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광주광역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광주광역시는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61.14%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는 30.08%로 2위를 기록했으며, 정의당 심상정 후보가 3위,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가 4위,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가 5위를 기록했다. 문재인 후보는 광주광역시 모든 지역에서 과반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압승했고, 안철수 후보는 모든 지역에서 2위를 차지했다. 홍준표 후보는 1%대 득표율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광역시의 대통령 선거 결과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광주직할시
1987년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광주직할시에서는 김대중 후보가 94.41%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1위를 차지하며 광주 민주화 운동 이후 호남, 특히 광주에서의 높은 지지율을 입증했고 노태우, 김영삼, 김종필 후보가 그 뒤를 이었다. - 광주광역시의 대통령 선거 결과 -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 광주광역시
1997년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에서 김대중 후보는 광주광역시에서 94.55%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되었으며, 이는 그의 민주화 운동 경력과 호남 지역 정치적 입지, 그리고 다른 후보들의 낮은 득표율에 기인한다. -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지역별 결과 -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대전광역시
2017년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대전광역시에서는 문재인 후보가 43.4%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으며 총 투표율은 74.6%를 기록했다. -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지역별 결과 -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대구광역시
2017년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대구광역시에서는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가 35.77%로 1위,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26.24%로 2위,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가 21.69%로 3위를 차지했다. -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 문재인
대한민국의 제19대 대통령인 문재인은 인권 변호사 출신으로 노무현 정부의 핵심 측근을 지냈으며, 2017년 대통령에 당선되어 국민 통합, 남북 관계 개선, 검찰 개혁 등을 추진했으나 부동산 정책 실패와 코로나19 팬데믹, 재보궐선거 참패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퇴임 후 양산 평산마을에서 생활하고 있다. -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 심상정
심상정은 노동운동가 출신으로 구로동맹파업을 주도하고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결성에 참여했으며, 민주노동당 비례대표로 국회에 입성하여 진보신당, 통합진보당을 거쳐 정의당 창당을 주도하고 고양시 덕양구 갑에서 3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대선에 두 번 출마하고 재벌개혁, 경제민주화, 사회적 약자 보호 등의 진보적 의제를 제기해 온 정치인이다.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광주광역시 | |
---|---|
선거 정보 | |
선거명 |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광주광역시 |
국가 | 대한민국 |
유형 | 대통령 |
정당명 | no |
정당색 | yes |
이전 선거 |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 선거 광주광역시 |
이전 선거 연도 | 2012년 |
선거일 | 2017년 5월 9일 |
차기 선거 |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 선거 광주광역시 |
차기 선거 연도 | 2022년 |
투표율 | null |
후보 1 | |
![]() | |
후보 | 문재인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득표수 | 583,847 |
득표율 | 61.14% |
후보 2 | |
![]() | |
후보 | 안철수 |
정당 | 국민의당 |
득표수 | 287,222 |
득표율 | 30.08% |
지도 정보 | |
지도 이미지 | null |
지도 크기 | null |
지도 대안 | null |
지도 | null |
지도 설명 | null |
직책 계승 정보 | |
직책 | 대통령 |
선거 전 | 황교안 (권한대행) |
선거 전 정당 | 무소속 |
선거 후 | 문재인 |
선거 후 정당 | 더불어민주당 |
2. 광주광역시 개표 결과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61.14%의 득표율로 광주광역시에서 1위를 차지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는 30.08%로 2위를 기록, 호남 기반 정당 후보로서 전국 평균보다 높은 득표율을 보였다. 정의당 심상정 후보는 4.57%로 3위,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는 2.18%로 4위,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1.55%로 5위를 차지했다.
지역 | 문재인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심상정 |
---|---|---|---|---|---|
동구 | 56.05% | 1.97% | 35.45% | 2.07% | 4.03% |
서구 | 60.76% | 1.55% | 30.44% | 2.26% | 4.52% |
남구 | 58.82% | 1.73% | 32.73% | 2.11% | 4.12% |
북구 | 61.06% | 1.45% | 30.38% | 2.15% | 4.53% |
광산구 | 64.27% | 1.46% | 26.42% | 2.22% | 5.08% |
문재인 후보는 광주광역시 모든 지역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특히 전 지역에서 과반 이상의 득표율과 2위 안철수 후보와 20%p 이상의 격차를 기록하며 압승했다. 안철수 후보는 전 지역 2위를 차지했고, 동구에서 최고 득표율(35.45%)을 기록했다. 심상정 후보는 전 지역 3위, 유승민 후보는 전 지역 4위, 홍준표 후보는 전 지역 5위에 그쳤으며, 특히 홍준표 후보는 전 지역 1%대 득표율에 머물렀다.
2. 1. 전체 결과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583,847표(61.14%)로 광주광역시에서 1위를 차지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는 287,222표(30.08%)로 2위를 차지했는데, 호남 지역 기반 정당 후보로서 전국 평균보다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정의당 심상정 후보는 43,719표(4.57%)로 3위를 차지하며 유승민, 홍준표 후보를 앞섰다.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는 20,862표(2.18%)로 4위,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14,882표(1.55%)로 5위에 그쳤다. 특히 홍준표 후보는 제1야당 대선 후보로서 특정 지역에서 5위 이하의 성적을 거둔 첫 사례가 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문재인 | 더불어민주당 | 583,847 | 61.14 |
안철수 | 국민의당 | 287,222 | 30.08 |
심상정 | 정의당 | 43,719 | 4.57 |
유승민 | 바른정당 | 20,862 | 2.18 |
홍준표 | 자유한국당 | 14,882 | 1.55 |
문재인 후보는 광주광역시 모든 지역에서 과반 이상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하며 압승했다. 안철수 후보는 전 지역에서 2위를 기록했으며, 특히 동구에서 35.45%로 가장 높은 득표율을 보였다. 심상정 후보는 전 지역 3위, 유승민 후보는 전 지역 4위, 홍준표 후보는 전 지역 5위를 기록했다. 특히 홍준표 후보는 전 지역에서 1%대 득표율에 머물렀다.
2. 2. 동구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문재인 | 더불어민주당 | 37,053 | 56.05 |
안철수 | 국민의당 | 23,438 | 35.45 |
심상정 | 정의당 | 2,665 | 4.03 |
유승민 | 바른정당 | 1,372 | 2.07 |
홍준표 | 자유한국당 | 1,308 | 1.97 |
김선동 | 민중연합당 | 115 | 0.17 |
김민찬 | 무소속 | 47 | 0.07 |
장성민 | 국민대통합당 | 45 | 0.06 |
윤홍식 | 홍익당 | 19 | 0.02 |
조원진 | 새누리당 | 13 | 0.01 |
이경희 | 한국국민당 | 13 | 0.01 |
이재오 | 늘푸른한국당 | 10 | 0.01 |
오영국 | 경제애국당 | 5 | 0.00 |
2. 3. 서구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문재인 | 더불어민주당 | 124,183 | 60.76 |
안철수 | 국민의당 | 62,218 | 30.44 |
심상정 | 정의당 | 9,247 | 4.52 |
유승민 | 바른정당 | 4,627 | 2.26 |
홍준표 | 자유한국당 | 3,182 | 1.55 |
김선동 | 민중연합당 | 450 | 0.22 |
장성민 | 국민대통합당 | 198 | 0.09 |
김민찬 | 무소속 | 116 | 0.05 |
윤홍식 | 홍익당 | 45 | 0.02 |
이재오 | 늘푸른한국당 | 32 | 0.01 |
조원진 | 새누리당 | 20 | 0.00 |
이경희 | 한국국민당 | 20 | 0.00 |
오영국 | 경제애국당 | 17 | 0.00 |
합계 | 204,355 | 100.00 |
2. 4. 남구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문재인 | 더불어민주당 | 85,642 | 58.82 |
안철수 | 국민의당 | 47,663 | 32.73 |
심상정 | 정의당 | 6,013 | 4.12 |
유승민 | 바른정당 | 3,085 | 2.11 |
홍준표 | 자유한국당 | 2,521 | 1.73 |
김선동 | 민중연합당 | 296 | 0.20 |
장성민 | 국민대통합당 | 142 | 0.09 |
김민찬 | 무소속 | 89 | 0.06 |
윤홍식 | 홍익당 | 56 | 0.03 |
조원진 | 새누리당 | 38 | 0.02 |
이경희 | 한국국민당 | 21 | 0.01 |
오영국 | 경제애국당 | 19 | 0.01 |
이재오 | 늘푸른한국당 | 12 | 0.00 |
합계 | 145,597 | 100.00 |
2. 5. 북구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문재인 | 더불어민주당 | 177,850 | 61.06 |
안철수 | 국민의당 | 88,501 | 30.38 |
심상정 | 정의당 | 13,206 | 4.53 |
유승민 | 바른정당 | 6,274 | 2.15 |
홍준표 | 자유한국당 | 4,241 | 1.45 |
김선동 | 민중연합당 | 622 | 0.21 |
김민찬 | 무소속 | 172 | 0.05 |
장성민 | 국민대통합당 | 157 | 0.05 |
윤홍식 | 홍익당 | 87 | 0.02 |
조원진 | 새누리당 | 48 | 0.01 |
이경희 | 한국국민당 | 31 | 0.01 |
오영국 | 경제애국당 | 24 | 0.00 |
이재오 | 늘푸른한국당 | 23 | 0.00 |
합계 | 291,236 | 100.00 |
2. 6. 광산구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문재인 | 더불어민주당 | 159,119 | 64.27 |
안철수 | 국민의당 | 65,402 | 26.42 |
심상정 | 정의당 | 12,588 | 5.08 |
유승민 | 바른정당 | 5,504 | 2.22 |
홍준표 | 자유한국당 | 3,630 | 1.46 |
김선동 | 민중연합당 | 782 | 0.31 |
김민찬 | 무소속 | 190 | 0.07 |
장성민 | 국민대통합당 | 113 | 0.04 |
윤홍식 | 홍익당 | 57 | 0.02 |
이경희 | 한국국민당 | 51 | 0.02 |
오영국 | 경제애국당 | 46 | 0.01 |
조원진 | 새누리당 | 33 | 0.01 |
이재오 | 늘푸른한국당 | 26 | 0.01 |
합계 | 247,541 | 100 |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61.14%의 득표율로 광주광역시에서 1위를 차지했다.
3. 주요 정당별 결과 분석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는 30.08%의 득표율로 2위를 차지했다. 안철수 후보는 호남 지역에 기반을 둔 국민의당 대선 후보로서, 민주당계 정당의 호남 기반 지지세를 나누어 가지며 전국 평균보다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정의당 심상정 후보는 4.57%의 득표율로 유승민, 홍준표 후보를 제치고 3위를 차지했다.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는 2.18%의 득표율로 4위를 차지했다. 유승민 후보는 전국 평균보다 낮은 득표율을 기록했지만, 홍준표 후보가 더 낮은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4위를 차지했다.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1.55%의 득표율로 5위를 차지했다. 대통령 선거에서 제1야당 후보가 특정 지역에서 5위 이하의 성적을 거둔 것은 처음 있는 일로, 홍준표 후보는 이러한 사례의 당사자가 되었다.정당 후보 득표수 득표율(%)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583,847 61.14 국민의당 안철수 287,222 30.08 정의당 심상정 43,719 4.57 바른정당 유승민 20,862 2.18 자유한국당 홍준표 14,882 1.5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