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전라북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전라북도 지역은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가 83.46%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다.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는 14.13%로 2위를 기록했으며,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와 신민주공화당 김종필 후보는 각각 1.50%와 0.75%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김대중 후보는 전라북도 내 모든 지역에서 60% 이상의 득표율을 얻으며 호남 지역의 강력한 지지를 보여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북특별자치도의 대통령 선거 결과 - 대한민국 제5대 대통령 선거 전라북도
1963년 10월 15일에 치러진 제5대 대통령 선거에서 전라북도 지역은 총 유권자 986,136명 중 884,577명이 투표에 참여하여 박정희 후보가 83.27%의 득표율로 윤보선 후보를 크게 앞섰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대통령 선거 결과 -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전라북도
1971년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에서 전라북도 유권자들은 높은 투표율을 보였으며, 김대중 후보가 압도적인 지지를 받아 1위를 차지했고, 이는 지역주의와 개발 격차에 대한 불만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지역별 결과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광주직할시
1987년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광주직할시에서는 김대중 후보가 94.41%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1위를 차지하며 광주 민주화 운동 이후 호남, 특히 광주에서의 높은 지지율을 입증했고 노태우, 김영삼, 김종필 후보가 그 뒤를 이었다.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지역별 결과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대구직할시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대구직할시 개표 결과는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가 70% 이상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승리했으며, 김영삼 후보가 2위를 차지했다.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 6월 민주 항쟁
1987년 대한민국에서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4·13 호헌 조치, 이한열 사망 사건 등을 계기로 대통령 직선제 개헌과 민주화를 요구하는 전국적인 시위가 발생하여 전두환 정권의 6·29 선언을 이끌어내고 한국 민주주의 발전에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 4·13 호헌 조치
4·13 호헌 조치는 1987년 전두환 대통령이 대통령 직선제 개헌 논의를 금지하고 대통령 간선제 유지를 발표한 조치로, 국민적 분노를 일으켜 6월 민주 항쟁의 기폭제가 되어 6.29 선언과 대통령 직선제 개헌으로 이어져 제5공화국 종식에 영향을 미쳤다.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전라북도 | |
---|---|
선거 정보 | |
선거명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전라북도 |
국가 | 대한민국 |
유형 | 대통령 |
정당명 | 없음 |
정당색 | 있음 |
이전 선거 | 해당 없음 |
이전 선거 연도 | 해당 없음 |
선거일 | 1987년 12월 16일 |
차기 선거 |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전라북도 |
차기 선거 연도 | 1992년 |
투표율 | 해당 없음 |
후보 1 | |
![]() | |
후보 | 김대중 |
정당 | 평화민주당 |
득표수 | 948,955 |
득표율 | 83.46% |
후보 2 | |
![]() | |
후보 | 노태우 |
정당 | 민주정의당 |
득표수 | 160,760 |
득표율 | 14.13% |
대통령 직책 | |
선거전 대통령 | 전두환 |
선거전 대통령 정당 | 민주정의당 |
선거후 대통령 | 노태우 |
선거후 대통령 정당 | 민주정의당 |
2. 전라북도 지역별 개표 결과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당시 전라북도의 지역별 개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가 전라북도 내 모든 지역에서 압도적인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다.
지역 | 김대중 (평화민주당) | 노태우 (민주정의당) | 김영삼 (통일민주당) | 김종필 (신민주공화당) | 신정일 (한주의통일한국당) |
---|---|---|---|---|---|
전주시 | 87.09% | 10.78% | 1.30% | 0.74% | 0.05% |
완주군 | 83.76% | 14.12% | 1.37% | 0.59% | 0.13% |
군산시 | 82.53% | 13.60% | 2.15% | 1.64% | 0.06% |
옥구군 | 82.63% | 15.17% | 1.31% | 0.75% | 0.11% |
이리시 | 85.51% | 11.34% | 1.81% | 1.26% | 0.05% |
익산군 | 80.14% | 16.70% | 1.78% | 1.26% | 0.10% |
진안군 | 73.41% | 24.16% | 1.71% | 0.48% | 0.22% |
무주군 | 60.09% | 33.83% | 4.08% | 1.09% | 0.87% |
장수군 | 78.57% | 19.11% | 1.53% | 0.42% | 0.35% |
남원시 | 83.38% | 14.90% | 1.26% | 0.39% | 0.04% |
임실군 | 81.39% | 16.76% | 1.21% | 0.44% | 0.17% |
남원군 | 81.26% | 16.74% | 1.38% | 0.36% | 0.22% |
순창군 | 81.96% | 16.33% | 1.11% | 0.37% | 0.20% |
정주시 | 86.49% | 11.82% | 1.11% | 0.46% | 0.09% |
정읍군 | 84.35% | 13.56% | 1.43% | 0.43% | 0.20% |
고창군 | 88.93% | 9.41% | 1.12% | 0.37% | 0.13% |
김제군 | 82.66% | 15.34% | 1.34% | 0.51% | 0.13% |
부안군 | 84.23% | 13.95% | 1.19% | 0.47% | 0.13% |
2. 1. 전주시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전라북도 전주시의 개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가 87.09%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대중 | 평화민주당 | 209,642 | 87.09 |
노태우 | 민주정의당 | 25,971 | 10.78 |
김영삼 | 통일민주당 | 3,153 | 1.30 |
김종필 | 신민주공화당 | 1,799 | 0.74 |
신정일 | 한주의통일한국당 | 133 | 0.05 |
합계 | 240,698 | 100 |
2. 2. 완주군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당시 전라북도 완주군의 개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대중 | 평화민주당 | 51,767 | 83.76% |
노태우 | 민주정의당 | 8,732 | 14.12% |
김영삼 | 통일민주당 | 847 | 1.37% |
김종필 | 신민주공화당 | 370 | 0.59% |
신정일 | 한주의통일한국당 | 83 | 0.13% |
합계 | 61,799 |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가 83.76%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다.
2. 3. 군산시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대중 | 평화민주당 | 74,082 | 82.53 |
노태우 | 민주정의당 | 12,215 | 13.60 |
김영삼 | 통일민주당 | 1,932 | 2.15 |
김종필 | 신민주공화당 | 1,473 | 1.64 |
신정일 | 한주의통일한국당 | 54 | 0.06 |
합계 | 89,756 | 100.00 |
2. 4. 옥구군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당시 전라북도 옥구군의 개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가 82.63%로 1위를 차지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대중 | 평화민주당 | 42,974 | 82.63% |
노태우 | 민주정의당 | 7,893 | 15.17% |
김영삼 | 통일민주당 | 683 | 1.31% |
김종필 | 신민주공화당 | 392 | 0.75% |
신정일 | 한주의통일한국당 | 62 | 0.11% |
합계 | 52,004 |
2. 5. 이리시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결과 김대중 후보가 전북특별자치도 이리시에서 85.51%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다. 노태우 후보는 11.34%로 2위를 기록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대중 | 평화민주당 | 82,173 | 85.51 |
노태우 | 민주정의당 | 10,904 | 11.34 |
김영삼 | 통일민주당 | 1,745 | 1.81 |
김종필 | 신민주공화당 | 1,220 | 1.26 |
신정일 | 한주의통일한국당 | 54 | 0.05 |
합계 | 96,096 | 100 |
2. 6. 익산군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전라북도 익산군 개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가 80.14%로 1위를 차지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대중 | 평화민주당 | 55,644 | 80.14% |
노태우 | 민주정의당 | 11,597 | 16.70% |
김영삼 | 통일민주당 | 1,237 | 1.78% |
김종필 | 신민주공화당 | 876 | 1.26% |
신정일 | 한주의통일한국당 | 71 | 0.10% |
합계 | 69,425 | 100.00% |
2. 7. 진안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대중 | 평화민주당 | 23,770 | 73.41% |
노태우 | 민주정의당 | 7,825 | 24.16% |
김영삼 | 통일민주당 | 554 | 1.71% |
김종필 | 신민주공화당 | 158 | 0.48% |
신정일 | 한주의통일한국당 | 72 | 0.22% |
합계 | 32,379 | 100%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가 73.41%의 득표율로 진안군에서 1위를 차지하였다.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는 24.16%로 2위를 차지하였다.
2. 8. 무주군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무주군 개표 결과,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가 60.09%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하였다.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는 33.83%로 2위를 기록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대중 | 평화민주당 | 14,372 | 60.09% |
노태우 | 민주정의당 | 8,091 | 33.83% |
김영삼 | 통일민주당 | 978 | 4.08% |
김종필 | 신민주공화당 | 263 | 1.09% |
신정일 | 한주의통일한국당 | 210 | 0.87% |
합계 | 23,914 | 100% |
2. 9. 장수군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전라북도 장수군의 개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가 78.57%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다.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는 19.11%로 2위를 기록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대중 | 평화민주당 | 18,578 | 78.57% |
노태우 | 민주정의당 | 4,520 | 19.11% |
김영삼 | 통일민주당 | 362 | 1.53% |
김종필 | 신민주공화당 | 100 | 0.42% |
신정일 | 한주의통일한국당 | 85 | 0.35% |
합계 | 23,645 |
2. 10. 남원시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당시 전라북도 남원시의 개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대중 | 평화민주당 | 22,740 | 83.38% |
노태우 | 민주정의당 | 4,065 | 14.90% |
김영삼 | 통일민주당 | 346 | 1.26% |
김종필 | 신민주공화당 | 108 | 0.39% |
신정일 | 한주의통일한국당 | 13 | 0.04% |
총 득표수 | 27,272 |
김대중 후보가 83.38%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하였다.
2. 11. 임실군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당시 전라북도 임실군의 개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대중 | 평화민주당 | 29,140 | 81.39% |
노태우 | 민주정의당 | 6,002 | 16.76% |
김영삼 | 통일민주당 | 436 | 1.21% |
김종필 | 신민주공화당 | 161 | 0.44% |
신정일 | 한주의통일한국당 | 61 | 0.17% |
합계 | 35,800 |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가 81.39%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하였다.
2. 12. 남원군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당시 전라북도 남원군의 개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가 81.26%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는 16.74%로 2위를 기록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대중 | 평화민주당 | 33,889표 | 81.26% |
노태우 | 민주정의당 | 6,984표 | 16.74% |
김영삼 | 통일민주당 | 579표 | 1.38% |
김종필 | 신민주공화당 | 154표 | 0.36% |
신정일 | 한주의통일한국당 | 94표 | 0.22% |
총합 | 41,700표 |
2. 13. 순창군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당시 전라북도 순창군의 개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대중 | 평화민주당 | 25,145 | 81.96% |
노태우 | 민주정의당 | 5,010 | 16.33% |
김영삼 | 통일민주당 | 342 | 1.11% |
김종필 | 신민주공화당 | 115 | 0.37% |
신정일 | 한주의통일한국당 | 64 | 0.20% |
합계 | 30,676 |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가 81.96%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하였다.
2. 14. 정주시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당시 전라북도 정주시의 개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대중 | 평화민주당 | 32,237 | 86.49% |
노태우 | 민주정의당 | 4,406 | 11.82% |
김영삼 | 통일민주당 | 414 | 1.11% |
김종필 | 신민주공화당 | 175 | 0.46% |
신정일 | 한주의통일한국당 | 37 | 0.09% |
합계 | 37,269 |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가 86.49%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다.
2. 15. 정읍군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전라북도 정읍군의 개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가 84.35%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하였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대중 | 평화민주당 | 51,415 | 84.35% |
노태우 | 민주정의당 | 8,265 | 13.56% |
김영삼 | 통일민주당 | 877 | 1.43% |
김종필 | 신민주공화당 | 268 | 0.43% |
신정일 | 한주의통일한국당 | 123 | 0.20% |
합계 | 60,948 |
2. 16. 고창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대중 | 평화민주당 | 55,130 | 88.93 |
노태우 | 민주정의당 | 5,837 | 9.41 |
김영삼 | 통일민주당 | 700 | 1.12 |
김종필 | 신민주공화당 | 235 | 0.37 |
신정일 | 한주의통일한국당 | 85 | 0.13 |
합계 | 61,987 | - |
2. 17. 김제군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당시 전라북도 김제군의 개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대중 | 평화민주당 | 76,206 | 82.66% |
노태우 | 민주정의당 | 14,149 | 15.34% |
김영삼 | 통일민주당 | 1,237 | 1.34% |
김종필 | 신민주공화당 | 478 | 0.51% |
신정일 | 한주의통일한국당 | 121 | 0.13% |
합계 | 92,191 |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가 82.66%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하였다.
2. 18. 부안군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부안군 개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가 84.23%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하였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김대중 | 평화민주당 | 50,051 | 84.23 |
노태우 | 민주정의당 | 8,294 | 13.95 |
김영삼 | 통일민주당 | 708 | 1.19 |
김종필 | 신민주공화당 | 284 | 0.47 |
신정일 | 한주의통일한국당 | 79 | 0.13 |
합계 | 59,416 | 100.00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전라북도 개표 결과,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가 83.46%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다.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는 14.13%로 2위,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는 1.50%, 신민주공화당 김종필 후보는 0.75%를 기록했다.
3. 전체 결과 분석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김대중 평화민주당 948,955 83.46% 노태우 민주정의당 160,760 14.13% 김영삼 통일민주당 17,130 1.50% 김종필 신민주공화당 8,629 0.75% 신정일 한주의통일한국당 1,501 0.13% 합계 1,136,975
3. 1. 후보별 득표율 분석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가 83.46%라는 매우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전라북도에서 1위를 차지했다. 김대중 후보는 호남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정치인으로서 이번 선거를 통해 지역 내에서 그에 대한 압도적인 지지가 드러나게 되었다.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는 14.13%를 차지했다. 전국 대비 낮은 득표율이지만 김대중 후보를 제외하면 유일하게 두 자릿수 득표를 기록했다.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와 신민주공화당 김종필 후보는 2% 미만의 득표율을 올리면서 참패했다.
지역 | 노태우 | 김영삼 | 김대중 | 김종필 |
---|---|---|---|---|
전주시 | 25,971 (10.78%) | 3,153 (1.30%) | 209,642 (87.09%) | 1,799 (0.74%) |
완주군 | 8,732 (14.12%) | 847 (1.37%) | 51,767 (83.76%) | 370 (0.59%) |
군산시 | 12,215 (13.60%) | 1,932 (2.15%) | 74,082 (82.53%) | 1,473 (1.64%) |
옥구군 | 7,893 (15.17%) | 683 (1.31%) | 42,974 (82.63%) | 392 (0.75%) |
이리시 | 10,904 (11.34%) | 1,745 (1.81%) | 82,173 (85.51%) | 1,220 (1.26%) |
익산군 | 11,597 (16.70%) | 1,237 (1.78%) | 55,644 (80.14%) | 876 (1.26%) |
진안군 | 7,825 (24.16%) | 554 (1.71%) | 23,770 (73.41%) | 158 (0.48%) |
무주군 | 8,091 (33.83%) | 978 (4.08%) | 14,372 (60.09%) | 263 (1.09%) |
장수군 | 4,520 (19.11%) | 362 (1.53%) | 18,578 (78.57%) | 100 (0.42%) |
남원시 | 4,065 (14.90%) | 346 (1.26%) | 22,740 (83.38%) | 108 (0.39%) |
임실군 | 6,002 (16.76%) | 436 (1.21%) | 29,140 (81.39%) | 161 (0.44%) |
남원군 | 6,984 (16.74%) | 579 (1.38%) | 33,889 (81.26%) | 154 (0.36%) |
순창군 | 5,010 (16.33%) | 342 (1.11%) | 25,145 (81.96%) | 115 (0.37%) |
정주시 | 4,406 (11.82%) | 414 (1.11%) | 32,237 (86.49%) | 175 (0.46%) |
정읍군 | 8,265 (13.56%) | 877 (1.43%) | 51,415 (84.35%) | 268 (0.43%) |
고창군 | 5,837 (9.41%) | 700 (1.12%) | 55,130 (88.93%) | 235 (0.37%) |
김제군 | 14,149 (15.34%) | 1,237 (1.34%) | 76,206 (82.66%) | 478 (0.51%) |
부안군 | 8,294 (13.95%) | 708 (1.19%) | 50,051 (84.23%) | 284 (0.47%) |
김대중 후보는 전 지역에서 60%가 넘는 득표율로 승리했다. 특히 무주군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70%를 넘겼으며 최대 도시인 전주시에서 87%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전라북도에서의 승리의 쐐기를 박았다.
노태우 후보는 고창군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두 자릿수 득표율을 기록하였으며 전 지역에서 2위를 차지했다. 노태우 후보는 무주군에서 가장 선전했으며 유일하게 30% 이상의 득표를 기록했다.
김영삼 후보는 대부분 지역에서 1%대의 득표율을 보이며 존재감을 드러내지 못했다. 김종필 후보 역시 대부분의 지역에서 0%대의 득표율에 그치면서 매우 부진했다.
3. 2. 지역별 특징 분석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는 전라북도 내 모든 지역에서 60% 이상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승리했다. 특히 무주군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70%를 넘겼으며, 전라북도 최대 도시인 전주시에서는 87%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전라북도에서의 승리를 확정지었다. 이는 김대중 후보가 호남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정치인으로서, 지역 내에서 그에 대한 압도적인 지지를 보여주는 결과였다.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는 고창군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두 자릿수 득표율을 기록하며, 전 지역에서 2위를 차지했다. 노태우 후보는 무주군에서 33.83%로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며 선전했다.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와 신민주공화당 김종필 후보는 대부분 지역에서 1~2% 미만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매우 부진했다.
각 지역별 득표율은 다음과 같다.
지역 | 노태우 | 김영삼 | 김대중 | 김종필 |
---|---|---|---|---|
전주시 | 10.78% | 1.30% | 87.09% | 0.74% |
완주군 | 14.12% | 1.37% | 83.76% | 0.59% |
군산시 | 13.60% | 2.15% | 82.53% | 1.64% |
옥구군 | 15.17% | 1.31% | 82.63% | 0.75% |
이리시 | 11.34% | 1.81% | 85.51% | 1.26% |
익산군 | 16.70% | 1.78% | 80.14% | 1.26% |
진안군 | 24.16% | 1.71% | 73.41% | 0.48% |
무주군 | 33.83% | 4.08% | 60.09% | 1.09% |
장수군 | 19.11% | 1.53% | 78.57% | 0.42% |
남원시 | 14.90% | 1.26% | 83.38% | 0.39% |
임실군 | 16.76% | 1.21% | 81.39% | 0.44% |
남원군 | 16.74% | 1.38% | 81.26% | 0.36% |
순창군 | 16.33% | 1.11% | 81.96% | 0.37% |
정주시 | 11.82% | 1.11% | 86.49% | 0.46% |
정읍군 | 13.56% | 1.43% | 84.35% | 0.43% |
고창군 | 9.41% | 1.12% | 88.93% | 0.37% |
김제군 | 15.34% | 1.34% | 82.66% | 0.51% |
부안군 | 13.95% | 1.19% | 84.23% | 0.47% |
4. 선거 결과의 정치적 의미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가 83.46%라는 매우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전라북도에서 1위를 차지했다. 김대중 후보는 호남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정치인으로서 이번 선거를 통해 지역 내에서 그에 대한 압도적인 지지가 드러났다.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는 14.13%를 차지했다. 전국 대비 낮은 득표율이지만 김대중 후보를 제외하면 유일하게 두 자릿수 득표를 기록했다.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와 신민주공화당 김종필 후보는 2% 미만의 득표율을 올리면서 참패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