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루이스 (가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이스는 캐나다 출신의 대한민국 가수이다. 1998년 작곡가로 데뷔하여, 같은 해 첫 정규 음반 《Possibility》를 발매하고, 대한민국과 중국을 오가며 활동했다. 2000년 두 번째 정규 음반 《天才少年》을 발매했으며, 2001년에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위한 헌정 음반을 발매하고 관련 공연을 개최했다. 이후 프로듀서 활동과 클럽 운영을 거쳐 디지털 싱글을 발표하며 활동을 이어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압구정초등학교 동문 - 홍정욱
    홍정욱은 하버드 대학교와 스탠퍼드 로스쿨을 졸업한 대한민국의 기업인이자 정치인으로, 헤럴드미디어 회장, 제18대 국회의원, 올가니카 회장 등을 역임하고 현재 올재재단 이사장을 맡고 있다.
  • 서울압구정초등학교 동문 - 전승우
    전승우는 1995년 록 밴드 컬트의 드러머로 데뷔하여 솔로 가수, 작사가, 작곡가, 음반 프로듀서 등으로 활동하며 S.E.S., 빅뱅, 아이유 등 다양한 가수들의 작품에 참여한 대한민국의 음악가이다.
  • 압구정중학교 동문 - 홍정욱
    홍정욱은 하버드 대학교와 스탠퍼드 로스쿨을 졸업한 대한민국의 기업인이자 정치인으로, 헤럴드미디어 회장, 제18대 국회의원, 올가니카 회장 등을 역임하고 현재 올재재단 이사장을 맡고 있다.
  • 압구정중학교 동문 - 전승우
    전승우는 1995년 록 밴드 컬트의 드러머로 데뷔하여 솔로 가수, 작사가, 작곡가, 음반 프로듀서 등으로 활동하며 S.E.S., 빅뱅, 아이유 등 다양한 가수들의 작품에 참여한 대한민국의 음악가이다.
  • 대한민국에 거주한 캐나다인 - 알렉스 (가수)
    알렉스는 클래지콰이 멤버이자 솔로 가수, 배우, 방송인으로 활동하며, 2008년 솔로 앨범을 발매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음주운전으로 물의를 일으킨 적이 있다.
  • 대한민국에 거주한 캐나다인 - 맷 돌턴
    맷 돌턴은 캐나다 출신으로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하여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 대한민국 아이스하키 국가대표로 출전한 선수이자 코치이며,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에서 뛰어난 활약과 다수의 우승 경력을 가지고 2024-2025 시즌부터 선수 겸 코치로 활동할 예정이다.
루이스 (가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루이스
원어 이름Louis
본명임상훈
출생일1978년 12월 17일
출생지캐나다 서스캐처원주 새스커툰
직업가수
장르발라드
활동 시기1998년 ~ 현재
소속사LIM 엔터테인먼트
소속 그룹싸이코포닉(Psychophonic)
웹사이트
추가 정보
로마자 표기Lim Sanghun

2. 생애

루이스는 1978년 캐나다 서스캐처원주 새스커툰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대한민국에서 서울압구정초등학교 등을 다녔다.[3] 일찍부터 피아노작곡에 재능을 보였으며,[3] 압구정중학교 재학 중 캐나다로 유학, 이후 미국 고등학교를 다녔으나 마치지 못하고 귀국하여 한국기독교100주년기념외국인학교를 수료하고 검정고시로 고등학교 학력을 취득했다.[3][4][5]

1998년 서영은의 곡을 작곡하며 작곡가로 먼저 데뷔하였고,[6] 같은 해 첫 정규 음반 《Possibility》를 발매하며 가수로 활동을 시작했다.[7][8] 초기에는 대한민국과 중국을 오가며 활동했으며, 중국에서 신곡을 발표하기도 했다.[6][11][9] 1999년에는 독특한 스타일의 곡 〈중화반점〉을 발표하여 주목받았다.[14][15][16]

2000년에는 직접 프로듀싱한 2집 《天才少年》을 발매했으며,[16] 실험적인 음악을 추구하는 단체 '실험독립만세'를 창단하고 2인조 그룹 '싸이코포닉'을 결성하여 활동했다.[20][21] 2001년에는 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위한 헌정 음반 《Tribute to 위안부 할머니》를 제작하고 헌정 공연을 여는 등 사회 참여적인 행보를 보였다.[6][23][5] 또한, 인터넷에서 화제가 된 '춘부라더쓰'를 발굴하여 한일월드컵 응원 음반을 프로듀싱하기도 했다.[27][30][31]

2006년경부터는 서울 홍대 인근에서 클럽 'FF'를 경영하는 등 음악 외 활동에도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간헐적으로 디지털 싱글을 발표하고 신인 가수의 프로듀싱을 맡는 등 음악 관련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33][34][35]

2. 1. 데뷔 이전

루이스는 1978년 12월 17일 캐나다 서스캐처원주 새스커툰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을 보냈다. 이후 대한민국으로 와 서울특별시 강남구서울압구정초등학교를 졸업하였다.[3] 그는 아홉 살 때 피아노를 독학으로 익혔고, 중학교 1학년 때부터 작곡을 시작했다.[3] 압구정중학교에 다니다가 3학년 과정을 마치지 않고 캐나다로 유학을 떠나, 고향인 새스커툰에 있는 월터 머레이 컬리지엣(Walter Murray Collegiate)으로 편입하여 음악을 공부했다.[3][4]

그 후 미국 뉴저지주 버건 군 테너플라이에 있는 테너플라이 고등학교(Tenafly High School)에 진학했다. 고등학교 시절 ‘Dead End’라는 그룹을 결성하여 1994년과 1995년 두 차례 지역 음악 경연 대회에 참가하기도 했다.[3][4] 그러나 고등학교를 졸업하지 못하고 대한민국으로 돌아왔으며[5],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동2가에 있는 한국기독교100주년기념외국인학교에 진학하여 수료할 때까지 미발표 자작곡을 만들었다.[3][4] 검정고시를 통해 고등학교 졸업 학력을 취득했으며[5], 다시 미국으로 건너가 텍사스주에 있는 텍사스 컬리지(Texas College)에 재학했다.[3]

2. 2. 1998-99: 데뷔와 중국 활동

1998년 초 루이스는 서영은의 데뷔 음반 수록곡 〈여운〉의 작곡을 맡아 작곡가로 데뷔하였다.[6] 1998년 3월 31일[7] 첫 번째 정규 음반 《Possibility》가 발매되었다. 이 음반에는 김준선이 작곡자로 참여하였다.[8] 2번 트랙 〈20〉은 루이스가 작사 및 작곡을 맡고 우상문이 편곡한 자전적인 가사의 록 발라드 곡으로, 피아노와 기타에 서재형김재만이 참여하였다.[9] 8번 트랙 〈루이스의 사랑〉은 김준선이 작사와 작곡을 맡고 우상문과 김준선이 편곡한 록 댄스 곡으로, N.EX.T김세황이 기타를 담당하였다.[9]

이후 루이스는 대한민국과 중국을 오가며 활동하였다.[6] 1998년 6월 25일 중국 랴오닝성 선양시로 출국하여[10] 6월 말 콘서트를 진행하였다.[11] 11월에는 중국에서 신곡 啦啦啦(等着你)|랄랄라(널 기다리며)중국어를 타이틀 곡으로 하는 음반을 발매하였는데, 루이스가 작사와 작곡을 한 이 노래는 남녀 사이의 슬픈 사랑을 표현한 곡이다.[9]

1999년에는 중국에서 Yao, yao !! (搖搖)중국어라는 댄스 음악 곡을 공개하였다.[12] 이 곡은 스티비 원더의 〈Sir Duke〉 일부분을 전주에 응용하였다.[13] 같은 해 여름에는 대한민국에서 신곡 〈중화반점〉을 공개하였다.[14][15][16] 이 곡은 중국풍 멜로디와 한국풍 트로트 리듬이 재치 있는 가사와 함께 섞인 것이 특징이다.[16] 인트로는 노브레인과 위퍼(Weeper)의 합작 음반 《OUR NATION 2》의 9번 트랙 〈무제〉로부터 모티브를 얻었다.[17]

2. 3. 2000-05: ''天才少年'' 발매, 프로듀서와 그룹 활동

2000년 5월 18일[18] 루이스는 직접 프로듀싱한 두 번째 정규 음반 《天才少年》을 발매했다.[16] 이 음반은 원래 1999년 8월 중순 발매 예정이었다.[19] 타이틀 곡 〈Angelina〉(엔젤리나)는 루이스가 작곡한 칸소네 풍의 록 발라드 곡이며,[19][16] 6번 트랙 〈중화반점〉은 1999년 여름에 공개되었던 곡을 수록했다.

2000년 6월, 루이스는 공동 프로듀서 앨컴(Alchem), 매니저 이지노와 함께 실험적인 인디 음악을 추구하는 단체 '실험독립만세(實驗獨立萬歲)'를 창단했다. 동시에 앨컴과 2인조 그룹 '싸이코포닉(Psychophonic)'을 결성하여 활동을 시작했다.[20] 싸이코포닉은 2001년 4월 17일 첫 정규 음반 《Psychophonic》을 발매했다.[21] 타이틀 곡 〈사(死)〉는 죽음을 기다리는 사람의 감정을 나타낸 곡으로[2], 가수 우순실의 창과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 방영된 자살 육성이 샘플링되어 있다.[22] 3번 트랙 〈헤어지는 친구에게〉는 입대를 앞둔 친구를 위해 쓴 곡으로, 국악 타악기 소리를 샘플링하여 굿거리 장단을 구현하고, 직접 분 대금 소리를 샘플링하여 연주 효과를 냈다.[22] 4번 트랙 〈성난 개구리가 길에서 만난 수레를 받다〉와 6번 트랙 〈고스톱 랩소디〉는 2001년 영화 《7인의 추억》에 삽입되었다.[2] 5번 트랙 〈중화반점 - 완존 사기 라이부 버전〉은 루이스 2집의 〈중화반점〉에 박수와 함성, 호니 플레이(Horny Play)의 관악기 소리 등을 더해 재편곡한 곡이다.[22] 7번 트랙 〈추억 속에서〉는 헤어진 상대를 추억 속에 간직하겠다는 내용의[22] 뉴에이지 테크노 장르의 웅장한 곡이며[2], 9번 트랙 〈이동(移東)〉은 시베리아 기마민족이 한반도로 이동했다는 학설을 음악으로 형상화한 연주곡으로 말발굽 소리, 눈 밟는 소리 등이 샘플링되었다.[22] 12번 트랙 〈이상무〉는 음반의 의도에 관한 곡으로, 전동식 연필깎이와 라디오 소리가 샘플링되었다.[22]

2001년 여름, 루이스는 실험독립만세의 이름으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위한 헌정 음반 《Tribute to 위안부 할머니》를 발매했다.[6] 이는 그의 사회 참여적인 면모를 보여주는 활동으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관심을 환기하기 위해 8월 13일에는 "할머니 힘내세요, 우리가 있잖아요!"라는 헌정 공연도 개최했다.[23] 루이스는 1999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강덕경(姜德景)이 그린 《빼앗긴 순정》을 보고 충격을 받아 한국 문화와 역사를 공부하고, 일본군 ‘위안부’ 관련 자료를 찾기 시작했다고 한다.[5][24]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에서는 음반의 기획 취지에 맞게 문필기(文必琪)를 추천하여, 문필기는 타이틀 곡 〈빼앗긴 순정〉의 가창에 참여했다.[6][25] 이 곡은 《빼앗긴 순정》 그림을 주제로 ‘난 아파요. 난 울었죠. 난 버렸죠. 날 가뒀죠.’ 등의 가사가 반복되며 피해자의 아픔을 표현했다.[1][26] 2번 트랙 〈증언〉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경험을 권희덕의 나레이션으로 옮긴 곡이며,[24][26] 3번 트랙 〈조용한 아침의 나라〉는 동명의 시를 주제로 우순실이 가창하였고, 〈눈물젖은 두만강〉의 전주를 샘플링했다.[26] 4번 트랙 〈끌려감〉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김순덕의 동명의 그림을 주제로 한 곡이며, 5번 트랙 〈엄마의 일기를 펴고...〉는 루이스의 기존 음반에 실린 것을 그대로 가져왔다.[26] 그 밖에 7번 트랙으로 〈아리랑〉이, 10번 트랙으로 편곡된 〈애국가〉가 실려 있다.[26]

2001년 10월, 루이스는 두 청년 맹춘식(본명 최창국)과 맹춘삼(본명 김준호)이 ‘춘부라더쓰’라는 이름으로 〈중화반점〉을 립싱크하여 올린 엽기 흑백 동영상을 우연히 보았다.[27][28] 둘은 서울신명초등학교신명중학교 동창으로[29], 2001년에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서로 다른 식당에서 일하다가 만나 친해진 뒤, 맹춘삼의 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각팬티만 입은 차림으로 ‘뽀뽀뽀’, ‘짤랑짤랑’, ‘곰 세 마리’, ‘국민체조’ 등의 영상을 찍어 올렸었다.[27][30] 루이스는 이들을 만난 뒤 자신이 기획하던 한일월드컵 음반을 함께 작업하기로 하였으며[27], 곧이어 춘부라더쓰는 루이스가 세운 LIM 엔터테인먼트에 소속되었다.[30] 루이스는 총 13곡이 수록된 《춘부라더쓰 월드컵쏭》이라는 음반을 프로듀싱하였으며[31], 춘부라더쓰는 2002년 2월부터 트럭을 타고 월드컵 응원가를 부르며 거리 공연을 진행하면서 성금을 모아 고아원에 축구공을 보내는 캠페인을 하였다.[27][32] 이들은 ‘명랑’ 엽기가수로 인기를 끌었으나[30], 군 복무로 활동을 중단하였다.[28]

2. 4. 2006-현재: 일반인으로의 삶

2006년경 서울 홍대에서 ‘FF’라는 클럽을 경영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2013년 8월 30일 첫 번째 디지털 싱글 〈건배〉를 시작으로 몇 차례 디지털 싱글을 발표하였으며, 신인 가수 김도형, 호구, 임상헌 등의 프로듀싱[33][34][35]을 맡았다. 한편 루이스의 음반에 자주 참여한 작곡가 전영진은 우송정보대학 글로벌실용예술학부 전임교수로 재직 중이다.[36]

3. 음악적 특징

루이스의 음악은 , 발라드, 댄스 등 다양한 장르를 포괄하며, 특히 실험적인 시도와 독특한 소재 사용이 두드러진다.

첫 정규 음반 《Possibility》(1998)에서는 자전적인 가사의 록 발라드 곡 〈20〉과 N.EX.T김세황이 기타 연주로 참여한 록 댄스 곡 〈루이스의 사랑〉 등을 통해 다양한 음악 스타일을 선보였다.[9] 중국 활동 시기에는 남녀 간의 슬픈 사랑을 다룬 자작곡 啦啦啦(等着你)|랄랄라(널 기다리며)중국어[9] 스티비 원더의 〈Sir Duke〉 일부를 샘플링한 댄스곡 〈Yao, yao !! (搖搖)〉를 발표하며 음악적 영역을 넓혔다.[12][13]

1999년 여름에 공개된 〈중화반점〉은 그의 음악적 특징을 잘 보여주는 곡으로, 중국풍 멜로디와 한국 트로트 리듬을 결합하고 재치 있는 가사를 담아 대중에게 신선함을 안겼다.[16] 이 곡의 인트로는 노브레인과 위퍼(Weeper)의 합작 음반 《OUR NATION 2》 수록곡 〈무제〉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졌다.[17] 이 곡은 이후 루이스가 직접 프로듀싱한 두 번째 정규 음반 《天才少年》(2000)에도 수록되었으며, 이 음반의 타이틀 곡 〈Angelina〉는 칸소네 풍의 록 발라드로 작곡되었다.[19][16]

2000년에는 공동 프로듀서 앨컴(Alchem)과 함께 실험적인 인디 음악 그룹 싸이코포닉(Psychophonic)을 결성하여 더욱 과감한 음악적 시도를 보여주었다.[20] 2001년 발매된 동명의 음반 《Psychophonic》은 샘플링 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것이 특징이다. 타이틀 곡 〈사(死)〉에는 가수 우순실의 창과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 방영된 자살 육성이 샘플링되었고[22], 〈헤어지는 친구에게〉에는 국악 타악기 소리를 샘플링하여 굿거리 장단을 구현했으며 직접 분 대금 소리를 샘플링했다.[22] 또한 〈이동(移東)〉에서는 말발굽 소리, 눈 밟는 소리를,[22] 〈이상무〉에서는 전동식 연필깎이와 라디오 소리를 샘플링하는 등[22] 독창적인 사운드를 만들어냈다. 일부 곡은 영화 《7인의 추억》에 삽입되기도 했다.[2]

루이스는 음악을 통해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에도 관심을 보였다. 1999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강덕경의 그림 《빼앗긴 순정》을 보고 충격을 받은 것을 계기로[5][24], 2001년 여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위한 헌정 음반 《Tribute to 위안부 할머니》를 발매했다.[6] 이 음반에는 《빼앗긴 순정》을 주제로 한 타이틀 곡 〈빼앗긴 순정〉, 피해자의 경험을 권희덕의 나레이션으로 담은 〈증언〉, 우순실이 부르고 〈눈물젖은 두만강〉의 전주를 샘플링한 〈조용한 아침의 나라〉, 피해자 김순덕의 동명 그림을 주제로 한 〈끌려감〉 등이 수록되었다.[24][26] 또한, 〈아리랑〉과 편곡된 〈애국가〉를 포함하여[26]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환기하고자 했다.[23]

4. 사회 참여 활동

루이스는 사회 문제, 특히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깊은 관심을 보이며 관련 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쳤다. 1999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강덕경(姜德景) 화가가 그린 《빼앗긴 순정》이라는 그림을 보고 큰 충격을 받은 것이 계기가 되었다.[5][24] 이를 계기로 한국 문화와 역사를 공부하고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다양한 자료를 찾아보기 시작했다.[5][24]

2001년 여름, 루이스는 자신이 창단한 단체 실험독립만세의 이름으로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을 위한 헌정 음반 《Tribute to 위안부 할머니》를 발매했다.[6]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의 추천을 받아 문필기(文必琪)가 타이틀 곡 〈빼앗긴 순정〉의 가창에 참여했다.[6][25] 이 곡은 《빼앗긴 순정》 그림을 주제로 하여 피해자들의 아픔을 담은 가사가 반복되는 것이 특징이다.[1][26] 음반에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경험을 배우 권희덕의 목소리로 담은 〈증언〉[24][26], 가수 우순실이 부른 〈조용한 아침의 나라〉[26], 피해자 김순덕 할머니의 그림 〈끌려감〉을 주제로 한 곡[26] 등이 수록되었다. 또한 한국의 대표적인 민요인 〈아리랑〉과 편곡된 〈애국가〉도 포함되었다.[26] 음반 발매에 이어, 2001년 8월 13일에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높이기 위해 "할머니 힘내세요, 우리가 있잖아요!"라는 제목의 헌정 공연을 개최하기도 했다.[23]

한편, 2001년 10월 루이스는 맹춘식(본명 최창국)과 맹춘삼(본명 김준호) 두 청년이 결성한 '춘부라더쓰'가 자신의 곡 〈중화반점〉에 맞춰 립싱크하는 코믹한 흑백 동영상을 우연히 접하게 되었다.[27][28] 이들의 유쾌함에 주목한 루이스는 자신이 기획하던 한일월드컵 기념 음반 작업을 함께 하기로 제안했고[27], 춘부라더쓰는 루이스가 설립한 LIM 엔터테인먼트 소속이 되었다.[30] 루이스는 총 13곡이 담긴 《춘부라더쓰 월드컵쏭》 음반을 프로듀싱했다.[31] 춘부라더쓰는 2002년 2월부터 트럭을 타고 전국을 돌며 월드컵 응원가를 부르는 거리 공연을 펼쳤고, 이를 통해 모금한 성금으로 고아원에 축구공을 기증하는 캠페인을 벌였다.[27][32] 이들은 '명랑 엽기 가수'로 불리며 잠시 인기를 얻었으나, 이후 군 복무 문제로 활동을 중단했다.[28][30]

5. 음반 목록

루이스는 정규 음반 2장과 디지털 싱글 3장을 발표하였다.

5. 1. 정규 음반

1998년 3월 31일[7] 첫 번째 정규 음반 《Possibility》가 발매되었다. 이 음반에는 김준선이 작곡자로 참여하였다.[8] 2번 트랙 〈20〉은 루이스가 작사 및 작곡을 맡고 우상문이 편곡한 자전적인 가사의 록 발라드 곡으로, 피아노와 기타에 서재형김재만이 참여하였다.[9] 8번 트랙 〈루이스의 사랑〉은 김준선이 작사와 작곡을 맡고 우상문과 김준선이 편곡한 록 댄스 곡으로, N.EX.T김세황이 기타를 담당하였다.[9]

2000년 5월 18일[18] 두 번째 정규 음반 《天才少年》이 발매되었다.[16] 루이스 자신이 프로듀싱한 이 음반은 원래 1999년 8월 중순에 발매될 계획이었다.[19] 타이틀 곡 〈Angelina〉(엔젤리나)는 루이스가 작곡한 칸소네 풍의 록 발라드 곡이다.[19][16] 6번 트랙 〈중화반점〉은 1999년 여름에 공개되었던 곡을 실은 것이다.[16]

순서정보트랙 리스트
1Possibilityalign="left" style="font-size: 95%;"|
2天才少年align="left" style="font-size: 95%;"|


5. 2. 디지털 싱글

순서정보트랙 리스트
1건배align="left" style="font-size: 95%;"|
2오대산 연가〉 (with 임춘수)align="left" style="font-size: 95%;"|
3승미에게align="left" style="font-size: 95%;"|


6. 음반 외 활동

(내용 없음)

6. 1. 공연


  • 1998년 6월 - 중국 선양에서 콘서트를 개최하였다.
  • 2001년 8월 13일 - 서울 연강홀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위한 헌정 공연 “할머니 힘내세요, 우리가 있잖아요!”를 개최하였다.[23] 이 공연은 루이스가 기획한 헌정 음반 《Tribute to 위안부 할머니》 발매와 함께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높이기 위해 열렸다.[23][6]

6. 2. 방송


  • 1998년 10월 3일 - SBS 《서세원의 좋은 세상 만들기》[37]

7. 가족 관계

가족으로는 아버지, 어머니, 누나, 남동생이 있다. 누나는 대학교에서 첼로를 전공하였고, 남동생은 중국에서 유학한 경력이 있다.[5]

아버지 임춘수[5][43]1·4 후퇴함경남도 함흥시에서 서울로 피난하였다.[38] 1966년 보성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73년 동국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였으며, 1976년 캐나다 서스캐처원주 주립대학 경영대학원을 졸업한 뒤 삼 년 간 프라이스워터하우스 캐나다에 재직하였다.[39] 1980년에 춘수물산과 한양잉크(당시 한양화학공업[40])를 설립하였다.[41] 2019년 1월 21일에 루이스와 함께 부른 발라드 〈오대산 연가〉를 발매하였다.[42]

어머니 임인옥[5]연세대학교 생화학과를 졸업한 뒤, 1983년부터 약 삼 년 동안 여성의전화에서 상담원과 교육부장으로 활동하며 여성 인권 신장에 기여했다.[43] 1989년에는 여성신문 교육문화원의 초대 원장을 맡았으며, 이후 여성신문의 이사직을 맡고 있다.[43] 2010년에는 연세대학교 여자총동창회장에 취임하였다.[44]

참조

[1] 뉴스 ‘할머니 힘내세요…’공연 여는 가수 임상훈씨 http://srchdb1.chosu[...] 조선일보 2001-08-03
[2] 웹인용 싸이코포닉 - Psychophonic http://smartstore.na[...] 2001-04-16
[3] 웹인용 Profile http://www.louis.co.[...]
[4] 웹인용 Louis !! Interview http://www.louis.co.[...]
[5] 뉴스 위안부 할머니 위안 독립선언‘사랑의 록’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1-08-05
[6] 뉴스 위안부 할머니 위한 헌정 앨범 발매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01-08-03
[7] 웹인용 (공지)여러분 드디어 루이스 음반이 출시되었습니다. http://www.louis.co.[...] 1998-03-31
[8] 뉴스 '복면가왕' 가을전어 가수 김준선, '아라비안나이트-마마보이'가 전부는 아냐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2016-09-05
[9] 웹인용 album & downroad http://www.louis.co.[...] 1998
[10] 웹인용 KM TV에서 방송순위 1위를 기록한 '루이스의 사랑' 뮤직 비디오가 다가오는 여름을 맞이하여 바닷가에서 새로운 영상과 음악으로 탄생하였습니다! http://www.louis.co.[...] 1998-06-19
[11] 웹인용 루이스의 중국 심양 콘써트가 여러분의 성원에 힘입어 성황리에 맡쳤습니다. http://www.louis.co.[...] 1998-06-29
[12] 웹인용 신 곡 발표 http://www.louis.co.[...] 1999-04-05
[13] 문서 2집 북클릿 발췌. “*Stevie Wonder의 "Sir Duke"를 전주에 부분 응용하였습니다.”
[14] 문서 2집 북클릿 발췌. “…Also after that he issued a new Korean album called “Chong Hwa Ban Jum” in late 1999, …”
[15] 웹인용 판유걸이 참여하는 중화반점 http://www.louis.co.[...] 1999-07-08
[16] 뉴스 루이스 2집 〈천재 소년〉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2000-02-25
[17] 문서 2집 북클릿 발췌. “*Our nation II의 "TRK 9"를 Intro에 부분 응용하였습니다.”
[18] 웹인용 앨범정보 - 천재소년(天才少年) http://k-pop.or.kr/m[...]
[19] 웹인용 루이스 2집 발표 http://www.louis.co.[...] 1999-06-01
[20] 웹인용 실험독립만세 http://www.psychopho[...]
[21] 웹인용 앨범정보 - Psychophonic http://k-pop.or.kr/m[...]
[22] 웹인용 ALBUM http://www.psychopho[...]
[23] 뉴스 가수 임상훈 '위안부 할머니를 위한 공연' http://imnews.imbc.c[...] MBC뉴스 2001-08-13
[24] 뉴스 군위안부 할머니를 위한 헌정음반 http://legacy.www.ha[...] 한겨레 2001-08-09
[25] 뉴스 군 위안부 아픔 노래하는 문필기 할머니 http://www.womennews[...] 여성신문 2001-06-26
[26] 웹인용 앨범 소개 http://www.louis.co.[...] 2001
[27] 뉴스 앨범 낸 ‘春’브라더쓰…‘엽기’인기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2-04-07
[28] 뉴스 춘브라더스, 외국인 버전 '중화반점' 인기 https://news.naver.c[...] 마이데일리(네이버) 2005-02-07
[29] 웹인용 Choons? http://www.choons.co[...]
[30] 뉴스 홈페이지 인기 폭발 김준호·최창국씨 http://srchdb1.chosu[...] 조선일보 2002-06-04
[31] 웹인용 Album http://www.choons.co[...]
[32] 웹인용 News http://www.choons.co[...]
[33] 웹인용 홀인원 https://music.bugs.c[...] 2013-08-30
[34] 웹인용 호구의 첫 번째 에피소드 https://music.bugs.c[...] 2019-01-02
[35] 웹인용 Serenade https://music.bugs.c[...] 2019-05-10
[36] 웹인용 교수소개 http://music.wsi.ac.[...] 2019-01-21
[37] 웹인용 루이스의 Homepage를 찾아주신 여러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림니다. http://www.louis.co.[...] 2019-01-21
[38] 서적 창업하여 3년 이렇게 버티기 한솜미디어 2008
[39] 서적 나도 사업을 할 수 있다. 이렇게! 풀잎 1994
[40] 뉴스 [CEO와 함께] 임춘수 한양잉크 대표이사 http://www.womennews[...] 여성신문 2019-01-21
[41] 서적 창업하여 3년 이렇게 버티기 한솜미디어 2008
[42] 웹인용 오대산 연가 https://music.bugs.c[...] 2020-09-07
[43] 뉴스 ‘줌마지도자상’ 수상 임인옥씨 "봉사하며 새로운 세상 만났죠" http://www.womennews[...] 여성신문 2019-01-21
[44] 뉴스 임인옥 21대 연세대 여자총동창회장 http://www.womennews[...] 여성신문 2019-0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