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딩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만딩어는 말리 제국의 중심지였던 만데 지역에서 유래한 언어로,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사용된다. 만딩어는 서부 만딩어와 동부 만딩어로 나뉘며, 각 하위 분류에는 여러 방언이 존재한다. 만딩어는 아랍 문자, 라틴 문자, 은코 문자를 포함한 다양한 표기 체계를 사용하며, 교육 분야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감비아의 언어 - 만딩카어
만딩카어는 서부 만데어군에 속하는 만데어족 언어로, 라틴 문자와 아랍 문자를 사용하며, 5모음 체계와 고저 성조를 가지지만 지역에 따라 높낮이 강세 체계로 변화하기도 한다. - 감비아의 언어 - 월로프어
월로프어는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1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로, 니제르콩고어족에 속하며, 라틴 문자와 볼로팔 표기법을 사용하고, 시제 대신 동작의 상을 중심으로 표현하는 문법적 특징을 가진다. - 코트디부아르의 언어 - 줄라어
줄라어는 코트디부아르 북부와 부르키나파소 서부에서 사용되는 만딩어군의 언어로, 상인들의 링구아 프랑카 역할을 하며 밤바라어와 유사하고 다양한 문자 체계로 표기된다. - 코트디부아르의 언어 - 밤바라어
밤바라어는 만데어족에 속하며 약 910만 명이 서아프리카 7개국에서 사용하는 언어로, 2023년 말리 공용어 지위를 획득했고, 라틴 문자, 아랍 문자, 응코 문자 등으로 표기되며 주어-목적어-동사(SOV) 어순을 가진다. - 라이베리아의 언어 - 마닝카어
마닝카어는 기니 중앙 고원에서 사용되며, 자음과 모음 체계, 4가지 성조를 가지고 로마자를 공식 표기법으로 사용하는 언어이다. - 라이베리아의 언어 - 크루멘어
크루멘어는 코트디부아르에서 사용되며 테포, 프예, 플라포의 세 가지 방언으로 나뉘고, 플라포 방언은 사멸 위기에 놓여 있으며 코트디부아르 실용 철자법을 따른다.
만딩어 | |
---|---|
개요 | |
명칭 | 만딩어 |
다른 이름 | 만덴어 |
사용 지역 | 서아프리카 |
화자 수 | 약 913만 4300명 (2017–2021년 추정) |
언어 분류 | |
어족 | 니제르-콩고 어족 (미확인) |
어파 | 만데 어파 |
어군 | 서부 만데 어군 |
하위 분류 | 중부 만데 어군 만딩-조고 어군 만딩-바이 어군 만딩-모콜레 어군 |
하위 언어 | 동부 만딩어 서부 만딩어 |
언어 코드 | |
ISO 639-3 | man |
Glottolog | mand1435 |
2. 명칭
'만딩'이라는 명칭은 역사적으로 말리 제국의 중심지였던 "Manding region|만데영어" 지역에서 유래했다.[7] '만데'에 사람을 뜻하는 접미사 '-ka'가 붙어 '만데인'을 의미하는 'Mandenka'가 되었다.[7] 이후 포르투갈 항해사들이 이 언어와 화자를 대략적으로 "Mandenka"라고 부르기 시작했고, 잉글랜드 상선대가 "Mandingo"라는 명칭을 퍼뜨렸다.[8] 프랑스어에서는 17세기의 ''"Vocabulaires Guiolof, Mandingue, Foule, Sarakolé, Séraire, Bagnon et Floue"''라는 제목의 문서에서 처음 사용되었다.[8]
만딩어는 크게 서부 만딩어와 동부 만딩어로 나뉜다. 이러한 구분은 주로 음운적 특징, 특히 모음 체계의 차이에 기반한다.[13] 서부 만딩어는 일반적으로 5개의 모음을 가지는 반면, 밤바라어로 대표되는 동부 만딩어는 7개의 모음을 가진다.[13]
이러한 언어를 학술적으로 설명하려는 시도는 1854년 독일인 선교사 Sigismund Koelle|지기스문트 쾨레영어가 저술한 "en"에서 시작된다. 1901년, 프랑스 언어학자 모리스 드 라포스가 ''"Essai de manuel pratique de la langue mandé ou mandingue"''(만데어 또는 만딩어의 실용적 안내서의 에세이)를 출판하여 만데어파의 현대적 분류의 기초를 이루었다.[9] 1929년, 그는 ''"La Langue mandingue et ses dialectes : malinké, bambara, dioula"''(만딩어와 그 방언: 말린케 변종, 밤바라 변종, 줄라 변종)를 출판하여, 프랑스어권에서 "만데어"와 "만딩어"의 구분을 확립했다.[10]
20세기 이후 언어학 연구가 진행되면서 '만딩어'라는 용어가 정립되었으며, 스와데시 목록을 사용하는 등 과학적 수법을 사용하여 만데어족 내에서 더욱 세분화된 분류가 이루어졌다.
3. 하위 분류
만딩카족은 서부와 동부 방언을 모두 사용한다. 아프리카 식민지화 이전부터 영어나 프랑스어 사용자들이 사용한 단어와 토착 용어가 혼합되어 명칭이 복잡하고 혼란스러운 경우가 있다.
만딩어의 하위 분류는 다음과 같다.[11]언어 사용 지역 서부 만딩어 카송케어 말리, 세네갈 만딩카어 세네갈, 감비아, 기니비사우 키타 마닝카어 말리 (키타주) 자항카어 기니, 세네갈, 감비아, 말리 (일부 방언) 동부 만딩어 마르카어 부르키나파소, 말리 마닝카어 기니, 말리, 코트디부아르 볼론어 부르키나파소 밤바라어-줄라어 부르키나파소, 말리, 코트디부아르
시닌케레어 (부르키나파소)는 만딩어 내에서의 위치가 불분명하다.
은코 문자의 개발 이후 여러 필사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만딩어군의 공통어로 '''은코어'''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11]
3. 1. 서부 만딩어
서부 만딩어는 5개의 구두 모음(/a/, /e/, /i/, /u/, /o/)을 가지는 특징이 있다.[7] 말리 공화국의 키타 서쪽 지역에서 사용되는 만딩어 계열 언어들을 통칭하며, 주요 언어로는 만딩카어, 카송케어, 키타 마닝카어, 자항카어 등이 있다.
Galtier는 서부 만딩어를 다음과 같이 3개의 하위 계통으로 분류했다.[13]
3. 1. 1. 만딩카어
만딩카족이 사용하는 언어로, 감비아의 주요 언어이다. 세네갈 남부 카자망스 지역과 기니비사우 동부에서도 널리 사용된다. 만딩카어는 유럽인들과의 오랜 교류로 인해 관련 출판물이 많으며, 프랑스어로는 'Mandingue', 영어로는 'Mandingo'라고 불리기도 한다.[12]3. 1. 2. 카송케어, 서부 마닝카어, 자항카어
카송케어 및 서부 마닝카어는 세네갈 동부(탐바쿤다, 케두구 등 지역)와 말리 서부(카이 권, 바훌라베 권, 케니에바 권 등의 지역)에서 사용된다. 이들은 매우 유사하여 문제없이 상호 이해 가능하며, 주로 사회언어학적 이유로 구별된다.[11] 자항카어는 세네갈의 케두구 인근에서 사용되는 소수 방언이다.[11]3. 1. 3. 키타 마닝카어와 카고로어
키타 마닝카어는 말리의 키타 현에서 사용된다. 카고로어는 소닌케어와 밤바라어의 접촉 지대에 흩어져 있으며, 이들 언어로 서서히 대체되어 소멸 위기 언어 중 하나로 꼽힌다.[11]3. 2. 동부 만딩어
동부 만딩어는 마르카어, 밤바라어-줄라어, 마닝카어, 볼론어를 포함한다. 이들은 /a/, /ɛ/, /e/, /i/, /u/, /o/, /ɔ/의 7모음 체계를 갖는 특징이 있다.[11]이 그룹에 속하는 주요 언어로는 말리에서 사용되는 밤바라어, 코트디부아르나 부르키나파소에서 상업 언어로 사용되는 줄라어, 기니와 말리에서 사용되는 마닝카어가 있다. 이 언어들은 모두 상호 이해가 가능하며, 전형적인 방언 연속체를 형성한다.
3. 2. 1. 밤바라어와 줄라어
밤바라어(화자 자칭 "Bamanankan")는 말리의 주요 언어이며, 만딩어 중 가장 많은 화자를 보유하고 있다.[14] 밤바라어 사용 지역은 말리 중앙부를 차지하며, 바마코, 세구를 지나 제네, 몹티까지 퍼져 있다. 다양한 방언 외에 주로 대도시에서 사용되는 "현대 밤바라어"라고 불리는 표준어가 존재한다. 현대 밤바라어는 바마코 방언을 기반으로 하며, 세네갈 동부의 다카르-바마코 철도 연선에서 사용되는 "전차 밤바라어"라고 불리는 공통어도 주목할 만하다.[14]줄라어는 코트디부아르 북부와 부르키나파소 서부에서 상업 언어로 사용되며, 현대 밤바라어와 매우 가깝다.[7] 코트디부아르에는 줄라어라고 통칭되는 지역 방언이 20개 이상 존재하며, 만딩어를 비교할 때는 줄라어의 대표로 콘 방언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15]
3. 2. 2. 마닝카어
마닝카어는 마닝카족이 사용하는 언어로, 기니의 캉캉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 Maninkakan de l'Est|동마닝카어프랑스어라고도 불리며, 말리, 기니, 코트디부아르 등지에 여러 방언이 존재한다.[16] 말리 방언은 현대 밤바라어와 관련성이 높은데, 이는 바마코가 마닝카어와 밤바라어의 세력 경계선에 위치하기 때문이다.[7]일부 연구에서는 캉캉 서쪽 및 남동쪽에 위치한 다음 방언들을 별개의 언어로 구분하기도 한다.[16]
또한, 코트디부아르 북서부 방언은 전통적으로 줄라어와 관련이 깊고, 줄라어에 포함될 가능성도 있다.[16]
3. 2. 3. 마르카어와 볼론어
마르카어(또는 다핀어)는 부르키나파소와 말리 국경 지역에서 사용되는 근접 방언군을 통칭한다. 최근 분류에서는 줄라어와 구분되지만, 줄라어와 비교되는 경우가 많다. 문헌에 따라 부르키나파소의 소수 언어 중 하나인 볼론어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11]4. 음운론
만딩어는 다른 만데어파 언어들과 구별되는 음운론적 특징을 가진다.[13] 다른 언어의 어두 /k/는 만딩어에서 어두 /s/로, 다른 언어의 어두 /s/는 만딩어에서 /l/ (밤바라어에서는 /d/)로 대응되는 경향이 있다.[13]
다음은 몇 가지 예시이다.[17]
만딩어 내의 분류는 주로 모음 체계를 기반으로 한다. 많은 단어에서 다음과 같은 대응 관계가 확인된다.[13]
서만딩어 | /i/ | /e/ | /a/ | /o/ | /u/ | ||
---|---|---|---|---|---|---|---|
동만딩어 | /i/ | /e/ | /ɛ/ | /a/ | /ɔ/ | /o/ | /u/ |
5. 표기 체계
만딩어는 구전 전통이 강하지만, 아랍 문자와 라틴 문자를 차용하거나[3] 최소한 두 개의 고유 문자를 사용하는 등 다양한 문어 형태도 가지고 있다.
- 은코 문자는 1949년 솔로마나 칸테가 개발하였으며, 만딩어를 사용하는 모든 방언 화자들이 이해할 수 있는 공통 문어 표준을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 문자는 점차 인기를 얻고 있다.[4]
- 20세기 초 밤바라어를 위해 개발된 덜 알려진 문자도 있지만,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5]
만딩어족 언어는 구전 전통이 강하여 문자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오해받기도 하지만, 아라비아 문자나 로마자[18]를 변형시킨 것이나, 은코 문자 등 여러 표기 방법이 존재한다.
5. 1. 아랍 문자
아랍 문자는 이슬람교 전래와 함께 이 지역에 도입되었으며, 아자미로 만딩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하도록 개조되었다.[3] 아자미는 만딘카어에 흔히 사용된다. 아자미(عَجَم)는 아랍어로 '외국'을 의미하며, 현재도 만딩카어 표기에 사용된다.5. 2. 라틴 문자
유럽의 식민 지배 이후 라틴 문자가 이 지역에 도입되었다. 많은 국가에서 교육, 문해, 출판을 위해 공식적인 형태로 널리 사용된다.[3] 독립 후 아프리카의 여러 언어를 로마자로 표기할 필요성이 생겼다.1966년 유네스코의 후원 아래 말리 바마코에서 전문가 회의가 개최되었다. 만딩어 담당 그룹이 제안한 알파벳은 만딩어의 음운 체계에 대응하고(지역 변종 차이 고려), 해당 지역에서 사용 가능한 기기로 입력 및 인쇄가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개발되었다.[19] 그러나 회의 제안은 완전히 지켜지지 않아 말리, 코트디부아르, 부르키나파소(오트볼타), 기니, 감비아, 세네갈 6개국에서 서로 다른 공식 로마자 표기법이 병존하게 되었다.
1978년 니제르 니아메에서 개최된 유네스코 회의에서 아프리카 기준 알파벳이 개발되었다. 주요 목적은 "음소-문자소" 대응 관계를 통일하고, 성조 표기에 사용되는 변별 부호 남용을 피하는 것이었다. 국제 음성 기호에서 유용한 몇몇 문자가 도입되었다.[20] 만딩어 사용 지역의 많은 국가가 이 회의 권고에 맞춰 공식 표기법을 조정했다.
구체적인 사례는 다음과 같다.
- 부르키나파소: 1979년 2월 2일, 볼타 국어 알파벳 성문화 정령 No. 79/055/PRES/ESRS 발효 (줄라어 대응).
- 코트디부아르: 1979년, 아비장 응용 언어학 연구소에서 코트디부아르 언어 실용 정서법 출판 (줄라어 대응).
- 말리: 1982년 7월 19일, 정령 제159호 PG-RM에 의해 국어 표기 알파벳 제정 (밤바라어 대응).
- 기니: 1989년 3월 10일, 기니 언어의 새로운 알파벳에 관한 법령 제019/PRG/SGG (마닌카어 대응).
- 세네갈: 2005년 10월 21일, 단어 철자와 띄어쓰기에 관한 정령 N2005-982 (만딘카어 대응).
각 알파벳 차이는 미미하며 세부 사항만 다르다. 그러나 일상생활을 유지하는 데 급급하여 만딩어 변종을 제대로 읽고 쓸 수 있는 사람은 소수이다. 니아메 회의에서 도입된 공식 표기법은 교육, 기록 활동, 출판에서 널리 사용되지만, 보급에는 두 가지 장애가 있다. 첫째, 유럽 언어에 없는 문자(ɛ, ŋ, ɲ, ɔ) 사용 문제이다. 둘째, 프랑스어와 영어에서 음운적 해석을 달리하는 문자소(j, c, x) 취급이다. 대도시 구습을 강하게 남기는 교육 시스템에서 이러한 문자소 다의성은 출판상 이중 언어화 발전을 방해한다. 이는 만딩어 교과서에 고유명이나 두문자어(ECOWAS, CFA, UNICEF 등)가 등장할 때 표기에서 특히 문제가 된다. 1966년 바마코에서 제안된 알파벳은 이 두 가지 함정을 피했다.[21]
음소 | /a/ | /b/ | /d/ | /d͡ʒ/ | /ɛ/ | /e/ | /f/ | /g/ | /ɡ͡b/ | /h/ | /i/ | /k/ | /x/ | /l/ | /m/ | /n/ | /ŋ/ | /ɲ/ | /ɔ/ | /o/ | /p/ | /r/ | /s/ | /ʃ/ | /t/ | /t͡ʃ/ | /u/ | /w/ | /j/ | /z/ |
---|---|---|---|---|---|---|---|---|---|---|---|---|---|---|---|---|---|---|---|---|---|---|---|---|---|---|---|---|---|---|
바마코 1966년식 | a | b | d | dy | e | é | f | g | gb | h | i | k | kh | l | m | n | nw | ny | o | ó | p | r | s | sh | t | ty | u | w | y | z |
니아메 1978년식 | j | ɛ | e | x | ŋ | ɲ | ɔ | o | c | |||||||||||||||||||||
기타 사례 | colspan="4" | | è | colspan="3" | | gw | colspan="7" | | ng | ñ | ò, ö |
5. 3. 은코 문자 (N'Ko 문자)
솔로마나 칸테가 1949년에 개발한 은코 문자는 모든 방언 화자가 이해할 수 있는 공통 문어 표준을 사용하여 만딩어를 표기하기 위해 설계되었다.[4] 은코 문자는 점차 인기를 얻고 있으며, 솔로마나 칸테는 은코 문자를 사용하여 32,000단어를 수록한 사전, 역사 및 학술 관련 서적 등을 출판했다.[22]5. 4. 기타
밤바라어를 위해 워요 쿠르바이가 고안한 '마사바 문자'가 존재했으나, 현재는 사용되지 않으며 유니코드에도 등록되지 않았다.[1]6. 교육
1996년 비정부 기구 사반 개발은 코트디부아르 코로에 '니에네 통합학교 센터(CSIN)'를 설립했다. 이곳은 초등학교 저학년까지 세누포어 또는 마닌카어로 교육하고, 이후 프랑스어로 전환하는 실험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참조
[1]
서적
Misreading the African Landscape: Society and Ecology in a Forest-Savanna Mosaic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1996-10-17
[2]
서적
Epic Traditions of Africa
https://archive.org/[...]
Indiana University Press
1999-01-01
[3]
논문
Orthography, Standardization and Register: The Case of Manding
https://repository.u[...]
Routledge
2017
[4]
학위논문
Clear Language: Script, Register and the N’ko Movement of Manding-Speaking West Africa.
https://repository.u[...]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17
[5]
웹사이트
N'Ko Language Tutorial: Introduction
http://www.fakoli.ne[...]
[6]
학술지
About the Manding Languages
https://wisc.pb.uniz[...]
[7]
간행물
Who Speaks "Mandekan"? A Note on Current Use of Mande Ethnonyms and Linguonyms
http://mandelang.kun[...]
[8]
간행물
Evolution terminologique et restructuration d’un ensemble linguistique
http://www.sudlangue[...]
[9]
서적
Essai de manuel pratique de la langue mandé ou mandingue
https://books.google[...]
[10]
서적
La Langue mandingue et ses dialectes: malinké, bambara, dioula
[11]
웹사이트
N'ko Language - Tutorial
http://www.fakoli.ne[...]
2024-07-08
[12]
서적
Sprachgeschichte im West-Mande : Methoden und Rekonstruktionen
RÜDIGER KÖPPE VERRAG KÖLN
[13]
간행물
Problèmes dialectologiques et phonographématiques des parlers mandingues
[14]
간행물
A preliminary report of existing information on the Manding languages of West Africa: summar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http://www.sil.org/s[...]
[15]
간행물
Enquête sur les dialectes mandé nord de Côte d'Ivoire
http://llacan.vjf.cn[...]
[16]
간행물
A Sociolinguistic Survey of Eastern Maninkakan, including the Wassulu area
http://www.sil.org/s[...]
[17]
간행물
On the Problem of the Proto-Mande Homeland
http://www.jolr.ru/f[...]
[18]
논문
Orthography, Standardization and Register: The Case of Manding.
https://repository.u[...]
Routledge
2017
[19]
간행물
À propos de l'alphabet du bambara au Mali
http://llacan.vjf.cn[...]
[20]
서적
Langues africaines
http://unesdoc.unesc[...]
[21]
간행물
Le bilinguisme scripturaire et l'interface des alphabets en Afrique francophone
http://www.alphabets[...]
[22]
학위논문
Clear Language: Script, Register and the N’ko Movement of Manding-Speaking West Africa.
https://repository.u[...]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17
[23]
웹사이트
Masaba
https://scriptsource[...]
2024-07-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