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개표 결과,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가 32.62%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다.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는 29.95%로 2위,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는 29.14%로 3위를 기록했다. 김대중 후보는 서울특별시 대부분 지역에서 승리하며, 민주당 계열 정당의 지지 기반을 확인했다. 노태우 후보는 군사정권의 후예로 조직력을 바탕으로 득표했으나, 김대중 후보에게 밀렸다. 김영삼 후보는 강남구에서 높은 지지를 받았지만, 전반적으로는 고전했다. 신민주공화당 김종필 후보는 구로구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특별시의 대통령 선거 결과 -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1967년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에서 서울특별시의 지역별 개표 결과는 윤보선과 박정희 주요 후보 간의 경쟁 양상을 보여주며, 각 구별 득표율과 득표수가 기록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대통령 선거 결과 -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지역에서 김대중 후보가 37.74%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으며, 김영삼 후보, 정주영 후보, 박찬종 후보가 그 뒤를 이었다.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지역별 결과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광주직할시
1987년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광주직할시에서는 김대중 후보가 94.41%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1위를 차지하며 광주 민주화 운동 이후 호남, 특히 광주에서의 높은 지지율을 입증했고 노태우, 김영삼, 김종필 후보가 그 뒤를 이었다.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지역별 결과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대구직할시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대구직할시 개표 결과는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가 70% 이상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승리했으며, 김영삼 후보가 2위를 차지했다.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 6월 민주 항쟁
1987년 대한민국에서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4·13 호헌 조치, 이한열 사망 사건 등을 계기로 대통령 직선제 개헌과 민주화를 요구하는 전국적인 시위가 발생하여 전두환 정권의 6·29 선언을 이끌어내고 한국 민주주의 발전에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 4·13 호헌 조치
4·13 호헌 조치는 1987년 전두환 대통령이 대통령 직선제 개헌 논의를 금지하고 대통령 간선제 유지를 발표한 조치로, 국민적 분노를 일으켜 6월 민주 항쟁의 기폭제가 되어 6.29 선언과 대통령 직선제 개헌으로 이어져 제5공화국 종식에 영향을 미쳤다.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 |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 |
![]() | |
정당 | 평화민주당 |
득표수 | 1,833,010 |
득표율 | 32.62% |
![]() | |
정당 | 민주정의당 |
득표수 | 1,682,824 |
득표율 | 29.95% |
![]() | |
정당 | 통일민주당 |
득표수 | 1,637,347 |
득표율 | 29.14% |
![]() | |
정당 | 신민주공화당 |
득표수 | 460,988 |
득표율 | 8.20% |
선거 정보 | |
선거명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
국가 | 대한민국 |
유형 | 대통령 |
선거일 | 1987년 12월 16일 |
이전 선거 | 대한민국 제12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
차기 선거 |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서울특별시 |
직책 | |
직책 | 대통령 |
선거전 대통령 | 전두환 |
선거전 대통령 소속 정당 | 민주정의당 |
선거후 대통령 | 노태우 |
선거후 대통령 소속 정당 | 민주정의당 |
2. 서울특별시 개표 결과
1987년 12월 16일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의 서울특별시 개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가 32.62%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으며,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29.95%),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29.14%), 신민주공화당 김종필 후보(8.20%)가 그 뒤를 이었다.
김대중 후보는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에 이어 서울에서 다시 승리하며, 더불어민주당 계열 정당의 서울 지역 지지 기반을 확고히 했다. 노태우 후보는 근소한 차이로 김영삼 후보를 제쳤지만, 30%의 득표율을 달성하지는 못했다.
2. 1. 전체 결과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서울특별시의 총 유권자 수는 6,486,710명이었다. 투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대중 | 평화민주당 | 1,833,010 | 32.62% |
노태우 | 민주정의당 | 1,682,824 | 29.95% |
김영삼 | 통일민주당 | 1,637,347 | 29.14% |
김종필 | 신민주공화당 | 460,988 | 8.20% |
신정일 | 한주의통일한국당 | 4,560 | 0.08% |
합계 | 5,618,729 |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는 32.62%의 득표율로 서울특별시에서 1위를 차지했다. 이로써 김대중 후보는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에 이어 다시 한번 서울에서 승리하며, 더불어민주당 계열 정당의 서울 지역 지지 기반을 확고히 했다.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는 29.95%의 득표율로 2위를 차지했다. 근소한 차이로 김영삼 후보를 제쳤지만, 30%의 득표율을 달성하지는 못했다.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는 김대중 후보와 노태우 후보에게 밀려 29.14%의 득표율로 3위를 차지했다.
신민주공화당 김종필 후보는 8.20%의 득표율로 4위를 기록했다.
2. 2. 지역구별 결과
(평화민주당)(민주정의당)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
(한주의통일한국당)
(34.70%)
(30.94%)
(27.15%)
(7.11%)
(0.08%)
(36.07%)
(30.67%)
(25.56%)
(7.57%)
(0.10%)
(32.22%)
(29.98%)
(29.99%)
(7.72%)
(0.08%)
(32.03%)
(31.46%)
(28.88%)
(7.52%)
(0.08%)
(37.14%)
(29.44%)
(25.62%)
(7.71%)
(0.08%)
(33.27%)
(30.07%)
(28.15%)
(8.41%)
(0.07%)
(33.12%)
(30.43%)
(28.32%)
(7.89%)
(0.11%)
(31.36%)
(30.98%)
(29.05%)
(8.50%)
(0.09%)
(34.51%)
(30.44%)
(27.21%)
(7.73%)
(0.09%)
(37.00%)
(29.45%)
(25.36%)
(8.09%)
(0.07%)
(33.59%)
(28.96%)
(28.86%)
(8.49%)
(0.07%)
(33.45%)
(30.88%)
(27.51%)
(8.04%)
(0.09%)
(36.12%)
(28.92%)
(27.70%)
(7.17%)
(0.07%)
(32.27%)
(29.95%)
(30.32%)
(7.37%)
(0.07%)
(31.04%)
(29.59%)
(30.45%)
(8.83%)
(0.07%)
(32.71%)
(29.10%)
(27.37%)
(10.71%)
(0.08%)
(35.66%)
(28.05%)
(25.36%)
(10.82%)
(0.08%)
(31.35%)
(30.88%)
(28.32%)
(9.36%)
(0.07%)
(34.22%)
(28.38%)
(28.79%)
(8.50%)
(0.09%)
(38.19%)
(26.52%)
(26.05%)
(9.14%)
(0.07%)
(25.19%)
(32.41%)
(35.31%)
(7.01%)
(0.06%)
(29.67%)
(30.13%)
(32.52%)
(7.59%)
(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