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명왕조1556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명왕조1556은 1566년 명나라 가정제 시기를 배경으로, 부패한 중앙 정부, 상업 자본, 가난한 농민 간의 갈등을 그린 중국 드라마이다. 가정제, 엄숭, 해서 등의 역사적 인물을 등장시켜 명나라 시대의 역사적 문제와 현대 사회의 문제점을 연결하여 국민적인 화제를 모았다. 드라마는 해서를 주인공으로 하여 개혁을 시도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나라를 배경으로 한 작품 - 대명 (드라마)
    대명은 효종 시대의 조선을 배경으로 민족의 긍지를 되살리고자 기획된 드라마로, 효종의 지도력과 국력 신장 정책, 그리고 조선 왕족, 문무백관, 청나라와 명나라 인물들의 갈등을 그리고 있다.
  • 명나라를 배경으로 한 작품 - 백발마녀전
    《백발마녀전》은 명나라 말기를 배경으로 강호의 전설적인 여검객 련예상과 무당파 제자 탁일항의 비극적인 사랑을 그린 무협 소설이며, 정치적 음모와 오해 속에서 파국을 맞은 후 백발마녀가 된 련예상을 되찾기 위한 탁일항의 노력이 주요 줄거리를 이룬다.
  • 후난 위성 텔레비전의 텔레비전 드라마 - 봉신연의 (2019년 드라마)
    폭군 상 주왕의 폭정으로부터 백성을 구원하려는 강자아와 양전, 그리고 복수를 위해 주왕의 후궁이 된 달기의 이야기를 다룬 드라마 봉신연의는 중국 명나라 시대 소설 《봉신연의》를 원작으로 재해석한 작품이다.
  • 후난 위성 텔레비전의 텔레비전 드라마 - 유성화원 (2018년 드라마)
    유성화원 (2018년 드라마)은 2001년 드라마 꽃보다 남자를 리메이크한 작품으로, 명문대 소녀 둥산차이가 F4와 겪는 갈등과 로맨스를 그리며, F4 리더 다오밍쓰와 사랑을 키워가는 내용을 담고 있다.
  • 2007년 드라마 - 가면라이더 가부토
    가면라이더 가부토는 젝터를 이용해 변신하는 가면라이더 시스템을 중심으로, 클록업 시스템과 퍼펙트/하이퍼 젝터를 통해 능력을 강화하며 텐도 소우지를 비롯한 라이더들과 웜 군단의 대결을 그린 특촬 드라마이다.
  • 2007년 드라마 - 척 (드라마)
    《척》은 20대 컴퓨터 천재 척 바토우스키가 국가 기밀 정보 '인터섹트'를 얻어 CIA 요원과 NSA 요원의 감시 아래 스파이 생활을 하며 미스터리를 풀고 암살자, 테러리스트를 막는 이야기로, 동료들과 성장하는 액션, 스릴러, 드라마이며 정치적 성향을 묘사하는 특징이 있다.
대명왕조1556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DVD 커버 아트
DVD 커버 아트
원어 제목大明王朝1566
로마자 표기Da Ming Wangchao 1566
한국어 제목대명왕조1556
일본어 제목大明王朝
〜嘉靖帝と海瑞〜
장르역사 드라마
극본류허핑
연출장리
주연천바오궈
황즈충
왕칭샹
옌니
왕야지에
궈둥원
정위
장쯔젠
오프닝 테마즈 스 민 웨이 톈 (治世民为天) - 탄웨이웨이
엔딩 테마하이 쿼 톈 칭 (海阔天青) - 탄징
음악 작곡가류젠
한웨이
자오지핑
국가중국
언어중국어
에피소드 수46
프로듀서치샤오닝
촬영 장소중국
실행 시간회당 45분
채널후난 TV
CCTV
외부 링크대명왕조1556의 시나 웨이보

2. 제작 배경

중화인민공화국 하이난성 검찰과 중앙기율위원회의 의뢰를 받아 후난위성TV와 합작하여 제작되었다.[7] 이 드라마는 부패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청렴 문화를 확산시키려는 제작 의도를 담고 있다.[7] 1566년 명 왕조 가정제 45년을 시대적 배경으로 설정하였다. 드라마는 백성을 착취하는 중앙 정부, 상업 자본을 축적하여 농지를 바꾸려는 상인 세력, 그리고 생계가 어려운 농민 등 세 가지 주요 축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7]

방영 당시 중국에서 시청률 0.61%를 기록하며 명나라 시대를 다룬 드라마로서 큰 화제를 모았다. 드라마는 1566년의 역사적 사건뿐만 아니라, 이전에는 잘 다루어지지 않았던 가정제, 간신 엄숭, 청렴한 관리로 유명한 해서 등 역사적 인물들을 등장시켰다. 또한 명나라 시기의 문제들을 통해 현대 중국의 정치 및 사회 문제에 대한 논의를 촉발하며 전국적인 관심을 끌었다.[7]

3. 줄거리

명나라 가정 40년 (1561년), 가정제는 정월 초하루부터 보름 동안 玉熙宫|옥희궁중국어에 머물며 눈이 내리기를 기원한다. 같은 해, 해서저장성 순안현의 지현으로 부임하여 순무 衙門|아문중국어에서 부패의 실상을 목격하고, 이를 바로잡기 위한 기나긴 싸움을 시작하게 된다.

3. 1. 시대적 배경

1566년 명나라 가정제 45년을 주요 배경으로 삼는다.[7] 이 시기 명나라는 여러 문제에 직면해 있었으며, 드라마는 크게 세 가지 세력 간의 갈등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간다. 첫째는 백성을 수탈하며 부패한 중앙 정부, 둘째는 비단이나 소금 거래 등으로 부를 쌓아 농지를 뽕나무밭으로 바꾸려 하는 상업 자본 세력, 그리고 셋째는 하루 벌어 하루 먹고 살기 힘든 가난한 농민을 비롯한 기층 민중이다.[7]

이 드라마는 중화인민공화국 하이난성 검찰 중앙기율위원회의 의뢰로 후난위성TV와 합작하여 제작되었으며, 부패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루어 청렴한 사회 문화를 장려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다.[7] 작품 속에서는 그동안 잘 다루어지지 않았던 가정제 본인과 더불어, 대표적인 간신으로 평가받는 엄숭, 그리고 청렴한 관리의 상징인 해서 등 실존했던 역사 인물들이 등장한다.[7]

이야기의 구체적인 시작 시점은 가정 40년(156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해 정월, 가정제는 玉熙宫|옥희궁중국어에 머물며 눈이 내리기를 기원하는 제사를 지냈다. 같은 해, 해서는 저장성 순안현의 지현으로 부임하여 순무 아문에 도착하자마자 심각한 부패의 현실을 목격하게 되고, 이는 길고 험난한 싸움의 시작을 알린다.

3. 2. 주요 사건

명나라 가정 40년 (1561년) 정월 초하루부터 보름 동안 가정제는 옥희궁(玉熙宫|위시궁중국어)에 머물며 눈이 내리기를 기원했다.

같은 해, 해서저장성 순안현의 현지현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순무 관아(衙門|야먼중국어)에 도착하자마자 관리들의 부패 실태를 목격하게 된다. 이를 계기로 해서는 부패한 관리들과 맞서 백성을 위한 정치를 펼치기 위한 길고 힘든 싸움을 시작한다.

4. 등장인물

연출은 군인기밀, 인간정도시창상 등을 연출한 장려 감독이 맡았다. 가정제 역에는 적등황록청람자, 대댁문 등에 출연했던 천바오궈가, 해서 역은 <인간정도시창상>, 중국원정군 등에 출연한 황지충이 맡아 연기했다.[7]

4. 1. 주요 인물

주요 등장인물 및 배역
배역배우설명
해서황지충순안현의 지현. 본작의 주인공으로, 강직하고 청렴한 성품을 지녔다. 부패가 만연한 현실에 맞서 백성을 위한 정치를 실현하고자 노력하는 이상적인 관리의 모습을 보여준다.[7] 명나라 가정 40년(1561년) 저장성 순안 현령으로 부임하여 부패 실태를 목격하고 기나긴 싸움을 시작한다.
가정제천바오궈명나라 제12대 황제. 도교와 신선술에 깊이 빠져 국정을 소홀히 하고, 이로 인해 조정은 엄숭과 같은 간신들이 발호하는 배경이 된다.[7]
엄숭예대굉내각 수보. 노련한 정치가이지만 권력을 남용하여 사리사욕을 채우는 대표적인 간신으로 그려진다. 도교에 심취한 가정제를 대신해 청사를 작성하여 청사 재상으로 불리기도 했다. 배우 예대굉은 촬영 당시 47세였으나 매일 3시간의 특수 분장을 통해 81세의 엄숭을 연기했다.[3]
유왕궈광핑가정제의 셋째 아들. 훗날 융경제로 즉위하여 18년에 걸친 융만 대개혁의 시작을 알린다.[6]
이비옌니유왕의 비. 훗날 효의장황후가 된다.
친왕목홍일유왕과 이비의 아들. 훗날 만력제가 된다.
엄세번장즈젠엄숭의 아들. 이부공부 시랑을 지냈다. 아버지의 권세를 등에 업고 부정부패를 일삼는다.
서계샤오주대학사로 내각 차보. 엄숭을 보좌하면서도 유왕(훗날의 융경제)을 지지하는 인물.
고공류위빈호부 시랑. 유왕파 관료.
장거정궈둥원병부 시랑. 유왕파 관료로, 훗날 명나라의 명재상이 된다.
후쭝셴왕칭샹절직총독. 엄숭의 제자이지만 유능한 관리로 왜구 토벌 등에 공을 세운다.
여방쉬광밍사례감 장인태감. 환관 세력의 우두머리 격. 풍보의 의부.
진홍류리웨이사례감 병필태감.
양진수이왕진송절강 직조국 감독 태감.
황금자오융사례감 병필태감.
풍보쉬청펑동창 제독 태감. 여방의 수하이자 의부.
왕용급정위건덕현 지현. 해서와 뜻을 같이하는 친구이자 동료 관리.
조정길서민처음에는 남직례 순무였으나, 정필창의 후임으로 절강 순무가 된다. 서계의 제자.
정필창간위절강 순무.
하무재왕룽절강의 안찰사와 포정사를 겸임하는 관리.
척계광천즈후이태주 총병. 왜구 토벌로 유명한 명장.
운냥왕야제비단 상인 심일석의 시녀이자 연인.
고한문탄카이항저우 지부.
심일석자오리신절강의 비단 상인.
해서의 어머니주샤오줜
해서의 아내후링링
해서의 딸린하이윈
이시진장쯔젠원래 궁정의 태의였으나, 가정제의 노여움을 사 민간 의원이 된다.
치대주진송
이노우에 주산로미우라 켄이치왜구 두목.
담륜왕우유왕부의 첨사.


4. 2. 조정 인물


  • 가정제 역: 명나라 제12대 황제. 국정보다는 도교 수련에 더 관심을 보이는 모습을 보인다.
  • 엄숭 역: 대학사이자 내각 수보(首輔). 20년 넘게 권력을 장악하고 있으며, 가정제의 신임을 얻기 위해 청사(靑詞)를 쓰는 데 능숙하여 '청사 재상'으로 불린다.
  • 엄세번 역: 엄숭의 아들. 아버지의 권세를 등에 업고 이부공부 시랑 등 요직을 거치며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 서계 역: 대학사이자 내각 차보(次輔). 표면적으로는 엄숭을 보좌하지만, 내심 엄숭 부자를 견제하며 유왕을 지지하는 세력의 중심인물이다.
  • 고공 역: 호부 시랑. 서계, 장거정과 함께 유왕파의 핵심 인물이다. 강직한 성품을 지녔다.
  • 장거정 역: 병부 시랑. 뛰어난 정치 감각과 식견을 가진 인물로, 서계, 고공과 함께 유왕을 보필하며 훗날 명나라의 중흥을 이끄는 개혁 정치가로 성장한다.
  • 유왕 역: 가정제의 셋째 아들. 황태자 자리가 공석인 상황에서 유력한 후계자로 주목받는다. 서계, 고공, 장거정 등의 지지를 받으며, 훗날 융경제로 즉위하여 18년에 걸친 융만 대개혁[6]을 시작하게 된다.
  • 이비 역: 유왕의 비. 현명하고 신중한 성품으로 유왕을 내조한다.
  • 친왕 역: 유왕과 이비의 아들. 훗날 만력제가 된다.
  • 담륜 역: 유왕부의 첨사. 유왕의 측근으로 활동한다.
  • 여방 역: 사례감의 장인태감(掌印太監)으로 환관 조직의 최고 실세 중 한 명이다. 가정제의 최측근에서 황제의 의중을 파악하고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풍보의 의부(양아버지)이다.
  • 풍보 역: 동창 제독 태감. 여방의 수하이자 양아들로, 점차 세력을 키워나간다.
  • 황진 역: 사례감 병필태감(秉筆太監). 사례감 내에서 여방, 진홍 등과 권력 관계를 형성한다.
  • 진홍 역: 사례감 병필태감. 여방과 경쟁 관계에 있으며, 엄숭 세력과 결탁하기도 한다.
  • 주운일 역: 흠천감 감정(監正). 천문과 역법을 담당하는 관리로, 가정 39년(1560년) 조정의 실정을 비판하다 장형을 받고 사망한다.
  • 호종헌 역: 절강과 남직례 등을 관할하는 절직총독. 왜구 토벌을 지휘하며 군사적 공을 세웠으나, 엄숭의 제자라는 정치적 배경 때문에 복잡한 입장에 놓인다.
  • 조정길 역: 원래 남직례 순무였으나, 정필창의 후임으로 절강 순무가 된다. 서계의 제자로, 강직하고 청렴한 관리이다.
  • 왕용급 역: 건덕현 지현. 해루의 친구이자 동료 관리로서 그를 지지하고 돕는다.
  • 이시진 역: 저명한 의학자이자 본초학자. 원래 궁정의 태의였으나, 가정제의 노여움을 사 관직에서 물러나 민간에서 의술 활동과 저술에 힘쓴다.
  • 양진수이 역: 절강 지역의 환관으로 파견되어 비단 생산 및 유통과 관련된 임무를 맡는다.
  • 척계광 역: 태주 총병. 왜구 토벌에서 활약하는 명장이다.
  • 정필창 역: 절강 순무. 엄숭 세력과 결탁하여 부정부패에 연루된다.
  • 하무재 역: 절강의 안찰사와 포정사를 겸임하며, 정필창과 함께 부패 행위에 가담한다.
  • 고한문 역: 항저우 지부. 비단 생산과 관련된 사건에 휘말린다.
  • 선이시 역: 절강의 부유한 상인. 관료들과 결탁하여 이익을 추구한다.

4. 3. 기타 인물


  • 천바오궈 - 자징제 역: 명나라 제12대 황제.
  • 황즈충 - 하이루이 역: 순안현의 지현. 본작의 주인공.
  • 니다훙 - 옌숭 역: 상명 대학사로 내각 수보. 도교에 심취한 가정제에게 명받아 제사의 청사를 집필하여 청사 재상으로 불렸다.
  • 장즈젠 - 옌스판 역: 엄숭의 아들로 이부공부시랑.
  • 궈광핑 - 위왕(융칭제) 역: 가정제의 셋째 아들. 제위에 즉위 후 18년에 걸친 융만(隆万) 대개혁[6]이 시작되었다.
  • 옌니 - 이비 역: 위왕의 비.
  • 샤오주 - 쉬지에 역: 상명 대학사로 내각 차보. 엄숭을 보좌하여 함께 청사를 집필한다. 유왕파.
  • 류위빈 - 가오궁 역: 호부시랑. 유왕파.
  • 궈둥원 - 장쥐정 역: 병부시랑. 유왕파.
  • 왕칭샹 - 후쭝셴 역: 절직총독. 엄숭의 제자.
  • 쉬광밍 - 뤼팡 역: 사례감장인태감. 풍보의 의부.
  • 류리웨이 - 천훙 역: 사례감 병필태감.
  • 왕진송 - 양진수이 역
  • 자오융 - 황진 역: 사례감병필태감.
  • 쉬청펑 - 펑바오 역: 동창 제독 태감.
  • 정위 - 왕용급 역: 건덕현의 지현. 해루와 친교를 맺는다.
  • 쉬민 - 조정길 역: 원래는 남직례순무로, 정필창의 뒤를 이어 절강 순무가 된다. 서계의 제자.
  • 감우 - 정필창 역: 절강 순무.
  • 왕룽 - 하무재 역: 절강의 안찰사와 포정사를 겸임한다.
  • 천즈후이 - 치지광 역: 태주 총병.
  • 왕야제 - 윈냥 역
  • 탄카이 - 고한문 역: 항저우지부.
  • 자오리신 - 선일시 역
  • 주샤오줜 - 하이루이의 어머니 역
  • 후링링 - 하이루이의 아내 역
  • 린하이윈 - 하이루이의 딸 역
  • 장쯔젠 - 이시진 역: 원래 궁정의 태의였으나, 가정제의 노여움을 사 민간 의원이 된다.
  • 진송 - 치다주 역
  • 미우라 켄이치 - 이노우에 주산로 역
  • 왕우 - 담륜 역: 유왕부의 첨사.
  • 오기 - 주운일 역: 흠천감의 감정(長官). 1560년 12월 29일, 조정 비판으로 장형에 처해져 사망.
  • 목홍일 - 친왕 역: 유왕과 이비의 아들.

5. 연출진


  • 감독: 장리 張黎|장리zho
  • 각본: 류허핑 刘和平|류허핑zho
  • 조감독: 자나 사하티 嘉娜·沙哈提|자나 사하티zho
  • 촬영: 츠샤오닝 池小宁|츠샤오닝zho[7]

6. 주제가


  • '''치세민위천(治世民為天)''' (오프닝)[4]
  • * 작사: 欧阳常林|오우양창린zho, 작곡: 류젠, 한웨이, 노래: 谭维维|탄웨이웨이zho
  • '''해활천청(海闊天青)''' (엔딩)[5]
  • * 작사: 이밍, 刘和平|류허핑zho, 작곡: 자오지핑, 노래: 谭晶|탄징zho

7. 평가 및 영향

이 드라마는 중화인민공화국 하이난성 검찰 중앙기율위원회의 의뢰로 후난위성TV와 합작하여 제작되었으며, 부패 문제에 초점을 맞춰 청렴 문화를 확산시키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었다.[7] 드라마는 1566년 명 왕조 가정제 45년을 배경으로, 백성을 착취하는 중앙정부, 비단이나 소금 거래로 부를 쌓아 농지를 뽕밭으로 바꾸려는 상업 자본 세력, 그리고 고단한 삶을 살아가는 농민 등 기층 민중이라는 세 가지 주요 축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7]

방영 당시 중국에서는 시청률 0.61%를 기록하며 명 왕조 시대를 다룬 드라마로서 주목받았다.[7] 1566년의 역사적 배경 속에서 그동안 잘 다뤄지지 않았던 가정제, 간신 엄숭, 청백리로 유명한 해서 등 역사적 인물들을 등장시켰다.[7] 특히 명나라 시기의 역사적 문제들을 현대 정치 및 사회 문제와 연결하여 중국 사회 내에서 폭넓은 논의를 불러일으켰다.[7] 이러한 부패 척결과 청렴한 사회에 대한 강조는 당시 중국뿐만 아니라 현대 대한민국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평가받는다.

2010년대 후반 이후, 대한민국에서는 '이이제이', '수다맨들'과 같은 팟캐스트 방송을 통해 이 드라마가 재조명되면서 한국 대중들에게도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Chinese drama 'Ming Dynasty in 1566' to air in South Korea http://english.sina.[...] Sina.com 2014-05-05
[2] 웹사이트 《大明王朝1566》(豆瓣) https://movie.douban[...]
[3] 웹사이트 『大明王朝 -1566-』 古装劇場 http://guzhuangjucha[...]
[4] Youtube 谭维维【治世民为天】 https://www.youtube.[...]
[5] Youtube 谭晶《海阔天青》 https://www.youtube.[...]
[6] 웹사이트 隆万大改革 百度百科 https://baike.baidu.[...]
[7] 뉴스 http://www.ytn.co.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