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덕군은 1914년 회덕군, 진잠군, 공주군 일부를 통합하여 설치된 행정 구역이다. 1940년, 1963년, 1983년에 걸쳐 대전부에 편입되었고, 1973년 북면과 유성면이 각각 신탄진읍과 유성읍으로 승격하였다. 1989년 대전직할시 승격과 함께 폐지되어 대부분 지역이 대전광역시로 편입되었으며, 진잠면 남선리는 계룡시 두마면으로 편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5년 설치 - 완주군
완주군은 전라북도 북부 내륙에 위치하여 전주시를 둘러싸고 있는 오랜 역사를 지닌 군으로, 3읍 10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축제를 통해 관광 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 1935년 설치 - 안덕면 (서귀포시)
안덕면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에 속하는 면으로, 산방산, 용머리, 화순해수욕장 등 관광 자원과 안덕계곡 상록수림, 대정향교 등 문화재를 보유하며, 안덕계곡에서 명칭이 유래되었고 11개의 행정리를 관할한다. - 대전광역시의 역사 - 대전군
1914년 회덕군, 진잠군, 공주군 현내면을 통합하여 설치된 대전군은 11개 면으로 구성되었으나, 1935년 대전읍이 대전부로 승격되며 대덕군으로 개칭되고 대전부와 대덕군으로 분리되었다. - 대전광역시의 역사 - 망이·망소이의 난
망이·망소이의 난은 1176년 고려 명종 때 명학소에서 망이와 망소이가 일으킨 민중 봉기로, 특수 행정 구역 차별과 경제적 불만에 대한 반발로 공주를 함락시켰으나, 관군에 의해 진압되었고, 이 사건을 계기로 고려는 특수 행정 구역을 폐지하기 시작했다.
대덕군 | |
---|---|
지도 | |
기본 정보 | |
한자 표기 | 大德郡 |
영어 표기 | Daedeok County |
국가 | 대한민국 |
도 | 충청남도 |
설치 | 1914년 4월 1일 |
폐지 | 1989년 1월 1일 |
현재 | 대전광역시 대덕구 지역 |
행정 구역 | |
읍 | 유성읍 진잠읍 회덕읍 |
면 | 기성면 구즉면 탄동면 |
역사 | |
1914년 | 공주군 일부와 회덕군을 합쳐 신설 유성면, 진잠면, 기성면, 구즉면, 탄동면, 회덕면 설치 |
1935년 | 대사면 대전읍 편입 |
1963년 | 대전읍 대전시 승격, 유성면 유성읍 승격 |
1973년 | 회덕면 회덕읍 승격 |
1983년 | 유성읍, 구즉면, 탄동면, 진잠면 대전시 편입 |
1989년 | 대덕군 폐지, 회덕읍, 기성면 대전직할시 대덕구 편입 |
교통 | |
철도 | 호남선 대전선 |
2. 명칭
대전군과 1914년 이전의 명칭인 회덕군을 합쳐 대덕군이라는 명칭이 생겨났다.
1940년 11월 1일 : 외남면 등이 대전부에 편입되었다.[11] (10면)
3. 역사
조선총독부령 제220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유천면 유천리, 과례리, 당대리, 평리, 용두리 일부 대전부 일부 외남면 홍도리, 가양리, 소제리, 연효리, 산소리, 용방리, 석교리, 중촌리 외남면 삼정리, 가오리, 호동리, 옥계리, 대성리 산내면 일부
1963년 1월 1일 : 유천면 일원 등이 대전시에 편입되었다.[12] (9면)
1973년 7월 1일 : 북면이 신탄진읍으로, 유성면이 유성읍으로 각각 승격하였다.[13] (2읍 7면)
1983년 2월 15일 : 유성읍 일원, 구즉면 원촌리·문지리·전민리, 용산리 일부, 탄동면 신성리·가정리·도룡리·장동리·내동리·화암리·덕진리·하기리, 기성면 관저리·도안리·가수원리, 진잠면 내동리·교촌리·대정리·용계리·학하리가 대전시 중구에 편입되고, 회덕면 일원이 동구에 편입되었다.[14] (1읍 6면)
1989년 1월 1일 : 진잠면 남선리를 제외한 모든 지역이 대전직할시로 통폐합되었다.[15]진잠면 남선리는 논산군 두마면으로 편입되었다.법률 제4049호 대전직할시설치에관한법률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동면 대전직할시 동구 일부 산내면 낭월리·대별리·이사리·대성리·장척리·소호리·구도리·삼괴리·상소리·하소리 산내면 무수리·구완리·침산리·목달리·정생리·어남리·금동리 대전직할시 중구 일부 기성면 대전직할시 서구 기성동 신탄진읍 대전직할시 대덕구 신탄진동 구즉면 대전직할시 유성구 일부 탄동면 진잠면(남선리 제외) 진잠면 남선리 논산군 두마면 일부 (→ 현 계룡시 신도안면)
1895년 5월 26일 - 23부제 도입. 공주부 혜덕군·진심군이 됨. 이에 따라, 후의 대전광역시 중심지에 해당하는 공주군에서 회랑지대인 산내면, 산외면, 유등천면, 탄동면, 구즉면이 혜덕군에 편입됨.
1896년 - 13도제 도입. 충청남도 혜덕군·진심군이 됨.
1906년 - 비지 정리령에 따라 청주군 주안면이 혜덕군에 편입됨.
3. 1. 일제강점기 (1914년 ~ 1945년)
1914년 4월 1일, 일제는 군면병합에 따라 회덕군, 진잠군 및 공주군 관내면을 대전군으로 통합하였다.[2] 이때 대전군에는 진잠면, 기성면, 유천면, 유성면, 내남면, 탄동면, 구즉면, 외남면, 대전면, 산내면, 북면, 동면 등 12개 면이 설치되었다. 1917년 10월 1일 내남면은 회덕면으로 이름이 바뀌었다.[3]
1931년 4월 1일 대전면이 대전읍으로 승격되었고,[4] 1932년에는 충청남도 도청이 공주에서 대전으로 이전해 왔다.
1940년 11월 1일, 외남면 일부와 유천면 일부가 대전부에 편입되었다.[11]
3. 2. 해방 이후 (1945년 ~ 1989년)
1940년 11월 1일 유천면 일부와 외남면 일부가 대전부에 편입되고, 외남면 일부는 산내면에 편입되었다.[11][6] 1963년 1월 1일에는 유천면 전역, 회덕면 일부, 산내면 일부가 대전시에 편입되었다.[12][7]
1973년 7월 1일 북면과 유성면이 각각 신탄진읍과 유성읍으로 승격하였다.[13][8] 1983년 2월 15일 유성읍 일원, 구즉면·탄동면·기성면·진잠면 일부가 대전시 중구에 편입되고, 회덕면은 대전시 동구에 편입되었다.[14][9]
1989년 1월 1일 대덕군은 폐지되었고, 대부분 지역이 대전직할시로 통합되었다.[15][10] 동면과 산내면 일부는 대전직할시 동구, 산내면 다른 일부는 대전직할시 중구, 기성면은 대전직할시 서구, 신탄진읍은 대전직할시 대덕구, 구즉면, 탄동면, 진잠면(남선리 제외)은 대전직할시 유성구에 각각 편입되었다. 진잠면 남선리는 논산군 두마면(현 계룡시 신도안면)으로 편입되었다.
4. 행정 구역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대전군이 설치되면서, 기존 회덕군, 진잠군, 공주군 3개 군이 통합되었다.[1] 이 과정에서 면(面) 통폐합이 이루어졌는데, 현재의 행정구역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 대다면: 현재의 대전광역시 동구 원동, 인동, 중동, 정동, 그리고 중구 은행동 일대로 변경되었다.[1]
- 외서면: 대전광역시 중구의 대사동, 대흥동, 부사동, 문창동, 선화동, 목동, 석교동, 호동, 옥계동, 중촌동과 동구의 홍도동, 가양동, 소제동, 자양동, 삼성동, 성남동, 판암동, 대동, 신안동, 신흥동, 가오동, 용운동, 삼정동, 대성동, 효동, 천동으로 재편되었다.[1]
- 동면: 현재 대전광역시 동구의 마산동, 효평동, 척동, 세천동, 비룡동, 주산동, 신상동, 신하동, 용계동, 사성동, 내탑동, 주촌동, 오동, 추동, 신촌동에 해당한다.[1]
- 산내면: 현재 대전광역시 동구의 이사동, 대별동, 랑월동, 구도동, 삼괴동, 하소동, 상소동, 장척동, 소호동과 중구의 무수동, 구완동, 목달동, 정생동, 찬산동, 어남동, 금동으로 구성되었다.[1]
- 유천면: 현재 대전광역시 중구의 유천동, 안영동, 사정동, 산성동, 문화동, 오류동, 태평동, 용두동과 서구의 가수원동, 내동, 괴정동, 탄방동, 둔산동 일부, 만년동, 월평동, 갈마동, 정림동, 도마동, 용문동, 변동, 복수동, 둔산동 일부를 포함한다.[1]
- 계성면: 현재 대전광역시 서구 흑석동, 매노동, 산직동, 장안동, 평촌동, 오동, 우명동, 원정동, 용촌동, 봉곡동, 가수원동, 도안동, 괴곡동, 관저동이다.[1]
- 진잠면: 남선리는 계룡시 신도안면으로, 나머지 지역은 대전광역시 유성구 원내동, 교촌동, 대정동, 용계동, 학하동, 계산동, 성북동, 세동, 송정동, 방동으로 변경되었다.[1]
- 유성면: 현재 대전광역시 유성구 구성동, 어은동, 궁동, 봉명동, 원신흥동, 상대동, 구암동, 장대동, 복룡동, 덕명동, 갑동, 노은동, 죽동, 지족동이다.[1]
- 탄동면: 현재 대전광역시 유성구 신정동, 고정동, 도룡동, 장동, 방현동, 화암동, 덕진동, 하기동, 추목동, 자운동, 신봉동, 외삼동, 안산동, 수남동, 반석동이다.[1]
- 구즉면: 현재 대전광역시 유성구 봉산동, 송강동, 금고동, 재동, 금탄동, 신동, 둔곡동, 구룡동이다.[1]
- 내남면: 현재 대전광역시 동구 용전동, 대덕구 비래동, 송촌동, 중리동, 법동, 오정동, 대화동, 읍내동, 연축동, 신대동, 와동을 포함한다.
- 북면: 현재 대전광역시 대덕구 문평동, 목상동, 평촌동, 신일동, 상서동, 덕암동, 석봉동, 신탄진동, 용호동, 장동, 미호동, 삼정동, 부수동, 갈현동, 이현동, 황호동이다.[1]
4. 1. 1914년 대전군 설치 당시 행정 구역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대전군이 설치되면서, 기존 회덕군, 진잠군, 공주군 3개 군이 통합되었다.[1] 이 과정에서 면(面) 통폐합이 이루어졌는데, 현재의 행정구역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대전면: 대다읍(대다면+내남면)은 현재의 대전광역시 동구 원동, 인동, 중동, 정동, 그리고 중구 은행동 일대로 변경되었다.[1]
- 외남면: 외서면은 대전광역시 중구의 대사동, 대흥동, 부사동, 문창동, 선화동, 목동, 석교동, 호동, 옥계동, 중촌동과 동구의 홍도동, 가양동, 소제동, 자양동, 삼성동, 성남동, 판암동, 대동, 신안동, 신흥동, 가오동, 용운동, 삼정동, 대성동, 효동, 천동으로 재편되었다.[1]
- 동면: 현재 대전광역시 동구의 마산동, 효평동, 척동, 세천동, 비룡동, 주산동, 신상동, 신하동, 용계동, 사성동, 내탑동, 주촌동, 오동, 추동, 신촌동에 해당한다.[1]
- 산내면: 현재 대전광역시 동구의 이사동, 대별동, 랑월동, 구도동, 삼괴동, 하소동, 상소동, 장척동, 소호동과 중구의 무수동, 구완동, 목달동, 정생동, 찬산동, 어남동, 금동으로 구성되었다.[1]
- 유천면: 현재 대전광역시 중구의 유천동, 안영동, 사정동, 산성동, 문화동, 오류동, 태평동, 용두동과 서구의 가수원동, 내동, 괴정동, 탄방동, 둔산동 일부, 만년동, 월평동, 갈마동, 정림동, 도마동, 용문동, 변동, 복수동, 둔산동 일부를 포함한다.[1]
- 계성면: 현재 대전광역시 서구 흑석동, 매노동, 산직동, 장안동, 평촌동, 오동, 우명동, 원정동, 용촌동, 봉곡동, 가수원동, 도안동, 괴곡동, 관저동이다.[1]
- 진잠면: 남선리는 계룡시 신도안면으로, 나머지 지역은 대전광역시 유성구 원내동, 교촌동, 대정동, 용계동, 학하동, 계산동, 성북동, 세동, 송정동, 방동으로 변경되었다.[1]
- 유성면: 현재 대전광역시 유성구 구성동, 어은동, 궁동, 봉명동, 원신흥동, 상대동, 구암동, 장대동, 복룡동, 덕명동, 갑동, 노은동, 죽동, 지족동이다.[1]
- 탄동면: 현재 대전광역시 유성구 신정동, 고정동, 도룡동, 장동, 방현동, 화암동, 덕진동, 하기동, 추목동, 자운동, 신봉동, 외삼동, 안산동, 수남동, 반석동이다.[1]
- 구즉면: 현재 대전광역시 유성구 봉산동, 송강동, 금고동, 재동, 금탄동, 신동, 둔곡동, 구룡동이다.[1]
- 회덕면: 현재 대전광역시 동구 용전동과 대덕구 비래동, 송촌동, 중리동, 법동, 오정동, 대화동, 읍내동, 연축동, 신대동, 와동을 포함한다.
- 북면: 현재 대전광역시 대덕구 문평동, 목상동, 평촌동, 신일동, 상서동, 덕암동, 석봉동, 신탄진동, 용호동, 장동, 미호동, 삼정동, 부수동, 갈현동, 이현동, 황호동이다.[1]
4. 2. 1989년 대덕군 폐지 당시 행정 구역
1914년 일제에 의한 행정 구역 통폐합으로 회덕군, 진잠군, 공주군 일부가 통합되어 대덕군이 신설되었다. 이때 편입된 면은 다음과 같다.- 회덕군에서 편입된 면 : 내남면, 동면, 북면, 산내면, 서면, 유천면, 외남면
- 진잠군에서 편입된 면 : 구즉면, 유성면, 진잠면, 탄동면
- 공주군에서 편입된 면 : 계성면, 대다(大田)면
1989년 대전직할시 승격과 함께 대덕군이 폐지되면서, 각 면은 다음과 같이 대전광역시의 구 및 계룡시로 편입되었다.
- 대전광역시 동구 : 동면, 산내면, 외남면(홍도리, 가양리, 소제리, 연효리, 산소리, 대동리, 신대리, 가오리, 용방리, 삼정리, 대성리, 외천리), 내남면(용전리)
- 대전광역시 중구 : 유천면(유천리, 안영리, 사정리, 당재리, 과례리, 평리, 용두리), 산내면(무수리, 구완리, 목달리, 정생리, 찬산리, 어남리, 금동리), 외남면(대사리, 부사리, 발암리, 방추리, 석교리, 호동리, 옥계리, 중촌리), 대다면(춘일정)
- 대전광역시 서구 : 유천면(가상리, 내동리, 괴정리, 탄방리, 둔산리, 월평리, 갈마리, 정림리, 도마리, 용두리, 변동, 복수리, 삼천리), 계성면
- 대전광역시 유성구 : 유성면, 탄동면, 구즉면, 진잠면(내동리, 교촌리, 대정리, 용계리, 학하리, 계산리, 성북리, 세동리, 송정리, 방동리)
- 대전광역시 대덕구 : 북면, 회덕면(비래리, 송촌리, 중리, 법동, 오정리, 대화리, 읍내리, 연축리, 신대리, 와동리)
- 계룡시 신도안면 : 진잠면(남선리)
4. 3. 행정 구역 변천 과정
1940년 11월 1일 외남면 등이 대전부에 편입되었다.[11]1963년 1월 1일 유천면 일원 등이 대전시에 편입되었다.[12]
1973년 7월 1일 북면이 신탄진읍으로, 유성면이 유성읍으로 각각 승격하였다.[13]
1983년 2월 15일 유성읍 일원, 구즉면 원촌리·문지리·전민리, 용산리 일부, 탄동면 신성리·가정리·도룡리·장동리·내동리·화암리·덕진리·하기리, 기성면 관저리·도안리·가수원리, 진잠면 내동리·교촌리·대정리·용계리·학하리가 대전시 중구에 편입되고, 회덕면 일원이 동구에 편입되었다.[14]
1989년 1월 1일 진잠면 남선리를 제외한 모든 지역이 대전직할시로 통폐합되었다.[15] 진잠면 남선리는 논산군 두마면으로 편입되었다.
참조
[1]
간행물
(新旧対応)朝鮮全道府郡面里洞名称一覧(1917年)
1917-00-00
[2]
법률
朝鮮総督府令第111号
1913-12-29
[3]
법률
道令第8号
1917-09-25
[4]
법률
朝鮮総督府令第103号
1930-12-29
[5]
법률
朝鮮総督府令第112号 도의위치관할구역및부군의명칭위치관할구역의규정
1935-09-28
[6]
법률
朝鮮総督府令第220号
1940-10-23
[7]
법률
法律第1175号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11-21
[8]
법률
大統領令第6543号 邑設置に関する規定
1973-03-12
[9]
법률
大統領令第11027号 市・郡・区・邑・面の管轄区域変更及び面設置等に関する規定(第4条)
1983-01-10
[10]
법률
法律第4049号 대전직할시설치에관한법률
1988-12-31
[11]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220호
1940-10-23
[12]
법률
법률 제1175호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11-21
[13]
법률
대통령령 제6543호 읍설치에관한규정
1973-03-12
[14]
법률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제4조
1983-01-10
[15]
법률
법률 제4049호 대전직할시설치에관한법률
1988-12-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