 재치 있는 입담으로 인기를 얻은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 영화 배우, 뮤지컬 배우이다.
  • 최용건 - 6.25 전쟁
    6.25 전쟁은 1950년 북한의 남침으로 시작되어 1953년 휴전 협정으로 종결되었으며, 한반도의 분단과 막대한 인명 피해를 초래한 한국 전쟁을 의미한다.
  • 최용건 - 고려공산당
    고려공산당은 1920년대 초 러시아와 만주 지역에서 활동한 한인 공산주의 정당으로, 한인사회당에서 시작하여 코민테른의 승인을 받았으나 상하이파와 이르쿠츠크파로 분열되어 자유시 참변을 겪은 후 해체되었으며, 조선공산당 창당에 영향을 주었고 초기 공산주의 및 민족 해방 운동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김동명 (시인)
기본 정보
이름김동명
한글김동명
한자金東鳴
히라가나きんとうめい
가타카나キム・ドンミョン
본명김동오 (金東嗚)
아호초허(超虛)
출생일1900년 2월 4일
출생지대한제국 강원도 강릉군 사천면 노동리 71번지
사망일1968년 1월 21일
사망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고혈압)
국적대한민국
본관경주
종교개신교
묘소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사천면 노동하리
웹사이트헌정회 김동오
학력
학력일본 도쿄 니혼 대학교 야간학부 종교철학과 학사(1935년 9월)
직업 및 경력
직업시인
정치인
문학평론가
정치시사평론가
수필가
대학 교수
경력조선민주당 당무위원 겸 정치부장
민주국민당 당무위원 겸 문화부장
한국독립당 당무위원
민주당 당무위원
제5대 참의원
연세대학교 특임강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가족
부모김제옥(부), 신석우(모)
배우자지정덕(사별), 이복순(재혼), 하윤주(삼혼)
자녀1남 5녀
정치 활동
취임일1960년 7월
퇴임일1961년 5월
공직제5대 국회의원
작품 활동
활동 기간1922년~1965년
장르시문학, 정치평론, 수필
주요 작품시문학 작품
《파초》
《진주만》
《적과 동지》
영향
영향 받은 인물고성국 등이 훗날 영향을 받음.

2. 생애

김동명은 1900년 2월 4일 강원도 강릉시 사천면 노동리 71번지에서 아버지 김제옥과 어머니 신석우 사이에서 외동아들로 태어났다.[2] 1908년 함경남도 원산으로 이주하였고, 1913년 다시 함경남도 흥남으로 이주하였다.[2] 1918년 함경남도 함흥 영생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함경남도 흥남 등지에서 소학교 교원으로 활동하였다. 1919년 함경남도 흥남 지역에서 3·1 운동에 참가하였다.[2] 1922년개벽》지에 샤를 보들레르에게 바치는 시편인 〈당신이 만약 내게 문을 열어주시면〉을 발표하며 문단에 등장하였다.[2] 1925년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 아오야마 전문학원에서 신학을 전공하였다.[2]

1930년 첫 시집 《나의 거문고》, 1936년 47편을 묶어 두 번째 시집《파초》를 간행하였다. 일제에 항거하여 1942년 《술노래》를 끝으로 해방될때까지 붓을 꺾고 창씨개명을 거부하였다.[2] 1945년 광복 이후에는 1947년 월남하여 이화여자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면서 과거의 시풍과 서정성에서 벗어나 현실과 정치, 사회적인 풍자와 관념에 관한 글을 집필하였다. 1947년 세 번째 시집 《하늘》을 발간하였다. 1948년 2월 13일 이름을 '''김동명'''(金東鳴)에서 '''김동오'''(金東嗚)로 개명하였으나, 작가로서는 개명 이전 이름인 '''김동명'''(金東鳴)을 필명으로 사용하였다.

1955년 시집 《진주만》으로 아시아 자유 문학상을 수상하였고, 같은 해 《적과 동지》라는 평론을 《동아일보》를 통하여 연재하며 예리한 정치 평론을 하였다. 1960년에는 초대 참의원에 당선되어 5·16 군사정변 전까지 정치 활동을 하였다. 1968년 1월 21일, 3년간 지병으로 앓고 있던 고혈압으로 인하여 69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유해는 서울특별시 중랑구 망우동 묘소에 안장되었다가 2010년 10월 10일 강원도 강릉시 사천면 노동리 133-1번지 선영으로 이장, 봉안되었다.

김동명의 생애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연도사건
1900년강원도 명주군 사천면 노동리에서 출생
1908년함경남도 원산으로 이주
1909년원산의 소학교 입학
1915년함경남도 영생중학교 입학
1920년영생중학교 졸업
1921년동진소학교 교원, 평안남도 강서 소학교로 전근
1922년평안남도 신안주 학교로 전근, 『개벽』에 시 발표
1923년신안주 학교 퇴직, 원산으로 감
1925년일본 유학, 아오야마가쿠인 신학과 입학
1926년지정덕과 결혼
1927년장남 병우 출생
1928년아오야마가쿠인 졸업
1929년원산 광석동에서 교원 근무
1931년모친상
1934년-1938년동광학원 원장 역임
1934년장녀 월하 출생
1936년차녀 월주 출생
1937년배우자 사망
1942년이복순과 재혼
1944년삼녀 월행 출생
1945년흥남시 자치위원회 위원장, 흥남중학교 교장 역임
1946년조선민주당 함경남도당 부위원장 역임, 사녀 월령 출생
1947년서울로 이주
1955년자유문학상 수상
1959년배우자 사망
1960년참의원 의원 당선, 하윤주와 재혼
1965년고혈압으로 쓰러짐
1968년사망


2. 1. 유년 시절과 교육

1900년 2월 4일 강원도 강릉시 사천면 노동리 71번지에서 아버지 김제옥과 어머니 신석우 사이에서 외동아들로 태어났다.[2] 어린 시절 고향 서당에서 한문을 배웠다. 1908년 함경남도 원산으로 이주하여 초등학교에 입학하였고, 1913년 다시 함경남도 흥남으로 이주하였다.[2] 1915년 어머니의 헌신적인 지원으로 함경남도 영생중학교에 진학하여 1920년 졸업하였다.[2]

1921년 봄, 함경남도 흥남시 서호리에 있는 동진소학교 교원으로 취직하였다. 같은 해 가을 평안남도 강서의 초등학교로 전근을 갔고, 1922년 2월에는 평안남도 신안주에 있는 학교로 다시 전근하였다.[2] 교사 생활 중 현인규와 교류하며 문학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샤를 보들레르의 시집을 빌려 보며 문학적 소양을 쌓았다.[2] 1923년 4월, 신안주 학교를 퇴직하고 원산으로 돌아왔다.[2]

1925년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 대학 철학과를 거쳐 도쿄 아오야마 전문학원 신학과에 입학하였다.[2] 1926년에는 서호의 명문가인 충주 지씨 지정덕과 결혼하였다.[2] 1928년 아오야마가쿠인을 졸업하고 원산으로 돌아와 교사직을 하면서 시 창작을 계속하였다.[2] 1934년부터 1938년까지 서호리의 사립학교인 동광학원 원장을 역임하였다.[2]

2. 2. 문단 데뷔와 일본 유학

1923년, 『개벽』 10월호에 샤를 보들레르에게 바치는 시편인 「당신이 만약 내게 문을 열어주시면」을 발표하며 문단에 데뷔하였다.[2] 김동명은 교사 생활 중 현인규와 교류하며 문학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되었는데, 현인규로부터 빌린 보들레르의 시집이 그의 문학적 출발점이 되었다.[2]

1925년,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 대학 철학과를 거쳐 도쿄의 청산학원 신학과에 입학하였다.[2] 이는 원산에서 인쇄업을 하던 강기덕의 지원 덕분이었다.

2. 3. 작품 활동과 창씨개명 거부

1923년, 보들레르의 시에서 영향을 받아 『개벽』 10월호에 「당신이 만약 내게 문을 열어주시면」을 발표하며 문단에 등단했다.[2] 1930년 첫 시집 《나의 거문고》를 출간했고, 1936년에는 47편의 시를 묶은 두 번째 시집 《파초》를 펴냈다. 일제에 대한 저항의 의미로 1942년 《술노래》를 마지막으로 더 이상 작품 활동을 하지 않았으며, 창씨개명 또한 거부하며 민족적 자긍심을 지켰다.[2]

2. 4. 광복 이후 활동

1945년 8월 15일, 한국이 해방되자 이튿날인 16일 흥남시 자치위원회 위원장에 선출되었다.[1] 1946년에는 조선민주당에 가입하여 함경남도 당부 위원장이 되었다. 조선민주당 당원 수가 10만 명을 넘자, 김일성은 1946년 12월 최용건을 보내 김동명을 당에서 제명하였다. 김동명은 자신의 안전에 위협을 느껴 1947년 4월 홀로 월남하였다.[1]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 70의 202번지에 거처를 마련하고, 한국신학대학교(현 한신대학교) 교수를 거쳐 이화여자대학교 교수를 13년간 역임하였다. 1955년, 시집 『진주만』으로 제2회 자유문학상을 수상하였다.

1965년, 고혈압과 신경통으로 병상에 누웠다. 1968년 1월 21일, 혼수상태에 빠졌고 오후 9시 14분 남가좌동에서 사망하였다. 유해는 23일 문인장으로 망우리 묘지에 부인 이복순과 합장되었다. 강원도 강릉시 사천면 미로리에는 김동명 시비가 세워져 있다.

2. 5. 정치 활동과 최후

1945년 8월 15일 해방 직후 흥남시 자치위원회 위원장에 선출되었다.[1] 1946년 조선민주당 함경남도당 부위원장을 역임했으나, 김일성최용건을 보내 김동명을 당에서 제명하면서 위협을 느껴 1947년 4월 월남하였다.[1] 서울 서대문구 신촌동에 거처를 마련하고, 한국신학대학교(현 한신대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 교수를 역임하였다. 1955년 시집 『진주만』으로 제2회 자유문학상을 수상하였다.

1960년 초대 참의원에 당선되어 5·16 군사정변 전까지 정치 활동을 하였다. 1965년 고혈압과 신경통으로 쓰러져[2] 1968년 1월 21일 서울 남가좌동에서 사망하였다.[2] 유해는 망우리 묘지에 부인 이복순과 합장되었다.[2] 강원도 강릉시 사천면 미로리에는 김동명 시비가 세워져 있다.

3. 가족 관계 및 혼인 관계


  • 아버지: 김제옥(金濟玉)[2]
  • 어머니: 신석우(申錫遇)[2]
  • 초취 부인: 지정덕(池貞德, 1937년 사망)[2]
  • 장녀: 김월하(金月河)[2]
  • 아들: 김병우(金炳宇)[2]
  • 차녀: 김월주(金月州)[2]
  • 삼녀: 김혜숙(金惠淑)[2]
  • 재취 부인: 이복순(李福順, ? ~ ?)[2]
  • 사녀: 김월정(金月汀)[2]
  • 오녀: 김월령(金月鈴)[2]
  • 삼취 부인: 하윤주(河潤珠)[2]


1942년 김동명은 이화여전 출신의 이복순과 재혼했으나, 최용건의 핍박을 피해 흥남을 탈출하면서 이복순과 두 딸은 두고 왔다.[2]

4. 학력

5. 주요 경력

6. 저서

나의 거문고한국어, 파초한국어, 삼팔선한국어, 하늘한국어, 진주만한국어, 목격자한국어, 세대의 삽화한국어, 적과 동지한국어, 나는 증언한다한국어, 모래 위에 쓴 낙서한국어, 내 마음한국어 등이 있다.

출판 연도종류제목출판사
1930년시집내 거문고한국어
1936년시집바쇼한국어 (芭蕉일본어)
1947년시집하늘한국어문륭사
1947년시집삼팔선한국어문륭사
1953년시집진주만한국어이대출판부
1957년시집목격자한국어인간사
1959년수필세대의 삽화한국어일신사


7. 역대 선거 결과

연도선거 종류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순위당락비고
1960년총선민주당166,780표 (20.03%)3위당선초선


참조

[1] 웹사이트 김동명(金東鳴) https://encykorea.ak[...] 2023-08-15
[2]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2021-09-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