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독신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독신세는 독신자에게 부과하는 세금으로, 고대 로마 시대부터 현대 사회까지 다양한 시도와 논란을 거쳐왔다. 고대 로마에서는 결혼을 장려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중세 시대와 근대에 이르러서는 전쟁 자금 마련, 인구 증가, 도덕적 문제 해결 등 다양한 이유로 도입되었다. 특히 20세기에는 파시즘과 공산주의 정권에서 인종 차별, 우생학, 출산 장려 정책의 일환으로 활용되기도 했다. 현대 사회에서는 세법에 혼인 상태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대체되었으며, 독신세의 효과와 정당성을 둘러싼 찬반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도 저출산 문제 해결의 일환으로 독신세 도입 논의가 있었으나, 개인의 삶을 침해하고 차별을 조장한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출생주의 - 현모양처
    현모양처는 훌륭한 어머니이자 어진 아내를 의미하는 단어로, 중국과 일본에서 유래되었으며, 시대와 문화에 따라 여성의 역할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담고 있다.
  • 출생주의 - 율리우스법
    율리우스법은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아우구스투스를 포함한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의 황제들이 제정한 법률들을 총칭하며, 시민권 관련 법률, 농지법, 윤리 및 인구 증가를 위한 법률 등을 포함하여 로마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고 유스티니아누스 1세 시대까지 그 영향력이 이어졌다.
  • 인세 - 상속세
    상속세는 사망으로 인해 무상으로 이전되는 재산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으로, 상속재산가액에서 각종 공제를 차감한 과세표준에 누진세율을 적용하여 산출하며, 소득 재분배 및 조세 형평성을 제고하는 기능과 함께 이중과세, 기업 경영권 승계의 어려움 등의 문제점도 제기된다.
  • 인세 - 소비세
    소비세는 재화와 용역 소비 행위에 부과되는 세금으로, 판매세, 죄악세, 지출세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지며, 사회보장급여 재원 확보에 기여하지만 역진적인 영향과 노동 선택에 대한 영향 등 경제적 효과에 대한 논의가 존재한다.
독신세
개요
유형징벌적 세금
목적결혼 장려
출산 장려
세수 확보
역사적 맥락
기원고대 로마
특징
대상미혼 남성
효과논란의 여지가 있음
현대의 논쟁
논점성차별적 시각
사회적 불평등 심화
개인의 자유 침해
같이 보기
관련 항목죄악세
저출산
비혼

2. 역사

독신세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국가에서 여러 가지 목적으로 시행되거나 제안되었다.

국가시기통과 여부내용
고대 로마서기 9년아우구스투스 황제가 결혼을 장려하기 위해 결혼 장려법을 도입하면서 독신세가 시행되었다. 독신자에게는 벌금이 부과되었으나, 베스타의 처녀는 예외였다.[3] 자녀가 없는 기혼자(남자는 25~60세, 여자는 20~50세)에게도 벌금이 부과되었다.[3]
프랑스, 뇌베르1223년도덕적 공황의 일환으로 독신자에게 연간 5솔리디의 십일조를 부과했다.[7][8]
오스만 제국15세기Resm-i mücerred라는 독신세가 도입되었다.[9] 이 세금의 대상이 된 사람들은 다른 지역, 특히 성장하는 도시로 이주할 가능성이 높았다.[10]
잉글랜드1695년프랑스 전쟁 자금 조달을 위해 혼인세법 1695를 통과시켜 출생, 결혼, 매장, 자녀 없는 과부, 25세 이상 독신자에게 세금을 부과했다.[11][12][8][3] 그러나 비효율성으로 인해 1706년에 폐지되었다.
잉글랜드1798년소득세 통과 시 독신자를 차별했다.[12][8]
미국 미주리1821년모든 미혼 남성에게 1달러의 세금을 부과했으나, 다음 해에 인두세로 대체되었다.[13][14]
미국 뉴욕1825년아니오독신자를 개에 비유하여 개에 대한 세금을 독신자에게 부과하는 법안이 제안되었으나 부결되었다.[3]
미국 코네티컷1857년아니오독신자에게 더 무거운 세금을 부과하는 다른 과세 방법이 이미 존재한다는 이유로 독신세 시행 동의안이 철회되었다.[3]
미국 미시간1837년, 1848년, 1849년, 1850년, 1897년, 1901년, 1911년, 1919년, 1935년아니오여러 차례 독신세 제정 시도가 있었으나 모두 실패했다. 특히 1935년에는 경제적 고려로 인해 실패했다.[15]
미국 와이오밍1890년아니오2.50달러의 독신세가 잠시 고려되었지만 보류되었다.[16]
미국 뉴저지1898년 2월 12일아니오사치세로 독신세를 제안했지만 통과되지 않았다.[17]
아르헨티나1900년 (추정)독신세가 존재했으며, 여성에게 결혼을 신청했지만 거절당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 남성은 세금이 면제되었다. 이로 인해 돈을 받고 남자에게 청혼을 거절했다고 맹세하는 "전문적인 여성 거부자" 현상이 발생하기도 했다.[18][3]
미국 델라웨어1907년아니오농담으로 시작하여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켰지만 결국 부결되었다.[3]
미국 조지아1911년아니오한 주의원이 독신자에게 연간 50달러의 세금을 부과하고 그 기금을 학교에 기부할 것을 제안했으나 부결되었다.[3]
미국 미네소타1911년아니오독신자에게 연간 5달러의 부과금을 제안했으나 부결되었다.[3]
프랑스1913년아니오독신자뿐만 아니라 "미혼 여성"에게도 막대한 세금을 부과할 것을 제안했으나 부결되었다.[3]
독일 라이헨부르크1915년누진세의 일환으로 독신세가 도입되었다.[3]
남아프리카 공화국1919년백인 인구 증가를 흑인 인구 증가와 일치시키기 위해 인종적 이유로 독신세를 부과했다.[15]
미국 위스콘신1921년아니오당시 빈번한 도덕적 논쟁을 불러일으켰지만 부결되었다.[3]
미국 몬태나1921년주 내 모든 독신자에게 3달러의 세금을 부과했다.[19] 윌리엄 아트징거는 성 차별을 이유로 납세를 거부했다.[20] 1922년 주 대법원은 "독신세"와 남성에게만 적용되는 또 다른 인두세를 폐지했다.[21][22]
독일 레펠른1923년월 2000마르크의 독신세를 통과시켰으나, 연방 당국에 의해 신속하게 번복되었다.[23]
이탈리아1927년1927년부터 무솔리니의 몰락(1943년)까지 인종 기반의 출산 장려주의 정책의 일환으로 부과되었다.[24] 1936년까지 이탈리아 독신자는 일반 소득세율의 거의 두 배를 지불했다.[25][26][3][27][28]
스페인1928년이탈리아의 뒤를 이어 독신세를 통과시켰으며, 사제들을 포함하여 예외는 거의 없었다.
독일1934년나치당의 "가족 가치"와 히틀러의 "3K" 정책(Kirche, Küche, Kinderde, 교회, 부엌, 아이들)의 일환으로 여성을 "집으로 돌려보내려는" 의도로 시행되었다.[3][29][30]
미국 캘리포니아1934년아니오1933년 캘리포니아의 낮은 출생률에 대한 대응으로, 재정부 국장 롤랜드 반데그리프트가 5달러에서 25달러의 독신세를 제안했지만, 경제적 고려로 인해 실패했다.[31]
핀란드1935년1935년부터 1975년까지 24세 이상의 미혼 무자녀 시민의 세금 부담을 증가시켰다.
프랑스1939년아니오파시스트 이탈리아와 나치 독일의 유사한 제안과 일치시키기 위한 제안으로 의도되었으나 부결되었다.[3]
소련1941년1941년부터 1992년까지 무자녀세가 시행되었으며, 25세에서 50세의 무자녀 남성과 20세에서 45세의 무자녀 여성에게 적용되었다. 이 세금은 소득 기반으로, 무자녀자의 임금의 6%를 징수했다.[32]
불가리아1925년, 1943년, 1968년1917년부터 독신세 도입 논의가 시작되었으며, 1925년에 공식적으로 제안되었고,[3] 1943년에 도입되었지만, 양성에게 적용된 후에야 1968년에 통과되었다.[34]
폴란드1946년1946년 1월 1일부터 1956년 11월 29일까지 21세 이상의 미혼자에게 세금을 부과하는 Bykowe가 도입되었다. 1973년 1월 1일까지 25세 이상으로 확대되었고, 그 후 폐지되었다.[35]
터키1949년독신자에서 가족에게로의 부의 이전을 제안하고 통과시켰다.[36]
루마니아1986년decreţei 770 세대에서 인구 증가가 있은 후 독신세가 제정되었으며, 1989년 루마니아 혁명까지 시행되었다.[37][38]
이탈리아 바스토지라르디1999년아니오시장이 지역적으로 독신세 재도입을 제안했으나 부결되었다.[39]


2. 1. 고대

고대 로마에서는 서기 9년에 황제 아우구스투스가 결혼을 장려하기 위해 결혼 장려법을 도입하면서 독신세가 시행되었다. 이 법에 따라 독신자에게는 벌금이 부과되었으나, 베스타의 처녀는 예외로 인정되었다.[3] 또한, 자녀가 없는 기혼자(남자는 25~60세, 여자는 20~50세)에게도 벌금이 부과되었다.[3]

2. 2. 중세

기원후 9년 고대 로마아우구스투스 황제는 결혼을 장려하기 위해 Lex Papia Poppaea 법을 도입했다. 이 법은 독신자에게 벌금을 부과했지만, 베스타의 처녀는 예외였다.[3] 25세에서 60세 사이의 남성과 20세에서 50세 사이의 여성 중 자녀가 없는 기혼자에게도 벌금이 부과되었다.[3]

1223년 프랑스 뇌베르에서는 도덕적 공황의 일환으로 독신자에게 연간 5솔리디의 십일조를 부과했다.[7][8]

15세기 오스만 제국에서는 Resm-i mücerred라는 독신세가 도입되었다.[9] 이 세금의 대상이 된 사람들은 다른 지역, 특히 성장하는 도시로 이주할 가능성이 높았다.[10]

2. 3. 근대

근대 시대에는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이유로 독신세가 시행되거나 제안되었다.

국가시기내용
오스만 제국15세기레슴-이 뮈제르레드라는 독신세가 레스미-치프트 및 레스미-벤나크와 함께 도입됨. 대상자들은 다른 지역, 특히 성장하는 도시로 이주할 가능성이 높았음.[9][10]
잉글랜드1695년혼인세법 1695 통과. 출생, 결혼, 매장, 자녀 없는 과부, 25세 이상 독신자에게 세금 부과. 프랑스와의 전쟁 자금 조달과 성공회 교회 기록 유지가 목적이었으나, 비효율성으로 1706년 폐지.[11][12][8][3]
잉글랜드1798년소득세가 독신자를 차별하는 형태로 통과.[12][8]
미국 미주리1821년모든 미혼 남성에게 1달러 세금 부과. 다음 해 인두세로 대체.[13][14]
미국 미시간1837년~1935년독신세 제정 시도가 반복되었으나 모두 실패. 결혼 제안 거절 여성에게도 세금 부과 반대 제안, 독신자 중범죄율 높다는 주장 등.[15]
미국 몬태나1921년모든 독신자에게 3달러 세금 부과. 윌리엄 아트징거가 성 차별 이유로 납세 거부. 1922년 주 대법원 세금 폐지(몬태나 헌법 위반).[19][20][21][22]
미국 캘리포니아1934년낮은 출생률에 대응, 5~25달러 독신세 제안. 대공황으로 시행 무산.[31]
아르헨티나1900년경독신세 존재. 여성에게 결혼 신청 후 거절당했음을 증명하면 면제. "전문적인 여성 거부자" 현상 발생.[18][3]
남아프리카 공화국1919년백인 인구 증가를 흑인 인구 증가와 맞추기 위한 인종적 이유로 독신세 부과.[15]
이탈리아1927년~1943년인종 기반 출산 장려주의 정책 일환. 1936년까지 독신자 소득세율 2배.[24][25][26][3][27][28]
독일1934년나치당 "가족 가치" 정책, 히틀러 "3K" 정책(Kirche, Küche, Kinderde) 일환. 여성 "집으로 돌려보내려는" 의도.[3][29][30]
소련1941년~1992년무자녀세 시행. 25~50세 무자녀 남성, 20~45세 무자녀 여성 소득 6% 징수.[32]
불가리아1968년독신세 도입. 1917년부터 시작된 친생명 공학적 논의 일부.[33][34][3]
폴란드1946년~1973년21세 이상(이후 25세) 미혼자 Bykowe 무자녀세 부과.[35]
루마니아1989년 루마니아 혁명까지독신세 시행.[37][38]



이 외에도 프랑스 뇌베르(1223년), 뉴욕 주(1825년), 코네티컷 주(1857년), 와이오밍 주(1890년), 뉴저지 주(1898년), 델라웨어 주(1907년), 조지아 주(1911년), 미네소타 주(1911년), 프랑스(1913년, 1939년), 독일 라이헨부르크(1915년), 위스콘신 주(1921년), 독일 레펠른(1923년), 스페인(1928년), 터키(1949년), 이탈리아 바스토지라르디(1999년) 등에서 독신세가 시행되거나 제안되었다.

2. 4. 현대

현대 시대에 들어서도 독신세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 왔다.

국가시기통과 여부내용
오스만 제국15세기Resm-i mücerred라는 독신세가 도입되었다. 이 세금은 resm-i çift 및 resm-i bennâk와 함께 도입되었으며,[9] 이 세금의 대상이 된 사람들은 다른 지역, 특히 성장하는 도시로 이주할 가능성이 높았다.[10]
잉글랜드1695년프랑스 전쟁 자금 조달을 위해 혼인세법 1695를 통과시켜 출생, 결혼, 매장, 자녀 없는 과부, 25세 이상 독신자에게 세금을 부과했다.[11][12][8][3] 그러나 비효율성으로 인해 1706년에 폐지되었다.[11][12][8][3]
잉글랜드1798년소득세 통과 시 독신자를 차별했다.[12][8]
미국 미주리1821년모든 미혼 남성에게 1달러의 세금을 부과했으나,[13] 다음 해에 인두세로 대체되었다.[14]
미국 뉴욕1825년아니오독신자를 개에 비유하여 개에 대한 세금을 독신자에게 부과하는 법안이 제안되었으나 부결되었다.[3]
미국 코네티컷1857년아니오독신자에게 더 무거운 세금을 부과하는 다른 과세 방법이 이미 존재한다는 이유로 독신세 시행 동의안이 철회되었다.[3]
미국 미시간1837, 1848, 1849, 1850, 1897, 1901, 1911, 1919, 1935년아니오여러 차례 독신세 제정 시도가 있었으나 모두 실패했다. 특히 1935년에는 경제적 고려로 인해 실패했다.[15]
미국 와이오밍1890년아니오2.50달러의 독신세가 잠시 고려되었지만 보류되었다.[16]
미국 뉴저지1898년 2월 12일아니오사치세로 독신세를 제안했지만 통과되지 않았다.[17]
아르헨티나1900년 (추정)독신세가 존재했으며, 여성에게 결혼을 신청했지만 거절당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 남성은 세금이 면제되었다. 이로 인해 돈을 받고 남자에게 청혼을 거절했다고 맹세하는 "전문적인 여성 거부자" 현상이 발생하기도 했다.[18][3]
미국 델라웨어1907년아니오농담으로 시작하여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켰지만 결국 부결되었다.[3]
미국 조지아1911년아니오한 주의원이 독신자에게 연간 50달러의 세금을 부과하고 그 기금을 학교에 기부할 것을 제안했으나 부결되었다.[3]
미국 미네소타1911년아니오독신자에게 연간 5달러의 부과금을 제안했으나 부결되었다.[3]
프랑스1913년아니오독신자뿐만 아니라 "미혼 여성"에게도 막대한 세금을 부과할 것을 제안했으나 부결되었다.[3]
독일 라이헨부르크1915년누진세의 일환으로 독신세가 도입되었다.[3]
남아프리카 공화국1919년백인 인구 증가를 흑인 인구 증가와 일치시키기 위해 인종적 이유로 독신세를 부과했다.[15]
미국 위스콘신1921년아니오당시 빈번한 도덕적 논쟁을 불러일으켰지만 부결되었다.[3]
미국 몬태나1921년주 내 모든 독신자에게 3달러의 세금을 부과했다.[19] 윌리엄 아트징거는 성 차별을 이유로 납세를 거부했다.[20] 1922년 주 대법원은 "독신세"와 남성에게만 적용되는 또 다른 인두세를 폐지했다.[21][22]
독일 레펠른1923년월 2000마르크의 독신세를 통과시켰으나, 연방 당국에 의해 신속하게 번복되었다.[23]
이탈리아1927년1927년부터 무솔리니의 몰락(1943년)까지 인종 기반의 출산 장려주의 정책의 일환으로 부과되었다.[24] 1936년까지 이탈리아 독신자는 일반 소득세율의 거의 두 배를 지불했다.[25][26][3][27][28]
스페인1928년이탈리아의 뒤를 이어 독신세를 통과시켰으며, 사제들을 포함하여 예외는 거의 없었다.
독일1934년나치당의 "가족 가치"와 히틀러의 "3K" 정책(Kirche, Küche, Kinderde, 교회, 부엌, 아이들)의 일환으로 여성을 "집으로 돌려보내려는" 의도로 시행되었다.[3][29][30]
미국 캘리포니아1934년아니오1933년 캘리포니아의 낮은 출생률에 대한 대응으로, 재정부 국장 롤랜드 반데그리프트가 5달러에서 25달러의 독신세를 제안했지만, 경제적 고려로 인해 실패했다.[31]
핀란드1935년1935년부터 1975년까지 24세 이상의 미혼 무자녀 시민의 세금 부담을 증가시켰다.
프랑스1939년아니오파시스트 이탈리아와 나치 독일의 유사한 제안과 일치시키기 위한 제안으로 의도되었으나 부결되었다.[3]
소련1941년1941년부터 1992년까지 무자녀세가 시행되었으며, 25세에서 50세의 무자녀 남성과 20세에서 45세의 무자녀 여성에게 적용되었다. 이 세금은 소득 기반으로, 무자녀자의 임금의 6%를 징수했다.[32]
불가리아1925, 1943, 1968년1917년부터 독신세 도입 논의가 시작되었으며, 1925년에 공식적으로 제안되었고,[3] 1943년에 도입되었지만, 양성에게 적용된 후에야 1968년에 통과되었다.[34]
폴란드1946년1946년 1월 1일부터 1956년 11월 29일까지 21세 이상의 미혼자에게 세금을 부과하는 Bykowe가 도입되었다. 1973년 1월 1일까지 25세 이상으로 확대되었고, 그 후 폐지되었다.[35]
터키1949년독신자에서 가족에게로의 부의 이전을 제안하고 통과시켰다.[36]
루마니아1986년decreţei 770 세대에서 인구 증가가 있은 후 독신세가 제정되었으며, 1989년 루마니아 혁명까지 시행되었다.[37][38]
이탈리아 바스토지라르디1999년아니오시장이 지역적으로 독신세 재도입을 제안했으나 부결되었다.[39]


3. 대한민국

2014년 손숙미 인구보건복지협회 회장의 발언과 매일경제신문보건복지부 관계자 발언 보도로 인해 대한민국에서 독신세 논의가 있었다.[61][62] 그러나 보건복지부는 곧바로 독신세 도입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63]

한편, 대한민국 정부는 2007년에 1인 가구 및 2인 가구(자녀가 없는 부부)에게 추가로 소득공제를 해주던 "소수공제자 추가 공제" 제도를 폐지하고, 다자녀 가구에 대한 추가 공제 제도를 도입했다.[64][65]

3. 1. 독신세 논란

2014년 9월 4일, 손숙미 인구보건복지협회 회장은 여성신문 기고문에서 "싱글세는 개인 삶의 방식 침해나 결혼 및 출산 강요가 아니라, 사회 구성원으로서 사회 문제에 대한 책임 의식과 결혼 및 출산의 사회적 의미를 부여하는 정책으로 인식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61]

2014년 11월 12일, 매일경제신문보건복지부 관계자가 해당 신문 기자와의 대화에서 "앞으로 몇 년 후에는 '싱글세(1인가구 과세)'를 매겨야 할지도 모르겠습니다."라며 "장기적으로는 (싱글세와 같은) 페널티 정책으로 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62]

이에 대해 보건복지부는 같은 날 "싱글세 등 페널티 부과 방안은 전혀 검토하고 있지 않으며, 싱글세는 저출산 문제의 심각성을 표현한 말이 잘못 전달된 것"이라고 해명했다.[63]

3. 2. 소수공제자 추가 공제 제도 폐지

대한민국 정부는 2007년에 부양가족이 적은 1인 가구, 2인 가구(자녀가 없는 부부)에게 추가로 소득공제를 해주던 "소수공제자 추가 공제" 제도를 폐지했다. 가족 수가 적을수록 인적공제액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선진국에도 유사한 제도가 없었기 때문이다. 대신 정부는 "다자녀가구 추가 공제" 제도를 도입했다.[64][65] 이는 직접 세금을 걷는 대신, 연말정산 소득공제를 폐지해 간접적으로 세금을 걷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2009년 5월 17일 조세연구원 및 국세청 자료에 따르면, 독신가구보다 다자녀가구의 세 부담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66] 한편, 이 제도 폐지로 인해 세금을 내는 근로자는 크게 늘었다.[67]

예를 들어, 월 300만원을 받는 미혼 회사원 A씨는 매달 근로소득세로 88,510원을 낸다. 반면 전업주부 배우자와 20세 이하 자녀 두 명이 있는 B씨는 같은 월급을 받지만 18,810원을 낸다. 소득세법상 인적 공제 때문에 자녀나 배우자가 있으면 공제를 더 받을 수 있어, A씨는 B씨보다 1년에 약 84만을 더 내는 것이다.

4. 일본

일본에서는 독신세가 시행되지 않았다. 그러나 배우자나 가족 유무에 따라 소득 공제액이 다르며, 기혼자가 적용받는 소득 공제가 더 많다. 배우자 공제, 배우자 특별 공제, 부양 가족 공제가 이에 해당한다. 독신자는 적용받는 소득 공제가 적어 세금 부담이 커진다는 점이 실질적으로 독신세 역할을 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60]

5. 독신세의 목적과 논란

독신세는 다양한 목적으로 시행되었으며, 그에 따른 논란도 존재한다.


  • 고대 로마: 서기 9년 아우구스투스 황제는 결혼을 장려하기 위해 결혼 관련 법을 도입하여 독신자에게 벌금을 부과했다. 다만, 베스타의 처녀는 예외였다.[3]
  • 중세 프랑스: 1223년 프랑스 뇌베르에서는 도덕적 공황의 일환으로 독신자에게 연간 5솔리디의 십일조를 부과했다.[7][8]
  • 오스만 제국: 15세기 오스만 제국에서는 독신세를 도입했다.[9] 이 세금을 피하기 위해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들은 주로 성장하는 도시로 이동했다.[10]
  • 잉글랜드: 1695년 잉글랜드 의회는 혼인세법 1695를 통과시켜 25세 이상 독신자 등에게 세금을 부과했다. 이는 프랑스와의 전쟁 자금 조달과 성공회 교회 관리들의 기록 유지를 위한 목적이었으나, 비효율성으로 인해 1706년에 폐지되었다.[11][12][8][3] 1798년에는 소득세를 통해 독신자를 차별하기도 했다.[12][8]
  • 미국: 1821년 미주리주에서 모든 미혼 남성에게 1달러의 세금을 부과했지만, 다음 해에 인두세로 대체되었다.[13][14] 뉴욕주(1825년), 코네티컷주(1857년) 등에서는 독신세 도입이 제안되었으나 실패했다. 미시간주에서는 1837년부터 1935년까지 여러 차례 독신세 도입이 시도되었으나 모두 실패했다.[15]
  • 아르헨티나: 1900년경 독신세가 존재했으며, 여성에게 결혼을 신청했다가 거절당했다는 것을 증명하면 면제되었다. 이로 인해 돈을 받고 거짓 증언을 하는 "전문적인 여성 거부자" 현상이 나타나기도 했다.[18][3]


이 외에도 20세기 들어 남아프리카 공화국(1919년), 이탈리아(1927년), 독일(1934년), 소련(1941년) 등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독신세가 시행되거나 논의되었다.

독신세 시행 및 논의 사례
국가시기목적 및 논란
고대 로마서기 9년결혼 장려, 독신자에게 벌금 부과 (베스타의 처녀는 예외)[3]
프랑스 뇌베르1223년도덕적 공황, 독신자에게 연간 5솔리디 십일조 부과[7][8]
오스만 제국15세기독신세(Resm-i mücerred) 도입, 이주 유발[9][10]
잉글랜드1695년, 1798년전쟁 자금 조달, 기록 유지 (1695년, 비효율성으로 폐지), 소득세로 독신자 차별 (1798년)[11][12][8][3]
미국 미주리주1821년독신 남성에게 1달러 부과, 다음 해 인두세로 대체[13][14]
미국 뉴욕주, 코네티컷주, 미시간주19세기~20세기독신세 도입 시도 (대부분 실패)[15]
아르헨티나1900년경독신세 존재, "전문적인 여성 거부자" 현상 발생[18][3]
남아프리카 공화국1919년백인 인구 증가 목적[15]
이탈리아 왕국1927년파시스트 정권의 출산 장려 정책[24]
나치 독일1934년나치당의 "가족 가치" 정책, 여성의 사회 진출 억제[3][29][30]
소련1941년무자녀세 시행, 소득의 6% 징수[32]


5. 1. 도덕적 공황과 동성애 혐오

19세기 미국에서 독신세 부과는 빈번하게 도덕적 공황에 의해 촉발되었으며,[7] 독신세는 독신자들이 비행을 저지를 가능성이 더 높다고 믿거나, 많은 독신자들이 커밍아웃하지 않은 동성애자라고 믿었기 때문에 사회적 폐단을 개혁하는 방법으로 여겨졌다.[15][17][40][41]

5. 2. 민족 중심주의와 우생학

20세기 초 인종 자살에 대한 논의가 발전하면서,[3][42] 우생학 분야에서 인종 기반 출산 장려 정책을 지지하는 문헌들이 등장했다.[43][33]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백인의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시도로 독신세 조치가 통과된 후,[15] 베니토 무솔리니는 1927년 5월 26일 연설에서 이탈리아인의 출산율을 높일 것을 명시적으로 촉구했다.

: 분명히 하자면, 4천만 명의 이탈리아인이 9천만 명의 독일인과 2억 명의 슬라브족에 비하면 무엇인가? 4천만 명의 이탈리아인이 4천만 명의 프랑스인과 그들의 식민지에 사는 9천만 명의 사람, 또는 4천 6백만 명의 영국인과 그들의 식민지에 사는 4억 5천만 명의 사람에 비하면 무엇인가?[26]

이후 독신세는 프랑코 치하 스페인, 나치 독일로 전파되었고, 불가리아 파시스트 서클에서 논의되었으며, 일반적으로 파시스트 선전의 주요 요소가 되었다.[33][44][3]

5. 3. 공산주의 가족 계획

소련, 폴란드, 루마니아, 불가리아 등 많은 바르샤바 조약 기구 국가에서 출산 장려 정책의 일환으로 독신세가 시행되었다.[32][35][38][37][34] 이는 가족 계획 정책과 함께[45] 출산율 감소를 막기 위해 비슷한 시기에 시행되었다.[46][47]

6. 현대적 분석

현대 사회에서 독신세의 효용성과 혼인 상태에 따른 과세 제도의 영향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역사적 사례를 살펴보면, 독신세가 출산율 증가에 뚜렷한 효과를 보이지 못했으며, 오히려 역진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된다.[34][51] 예를 들어, 파시스트 이탈리아에서는 독신세 도입에도 불구하고 출산율과 혼인율이 감소했으며,[51] 소련에서도 이 정책은 농촌의 가난한 독신자들에게 큰 부담을 주어 역진적인 결과를 낳았다.[34]

반면, 미국 등 일부 국가에서는 혼인 상태에 따른 과세 제도가 혼인율과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인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52] 이는 1930년 포 대 시본 사건 이후 미국에서 소득세의 일부로 혼인 상태가 구분되기 시작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48] 1948년 세입법을 통해 공동 신고 지위가 허용되면서 기혼자와 독신자 간의 세율 차이가 발생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혼인 상태는 명시적인 독신세 대신 미국 세금 제도에 통합되기 시작했다.[49][50][2]

7. 찬반 논쟁

독신세에 대한 찬반 논쟁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고대 로마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독신세는 때로는 결혼 장려, 때로는 전쟁 자금 조달, 때로는 인종적 또는 이념적 이유로 시행되거나 제안되었다.

독신세 도입 역사
국가시기시행 여부내용
고대 로마서기 9년O아우구스투스 황제가 결혼 장려를 위해 독신자에게 벌금 부과. 베스타의 처녀는 예외.[3]
프랑스 뇌베르1223년O독신자에게 연간 5솔리디의 십일조 부과.[7][8]
오스만 제국15세기OResm-i mücerred라는 독신세 도입.[9]
잉글랜드1695년O프랑스 전쟁 자금 조달을 위해 25세 이상 독신자에게 세금 부과. 1706년 폐지.[11][12][8][3]
잉글랜드1798년O소득세 도입으로 독신자 차별.[12][8]
미국 미주리주1821년O미혼 남성에게 1달러 세금 부과. 다음 해 인두세로 대체.[13][14]
미국 뉴욕주1825년X독신자를 개에 비유하며 세금 부과 제안.[3]
미국 코네티컷주1857년X독신세 시행 동의안 철회.[3]
미국 미시간주1837년, 1848년, 1849년, 1850년, 1897년, 1901년, 1911년, 1919년, 1935년X여러 차례 독신세 제정 시도 실패.[15]
미국 와이오밍주1890년X2.50달러 독신세 고려 후 보류.[16]
미국 뉴저지주1898년X독신세 제안, 통과 실패.[17]
아르헨티나1900년경O독신세 존재. 여성에게 청혼 후 거절당한 남성은 면제.[18][3]
미국 델라웨어주1907년X농담으로 시작, 논쟁 후 부결.[3]
미국 조지아주1911년X독신자에게 연간 50달러 세금 부과 제안.[3]
미국 미네소타주1911년X독신자에게 연간 5달러 부과 제안.[3]
프랑스1913년X독신자 및 미혼 여성에게 막대한 세금 부과 제안.[3]
독일 라이헨부르크1915년O누진세의 일환으로 독신세 도입.[3]
남아프리카 공화국1919년O백인 인구 증가를 위해 독신세 부과.[15]
미국 위스콘신주1921년X도덕적 논쟁 발생.[3]
미국 몬태나주1921년O독신자에게 3달러 세금 부과. 성 차별 이유로 납세 거부 발생. 1922년 폐지.[19][20][21][22]
독일 레펠른1923년O월 2000마르크 독신세 통과, 연방 당국에 의해 번복.[23]
이탈리아1927년O무솔리니 정권 하 인종 기반 출산 장려주의 정책의 일환으로 부과. 1936년 독신자 소득세율 일반의 2배.[24][25][26][3][27][28]
스페인1928년O사제를 포함하여 예외는 거의 없이 독신세 통과.[3]
독일1934년O나치당의 "가족 가치" 정책 일환. 여성의 사회 진출 억제 의도.[3][29][30]
미국 캘리포니아주1934년X낮은 출생률 대응, 독신세 제안, 대공황으로 실패.[31]
핀란드1935년O1935년부터 1975년까지 24세 이상 미혼 무자녀 시민 세금 부담 증가.[32]
프랑스1939년X파시스트 이탈리아, 나치 독일과 유사한 제안.[3]
소련1941년O1941년부터 1992년까지 무자녀세 시행. 무자녀자 임금의 6% 징수.[32]
불가리아1925년, 1943년, 1968년O1968년 양성 모두에게 적용되는 독신세 통과.[33][34]
폴란드1946년O1946년부터 1973년까지 21세 이상(이후 25세) 미혼자에게 세금 부과.[35]
터키1949년O독신자에서 가족에게로 부의 이전 제안 및 통과.[36]
루마니아1986년O인구 증가 후 독신세 제정. 1989년 루마니아 혁명까지 시행.[37][38]
이탈리아 바스토지라르디1999년X지역 독신세 재도입 제안.[39]


7. 1. 찬성론

나라를 위해 독신세 도입이 충분히 가능하다는 주장이 있다. 이 주장은 혼자 사는 것이 개인에게는 편할 수 있지만, 미래를 위해 최소한의 인구 감소를 막아야 할 의무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는 논리를 제시한다.[1]

7. 2. 반대론

독신세는 국민을 국가의 부품으로 취급하고 성소수자를 차별한다는 비판을 받는다.[68] 국가를 위해 원치 않는 출산을 하는 것은 개인을 불행하게 만들 수 있으며, 돈이 있더라도 혼자 사는 것이 외롭더라도 불행해지는 것보다는 낫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즉, 개인의 삶의 방식을 존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참조

[1] 뉴스 On the Importance of Tax Details: Joint vs. Individual Filing http://www.jstor.org[...] National Tax Association
[2] 뉴스 Taxation of Couples and Marital Status – Simulation of Three Reforms of the Marital Quotient in France 2021-03-20
[3] 뉴스 Taxing Bachelors in America: 1895-1939 https://ssrn.com/abs[...] 2012-07-12
[4] 서적 The Attic Nights https://archive.org/[...] Printed for J. Johnson ... 2016-03-18
[5] 문서 The Fascist Experience in Italy London 1998
[6] 뉴스 Mussolini Imposes Tax on Bachelors. The Evening Independence 1926-12-10
[7] 뉴스 Ye old taxes Renaissance Magazine 2017-07
[8] 서적 The Encyclopædia Britannica: A Dictionary of Arts, Sciences, Literature and General Informa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9] 간행물 Efficiency and Continuity in Public Finance: The Ottoman System of Taxation https://media.econom[...]
[10] 간행물 Internal migrations in sixteenth century Anatolia
[11] 문서 The Hearth Tax, Other Later Stuart Tax Lists, and the Association Oath Rolls FFHS 1996
[12] 서적 The Companion to British History Routledge 2001
[13] 문서 A copy of Assessor’s General alphabetical lists of Taxable property in Boone county Mo for the year 1821 1821-08-02
[14] 웹사이트 Missouri Bicentennial Minutes: The Bachelor Tax https://www.krcu.org[...] KRCU Public Radio 2022-03-07
[15] 문서 The Attempts to Tax Bachelors in Michigan Historical Society of Michigan 2013
[16] 웹사이트 Wyoming's First Tax Controversy: The Proposed Bachelor Tax of 1890 https://kingfm.com/w[...] 2021-07-20
[17] 뉴스 Jersey's Bachelor's Tax. New York Times 1898-02-13
[18] 웹사이트 How taxes made margarine pink, ships sink, and more odd results https://nypost.com/2[...] 2021-04-03
[19] 문서 STATE EX REL. PIERCE ET AL., APPELLANTS, v. GOWDY, COUNTY TREASURER, RESPONDENT, 62 Mont. 119; 203 P. 1115; 1922 Mont. LEXIS 5 Montana Supreme Court 1922
[20] 뉴스 Montana Man Refuses to Pay Bachelor Tax http://www.fultonhis[...] 1924-05-23
[21] 간행물 “The Tax on Bachelors” 1921-06
[22] 뉴스 Montana's Bachelor Tax Declared Void. Milwaukee Sentinel 1922-01-12
[23] 웹사이트 "Foreign News: Bachelor Tax." http://content.time.[...] Times 1923-05-28
[24] 뉴스 Italian Bachelor Tax. The Times, London 1927-02-11
[25] 문서 How Fascism Ruled Women: Italy 1922-1945 Los Angeles 1992
[26] 서적 The Fascist Experience in Ital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1-07-19
[27] 뉴스 Italian Bachelor Tax. The Times, London 1928-01-08
[28] 뉴스 Italian Bachelor Tax. The Times, London 1928-03-15
[29] 문서 Ehestandshilfe https://books.google[...]
[30] 문서 Die Regierung Hitler https://books.google[...] Munich: Oldenbourg 1936
[31] 뉴스 Consider Plan of Bachelor Tax. Schenectady Gazette 1934-04-23
[32] 웹사이트 Childless by Choice https://yaleglobal.y[...] Yale 2021-04-29
[33] 뉴스 The biology of war: eugenics in Hungary, 1914-1918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34] 뉴스 Between Fiscal, Ideological, and Social Dilemmas: The Soviet 'Bachelor Tax' and Post-War Tax Reform, 1941–1962
[35] 문서 Art. 20 Dekretu z dnia 26 października 1950 r. o podatku dochodowym, j.t. Dz.U. nr 7 z 1957 r., poz. 26.
[36] 뉴스 Turkey's Population Growth Policy During the 1923-1950 Period and the Issue of Compulsory Marriage Law (Bachelor Tax) 2010
[37] 웹사이트 Celula de bază a societăţii, oficial indivizibilă https://web.archive.[...] 2015-02-11
[38] 웹사이트 Romanian Pro-Natalism by Max Rudert on Prezi http://prezi.com/pxf[...] prezi.com 2014-09-14
[39] 뉴스 Vastogirardi Journal; Blissful Bachelorhood and the Shrinking Village https://www.nytimes.[...] 1999-11-16
[40] 뉴스 Reviewed Work: Sex and the Eighteenth-Century Man: Massachusetts and the History of Sexuality in America by Thomas Foster 2011-09
[41] 뉴스 Spinsters, Bachelors, and Other Gender Transgressors in School Employment, 1850-1990 https://doi.org/10.2[...]
[42] 뉴스 American Immigration, Fertility, and Race Suicide at the Turn of the Century 1990
[43] 뉴스 Population Policy in the Age of Fascism: Observations on Recent Literature 1998-09
[44] 뉴스 Fascist family values Spectator 2001-07-21
[45] 뉴스 Tax on childlessness, which existed in the Soviet Union, proposed to be restored http://www.finiz.ru/[...] 2010-01-03
[46] 서적 Women, the state, and revolution : Soviet family policy and social life, 1917-1936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47] 간행물 The History of Abortion Statistics in Russia and the USSR from 1900 to 1991 1995
[48] 뉴스 Taxes, the Earned Income Tax Credit, and Marital Status https://EconPapers.r[...] Northwestern University/University of Chicago Joint Center for Poverty Research 2000-08
[49] 뉴스 Tax Filing Status--Are Joint Tax Returns Always Best? The National Public Accountant 2002-12-01
[50] 뉴스 From Family Wage to Marriage Subsidy and Child Benefits: Controversy and Consensus in the Development of Family Support 2000-01-01
[51] 뉴스 Battle for Births: The Fascist Pronatalist Campaign in Italy 1925 to 1938. 2010
[52] 뉴스 The Effect of Marriage Tax Penalties and Subsidies on Marital Status http://www.jstor.org[...]
[53] 뉴스 JERSEY'S BACHELOR'S TAX; Proposition to Tax the Unmarried Men of the State Is Not a Joke. TOO MANY "COLLEGE WIDOWS" Assemblyman Waller Waded Into the Study of Social Conditions in the State and Decided that the Taxation of Bachelors Would Remedy Some Evils. https://www.nytimes.[...] 1898-02-13
[54] 웹사이트 The Very Unsuccessful History of ‘Bachelor Taxes’ https://melmagazine.[...] 2022-04-13
[55] 웹사이트 Missouri Bicentennial Minutes: The Bachelor Tax https://www.krcu.org[...] 2021-07-22
[56] 문서 日本では、長期的な効果を検証せずにブルガリアの例を反例とすることが多い
[57] 문서 世界を変えた「ヤバい税金」(大村大次郎)
[58] 뉴스 TAX ON BACHELORS DECREED IN ITALY; Men Between 25 and 65 Must Pay, but Single Women Will Not Be Penalized. https://www.nytimes.[...] 1926-12-07
[59] 웹사이트 When Being Single Cost You Double https://medium.com/e[...] 2020-12-22
[60] 웹사이트 独身税って日本にあるの?配偶者の有無で異なる税金の種類と節税方法{{!}} ファミリーコーポレーション https://apart.family[...] 2024-10-08
[61] 웹인용 저출산 위기와 '싱글세' http://www.womennews[...] 2014-11-12
[62] 뉴스 싱글稅라도 매겨야 하나…출산율 10년째 제자리 http://news.mk.co.kr[...]
[63] 뉴스 11월 12일자 매일경제 '싱글세라도 매겨야 하나' 보도 관련 해명자료 http://www.mw.go.kr/[...]
[64] 뉴스 소수공제자 추가공제 '오해를 풀자' http://news.naver.co[...]
[65] 뉴스 다자녀 가구가 세금혜택 많도록 제도 바로잡아야 http://news.naver.co[...]
[66] 뉴스 면세점 수준 아직 독신가구가 유리 http://news.naver.co[...]
[67] 뉴스 '세금내는 근로자' 크게 늘어 http://news.naver.co[...]
[68] 뉴스 실업자에게 '실업세' 징수... 괜한 걱정이겠지? http://www.ohmynew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