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육군특수전사령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육군특수전사령관은 육군특수전사령부를 지휘하는 직위로, 역대 사령관들의 명단과 주요 이력을 제공한다. 1969년 창설 이후 여러 사령관이 임명되었으며, 이들은 특수전 교리 정립, 대북 침투 및 대테러 작전 능력 강화, 국제 평화 유지 활동 참여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다. 사령관들은 육군 소장, 중장, 대장 계급을 거쳤으며, 하나회 연루, 12·12 군사 반란 연루, 성군기 위반 등의 사건으로 보직 해임된 사례도 있었다. 최근에는 사이버 테러, 드론 공격 등 새로운 안보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첨단 기술 도입과 훈련 체계 혁신을 추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육군의 장군 - 대한민국의 육군참모차장
    대한민국의 육군참모차장은 육군참모총장을 보좌하는 직위로, 이응준, 장도영, 김종오, 이진삼 등을 비롯한 역대 육군 중장들이 해당 직위를 거쳐 육군참모총장, 합동참모의장, 국방부 장관 등 요직을 역임했다.
  • 대한민국 육군의 장군 - 대한민국의 제3야전군사령관
    대한민국의 제3야전군사령관은 평시에는 육군참모총장의 명을 받아 예하 부대를 지휘·감독하고, 전시에는 합동참모의장의 지휘·감독을 받으며, 초대 사령관은 이세호이다.
  • 육군특수전사령부 - 국제평화지원단
    국제평화지원단은 대한민국 육군특수전사령부 예하 부대로, UN PKO 및 다국적군 평화유지활동 임무를 수행하며 상시 파병 준비 태세를 유지하고 과거 다양한 해외 파병을 통해 국제 평화 유지에 기여해왔으며 '온누리 부대'라고도 불린다.
  • 육군특수전사령부 - 제707특수임무단
    제707특수임무단은 대한민국 육군 특수전사령부 예하 대테러 특수임무 부대로, 1981년 창설되어 대테러 및 인질 구출, 유사시 비밀 작전 수행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백호'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 대한민국 국방부 - 대한민국의 국방부 장관
    대한민국의 국방부 장관은 국무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국방 관련 군정 및 군령, 기타 군사 사무를 관장하며, 대통령의 명을 받아 합동참모의장과 각 군 참모총장을 지휘·감독한다.
  • 대한민국 국방부 -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국군은 1946년 남조선국방경비대를 기원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군사 조직으로,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의 4군 체제로 운영되며 대통령이 최고사령관으로서 북한의 위협에 대비하고 국제 평화 유지 활동에 참여하며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을 준비하고 국방개혁을 추진 중이나 가혹행위, 성폭력 문제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대한민국의 육군특수전사령관
육군특수전사령관 정보
국가[[파일:Flag of South Korea.svg|30px]] 대한민국
명칭육군특수전사령관
육군특수전사령부의 마크
육군특수전사령부의 마크
육군 소장 계급장
[[파일:Flag of the ROK Army & Marine Corps Major General (OF-7).svg|30px]]
권한대행박성제 육군 소장
권한대행 취임일2024년 12월 6일
초대조문환 소장
성립1969년
웹사이트육군특수전사령부 웹사이트

2. 역대 특수전사령관

대수성명직책 계급최종 계급기간비고
초대조문환육군 소장육군 중장1969년 8월 18일 ~ 1972년 6월 12일육사 7기
2대조천성육군 소장육군 소장1972년 6월 12일 ~ 1974년 12월 10일육사 8기, 육군 제9사단장[2], 한국가스공사 이사장
3대정병주육군 소장육군 소장1974년 12월 10일 ~ 1979년 12월 13일육사 9기, 신군부에 의해 강제 예편
4대정호용육군 소장육군 대장1979년 12월 13일 ~ 1981년 3월 4일육사 11기, 육군참모총장, 하나회
5대박희도육군 중장육군 대장1981년 3월 4일 ~ 1982년 11월 10일육사 12기, 육군참모총장, 하나회
6대최웅육군 중장육군 중장1982년 11월 10일 ~ 1984년 7월 4일육사 12기, 합동참모본부장, 외교부 대사
7대육완식육군 중장육군 중장1984년 7월 4일 ~ 1987년 1월 15일육사 13기, 공항관리공단 이사장
8대민병돈육군 중장육군 중장1987년 1월 15일 ~ 1988년 6월 30일육사15기, 육군사관학교 교장
9대이문석육군 중장육군 대장1988년 6월 30일 ~ 1989년 12월 28일육사17기, 1군사령관
10대서완수육군 중장육군 중장1989년 12월 28일 ~ 1991년 12월 31일육사19기, 국군기무사령관
11대김형선육군 중장육군 중장1991년 12월 31일 ~ 1993년 4월 2일육사19기, 육군참모차장
12대장창규육군 중장육군 중장1993년 4월 2일 ~ 1995년 4월 17일육사21기, 육군사관학교 교장
13대정영무육군 중장육군 대장1993년 4월 17일 ~ 1997년 4월 24일육사22기, 한미연합사령부 부사령관
14대오남영육군 중장육군 중장1997년 4월 24일 ~ 1998년 11월 2일육사24기, 육군사관학교 교장
15대김희중육군 중장육군 중장1998년 11월 2일 ~ 2000년 4월 27일육사25기, 항공작전사령관
16대류해근육군 중장육군 중장2000년 4월 27일 ~ 2002년 4월 8일육사26기, 육군교육사령관
17대김윤석육군 중장육군 중장2002년 4월 8일 ~ 2004년 5월 29일육사17기, 1군사령부 부사령관
18대백군기육군 중장육군 대장2004년 5월 29일 ~ 2005년 11월 3일육사29기, 3군사령관,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용인시
19대김진훈육군 중장육군 중장2005년 11월 3일 ~ 2007년 10월 30일육사30기, 육군보병학교장, 육본정책연구위원회 부위원장
20대김상기육군 중장육군 대장2007년 10월 30일 ~ 2009년 4월 22일육사32기, 육군참모총장
21대최용림육군 중장육군 중장2009년 4월 22일 ~ 2010년 12월 27일육사 33기
22대신현돈육군 중장육군 대장2010년 12월 27일 ~ 2011년 11월 16일육사 35기, 1군사령관
23대최익봉육군 중장육군 중장2011년 11월 16일 ~ 2012년 3월 10일육사 35기, 성군기 위반으로 보직 해임
직무대리윤광섭육군 소장육군 소장2012년 3월 10일 ~ 2012년 4월 30일육사 34기, 특전부사령관으로써 사령관 공석 대리 임무 수행
24대장준규육군 중장육군 대장2012년 4월 30일 ~ 2013년 10월 31일육사 36기, 육군참모총장
25대전인범육군 중장육군 중장2013년 10월 31일 ~ 2015년 4월 14일육사 37기, 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 수석대표, 한미연합사 부참모장
26대장경석육군 중장육군 중장2015년 4월 14일 ~ 2016년 10월 29일육사 39기
27대조종설육군 중장육군 중장2016년 10월 30일 ~ 2017년 9월육사 41기
28대남영신육군 중장육군 대장2017년 9월 ~ 2018년 8월학군 23기[3], 기무사령관으로 보직 변경[4], 육군참모총장
직무대리조영진육군 소장육군 소장2018년 8월 ~ 2018년 11월육사 40기, 전임 특전사령관이 기무사령관으로 배치됨에 따라 임명됨. 병과는 포병으로 이 이전까지 특전사 복무 경력 없음.
29대김정수육군 중장육군 중장2018년 11월 ~ 2020년 12월 6일육사 43기
30대소영민육군 중장육군 중장2020년 12월 7일 ~ 2022년 12월 7일학사 11기
31대손식육군 중장육군 대장2022년 12월 7일 ~ 2023년 10월 30일육사 47기, 중장으로서 담당한 보직은 육군특수전사령관이 유일하며 최대한 빨리 대장으로 진급. 지상작전사령관.
직무대리박원호육군 소장육군 소장2023년 10월 31일 ~ 2023년 11월 7일육사 46기, 701특공연대 중대장, 11공수여단 지역대장, 특수임무단 대대장(現 국제평화지원단), 700특공연대장, 13특임여단장 역임. 육군보병학교장과 겸직.
32대곽종근육군 중장2023년 11월 7일 ~ 2024년 12월 6일육사 47기[5][6]
직무대리박성제육군 소장2024년 12월 6일 ~학사장교 17기


2. 1. 초대 ~ 5대 (1969년 ~ 1982년)

초대 조문환 사령관은 1969년 8월 18일부터 1972년 6월 12일까지 재임하였으며, 육사 7기 출신으로 육군 소장에서 중장으로 진급하였다. 조문환 사령관은 특전사 창설을 주도하고 특수전 교리와 훈련 체계를 정립하는 데 기여했다.

2대 조천성 사령관은 1972년 6월 12일부터 1974년 12월 10일까지 재임하였으며, 육사 8기 출신으로 육군 소장을 역임했다. 조천성 사령관은 육군 제9사단장[2], 한국가스공사 이사장을 역임하였다.

3대 정병주 사령관은 1974년 12월 10일부터 1979년 12월 13일까지 재임하였으며, 육사 9기 출신으로 육군 소장을 역임했다. 정병주 사령관은 12·12 군사반란 당시 신군부에 저항하다 강제 예편된 인물로, 특전사의 명예와 충절을 상징한다.

4대 정호용 사령관은 1979년 12월 13일부터 1981년 3월 4일까지 재임하였으며, 육사 11기 출신으로 육군 소장에서 대장으로 진급하였다. 정호용 사령관은 육군참모총장을 역임하였고, '''하나회''' 출신이다.

5대 박희도 사령관은 1981년 3월 4일부터 1982년 11월 10일까지 재임하였으며, 육사 12기 출신으로 육군 중장에서 대장으로 진급하였다. 박희도 사령관은 육군참모총장을 역임하였고, '''하나회''' 출신으로 12·12 군사반란에 가담하여 특전사의 정치적 중립성을 훼손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대수성명직책 계급최종 계급기간비고
초대조문환육군 소장육군 중장1969년 8월 18일 ~ 1972년 6월 12일육사 7기
2대조천성육군 소장육군 소장1972년 6월 12일 ~ 1974년 12월 10일육사 8기, 육군 제9사단장[2], 한국가스공사 이사장
3대정병주육군 소장육군 소장1974년 12월 10일 ~ 1979년 12월 13일육사 9기, 신군부에 의해 강제예편
4대정호용육군 소장육군 대장1979년 12월 13일 ~ 1981년 3월 4일육사 11기, 육군참모총장, 하나회
5대박희도육군 중장육군 대장1981년 3월 4일 ~ 1982년 11월 10일육사 12기, 육군참모총장, 하나회


2. 2. 6대 ~ 10대 (1982년 ~ 1991년)

6대 최웅 육군 중장은 1982년 11월 10일부터 1984년 7월 4일까지 재임하였다. 육사 12기 출신으로,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합동참모본부장, 외교부 대사를 역임했다.[2]

7대 육완식 육군 중장은 1984년 7월 4일부터 1987년 1월 15일까지 재임하였다. 육사 13기 출신으로,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공항관리공단 이사장을 역임했다.

8대 민병돈 육군 중장은 1987년 1월 15일부터 1988년 6월 30일까지 재임하였다. 육사 15기 출신으로,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육군사관학교 교장을 역임했다.

9대 이문석 육군 중장은 1988년 6월 30일부터 1989년 12월 28일까지 재임하였다. 육사 17기 출신으로,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1군사령관을 역임했다.

10대 서완수 육군 중장은 1989년 12월 28일부터 1991년 12월 31일까지 재임하였다. 육사 19기 출신으로,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국군기무사령관을 역임했다.

역대 특수전사령관 (6대 ~ 10대)
대수성명계급기간비고
6대최웅육군 중장1982년 11월 10일 ~ 1984년 7월 4일육사 12기, 합동참모본부장, 외교부 대사[2]
7대육완식육군 중장1984년 7월 4일 ~ 1987년 1월 15일육사 13기, 공항관리공단 이사장
8대민병돈육군 중장1987년 1월 15일 ~ 1988년 6월 30일육사 15기, 육군사관학교 교장
9대이문석육군 중장1988년 6월 30일 ~ 1989년 12월 28일육사 17기, 1군사령관
10대서완수육군 중장1989년 12월 28일 ~ 1991년 12월 31일육사 19기, 국군기무사령관


2. 3. 11대 ~ 15대 (1991년 ~ 2000년)

대수성명직책 계급최종 계급기간비고
11대김형선육군 중장육군 중장1991년 12월 31일 ~ 1993년 4월 2일육사 19기, 육군참모차장
12대장창규육군 중장육군 중장1993년 4월 2일 ~ 1995년 4월 17일육사 21기, 육군사관학교 교장
13대정영무육군 중장육군 대장1993년 4월 17일 ~ 1997년 4월 24일육사 22기, 한미연합사령부 부사령관
14대오남영육군 중장육군 중장1997년 4월 24일 ~ 1998년 11월 2일육사 24기, 육군사관학교 교장
15대김희중육군 중장육군 중장1998년 11월 2일 ~ 2000년 4월 27일육사 25기, 항공작전사령관


2. 4. 16대 ~ 20대 (2000년 ~ 2009년)

2000년대 특전사는 국제 평화 유지 활동(PKO)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대한민국의 국격 제고에 기여했다.

대수성명계급최종 계급기간비고
16대류해근육군 중장육군 중장2000년 4월 27일 ~ 2002년 4월 8일육사 26기, 육군교육사령관
17대김윤석육군 중장육군 중장2002년 4월 8일 ~ 2004년 5월 29일육사 17기, 1군사령부 부사령관
18대백군기육군 중장육군 대장2004년 5월 29일 ~ 2005년 11월 3일육사 29기, 3군사령관,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용인시
19대김진훈육군 중장육군 중장2005년 11월 3일 ~ 2007년 10월 30일육사 30기, 육군보병학교장, 육본정책연구위원회 부위원장
20대김상기육군 중장육군 대장2007년 10월 30일 ~ 2009년 4월 22일육사 32기, 육군참모총장



18대 사령관 백군기더불어민주당 소속 국회의원 및 용인시장을 역임한 인물로, 군 경험을 바탕으로 정치 분야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20대 사령관 김상기는 육군참모총장을 역임하며, 군의 현대화 및 전투력 강화에 기여했다.

2. 5. 21대 ~ 25대 (2009년 ~ 2015년)

대수성명직책 계급최종 계급기간비고
21대최용림육군 중장육군 중장2009년 4월 22일 ~ 2010년 12월 27일육사 33기
22대신현돈육군 중장육군 대장2010년 12월 27일 ~ 2011년 11월 16일육사 35기, 1군사령관
23대최익봉육군 중장육군 중장2011년 11월 16일 ~ 2012년 3월 10일육사 35기, 성군기 위반으로 보직 해임
직무대리윤광섭육군 소장육군 소장2012년 3월 10일 ~ 2012년 4월 30일육사 34기, 특전부사령관으로 사령관 직무 대리
24대장준규육군 중장육군 대장2012년 4월 30일 ~ 2013년 10월 31일육사 36기, 육군참모총장
25대전인범육군 중장육군 중장2013년 10월 31일 ~ 2015년 4월 14일육사 37기, 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 수석대표, 한미연합사 부참모장



이 시기 특전사는 천안함 피격 사건, 연평도 포격 도발 등 북한의 도발에 대응하여 응징 태세를 확립했다. 신현돈 22대 사령관은 이후 1군사령관을 역임하며 최전방 방어 태세를 강화했다. 전인범 25대 사령관은 한미 연합 작전 능력을 강화하고 특전사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2. 6. 26대 ~ 현재 (2015년 ~ 현재)

26대 장경석 육군 중장은 육사 39기로 2015년 4월 14일부터 2016년 10월 29일까지 재임했다.[2] 27대 조종설 육군 중장은 육사 41기로 2016년 10월 30일부터 2017년 9월까지 재임했다.[3] 28대 남영신 육군 중장은 학군 23기로 2017년 9월부터 2018년 8월까지 재임했으며, 이후 기무사령관을 거쳐 육군참모총장을 역임했다.[4][5]

2018년 8월부터 11월까지는 조영진 육군 소장이 직무대리를 맡았다. 조영진 소장은 육사 40기이며, 전임 특전사령관이 기무사령관으로 보직 변경됨에 따라 임명되었고, 병과는 포병으로 특전사 복무 경력은 없었다.[6]

29대 김정수 육군 중장은 육사 43기로 2018년 11월부터 2020년 12월 6일까지 재임했다. 30대 소영민 육군 중장은 학사 11기로 2020년 12월 7일부터 2022년 12월 7일까지 재임했다. 31대 손식 육군 중장은 육사 47기로 2022년 12월 7일부터 2023년 10월 30일까지 재임했으며, 중장으로서 담당한 보직은 육군특수전사령관이 유일했고, 최대한 빨리 대장으로 진급하여 지상작전사령관을 역임했다.

2023년 10월 31일부터 11월 7일까지 박원호 육군 소장이 직무대리를 맡았다. 박원호 소장은 육사 46기로, 701특공연대 중대장, 11공수여단 지역대장, 특수임무단 대대장, 700특공연대장, 13특임여단장을 역임했으며, 육군보병학교장을 겸직했다.

32대 곽종근 육군 중장은 육사 47기로 2023년 11월 7일부터 2024년 12월 6일까지 재임했다. 2024년 12월 6일부터 현재까지는 박성제 육군 소장이 직무대리를 맡고 있으며, 학사장교 17기이다.

참조

[1] 문서 육군특수전사령부 지휘부에 하나회가 너무 많이 포진되어 있었던 탓에 하나회를 전원 퇴출시키다 보니 특전사쪽 장성들을 진급시키지 못했다.
[2] 문서 사단장 시절 휘하 연대장 중 한 명이 전두환 대령이었다.
[3] 문서 특전사 역사상 최초의 非 육군사관학교 출신 사령관.
[4] 문서 본인과는 아무 상관없지만 이석구 前 기무사령관의 보직해임으로 인해 후임 기무사령관으로 투입됨.
[5] 문서 직무정지
[6] 문서 수도군단 대기발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