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동성 (1890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동성(1890년)은 일제강점기 언론인, 만화가이자 대한민국 정치인이다. 경기도 개성 출신으로, 관립영어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에서 신문학을 전공했다. 동아일보 창간에 참여하고, 《동아일보》에 한국 최초의 4컷 만화인 '그림이야기'를 발표했으며, 만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 해방 후 미군정 민정관과 초대 공보처장을 역임하고, 제2대 국회의원과 국회 부의장을 지냈다. 5·10 총선거 관리, 국제 연합 총회 참석, 엘리자베스 2세 대관식 수행원 등의 활동을 했으며, 저서로는 《신문학》, 《중남미 기행》, 《한영 사전》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칼럼니스트 - 베아트리체 보로메오
    베아트리체 보로메오는 이탈리아 귀족 가문 출신으로 저널리스트, 다큐멘터리 제작자, 모델로 활동하며 사회 문제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모나코 공녀 카롤린의 아들 피에르 카시라기와 결혼했다.
  • 일제강점기의 만화가 - 안석주
    안석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삽화가, 만화가, 영화감독, 작사가로, 미술, 영화, 문학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며 시사만화 연재와 영화감독으로 이름을 알렸으나, 친일 행적과 광복 후 우익 언론 활동, 〈우리의 소원〉 작사 등의 행적을 남겼다.
  • 일제강점기의 만화가 - 이도영 (화가)
    이도영은 근대 초기에 활동하며 조석진, 안중식에게 그림을 배우고, 《대한민보》에 시사만평을 연재했으며, 조선미술전람회 심사위원을 역임하고 장승업의 영향을 받아 전통 회화 기풍을 이은 화가이다.
  • 대한민국의 공보처 장관 - 김활란
    김활란은 대한민국의 교육자이자 여성운동가이며 친일반민족행위자로서, 이화여자대학교 총장을 역임하며 여성 교육에 기여했으나 일제강점기 친일 행위로 비판받았다.
  • 대한민국의 공보처 장관 - 최병렬 (정치인)
    최병렬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조선일보 기자 출신으로 제12대 국회의원을 시작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노태우 정부와 김영삼 정부에서 주요 직책을 역임하고 한나라당 대표 최고위원을 지냈으나,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안 가결 후 정계를 은퇴, 2022년 별세했다.
김동성 (1890년)
지도
기본 정보
이름김동성
출생1890년
사망1968년
국적대한민국
정치 활동
직업정치인
주요 활동제헌 국회의원
소속 정당대한독립촉성국민회
기타 정보
한자金東成

2. 생애

2. 1. 생애 초기

1890년 경기도 개성의 부잣집에서 3대 독자로 태어났다. 구한말 관립영어학교를 졸업했다. 어려서 신문 사설에서 장지연시일야방성대곡을 읽고 감동받아 기자, 언론인이 되기를 결심하였다.

윤치호 등이 개성 한영 서원(송도고등보통학교)을 설립하는 데 참여하였으며, 1915년 미국 유학을 갔다.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 신문학과를 졸업하였다. 미국 유학 중에 절정기에 달한 미국 만화에 영향을 받아 만화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2. 2. 일제강점기 활동

귀국 후 1920년 언론인이 되었다. 이후 인촌 김성수, 송진우 등과 함께 《동아일보》 창간에 참여하였으며, 동아일보·조선일보·중앙일보사 등 언론사에서 기획자로 근무하였으며, 만화와 삽화를 그려넣는 일을 하기도 했다. 고향이 같고 아홉 살 아래이며 동양화를 전공한 심산 노수현에게 만화를 가르치기도 했다.

1920년 4월 《동아일보》에 ‘그림이야기’라는 이름으로 4칸 만화를 한국 최초로 발표하였다. 1923년 2월에는 〈만화 그리는 법〉를 《동명》에 발표하였는데, 만화 창작 이론의 효시이며, 또한 ‘만화’라는 용어의 시작이다.

《조선일보》에 1924년 10월 13일부터 3면에 노수현이 연재한 〈멍텅구리 헛물켜기〉를 기획한다. 그 후 하와이 만국 기자대회에 참석하였고, 동아일보 재미워싱턴 특파원 등을 지냈다. 1923년이승만, 정한경 등이 조선인 대표로 태평양 군축 회의에 참석하였는데, 그는 비밀리에 태평양 군축 회의를 참관하고 돌아왔다. 그는 비밀리에 중국 상하이 임시정부 및 이승만 등을 취재, 인터뷰하여 공개와 비공개로 국내에 임정의 입장을 소개하였다.

1930년 4월 잡지 《학생》에 5회에 걸쳐 〈만화 입문〉이라는 만화 강좌를 연재한다.

2. 3. 광복 이후

1945년 9월부터 경기도 미군정의 민정관의 한 사람이 되었다.[2] 1948년 3월 미 군정청 군정장관 딘 소장으로부터 5·10 총선거를 관리하기 위한 중앙선거위원회 위원에 임명되었다. 정부수립 이후 1948년 8월부터 1949년까지 초대 공보처장을 역임하였다. 공보처장이던 1948년 초가을, 이승만 대통령 내외가 일본을 처음으로 방문했을 때, 정한경[3], 김양천 비서, 이정순 공보국장과 함께 수행하였다.[4]

1950년 4월 제2대 국회의원 총선거에 경기도 개성시지역구에 무소속으로 입후보하여 당선, 1950년 5월부터 1954년 5월까지 제2대 국회의원을 역임하였다. 1952년 5월부터 6월 국회 민의원 부의장을 역임하였으며, 그 해에 친이승만계 정당인 자유당 창당에 참여하였다.

1950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5차 국제 연합 총회에 한국 대표단으로서, 임병직(단장), 장면, 장택상, 임영신과 함께 참석하였다.[5]

1948년 12월12일 파리 샤오궁에서 열린 제3차 유엔 임시총회에서 대한민국의 독립 승인을 초초하게 기다리고 있는 대표단들의 모습이 담긴 사진이 있다. 사진에는 왼쪽부터 조병옥 박사, 시인 모윤숙 여사, 김동성 장관, 장면 박사가 위치한다.

1953년 6월, 영국의 엘리자베스 2세 대관식에 수행원으로 참석하였다.[6] 이때 신익희 등 일부가 뉴델리에 일시체류하여 문제가 되기도 했지만 그는 체류하지 않고 영국으로 도착하였다.

조선일보 편집국장 등을 지냈고, 해방 후 합동통신사를 설립하고 사장이 되었다.[2] 1960년 국회 사무총장이 되었으나 1961년의 5.16 군사 정변으로 사퇴했다. 박정희 정권 때에는 민주공화당 중앙상임위원 등을 역임했다. 만년에 그는 서재필 유해의 대한민국 봉환 운동을 추진하였으나 여건과 유족의 반대 등으로 실패하였다. 1969년 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동 자택에서 노환으로 사망했다.

3. 저서


  • 신문학
  • 중남미 기행
  • 한영 사전

4. 가족 관계


  • 아들 : 김풍렬(金豊烈, ? ~ ?)
  • 딸 : 김옥렬(金玉烈, 1930년 1월 2일 ~ 2021년 5월 5일) 제10대 국회의원

5. 역대 선거 결과

wikitable

연도선거 종류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순위당락비고
1950년총선무소속14,638표 (100.00%)1위당선초선


참조

[1] 서적 이것이 한국 최초 삼문 1995-11-01
[2] 웹사이트 엠파스한국학지식 http://www.koreandb.[...]
[3] 문서 1949년 1월, 주일대표부 대사로 임명된다.
[4] 뉴스 秘錄 韓國外交<28> : 政府樹立 직후 ⑩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5-03-17
[5] 뉴스 歷代유엔總會韓國代表團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62-08-08
[6] 뉴스 英女王戴冠式參席 韓國特使一行決定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53-05-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