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플레이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플레이션은 정부가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해 재정 또는 통화 부양책을 사용하는 경제 정책을 의미한다. 이는 세금 감면, 통화 공급 조절, 이자율 조정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디플레이션에서 탈피하여 적정 수준의 인플레이션을 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리플레이션은 과거에는 가격 회복을 의미했지만, 현대에는 불황 이후 경제 회복의 첫 단계로, 고용, 생산량, 소득 증가를 동반한다. 일본의 쇼와 공황, 미국의 대공황 시기에도 활용되었으며, 일본의 아베노믹스에서도 리플레이션 정책이 추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거품경제 - AI 겨울
    AI 겨울은 인공지능 연구에 대한 자금 지원과 관심이 크게 감소했던 시기를 가리키며, 기계 번역의 어려움, 신경망의 한계, 전문가 시스템 문제, 5세대 컴퓨터 실패 등의 요인으로 여러 차례 침체기를 겪었으나, 2000년대 이후 음성 및 이미지 인식 분야에서 성과를 거두며 부흥했고, 2022년 이후 대규모 언어 모델 등장으로 관심과 투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 거품경제 - 1929년 월스트리트 대폭락
    1929년 월스트리트 대폭락은 광란의 20년대 과도한 투기, 신용 거래, 농산물 가격 폭락, 경제 지표 악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 미국 주식 시장의 붕괴로, 세계 대공황의 주요 원인이 되어 미국 경제 침체와 전 세계적인 사회적 불안, 정치적 변화를 야기하고 금융 시스템 개혁 논의를 촉발했다.
  • 인플레이션 - 1973년 석유 파동
    1973년 석유 파동은 욤키푸르 전쟁 이후 OPEC의 석유 생산량 감축과 가격 인상으로 촉발된 세계적인 에너지 위기로, 원유 가격 급등, 인플레이션, 경기 침체를 야기하며 에너지 안보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세계 경제 질서 재편에 영향을 미쳤다.
  • 인플레이션 - 스태그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은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이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1970년대 서구 국가들의 유가 상승, 과도한 통화 공급, 브레튼우즈 체제 붕괴 등으로 발생했으며, 현재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인해 다시 발생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리플레이션
개요
정의경제 정책의 하나로, 디플레이션 상황에서 인위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유발하여 경제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경기 침체 후 경기 회복을 목표로 고안된 정책이다.
일반적으로 정부 또는 중앙은행이 통화 정책이나 재정 정책을 사용하여 수요를 늘리는 것을 포함한다.
특징
목표디플레이션을 극복하고 경제 성장을 촉진하는 것.
인플레이션 목표치를 달성하는 것.
방법금리 인하, 통화 공급 증가 등의 통화 정책
정부 지출 확대, 세금 인하 등의 재정 정책
위험성과도한 인플레이션 유발 가능성
자산 거품 형성 가능성
관련 개념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
양적 완화
역사
어원"re-" (다시)와 "inflation" (인플레이션)의 합성어
"다시 인플레이션 상태로 되돌린다"는 의미를 내포
초기 사용1930년대 대공황 시기에 처음 사용됨
당시, 디플레이션으로 인한 경제 침체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으로 논의됨
경제학적 관점
케인즈 경제학유효 수요를 증가시켜 경제를 활성화하는 것을 강조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 정책을 통해 리플레이션을 추진할 수 있다고 봄
통화주의통화 공급의 조절을 통해 물가 수준을 안정시키는 것을 강조
과도한 통화 공급 증가는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
정책적 활용
중앙은행금리 인하, 양적 완화 등의 통화 정책을 통해 리플레이션을 시도
물가 상승률 목표치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
정부재정 지출 확대, 세금 인하 등의 재정 정책을 통해 리플레이션을 시도
공공 투자 확대, 사회 복지 지출 확대 등을 통해 수요를 창출
비판적 시각
부채 증가정부 부채 증가, 가계 부채 증가 등 부채 문제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비판
자산 거품주식, 부동산 등 자산 가격의 거품을 형성할 수 있다는 비판
불평등 심화자산 보유자와 비보유자 간의 격차를 확대시켜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비판
관련 용어
디스인플레이션 (Disinflation)인플레이션율이 감소하는 현상
디플레이션 (Deflation)물가 수준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
스태그플레이션 (Stagflation)경기 침체와 인플레이션이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
양적 완화 (Quantitative Easing)중앙은행이 시중에 돈을 직접 공급하는 통화 정책

2. 정책

리플레이션은 정부가 국가의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재정 또는 통화 부양책을 사용하는 경제 정책을 의미한다. 이는 세금 감면, 통화 공급 변경, 이자율 조정과 같은 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5]

원래 리플레이션은 경기 침체로 인한 하락 이후 가격을 이전의 바람직한 수준으로 회복시키는 것을 의미했다. 오늘날에는 불황의 끝에서 가격 상승을 경험하기 시작하는 경제 회복의 첫 번째 단계를 설명하기도 한다. 가격 상승과 함께 고용, 생산량 및 소득도 경제가 완전 고용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증가한다.[6]

2. 1. 정책 수단

리플레이션 정책은 정부가 국가의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사용하는 경제 정책으로, 재정 또는 통화 부양책을 통해 이루어진다. 세금 감면, 통화 공급 변경, 이자율 조정 등이 그 방법이다.[5] 현대의 리플레 정책은 불황 시 실업(유휴 자본)을 극복하기 위해 금융 정책 및 재정 정책을 통해 유효 수요를 창출하여 경기 회복을 도모한다.[11] 또한, 디플레이션에서 벗어나면서 높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려는 정책이며, 일반적으로 연 1-2%의 낮은 인플레이션율을 목표로 한다.[12] 이를 위해 "인플레이션 타겟팅 + 무기한 장기 국채 매입 오퍼레이션"을 시행한다.[13][14]

정책의 핵심은 "체제 변화를 통해 '''기대 인플레이션율'''을 상승시키고, 예상 '''실질 금리'''를 낮추는 것"이다.[16] 다나카 히데오미와 아다치 세이지는 디플레이션 탈피를 위해 양적 금융 완화 정책을 중심으로 한 리플레이션 정책이 중요하다고 지적한다.[18] 다나카는 금융 정책과 더불어 적극적인 재정 정책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한다.[19]

리플레 정책의 중심에는 본원 통화를 대폭 증가시키는 것이 있다.[20] 이를 위한 구체적인 정책 수단은 다음과 같다.

정책 수단
법정 지급 준비율 인하[21]
단기 명목 금리 인하[21]
장기 명목 금리 인하 발표 (시간 축 효과)[21]
환율 개입을 통한 통화 가치 하락 (환율 인하)[21]
공개 시장 조작 대상 자산 확대 (외채, 사채, ETF, REIT 등)[21]
인플레이션 타겟팅, 물가 수준 목표 도입[21]
마이너스 금리 도입 (금융 자산, 화폐에 대한 보유세 도입)[21]
소득세, 법인세, 소비세 인하[21]
공공 사업 등 정부 지출 확대[21]
중앙 은행의 국채 인수를 통한 감세 및 정부 지출 확대[21]
정부 지폐 발행[21]


2. 2. 정책 목표

리플레이션은 정부가 국가의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재정 또는 통화 부양책을 사용하는 경제 정책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는 세금 감면, 통화 공급 변경, 또는 이자율 조정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5]

원래 리플레이션은 경기 침체로 인한 하락 이후 가격을 이전의 바람직한 수준으로 회복시키는 것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 오늘날에는 불황의 끝에서 가격 상승을 경험하기 시작하는 경제 회복의 첫 번째 단계를 설명하기도 한다. 가격 상승과 함께 고용, 생산량 및 소득도 경제가 완전 고용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증가한다.[6]

현대적인 리플레이션 정책은 불황 시 설비 미활용 또는 실업 ('''유휴 자본''')을 극복하기 위해 거시 경제 정책 (금융 정책 및 재정 정책)을 통해 유효 수요를 창출하여 경기 회복을 도모하는 한편, 디플레이션에서 벗어나면서 높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려는 정책이다.[11] 보통 연 1~2%의 낮은 인플레이션율을 실현하기 위한[12] "인플레이션 타겟팅 + 무기한 장기 국채 매입"을 의미한다.[13][14] 다만, 무기한 장기 국채 매입은 디플레이션에서 벗어날 때까지만 한시적으로 실시되며, 디플레이션에서 벗어난 후에는 일반적인 인플레이션 타겟팅으로 전환한다.[14] 또한, 인플레이션이 지속되고 디플레이션 탈출이 확실하게 확인된 시점에서 무기한 장기 국채 매입은 종료된다.[14] 과거에는 가격 관리 등의 미시 정책도 있었지만, 현대(2003년)에는 거시 정책에 한정된다.[15]

정책의 주안점은 "체제 변화를 통해 '''기대 인플레이션율'''을 상승시키고, 예상 '''실질 금리'''를 낮추는 것"이다.[16] 예상 인플레이션율에 영향을 주는 금융 정책을 통해 디플레이션에서 벗어나고, 완만한 인플레이션율을 목표로 한다.[17] 다나카 히데오미, 아다치 세이지는 "디플레이션 탈출을 위해서는 양적 금융 완화 정책을 중심으로 한 리플레이션 정책을 통해 사람들의 디플레이션 기대를 없애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18] 또한, 다나카는 "리플레이션 정책에는 금융 정책과 더불어, 그와 일치하는 적극적인 재정 정책이 필수적이다"라고 지적한다.[19] 리플레이션 정책의 중심은 본원 통화를 대폭 증가시키는 것이다.[20]

3. 이론적 배경

리플레이션은 경제가 디플레이션 상황에서 벗어나도록 의도적으로 물가 상승을 유도하는 정책을 말한다. 경제학자 어빙 피셔는 디플레이션이 채무의 실질적 부담을 늘려 경제를 더욱 악화시키는 악순환, 즉 '디플레이션 스파이럴'을 초래한다고 보았다. 그는 이를 막기 위해 리플레이션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24]

폴 크루그먼은 기대 인플레이션율을 양(+)으로 만들어 실질 이자율을 0 이하로 낮출 수 있다고 보았다.[25] 벤 버냉키는 초기에는 높은 인플레이션율을 가진 리플레이션 정책을 펼치고, 이후 낮은 인플레이션 목표로 전환하여 물가 안정을 추구하는 정책을 제안했다.[26]

경제학자 와카타베 마사스미는 리플레이션 정책이 좌파와 친화성이 높다고 지적했다.[27]

3. 1. 어빙 피셔의 디플레이션 이론

이러한 관점에서 리플레이션은 장기적인 추세선 "이상"의 인플레이션과 대조되는 반면, 리플레이션은 가격 수준이 추세선 "이하"로 떨어졌을 때의 회복을 의미한다.[3][4] 예를 들어, 인플레이션이 3%의 속도로 진행되다가 1년 동안 0%로 떨어졌다면, 다음 해에는 장기적인 추세에 따라잡기 위해 6%의 인플레이션(실제로는 복리 계산으로 6.09%)이 필요하다. 이 정상보다 높은 인플레이션은 장기적인 추세를 초과하지 않고 추세로의 복귀이기 때문에 리플레이션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구분은 경제와 물가 수준에서 장기적인 성장이 있는 경제 성장이 지속 가능하고 바람직하다는 이론에 근거한다. 디스인플레이션이 높은 인플레이션에 대한 허용 가능한 해독제로 간주되는 것처럼, 리플레이션은 디플레이션에 대한 해독제로 간주된다(인플레이션과 달리 디플레이션은 그 규모에 관계없이 나쁜 것으로 간주된다).

리플레이션은 또한 수정 이후 독점적인(과도한) 가격 경로로의 복귀를 설명하기 위해 법경제학에서 사용되기도 한다. 인플레이션은 이전 수준을 넘어선 가격의 팽창으로 간주될 수 있는 반면, 리플레이션은 이전 가격 책정 전략으로의 복귀를 설명할 수 있다.

리플레이션이라는 단어의 첫 등장은 영국의 이코노미스트(The Economist)지 1932년 2월 13일호의 「'리플레이션'인가 파탄인가」(’Reflation’ or Bankruptcy)라는 기사이다.[22] 다나카 히데오미는 "'리플레이션'은 미국의 경제학자인 어빙 피셔가 제창한 단어이다"라고 언급하고 있다.[23] 피셔는 디플레이션이 채무의 실질적 부담 증가를 통해 더욱 디플레이션을 초래한다고 보았고, 경기 자동 회복이 불가능해지는 디플레이션 스파이럴을 우려하여, 리플레이션 정책에서 공황으로부터의 탈출구를 찾았다.[24]

2013년 현재의 인플레이션 목표를 핵심으로 하는 리플레이션 정책은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국제 경제·경제 지리 전문)인 폴 크루그먼이 제창했다.[25] 크루그먼은 기대 인플레이션율을 양(+)으로 하면 실질 이자율을 0 이하로 만들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25]

벤 버냉키는 정책을 시작하는 시점에서, 다소 높은 인플레이션율의 리플레이션 정책과 그 후의 물가 안정을 목표로 하는 낮은 인플레이션 목표의 양쪽에 커밋함으로써, 중앙 은행이 시장에 의도를 전달하고 시장의 인플레이션 기대를 활용하는 정책을 제안했다.[26]

경제학자 와카타베 마사스미는 "리플레이션 정책은 좌파와 매우 친화성이 있다"라고 지적했다.[27]

3. 2. 폴 크루그먼의 리플레이션 정책

폴 크루그먼은 기대 인플레이션율을 양(+)으로 하면 실질 이자율을 0 이하로 만들 수 있다고 지적했다.[25] 2013년 현재의 인플레이션 목표를 핵심으로 하는 리플레이션 정책은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국제 경제·경제 지리 전문)인 폴 크루그먼이 제창했다.[25]

3. 3. 벤 버냉키의 정책 제안

벤 버냉키는 정책 시작 시점에서 다소 높은 인플레이션율의 리플레이션 정책과 그 후의 물가 안정을 목표로 하는 낮은 인플레이션 목표 양쪽에 전념함으로써, 중앙은행이 시장에 의도를 전달하고 시장의 인플레이션 기대를 활용하는 정책을 제안했다.[26]

3. 4. 실업 및 임금과의 관계

이와타 키쿠오에 따르면, 리플레이션 정책은 수요 부족으로 발생하는 디플레이션을 극복하고, 완전 고용(인플레이션 비가속적 실업률)을 달성하기 위한 정책이다.[28] 또한, 이와타는 리플레이션 정책을 통해 고용 회복과 임금 상승을 동반하는 경기 회복을 목표로 하며, 이는 노동자 전체에게 혜택을 가져다주는 정책이라고 지적한다.[16]

다카하시 요이치는 리플레이션 옹호론자들이 디플레이션의 폐해에 대해 명목 임금의 하방 경직성을 문제시한다고 지적한다. 명목 임금이 하방 경직적이므로 디플레이션이 되면 실질 임금이 상승하고 정규직은 이득을 보지만, 신규 고용자는 불리해져 실업률이 높아질 것을 우려한다는 것이다.[30][31]

이시바시 탄잔은 총수요 조절을 통해 실업을 해소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32] 또한, 물가 상승으로 리플레이션이 실현되면 노동자에게 구매력이 창출되며, 물가 상승분만큼 임금이 오르면 1인당 노동자의 상태는 변하지 않지만, 고용 증가로 실업이 줄어들어 노동자 전체의 구매력은 상승한다고 설명한다.[33]

하마다 코이치는 물가가 올라도 국민의 임금은 바로 오르지 않는다고 말한다. 필립스 곡선에서 볼 수 있듯, 명목 임금에는 경직성이 있어 기대 인플레이션율이 오르면 실질 임금은 일시적으로 하락하고, 그 때문에 고용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완만한 물가 상승 속에서 실질 소득 증가로 이어진다고 설명한다. 즉, 고용된 사람들이 실질 임금 측면에서 조금씩 참으면서 실업자를 줄이고 생산을 늘려 안정적인 경기 회복으로 이어지며, 국민 생활이 전체적으로 풍요로워지는 것이 리플레이션 정책이라고 말한다.[34][35]

하마다는 리플레이션 정책으로 임금을 늘리라는 주장은 틀렸다고 지적하며, 명목 임금이 오르면 기업 수익이 늘지 않아 고용이 늘지 않고, 인플레이션 정책의 의미가 없어진다고 말한다.[34] 그러나 수익이 오르는 기업이 여력으로 임금 인상을 하는 것은 문제가 아니며, 이는 총수요에 긍정적인 효과를 낳는다고 지적한다.[37]

4. 한국

일본에서는 아베 신조 총리의 경제 정책인 "아베노믹스"를 통해 리플레이션 정책이 추진되었다[38][39][40]. 일본은행의 금융 정책 방향은 인플레이션 목표 정책, 양적 완화 등 리플레이션 정책을 따르고 있으며[41][42], 미쓰비시UFJ 리서치 & 컨설팅의 이코노미스트 카타오카 타케시는 이를 획기적인 혁신이라고 평가했다[43]. 반면, 오기우에 치키는 일본 언론의 8할 정도가 리플레이션 정책을 비판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44].

4. 1. 아베노믹스와 리플레이션 파

아베 신조 일본 총리대신의 경제 정책인 "아베노믹스"에서 아베에게 금융 정책을 조언해 온 "리플레이션 파[38][39]" 경제학자와 국회의원들이 주목받고 있다[40]. 다나카 히데토미는 "현재(2015년)의 일본은행 금융 정책 방향은 인플레이션 목표 정책, 양적 완화 등 리플레이션 정책 그 자체이다[41]", "아베노믹스는 적극적으로 리플레이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42]"라고 지적했다.

미쓰비시UFJ 리서치 & 컨설팅의 이코노미스트이자 이후 일본은행 정책위원회 심의위원이 된 카타오카 타케시는 "2013년에 아베 정권이 리플레이션 정책을 채택한 것은 획기적인 혁신이라고 할 수 있다. 세계 경제학에서는 주류이지만 일본 학계에서는 소수파인 정책을, 정권이 구체적인 수치 목표를 도입하고 각국의 중앙은행과 협조했다. 디플레이션 문제를 20년 이상 주장하며 일본은행을 비판해 온 이와타 키쿠오가 부총재로 취임하여 일본은행 내부에 들어갔다. 이것은 놀라운 일이다"라고 지적했다[43].

한편 오기우에 치키는 "일본에서는 8할 정도의 미디어가 리플레이션 정책을 비판하는 인상이다"라고 지적했다[44].

4. 2. 리플레이션 정책 논쟁

리플레이션은 정부가 국가의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재정 또는 통화 부양책을 사용하는 경제 정책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는 세금 감면, 통화 공급 변경, 또는 이자율 조정과 같은 방법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5]

아베 신조 내각총리대신의 경제 정책인 "아베노믹스"에서는 아베에게 금융 정책을 조언해 온 "리플레이션 파[38][39]" 경제학자와 국회의원들이 주목받고 있다.[40] 다나카 히데토미는 "현재(2015년)의 일본은행 금융 정책 방향은 인플레이션 목표 정책, 양적 완화 등 리플레이션 정책의 메뉴 그 자체이다[41]", "아베노믹스는 적극적으로 리플레이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42]"라고 지적했다.

미쓰비시UFJ 리서치 & 컨설팅의 이코노미스트이자 이후 일본은행 정책위원회 심의위원이 된 카타오카 타케시는 "2013년에 아베 정권이 리플레이션 정책을 채택한 것은 획기적인 혁신이라고 할 수 있다. 세계 경제학에서는 주류이지만 일본 학계에서는 소수파인 정책을, 정권이 구체적인 수치 목표를 도입하고 각국의 중앙은행과 협조했다. 디플레이션 문제를 20년 이상 주장하며 일본은행을 비판해 온 이와타 키쿠오가 부총재로 취임하여 일본은행 내부에 들어갔다. 이것은 놀라운 일이다"라고 지적했다.[43]

한편 오기우에 치키는 "일본에서는 8할 정도의 미디어가 리플레이션 정책을 비판하는 인상이다"라고 지적했다.[44]

화폐수량설을 기본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이 학설만으로는 불충분하다고 보는 리플레이션주의자들이 많다.[48] 이와타 키쿠오는 "'화폐 공급량이 증가하면 물가가 상승한다'는 단순한 관계는 실제로는 반드시 존재하지 않는다" "'화폐수량설'은 1년과 같은 단기에서는 반드시 성립하지 않지만, 5-10년 정도의 장기로 보면 거의 성립하고 있다"라고 지적하고 있다.[49]

다나카 히데토미는 "전통적인 화폐수량설은 단기에는 성립하지 않는다. 디플레이션 탈피를 위한 인플레이션 목표는 장기적으로 화폐수량설이 성립하면 된다"라고 지적하고 있다.[50]

이와타 키쿠오는 "리플레이션주의자는 돈을 매우 중시하고 있지만, '화폐가 늘어나면 인플레이션이 된다'는 소박한 화폐수량설을 주장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51]

5. 역사

리플레이션이라는 단어는 1932년 2월 13일 영국의 이코노미스트지에 처음 등장했다.[22] 다나카 히데오미는 미국의 경제학자 어빙 피셔가 이 단어를 제창했다고 언급한다.[23] 피셔는 디플레이션이 채무 부담을 늘려 더 심한 디플레이션을 초래한다고 보았고, 경기 회복이 불가능해지는 디플레이션 악순환을 우려하여 리플레이션 정책에서 해결책을 찾았다.[24]

2013년 현재, 인플레이션 목표를 핵심으로 하는 리플레이션 정책은 폴 크루그먼이 제창했다.[25] 크루그먼은 기대 인플레이션율을 양(+)으로 하면 실질 이자율을 0 이하로 낮출 수 있다고 주장했다.[25]

벤 버냉키는 정책 시작 시점에 다소 높은 인플레이션율의 리플레이션 정책과 이후 물가 안정을 위한 낮은 인플레이션 목표를 함께 제시하여, 중앙은행이 시장에 의도를 전달하고 시장의 인플레이션 기대를 활용하는 정책을 제안했다.[26]

경제학자 와카타베 마사스미는 리플레이션 정책이 좌파와 친화성이 높다고 지적했다.[27] 아베 신조의 경제 정책 아베노믹스에서 아베에게 금융 정책을 조언한 "리플레이션 파"[38][39] 경제학자와 국회의원들이 주목받았다.[40] 다나카 히데토미는 현재(2015년) 일본은행 금융 정책 방향은 인플레이션 목표 정책, 양적 완화 등 리플레이션 정책 그 자체이며,[41] 아베노믹스가 적극적으로 리플레이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42]

미쓰비시UFJ 리서치 & 컨설팅 이코노미스트이자 이후 일본은행 정책위원회 심의위원인 카타오카 타케시는 2013년 아베 정권의 리플레이션 정책 채택을 획기적인 혁신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세계 경제학에서는 주류지만 일본 학계에서는 소수파인 정책을 정권이 구체적인 수치 목표를 도입하고 각국 중앙은행과 협조했으며, 20년 이상 디플레이션 문제를 주장하며 일본은행을 비판해 온 이와타 키쿠오가 부총재로 취임한 것을 놀라운 일이라고 언급했다.[43]

반면 오기우에 치키는 일본에서 8할 정도의 미디어가 리플레이션 정책을 비판하는 인상이라고 지적했다.[44] 다나카 히데토미는 인플레이션율 2%를 2년 정도 지속하면 불황으로 인한 실업이 해소되고 임금도 오르며, 엔화 약세로 일본 수출 산업이 부활하고 세수가 늘어 생활 보호비를 삭감할 필요도 없어진다고 말했다.[12]

다카하시 요이치는 인플레이션 목표를 설정하고 돈을 늘리는 '리플레이션 정책'을 실시하면 예상 인플레이션율이 즉시 상승하며, 불황일 때는 명목 금리보다 예상 인플레이션율이 더 빨리 상승하여 실질 금리가 하락한다고 지적했다.[52] 또한 리플레이션 정책은 노사가 분배해야 할 몫을 확대하여 분배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만, 거시 정책이므로 미시적인 분배 문제는 개별 경제 주체의 협상에 맡길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31]

하지만 이러한 학자들의 의견을 무시하고 증세를 강행하여, 2019년 10월까지 인플레이션이라고 할 수 있는 물가 상승은 일어나지 않았다.

5. 1. 에도 시대

에도 시대 중기에 도쿠가와 요시무네가 실시한 긴축 재정(교호 개혁)으로 인해 일본 경제는 디플레이션에 빠졌다[81]。 이에 마치 부교인 오오카 타다스케, 오규 소라이의 제안을 받아들여 정책을 전환하고, 1736년 (겐분 원년) 5월에 '''원문 개주'''를 실시했다. 개주는 차익을 얻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 순수하게 통화 공급량을 늘리는 것이 목적이었다. 개주 시 신구 통화 교환 시 금화 100냥에 대해 65냥, 은화 10관에 대해 5관의 증보가 지불된 것으로 보아, 통화 공급량 증가가 주된 목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신보 히로시는 "개주 이익금을 희생하여 신화의 유통을 촉진하려는 방향이었다"고 말했다[109]。 원문 통화는 이후 80년 동안 안정세를 유지했지만, 통화량이 팽창하면서 갤로핑 인플레이션을 초래하는 결과를 낳았다[110]

'''겐분 개주'''는 막부 최초의 리플레이션 정책으로 간주되며, 일본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몇 안 되는 개주라고 적극적으로 평가하는 설[55]이 있는 한편, 실질 화폐 유통량은 감소하고, 1740년 이후 완만하게 상승하는 데 그쳐, 겐분 개주의 리플레이션 효과는 그다지 효과가 없다는 설도 있다[56]

경제학자 이이다 야스유키는 도쿠가와 요시무네는 정책 방침을 전환하여, 취임 20년째에는 소판의 금 함유량을 줄여 유통량을 늘리는 금융 완화 정책을 시행했다[57]。 그 일은 요시무네가 명군으로 칭송받는 데 일조했다고 한다[57]

5. 2. 쇼와 공황과 다카하시 재정

하마구치 오사치 내각의 이노우에 준노스케 재무대신이 주도한 금 해금으로 금 본위제로 복귀한 일본은, 세계 대공황에도 휘말려 쇼와 공황이라 불리는 심각한 디플레이션 불황에 빠졌다.(1930년-1931년 11월의 소비자 물가는 -10.8%[111]) 특히 농산물 가격 하락이 심각하여 농촌의 생활이 파괴되었다.[112] 이시바시 단잔과 다카하시 기메키치 등은 이노우에의 재정을 비판하고, 인플레이션 유도를 통한 디플레이션 불황 극복을 주장했다. 이들은 인플레이션 유도라는 말 대신 '''리플레이션'''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이누카이 쓰요시 내각이 성립하고 재무대신으로 취임한 다카하시 고레키요는, 사실상의 리플레이션 정책을 단행한다.

금 수출 재금지 후, 전년 대비 10%의 디플레이션이 빠르게 종식되고, 국채의 일본은행 인수 시작 2개월 전부터 3% 전후의 인플레이션으로 급변했다.[113] 일본은행(일은) 인수를 통해 시장에 대량의 돈을 공급하여 금융 완화를 추진했다. 또한 자본 유출과 환율을 통제했다.

금 수출 재금지 직전인 1931년 12월 12일 오사카 마이니치 신문은 인플레이션 공포를 부추기는 기사를 냈다.[114]

1932년 다카하시 재정이 본격화되자, 신문은 리플레이션 정책에 의한 경기 회복을 "거품 경기"라고 경계했지만, 일본은행의 금리 인하, 대장성 채권·정부 공채의 일본은행 인수 등 금융 정책에 의한 경기 회복이 본격화되자 "거품 경기" 경계는 크게 후퇴했다.[115]

1935년 오카다 게이스케 내각의 재무대신 시절 다카하시는 공채 점감 방침을 내걸고 군사비 삭감에 나서 재정 재건에 착수했다.[116] 그 때문에 다카하시는 군부에 의해 1936년 2월 26일에 암살된다(2·26 사건). 다나카 히데토미는 "병사들은 리플레이션 정책에 의한 경기 회복의 과실이 자신들의 출신 계층·지역에 미칠 때까지 기다릴 수 없었다"고 지적한다.[117]

다카하시 재정의 1932-1933년도 군사 지출은 전년 대비 40-60% 증가했지만, 1934-1935년도에는 10%대 증가로 낮아졌다.[118] 2·26 사건 후에는 군사 지출은 전년 대비 20-40% 증가했다.[118]

다카하시에 의해 만들어진 거시 경제 정책의 틀은 리플레이션에 의한 경기 회복이라는 본래 목적에서 벗어나 제2차 세계 대전 군사비 조달이라는 색채를 더해 갔다.[119] 그 후 일본은행의 국채 인수는 악용되어 인플레이션이 심해졌다.[20] 2·26 사건 이후, 인플레이션율은 10%대에 상승하여 국민의 소비 생활은 빈곤해졌다.[120]

1939년 가격 등 통제령이 발동되어 물가는 상공성 산하 가격 형성 위원회에 의해 결정되었지만, 암시장 형성을 초래했다. 1940년 인플레이션율은 16%가 되었다.

일본 은행 조사에 따르면, 1934-1936년 소비자 물가 지수를 1로 할 때, 1954년은 301.8로 8년간 물가가 약 300배가 되었다.[121] 이 인플레이션의 원인은 전시 국채, 종전 후 군인 퇴직금 지급 등을 위한 국채의 일본 은행 직접 인수라고 여겨진다.[121] 제2차 세계 대전 중 발행한 전시 국채는 디폴트는 하지 않았지만, 전전비 3배의 전시 인플레이션에 의해 거의 휴지 조각이 되었다.[122] 1947년 인플레이션율(소비자 물가 지수)은 125%에 달했다.[120]

5. 3. 미국

1933년 디플레이션을 극복하기 위해 미국에서는 공화당에서 민주당으로 정권이 교체되면서 과감한 리플레이션 정책이 채택되었고, 약 6개월 만인 1933년 중반 경에 디플레이션에서 벗어났다.[123]

1936년 8월, 미국은 출구 전략에 착수하여 3번에 걸쳐 단계적으로 양적 완화 정책을 해제했다.[123] 그러나 1937년, 출구 전략의 여파로 미국 경제는 대공황에 버금가는 심각한 디플레이션을 겪게 되었다.[123] 금융 긴축으로 인해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은 중소기업들이 파산하면서 디플레이션이 심화되었고, 이러한 일련의 실패는 "1937년의 비극"으로 불리며 미국 경제학자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다.[123]

참조

[1] 웹사이트 Report: Reflation Risk https://www.goldmans[...] Goldman Sachs 2021-04-07
[2] 웹사이트 What is reflation? Definition and meaning https://marketbusine[...] 2021-06-08
[3] 웹사이트 Position for reflation https://www.ubs.com/[...] UBS 2021-06-08
[4] 웹사이트 What is a 'reflation trade' and why is it important to investing? https://www.smh.com.[...] 2021-02-23
[5] 웹사이트 Global Reflation Continues https://www.morganst[...] Morgan Stanley 2017-03
[6] 웹사이트 The Reflation Trade: What Is It? https://www.bdfllc.c[...] BDF LLC (BDF) 2021-01-14
[7] 웹사이트 リフレーション https://kotobank.jp/[...] 2024-06-17
[8] 서적 2009年版 経済新語辞典 日本経済新聞社 2008
[9] 서적 体系経済学辞典 東洋経済新報社 1975
[10] 웹사이트 青木孝義『貨幣論』日本大学出版部、1936年 https://dl.ndl.go.jp[...] 2017-12-10
[11] 문서 金森&荒&森口(2002) 2013-03
[12] 뉴스 リフレ政策 評価 田中秀臣・上武大教授 「アベノミクス」支持 http://www.tokyo-np.[...] 東京新聞 群馬(TOKYO Web) 2013-03-07
[13] 서적 昭和恐慌の研究 東洋経済新報社 2004
[14] 웹사이트 「二つの悪」の悪い方と戦う -- リフレーション政策と政策ゲームの変更 http://synodos.jp/ec[...] SYNODOS 2012-12-11
[15] 서적 エコノミスト・ミシュラン 太田出版 2003
[16] 웹사이트 終わりの始まりか、始まりの終わりか -- アベノミクスの今後 http://synodos.jp/ec[...] 2013-05-31
[17] 웹사이트 最先端を行く「リフレ・レジーム」〔1〕 http://shuchi.php.co[...] 2013-06-20
[18] 서적 平成大停滞と昭和恐慌〜プラクティカル経済学入門 NHK出版 2003
[19] 서적 デフレ不況 日本銀行の大罪 朝日新聞出版 2010
[20] 웹사이트 「高橋財政」に学び大胆なリフレ政策を――昭和恐慌以上の危機に陥らないために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オンライン 2009-06-16
[21] 서적 デフレ不況 日本銀行の大罪 朝日新聞出版 2010
[22] 서적 昭和恐慌の研究 東洋経済新報社 2004
[23] 웹사이트 【田中秀臣氏インタビュー】日本をデフレから救うのは、凡庸だが最良の処方箋の「リフレ政策」 『デフレ不況 日本銀行の大罪』著者 田中秀臣氏インタビュー http://www.sbbit.jp/[...] ソフトバンク ビジネス+IT 2010-09-10
[24] 서적 エコノミスト・ミシュラン 太田出版 2003
[25] 서적 It's baaack! クルーグマン教授の<ニッポン>経済入門 2003
[26] 서적 デフレ不況 日本銀行の大罪 朝日新聞出版 2010
[27] 서적 日本経済は復活するか 藤原書店 2013
[28] 서적 昭和恐慌の研究 東洋経済新報社 2004
[29] 서적 昭和恐慌の研究 東洋経済新報社 2004
[30] 뉴스 “ネット増税”で景気動向は悪化している https://diamond.jp/a[...] ダイヤモンド・オンライン 2014-08-08
[31] 뉴스 【日本の解き方】あぶり出されたブラック労働 デフレ脱却の金融政策が光明(1/2ページ) https://www.zakzak.c[...] ZAKZAK 2014-08-08
[32] 서적 昭和恐慌の研究 東洋経済新報社 2004
[33] 서적 昭和恐慌の研究 東洋経済新報社 2004
[34] 웹사이트 浜田宏一・内閣官房参与 核心インタビュー 「アベノミクスがもたらす金融政策の大転換 インフレ目標と日銀法改正で日本経済を取り戻す」 https://diamond.jp/a[...] ダイヤモンド・オンライン 2013-01-20
[35] 웹사이트 「白川総裁は誠実だったが、国民を苦しめた」 浜田宏一 イェール大学名誉教授独占インタビュー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オンライン 2013-02-08
[36] 서적 日本経済は復活するか 藤原書店 2013
[37] 서적 日本経済は復活するか 藤原書店 2013
[38] 뉴스 【WSJで学ぶ経済英語】第74回 リフレ派 http://jp.wsj.com/ar[...] WSJ.com 2013-03-18
[39] 뉴스 「アベノミクス」めぐり真っ向対立するリフレ派とデフレ派+(1/3ページ) https://web.archive.[...] 産経新聞社 2013-03-03
[40] 뉴스 アベノミクスで脚光浴びるリフレ派、日銀総裁人事で影響力も http://www.bloomberg[...] Bloomberg 2013-03-03
[41] 뉴스 日銀、消費増税による深刻な課題克服に向け追加金融緩和か 無責任な素人審議委員は一掃せよ https://biz-journal.[...] ビジネスジャーナル 2015-02-05
[42] 서적 日本経済復活が引き起こすAKB48の終焉 主婦の友社 2013
[43] 웹사이트 消費税増税を延期しなければ、この国は瓦解していた / 『日本経済はなぜ浮上しないのか』著者・片岡剛士氏インタビュー http://synodos.jp/ne[...] SYNODOS -シノドス- 2014-12-06
[44] 웹사이트 政治と経済の失われた20年 -- データから語る日本の未来 片岡剛士×菅原琢×荻上チキ +飯田泰之 https://archive.is/2[...] SYNODOS -シノドス- 2013-02-18
[45] 웹사이트 リフレ政策とは何か? -- 合理的期待革命と政策レジームの変化 http://synodos.jp/ec[...] SYNODOS 2013-03-03
[46] 서적 昭和恐慌の研究 東洋経済新報社 2004
[47] 서적 震災恐慌!〜経済無策で恐慌がくる! 宝島社 2011
[48] 뉴스 アベノミクスがよく分かる GWに読みたい経済書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3-04-27
[49] 서적 デフレの経済学 東洋経済新報社 2001
[50] 서적 エコノミスト・ミシュラン 太田出版 2003
[51] 웹사이트 岩田日銀副総裁 2%のインフレ目標を達成する覚悟<講演編> http://shuchi.php.co[...] PHPビジネスオンライン 衆知 2013-12-13
[52] 웹사이트 インタビュー 金利上昇で騒ぐ「頭の悪い」人たち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オンライン 2013-07-02
[53] 서적 昭和恐慌の研究 東洋経済新報社 2004
[54] 서적 昭和恐慌の研究 東洋経済新報社 2004
[55] 웹사이트 貨幣の散歩道 第27話 米将軍吉宗と元文の改鋳 http://www.imes.boj.[...] 日本銀行金融研究所貨幣博物館 2013-03-03
[56] 서적 日本経済史 2:近代成長の胎動 岩波書店 1989
[57] 뉴스 Excite Bit コネタ(1/3) 名君・徳川吉宗は経済オンチだった!? https://www.excite.c[...] エキサイトニュース 2014-08-13
[58] 웹사이트 高橋是清のインフレ政策で昭和恐慌から脱出(1931-32年) https://diamond.jp/a[...] ダイヤモンド・オンライン 2013-03-03
[59] 서적 日本経済は復活するか 藤原書店 2013
[60] 웹사이트 最先端を行く「リフレ・レジーム」〔2〕 http://shuchi.php.co[...] PHPビジネスオンライン 衆知 2013-06-21
[61] 서적 図解経済学者バトルロワイヤル ナツメ社 2011
[62] 웹사이트 “給料半減”時代の経済学 http://shuchi.php.co[...] PHPビジネスオンライン 衆知 2013-03-03
[63] 문서 田中(2008)
[64] 뉴스 インタビュー:復興国債、増税での財源確保は逆効果=岩田・学習院大教授 http://jp.reuters.co[...] ロイター 2013-03-03
[65] 서적 平成大停滞と昭和恐慌〜プラクティカル経済学入門 NHK出版 2003
[66] 서적 エコノミスト・ミシュラン 太田出版 2003
[67] 서적 経済政策を歴史に学ぶ ソフトバンククリエイティブ 2006
[68] 서적 経済政策を歴史に学ぶ ソフトバンククリエイティブ 2006
[69] 문서 田中(2008)
[70] 문서 高橋(1981)
[71] 문서 田中(2008)
[72] 서적 デフレ不況 日本銀行の大罪 朝日新聞出版
[73] 서적 エコノミスト・ミシュラン 太田出版
[74] 웹사이트 連載/石橋湛山を語る http://www.toyokeiza[...] 東洋経済新報社
[75] 서적 昭和恐慌の研究 東洋経済新報社
[76] 서적 日本経済は復活するか 藤原書店
[77] 웹사이트 "民主党は""官僚のオルタナティブ""を在野に求めよ" 荻上チキ×片岡剛士 http://blog.livedoor[...] 2010-09-29
[78] 웹사이트 なぜリフレ派は消費増税に反対なのか? / 矢野浩一 / 応用統計学 http://synodos.jp/ec[...] 2014-12-10
[79] 서적 平成大停滞と昭和恐慌〜プラクティカル経済学入門 NHK出版
[80] 서적 エコノミスト・ミシュラン 太田出版
[81] 웹사이트 野口旭の「ケイザイを斬る! 」 第2回 「構造」なる思考の罠 https://web.archive.[...] 2005-12-02
[82] 뉴스 黒田日銀の政策発動期待、消費増税に大きな心配ない=浜田内閣官房参与 https://jp.reuters.c[...] Reuters 2013-11-15
[83] 서적 エコノミスト・ミシュラン 太田出版
[84] 서적 エコノミスト・ミシュラン 太田出版
[85] 뉴스 高橋洋一の霞ヶ関ウォッチ 円安で「外為特会、10兆円以上の含み益」 2015年の課題は「いかに国民へ還元するか」 https://www.j-cast.c[...] J-CASTニュース 2014-12-25
[86] 서적 雇用大崩壊 失業率10%時代の到来 NHK出版
[87] 서적 雇用大崩壊 失業率10%時代の到来 NHK出版
[88] 서적 日本経済は復活するか 藤原書店
[89] 서적 エコノミスト・ミシュラン 太田出版
[90] 서적 アベノミクスの真相 中経出版
[91] 서적 リフレはヤバい ディスカヴァー・トゥエンティワン
[92] 간행물 物価と期待Ⅱ http://www.nikko-res[...] 日興リサーチセンター 2017-04-20
[93] 서적 希望を捨てる勇気-停滞と成長の経済学 ダイヤモンド社
[94] 뉴스 白川総裁と波長が合いそう? 日銀審議委員候補の池尾教授 https://diamond.jp/a[...] ダイヤモンド・オンライン 2008-06-12
[95] 뉴스 賢者の知恵 話題の本の著者に小幡 績 「アベノミクス」は若者を苦しめる。 礼賛するわけにはいきません。 https://gendai.media[...] 現代ビジネス フライデー 2013-05-01
[96] 뉴스 インタビュー:デフレ、金融政策だけで克服困難=斉藤一橋大院教授 http://jp.reuters.co[...] ロイター 2013-04-05
[97] 논문 「リフレ派」の「理論」と QQE の時期の為替相場の規定諸要因 http://www.ritsumei.[...] 2017-06
[98] 뉴스 金融の不均衡を増す異次元緩和は問題が多い(翁邦雄・元日銀金融研究所長) http://globe.asahi.c[...] 朝日新聞 2018-02-06
[99] 뉴스 自然利子率を低下させる副作用=白井さゆり〔出口の迷路〕金融政策を問う(4) http://www.weekly-ec[...] 週刊エコノミスト 2017-10-31
[100] 간행물 「異次元金融緩和」とアベノミクスの行方 http://www.fujitsu.c[...] 富士通総研 2013-06-26
[101] 논문 The IS-LM Model and the Liquidity Trap Concept: From Hicks to Krugman
[102] 서적 さっさと不況を終わらせろ 早川書房
[103] 서적 金融緩和の罠 集英社
[104] 간행물 「アベノミクス」の金融緩和 は、デフレ脱却への道筋とはならない 2013-03
[105] 서적 デフレーション 日本経済新聞社
[106] 뉴스 高橋洋一の俗論を撃つ! 「日銀理論」の背景にある「貨幣数量理論は成り立たない」を検証する https://diamond.jp/a[...] ダイヤモンド・オンライン 2013-03-21
[107] 웹사이트 オリンピック百兆円の効果はマズい+『POSSE』のリフレ批判記事について http://matsuo-tadasu[...] 松尾匡 2013-10-14
[108] 웹사이트 復活だぁっ! 日本の不況と流動性トラップの逆襲 https://cruel.org/kr[...] ポール・クルーグマン 2013-10-14
[109] 서적 日本経済史 1:経済社会の成立 17-18世紀 岩波書店 1988
[110] 서적 江戸の貨幣物語 東洋経済新報社 1996
[111] 서적 昭和恐慌の研究 東洋経済新報社 2004
[112] 서적 昭和恐慌の研究 東洋経済新報社 2004
[113] 서적 昭和恐慌の研究 東洋経済新報社 2004
[114] 서적 昭和恐慌の研究 東洋経済新報社 2004
[115] 서적 昭和恐慌の研究 東洋経済新報社 2004
[116] 웹사이트 2.26事件で暗殺された高橋是清への高い評価(1933年) https://diamond.jp/a[...] ダイヤモンド・オンライン 2013-03-03
[117] 서적 経済政策を歴史に学ぶ ソフトバンククリエイティブ 2006
[118] 서적 デフレ不況 日本銀行の大罪 朝日新聞出版 2010
[119] 서적 昭和恐慌の研究 東洋経済新報社 2004
[120] 서적 昭和恐慌の研究 東洋経済新報社 2004
[121] 서적 デフレ不況 日本銀行の大罪 朝日新聞出版 2010
[122] 서적 日本経済50の大疑問 講談社 2002
[123] 뉴스 安達誠司「講座: ビジネスに役立つ世界経済」 【第5回】 〜近くて遠い米国出口政策 1937年の教訓とは?〜 https://gendai.media[...] 現代ビジネス 2013-05-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