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전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전군은 일제강점기인 1914년 회덕군, 진잠군, 공주군 현내면을 통폐합하여 신설된 행정 구역이다. 1931년 대전면이 대전읍으로 승격되었으며, 1935년 대전읍이 대전부로 승격됨과 동시에 대전군은 대덕군으로 개칭되었다. 현재 대전군은 대전광역시 동구, 중구, 서구, 유성구, 대덕구, 계룡시 신도안면 일부 지역에 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전광역시의 역사 - 대덕군
    대덕군은 1935년 대전읍이 대전부로 승격하며 대전군의 잔여 지역이 개칭된 곳으로, 1989년 대전직할시에 편입되어 폐지되었으며, 현재의 대전광역시와 계룡시 행정구역 형성에 기여했다.
  • 대전광역시의 역사 - 망이·망소이의 난
    망이·망소이의 난은 1176년 고려 명종 때 명학소에서 망이와 망소이가 일으킨 민중 봉기로, 특수 행정 구역 차별과 경제적 불만에 대한 반발로 공주를 함락시켰으나, 관군에 의해 진압되었고, 이 사건을 계기로 고려는 특수 행정 구역을 폐지하기 시작했다.
  • 충청남도의 폐지된 행정 구역 - 남포군
    남포군은 백제의 사포현에서 유래하여 남포로 개칭된 충청남도의 옛 행정구역으로, 여러 변천을 거쳐 보령군에 편입된 후 현재는 보령시의 일부이다.
  • 충청남도의 폐지된 행정 구역 - 온양시
    온양시는 1986년 아산군 온양읍이 승격되어 설치되었으며, 1995년 아산군과 통합되어 아산시로 개편되었다.
  • 1935년 폐지 -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카프)은 1925년 염군사와 파스큐라가 합쳐져 결성된 좌익 문학 단체로, 마르크스-레닌주의를 기반으로 계급 투쟁을 선전하고 계몽하는 것을 목표로 조직적인 문학 운동을 전개했으나, 내부 갈등과 일제의 탄압으로 1935년 해산되었다.
  • 1935년 폐지 - 구인회 (문학 단체)
    1933년 이종명과 김유영의 발기로 결성된 문학 단체인 구인회는 이효석, 이무영, 유치진, 조용만, 이태준, 김기림, 정지용 등 당대 문인 9명이 참여하여 순수 문학을 지향하며 1930년대 한국 문단에서 문학의 예술성을 추구하는 데 기여했고, 주요 작가들의 친목 도모와 문학적 교류를 통해 조선 문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대전군
지도
기본 정보
설치1914년 4월 1일
폐지1935년 10월 1일
관할대전부
면적452.16㎢
역사
1914년대전군 설치 (13개 면)
1935년대전군 폐지, 대전부 승격
행정 구역 (1914년 설치 당시)
구즉면유성구
세종특별자치시 일부
기성면현 서구 (대전) 일부
내남면대덕구
동면현 동구 (대전) 일부
북면대덕구
산내면현 동구 (대전) 일부
외남면현 동구 (대전) 일부
유천면현 중구 (대전) 일부
회덕면대덕구 일부
탄동면유성구 일부
일도면현 중구 (대전) 일부
이도면현 중구 (대전) 일부
가소면현 서구 (대전) 일부

2. 역사적 배경

1895년 5월 26일 대한제국 고종이 전국을 23부로 나누면서 공주부 산하에 회덕군, 진잠군을 관할하게 하였다. 1906년 월경지 정리령에 의해 청주군 주안면을 회덕군에 편입하였다.

2. 1. 조선시대 및 대한제국 시기

1895년 5월 26일 고종이 전국을 23부로 나누면서 공주부 산하에 회덕군, 진잠군을 관할하게 하였다. 1906년 월경지 정리령에 의해 청주군 주안면을 회덕군에 편입하였다.

2. 2. 일제강점기

1914년 4월 1일 일제는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회덕군, 진잠군과 공주군 현내면을 '''대전군'''으로 통폐합하였다.[3] 이 과정에서 12면(진잠면, 기성면, 유천면, 유성면, 내남면, 탄동면, 구즉면, 외남면, 대전면, 산내면, 북면, 동면)으로 구성되었다.

당시 행정구역 변화는 다음과 같다.[3]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회덕군 산내면대전면본정1정목, 본정2정목, 영정, 춘일정1정목, 춘일정2정목
산내면구도리, 구완리, 금동리, 낭월리, 대별리, 목달리, 무수리, 삼괴리, 상소리, 소호리, 어남리, 이사리, 장척리, 정생리, 침산리, 하소리
외남면대사리, 발암리(鉢岩里), 방축리(方丑里), 부사리, 석교리, 옥계리, 중촌리, 호동리
회덕군 외남면가양리, 가오리, 대동리, 대성리, 산소리(山所里), 삼정리, 소제리, 신대리, 연효리(連孝里), 용방리(龍坊里), 외천리, 홍도리
회덕군 내남면내남면대화리, 법동리, 비래리, 송촌리, 오정리, 용전리, 중리
회덕군 현내면신대리, 연축리, 와동리, 읍내리
회덕군 동면동면비룡리, 세천리, 신상리, 신하리, 용계리, 주산리
회덕군 주안면내탑리, 사성리, 신촌리, 오동리, 주촌리, 추동리
회덕군 일도면마산리, 직동리, 효평리
북면갈전리, 미호리, 삼정리, 부수리, 용호리, 이현리, 장동리, 황호리
회덕군 북면덕암리, 목상리, 문평리, 상서리, 석봉리, 신대리, 평촌리
공주군 현내면유성면갑동리, 구암리, 노은리, 덕명리, 복용리, 상대리, 신흥리(新興里), 장대리, 죽동리, 지족리
회덕군 천내면구성리, 궁동리, 봉명리, 어은리
유천면가장리, 갈마리, 괴정리, 내동리, 둔산리, 월평리, 탄방리
회덕군 유등천면과례리(果禮理), 당대리(唐垈里), 도마리, 변동리, 복수리, 사정리, 안영리, 용두리, 유천리, 정림리, 평리
회덕군 서면삼천리(三川里)
구즉면문지리, 원촌리, 전민리
회덕군 구즉면관평리, 구룡리, 금고리, 금탄리, 대동리, 둔곡리, 봉산리, 송강리, 신동리, 용산리, 탑립리
회덕군 탄동면탄동면가정리, 내동리(內洞里), 덕진리, 도룡리, 반석리, 신봉리, 신성리, 안산리, 외삼리, 자운리, 장동리, 추목리, 하기리, 화암리
공주군 명탄면수남리
진잠군 북면진잠면계산리, 교촌리, 내동리(內洞里), 대정리, 용계리, 학하리
진잠군 서면남선리, 방동리, 성북리, 세동리, 송정리
진잠군 동면기성면가수원리, 괴곡리, 관저리, 도안리
진잠군 상남면매노리, 봉곡리, 산직리, 장안리, 흑석리
진잠군 하남면오리, 우명리, 원정리, 용촌리, 평촌리



1917년 10월 1일 내남면이 회덕면으로 개칭되었다.[4] 1931년 4월 1일에는 대전면이 대전읍으로 승격되었고,[5] 1935년 10월 1일 대전읍이 '''대전부'''로 승격됨과 동시에 대전군은 '''대덕군'''으로 개칭되었다.

2. 3. 광복 이후

1914년 4월 1일 회덕군, 진잠군과 공주군 현내면을 '''대전군'''으로 통폐합하였다.[3] 당시 대전군은 진잠면, 기성면, 유천면, 유성면, 내남면, 탄동면, 구즉면, 외남면, 대전면, 산내면, 북면, 동면의 12면을 관할했다. 1917년 10월 1일 내남면은 회덕면으로 개칭되었으며,[4] 1931년 4월 1일에는 대전면이 대전읍으로 승격하였다.[5]

1935년 10월 1일, 대전읍이 '''대전부'''로 승격되면서 대전군은 '''대덕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5]

3. 1914년 행정구역과 현재 행정구역 비교

(大田面)본정 일부, 본정 일부, 춘일정 일부, 영정대전광역시
동구원동, 인동, 중동, 정동춘일정 일부대전광역시
중구은행동외남면
(外南面)대사리 일부, 대사리 일부, 부사리 일부, 부사리 일부, 발암리, 방축리, 석교리, 호동리, 옥계리, 중촌리대사동, 대흥동, 부사동, 문창동, 선화동, 목동, 석교동, 호동, 옥계동, 중촌동홍도리, 가양리, 소제리 일부, 소제리 일부, 연효리 일부, 연효리 일부, 산소리, 대동리, 신대리 일부, 신대리 일부, 가오리, 용방리, 삼정리, 대성리, 외천리 일부, 외천리 일부대전광역시
동구홍도동, 가양동, 소제동, 자양동, 삼성동, 성남동, 판암동, 대동, 신안동, 신흥동, 가오동, 용운동, 삼정동, 대성동, 효동, 천동동면
(東面)마산리, 효평리, 직동리, 세천리, 비룡리, 주산리, 신상리, 신하리, 용계리, 사성리, 내탑리, 주촌리, 오동리, 추동리, 신촌리마산동, 효평동, 직동, 세천동, 비룡동, 주산동, 신상동, 신하동, 용계동, 사성동, 내탑동, 주촌동, 오동, 추동, 신촌동산내면
(山內面)이사리, 대별리, 낭월리, 구도리, 삼괴리, 하소리, 상소리, 장척리, 소호리이사동, 대별동, 낭월동, 구도동, 삼괴동, 하소동, 상소동, 장척동, 소호동무수리, 구완리, 목달리, 정생리, 침산리, 어남리, 금동리대전광역시
중구무수동, 구완동, 목달동, 정생동, 침산동, 어남동, 금동유천면
(柳川面)유천리, 안영리, 사정리, 당대리, 과례리, 평리 일부, 평리 일부, 용두리 일부유천동, 안영동, 사정동, 산성동, 문화동, 오류동, 태평동, 용두동가장리, 내동리, 괴정리, 탄방리, 둔산리 일부, 둔산리 일부, 월평리, 갈마리, 정림리, 도마리, 용두리 일부, 변동리, 복수리, 삼천리대전광역시
서구가장동, 내동, 괴정동, 탄방동, 둔산동 일부, 만년동, 월평동, 갈마동, 정림동, 도마동, 용문동, 변동, 복수동, 둔산동 일부기성면
(杞城面)흑석리, 산직리, 봉곡리, 매노리, 장안리, 평촌리, 용촌리, 원정리, 우명리, 오리, 괴곡리, 가수원리, 도안리, 관저리흑석동, 산직동, 봉곡동, 매노동, 장안동, 평촌동, 용촌동, 원정동, 우명동, 오동, 괴곡동, 가수원동, 도안동, 관저동진잠면
(鎭岑面)남선리계룡시
신도안면남선리내동리, 교촌리, 대정리, 학하리, 계산리, 용계리, 방동리, 성북리, 세동리, 송정리대전광역시
유성구원내동, 교촌동, 대정동, 학하동, 계산동, 용계동, 방동, 성북동, 세동, 송정동유성면
(儒城面)구성리, 어은리, 궁동리, 봉명리, 신흥리, 상대리, 구암리, 장대리, 복용리, 덕명리, 갑동리, 노은리, 죽동리, 지족리구성동, 어은동, 궁동, 봉명동, 원신흥동, 상대동, 구암동, 장대동, 복용동, 덕명동, 갑동, 노은동, 죽동, 지족동탄동면
(炭洞面)백운리, 신성리, 하기리, 안산리, 외삼리, 반석리, 장동리, 덕진리, 신봉리, 추목리, 내동리, 도룡리, 가정리, 화암리, 수남리자운동, 신성동, 하기동, 안산동, 외삼동, 반석동, 장동, 덕진동, 신봉동, 추목동, 방현동, 도룡동, 가정동, 화암동, 수남동구즉면
(九則面)봉산리, 금고리, 구룡리, 둔곡리, 대동리, 금탄리, 신동리, 관평리, 탑립리, 용산리, 송강리, 문지리, 원촌리, 전민리봉산동, 금고동, 구룡동, 둔곡동, 대동, 금탄동, 신동, 관평동, 탑립동, 용산동, 송강동, 문지동, 원촌동, 전민동내남면
(內南面)용전리대전광역시
동구용전동비래리, 송촌리, 중리, 법동리, 오정리, 대화리, 읍내리, 연축리, 신대리, 와동리대전광역시
대덕구비래동, 송촌동, 중리동, 법동, 오정동, 대화동, 읍내동, 연축동, 신대동, 와동북면
(北面)문평리, 목상리, 평촌리, 신대리, 상서리, 덕암리, 석봉리 일부, 석봉리 일부, 용호리, 장동리, 미호리, 삼정리, 부수리, 갈전리, 이현리, 황호리문평동, 목상동, 평촌동, 신일동, 상서동, 덕암동, 석봉동, 신탄진동, 용호동, 장동, 미호동, 삼정동, 부수동, 갈전동, 이현동, 황호동


3. 1. 대전면 (현 동구, 중구 일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대전군 대전면은 대전광역시 동구 원동, 인동, 중동, 정동과 중구 은행동으로 변경되었다.[2]

3. 2. 외남면 (현 중구, 동구 일부)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외남면은 대사리, 부사리, 발암리, 방축리, 석교리, 호동리, 옥계리, 중촌리를 합쳐 중구 대사동, 부사동, 문창동, 선화동, 목동, 석교동, 호동, 옥계동, 중촌동으로, 홍도리, 가양리, 소제리, 연효리, 산소리, 대동리, 신대리, 가오리, 용방리, 삼정리, 대성리, 외천리는 동구 홍도동, 가양동, 소제동, 자양동, 삼성동, 성남동, 판암동, 대동, 신안동, 신흥동, 가오동, 용운동, 삼정동, 대성동, 효동, 천동으로 재편되었다.[2]

3. 3. 동면 (현 동구)

동면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마산리, 효평리, 직동리, 세천리, 비룡리, 주산리, 신상리, 신하리, 용계리, 사성리, 내탑리, 주촌리, 오동리, 추동리, 신촌리가 대전군에 편입되었다.[2] 현재 이 지역은 대전광역시 동구에 속하며, 마산동, 효평동, 직동, 세천동, 비룡동, 주산동, 신상동, 신하동, 용계동, 사성동, 내탑동, 주촌동, 오동, 추동, 신촌동으로 구성되어 있다.[2]

3. 4. 산내면 (현 동구, 중구 일부)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산내면은 이사리, 대별리, 낭월리, 구도리, 삼괴리, 하소리, 상소리, 장척리, 소호리를 관할하게 되었다.[2] 이 지역은 현재 대전광역시 동구 이사동, 대별동, 낭월동, 구도동, 삼괴동, 하소동, 상소동, 장척동, 소호동으로 이어지고 있다.[2]

한편, 산내면의 무수리, 구완리, 목달리, 정생리, 침산리, 어남리, 금동리는 현재 대전광역시 중구 무수동, 구완동, 목달동, 정생동, 침산동, 어남동, 금동으로 이어지고 있다.[2]

3. 5. 유천면 (현 중구, 서구 일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유천면에는 유천리, 안영리, 사정리, 산성리, 문화동, 오류동, 태평동, 용두동이 있었다.[2] 유천면은 현재 대전광역시 중구의 유천동, 안영동, 사정동, 산성동, 문화동, 오류동, 태평동, 용두동, 그리고 서구의 가장동, 내동, 괴정동, 탄방동, 둔산동 일부, 만년동, 월평동, 갈마동, 정림동, 도마동, 용문동, 변동, 복수동, 둔산동 일부에 해당한다.[2]

3. 6. 기성면 (현 서구)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기성면은 흑석리, 산직리, 봉곡리, 매노리, 장안리, 평촌리, 용촌리, 원정리, 우명리, 오리, 괴곡리, 가수원리, 도안리, 관저리를 관할하였다.[2] 현재 대전광역시 서구 흑석동, 산직동, 봉곡동, 매노동, 장안동, 평촌동, 용촌동, 원정동, 우명동, 오동, 괴곡동, 가수원동, 도안동, 관저동이 이에 해당한다.[2]

3. 7. 진잠면 (현 유성구, 계룡시 일부)

진잠면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회덕군에서 편입되어 대전군에 속하게 되었다.[2] 진잠면에는 남선리, 내동리, 교촌리, 대정리, 학하리, 계산리, 용계리, 방동리, 성북리, 세동리, 송정리가 있었다.[2]

1914년 당시 진잠면 남선리는 현재 계룡시 신도안면 남선리로, 내동리, 교촌리, 대정리, 학하리, 계산리, 용계리, 방동리, 성북리, 세동리, 송정리는 현재 대전광역시 유성구 원내동, 교촌동, 대정동, 학하동, 계산동, 용계동, 방동, 성북동, 세동, 송정동으로 이어졌다.[2]

3. 8. 유성면 (현 유성구)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유성면에는 구성리, 어은리, 궁동리, 봉명리, 신흥리, 상대리, 구암리, 장대리, 복용리, 덕명리, 갑동리, 노은리, 죽동리, 지족리가 설치되었다.[2] 현재 유성면 지역은 대전광역시 유성구 구성동, 어은동, 궁동, 봉명동, 원신흥동, 상대동, 구암동, 장대동, 복용동, 덕명동, 갑동, 노은동, 죽동, 지족동이다.[2]

3. 9. 탄동면 (현 유성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탄동면에는 백운리, 신성리, 하기리, 안산리, 외삼리, 반석리, 장동리, 덕진리, 신봉리, 추목리, 내동리, 도룡리, 가정리, 화암리, 수남리가 있었다.[2] 이 지역은 현재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속하며, 다음과 같이 변동되었다.[2]

3. 10. 구즉면 (현 유성구)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구즉면(九則面)은 봉산리, 금고리, 구룡리, 둔곡리, 대동리, 금탄리, 신동리, 관평리, 탑립리, 용산리, 송강리, 문지리, 원촌리, 전민리를 관할하게 되었다.[2] 현재 구즉면 지역은 대전광역시 유성구 봉산동, 금고동, 구룡동, 둔곡동, 대동, 금탄동, 신동, 관평동, 탑립동, 용산동, 송강동, 문지동, 원촌동, 전민동으로 이루어져 있다.[2]

3. 11. 회덕면/내남면 (현 동구, 대덕구 일부)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회덕군 내남면은 용전리, 비래리, 송촌리, 중리, 법동리, 오정리, 대화리, 읍내리, 연축리, 신대리, 와동리를 관할하게 되었다.[2] 이 지역은 현재 대전광역시 동구 용전동, 대덕구 비래동, 송촌동, 중리동, 법동, 오정동, 대화동, 읍내동, 연축동, 신대동, 와동으로 구성되어 있다.[2]

3. 12. 북면 (현 대덕구)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북면은 문평리, 목상리, 평촌리, 신대리, 상서리, 덕암리, 석봉리, 용호리, 장동리, 미호리, 삼정리, 부수리, 갈전리, 이현리, 황호리로 개편되었다.[2] 이들은 현재 대전광역시 대덕구의 문평동, 목상동, 평촌동, 신일동, 상서동, 덕암동, 석봉동, 신탄진동, 용호동, 장동, 미호동, 삼정동, 부수동, 갈전동, 이현동, 황호동이다.[2]

참조

[1] 간행물 조선총독부령 제112호 도의위치관할구역및부군의명칭위치관할구역의규정 1935-09-28
[2] 간행물 (신구대조) 조선 전도부군면리동 명칭 일람 1917
[3] 간행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4] 간행물 도령 제8호 1917-09-25
[5] 간행물 조선총독부령 제103호 1930-12-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