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샤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목샤인은 우랄어족 모르도비아어파의 목샤어를 사용하는 민족으로, 주로 러시아의 모르도비야 공화국, 펜자주, 탐보프주 등에 분포한다. 목샤라는 명칭은 17세기에 러시아 자료에 처음 등장하며, 역사적으로는 몽골 제국과 연관되어 폴란드 침공에 참여하기도 했다. 목샤인들은 독자적인 문화와 신화를 가지고 있으며, 유전학적으로는 주변 민족과 차이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볼가핀족 - 마리인
마리인은 러시아의 마리 엘 공화국과 인근에 거주하며 '인간'을 뜻하는 이름에서 유래, 여러 하위 집단으로 나뉘고 러시아화 정책 속에서도 마리어와 샤머니즘적 신앙을 유지했으나 현재는 문화적 동화 과정에 있으며, Y염색체 하플로그룹 N 비율이 높고 시베리아 관련 혼혈 수준이 높은 우랄어족 민족이다. - 볼가핀족 - 에르자인
에르자인은 러시아의 소수 민족인 에르자족과 관련된 용어로, 신화 속 영웅 푸르가스, 시인 시레 볼레엔, 조각가 스테판 에르지아, 가수 나데즈다 카디셰바, 볼셰비키 사령관 바실리 차파예프 등 에르자 혈통 인물들을 포함하며 그들의 문화와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러시아의 민족 - 이누이트
이누이트는 북극 지역에 거주하며 수렵과 어업을 통해 생활하고 독특한 문화와 언어를 지닌 민족으로, 현대 사회에서 자치권 확보를 위해 노력한다. - 러시아의 민족 - 쿠르드족
쿠르드족은 이란 고원 북서부에서 기원하여 터키, 이란, 이라크, 시리아 등지에 흩어져 거주하며 독자적인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고, 자치와 독립을 추구하는 민족이다.
목샤인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모르드빈-목샤 |
인구 | 약 19,869명 |
거주 지역 | 러시아 모르도비아 공화국 펜자주 랴잔주 알타이 지방 탐보프주 사라토프주 오렌부르크주 타타르스탄 바시키르 공화국 모스크바주 에스토니아 카자흐스탄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
종교 | 러시아 정교회 루터교 토착 신앙 |
언어 | 모크샤어 러시아어 타타르어 |
관련 민족 | 볼가 핀족, 특히 에르자족 |
인구 통계 | |
러시아 (2021년) | 11,801명 |
에스토니아 (2021년, 에르자족 포함) | 약 368명 |
카자흐스탄 (2009년, 에르자족 포함) | 8,013명 |
오스트레일리아 (에르자족 포함) | 15명 미만 |
언어 정보 | |
모크샤어 명칭 | Мокшет/Mokšet |
2. 명칭
프랑스의 루이 9세가 1250년대 몽골에 사신으로 보낸 프란체스코회 수도사 윌리엄 오브 루브루크는 그들을 "목셀(Moxel)"이라고 불렀다.[10] 같은 용어는 14세기 페르시아/아랍 연대기인 라시드 알 딘 하마다니의 기록에도 나타난다. 민간 전승에 따르면 러시아인들은 처음에는 "모르드바(Mordva)"라는 용어를 에르자 민족만을 지칭하는 데 사용했지만,[11] 나중에는 에르자와 목샤를 모두 지칭하는 데 사용했다. "목샤(Moksha)"(мокша|목샤ru)라는 용어는 17세기에 러시아 자료에 나타나기 시작한다.
목샤족의 현지 민족명칭은 다음과 같다.
언어 | 명칭 |
---|---|
목샤어 | Мокшет (Mokšet) 또는 Мокшень ломатть (Mokšeń lomatt́) (목샤 사람들) |
러시아어 | Мокшане (Mokshane) 또는 Мордва-Мокша (Mordva-Moksha) |
타타르어 | Muqşılar |
추바슈어 | Мăкшăсем |
에르자어 | Мокшот (Mokšot) |
기원전 1200년경 볼가 핀족이 분열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12] 목샤인은 이 시기 이전에는 고유한 매장 전통이 없었기에 그 기원을 더 거슬러 올라가기 어렵다. 초기 목샤인 매장지에서는 시신을 남쪽으로 향하게 묻는 풍습이 있었음이 고고학적 자료를 통해 밝혀졌다. 헤로도토스는 기원전 516-512년에 벌어진 스키타이-페르시아 전쟁을 기록했는데, 이 전쟁에는 중부 볼가 지역 전체 인구가 참전했다. 이 과정에서 사르마티아인이 스키타이인을 몰아내고 일부 목샤 부족을 정복하기도 했다. 서기 2-3세기에는 안테스인, 슬라브족, 목샤인, 에르쟈인이 동유럽에서 가장 인구가 많고 강력한 세력을 형성했다.[13] 4세기 말, 대부분의 목샤인은 훈족 부족 동맹에 합류하여 377년 동고트 제국 멸망에 기여하고 동쪽으로 이동하여 판노니아에 정착했다. 목샤인 전투 마구, 특히 초기 훈족의 것과 동일한 비트와 프살리아는 이들의 훈족과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증거이다.[14]
3. 역사
450년, 목샤인들은 알란인으로 추정되는 중부 볼가의 부르타스와 동맹을 맺었다.[15][16] 8세기까지 목샤 영토는 큰 변화가 없었다. 제2차 아랍-하자르 전쟁에서 마르완 이븐 무하마드가 이끄는 아랍군은 볼가강 우안에 도달하여 부르타스와 충돌했다.[17] 9세기 후반, 하자르는 부르타스, 오구즈 튀르크, 페체네그와 전쟁을 벌였다. 10세기 초, 볼가 불가리아의 알무쉬(알므쉬) 왕은 이슬람교로 개종하고 바그다드의 알-무크타피 칼리프와 동맹을 맺었다. 965년, 키예프 대공 스뱌토슬라프 1세는 하자르를 공격하여 멸망시켰다.[20] 985년, 키예프의 블라디미르 대공은 볼가르를 점령했으나, 1006년 알무쉬 왕과 평화 조약을 맺었다.
12세기 초, 오카강과 에르지야 요새 오브란 오쉬의 지배권을 둘러싼 전쟁이 다시 시작되었다.[22] 1221년, 블라디미르 대공은 오브란 오쉬를 점령하고 파괴한 후 니즈니노브고로드를 건설했다. 1230년, 에르지야 왕 푸르가스는 니즈니노브고로드를 포위했지만 패배했다.[23] 1236년, 몽골 제국은 목샤스, 부르타스, 에르지야스에게 전쟁을 선포했고, 1237년 검은 숲에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24][25]
목샤의 푸레쉬 왕은 바투 칸에게 복종하고 몽골의 군사 작전에 참여했다.[26] 1241년, 몽골군은 폴란드를 침공하여 루블린, 자비호스트, 산도미에시, 크라쿠프를 점령하는데 목샤군이 참여했다. 같은 해 레그니차 전투에서 몽골군이 승리했지만, 푸레쉬 왕은 이 전투에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목샤군은 몽골에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하고, 일부는 고국으로 돌아갔다.[28]
3. 1. 선사 시대
볼가 핀족의 분열은 기원전 1200년경에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12] 목샤인은 그 이전에 고유한 매장 전통이 없었기 때문에 그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없다. 고고학적 자료에 따르면 초기 목샤인 매장지에서 시신은 머리를 남쪽으로 향하게 묻었다. 헤로도토스는 기원전 516-512년의 스키타이-페르시아 전쟁을 묘사했는데, 이 전쟁에는 중부 볼가의 전체 인구가 참여했다. 이 전쟁 동안 사르마티아인은 스키타이인을 몰아내고 일부 목샤 부족을 정복했다. 서기 2세기와 3세기 동안 안테스인, 슬라브족, 목샤인 및 에르쟈인이 동유럽에서 가장 많고 강력한 인구가 되었다.[13] 4세기 말까지 대부분의 목샤인들은 훈족 부족 동맹에 합류하여 377년에 동고트 제국의 멸망에 참여한 후 동쪽으로 이동하여 판노니아에 정착했다. 훈족과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증거로는 목샤인 전투 마구, 특히 초기 훈족 전투 마구와 동일한 비트와 프살리아가 있다.[14] 고고학적 자료에 따르면 4세기와 8세기 사이에 목샤 영토의 경계는 변하지 않았다. 450년, 목샤인들은 부르타스로 알려진 중부 볼가의 사람들과 동맹을 맺었는데, 이들은 아마도 알란인이었을 것이다.[15][16]
3. 2. 중세 시대
8세기까지 목샤 영토의 경계는 크게 변하지 않았다. 제2차 아랍-하자르 전쟁에서 마르완 이븐 무하마드가 이끄는 아랍군은 볼가강 우안에 도달하여 부르타스와 충돌했다.[17] 9세기 후반, 하자르는 부르타스, 오구즈 튀르크, 페체네그와 전쟁을 벌였다. 10세기 초 볼가 불가리아의 왕 알무쉬(알므쉬)는 이슬람교로 개종하고 바그다드의 알-무크타피 칼리프와 동맹을 맺었다. 965년, 키예프 대공 스뱌토슬라프 1세는 하자르를 공격하여 멸망시켰다.[20] 985년, 키예프의 블라디미르 대공은 볼가르를 점령했으나, 1006년 알무쉬 왕과 평화 조약을 체결했다.
12세기 초, 오카강과 에르지야 요새 오브란 오쉬의 지배권을 둘러싼 전쟁이 재개되었다.[22] 1221년, 블라디미르 대공은 오브란 오쉬를 점령하고 파괴한 후 니즈니노브고로드를 건설했다. 1230년, 에르지야 왕 푸르가스는 니즈니노브고로드를 포위했지만 패배했다.[23] 1236년, 몽골 제국은 목샤스, 부르타스, 에르지야스에게 전쟁을 선포하고, 1237년 검은 숲에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24][25]
목샤의 푸레쉬 왕은 바투 칸에게 복종하고 몽골 군사 작전에 참여했다.[26] 1241년, 몽골군은 폴란드를 침공했으며, 목샤군은 루블린, 자비호스트, 산도미에시, 크라쿠프 점령에 참여했다. 같은 해 레그니차 전투에서 몽골군이 승리했으나, 푸레쉬 왕은 이 전투에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목샤군은 몽골에 대한 반란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일부는 탈출하여 고국으로 돌아갔다.[28]
4. 지리적 분포
목샤족은 주로 모르도비야 공화국의 중부 및 서부 지역, 탐보프주의 인접 지역, 펜자주의 서부 및 중부 지역에 거주한다. 오렌부르크주, 바슈코르토스탄, 타타르스탄, 알타이 지방에도 목샤족이 거주하며, 에스토니아, 카자흐스탄, 미국, 오스트레일리아에도 디아스포라 공동체가 존재한다.[48] 주로 목샤 강 부근에 거주한다.
5. 문화
5. 1. 언어
목샤어는 우랄어족의 모르도바어파에 속하는 언어이다[48]. 모르도바인을 구성하는 또 다른 민족인 에르자인이 사용하는 에르자어와는 서로 의사 소통이 어려워 상호 이해 가능성이 없다[49][50].5. 2. 신화
전통적인 목샤 신화에서 세상은 민담에서 '아크샤 록스티'(흰 백조)로 불리는 '이네 나르몬'(위대한 새)에 의해 창조되었다.[1] '이네 나르몬'이 처음으로 만든 것은 물이었다.[1] '약스가르가'(오리)가 바다 밑바닥에서 모래를 가져왔고, '이네 나르몬'은 그 모래로 '이네 슈프타'(위대한 나무)를 세워 땅을 만들었다.[1] '이네 나르몬'은 '이네 슈프타' 위에 둥지를 틀었는데, 민담에서는 보통 '켈루'(자작나무)라고 한다.[1] '아크샤 칼'(흰 철갑상어)이 '이네 슈프타'의 뿌리와 함께 땅을 등에 짊어졌다.[1] '이네 나르몬'에게는 세 마리의 새끼가 있었는데, '초프크스'(나이팅게일), '쿠쿠'(뻐꾸기), '오자가르가'(종달새)였다.[1] '초프크스'는 덤불과 버들을 집으로 선택했고, '쿠쿠'는 숲에 정착했으며, '오자가르가'는 초원으로 갔다.[1] 목샤 민담에 언급된 또 다른 고대 신은 '메샤바네'(어머니 벌)였다.[1] 목샤인들의 기독교화 이후 목샤 최고신은 일반적으로 '바르덴 슈카이'(최고 창조자)라고 불렸다.[1]후대의 전설에 따르면, 세상의 창조는 여러 단계를 거쳤다.[1] 먼저, 신은 '이데메브스'(악마)에게 거대한 바다 밑바닥에서 모래를 가져오라고 요청했다.[1] '이데메브스'는 입 안에 약간의 모래를 숨겼다.[1] '바르덴 슈카이'가 땅을 만들기 시작했을 때, 이 숨겨진 모래가 '이데메브스'의 입 안에서 자라기 시작했다.[1] 그는 그것을 뱉어내야 했고, 그 결과 이전의 평평하고 아름다운 땅에 틈과 산이 나타났다.[1] '바르덴 슈카이'가 창조한 최초의 인간은 700~800년 동안 살 수 있었고, 키가 99 아르신(야드)에 달하는 거인이었다.[1] 목샤 신화에서 지하 세계는 '마스토라티아'에 의해 지배되었다.[1] 전투에서 죽은 영웅, 씨족 장로, 전사들의 영혼은 죽음 이후 에메랄드 그린 섬 '우시야'로 가서 위대한 왕 튜쉬텐과 함께 긴 테이블에 앉아 순수한 밀주를 마셨다.[1]
6. 인류학적 특징
페터 시몬 팔라스는 초기 연구에서 목샤인이 에르자인보다 밝은 금발과 적발이 적지만, 에르자인 역시 어두운 금발을 가지고 있다고 기록했다.[31] Кузнецов, Стефан Кирович|스테판 쿠즈네초프ru는 목샤인이 에르자인보다 더 다양한 인류학적 유형을 가지며, 에르자인에게 밝은 머리, 회색 눈, 밝은 피부를 가진 사람이 더 많은 반면, 목샤인은 검은 머리와 눈, 어둡고 노란 피부색을 가진 사람들이 더 많다고 주장했다.[32]
현대 인류학 연구에 따르면, 목샤인은 에르자인보다 남유럽인의 특징이 더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에르자인은 북유럽인과 더 가깝다.[34] 목샤인은 동유럽을 기반으로 폰토스 인류학적 요소가 결합되고 약간의 우랄로이드 혼합이 이루어진 것으로 여겨진다.[35]
7. 유전학적 연구
Балановский, Олег Павлович|O.P. Balanovskyru는 유전자 거리 지도의 주요 유형 4가지("동유럽", "북동부", "북발칸", "남발칸")를 구분했는데, 여기에는 슬라브족, 발트족, 일부 핀우그리아인 및 기타 유럽 민족이 포함되었지만, 목샤인의 거리 지도는 이러한 유형에 속하지 않아 목샤인의 유전적 정체성을 나타낸다. 핀우그리아 민족의 유전자 풀 자체는 인구 간의 다양성이 높고 인구 내의 다양성이 낮다.[39]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결과 러시아 북부,[40] 노르웨이인, 독일인 및 기타 게르만어 사용 민족, 아일랜드인, 슬라브족 (다른 러시아인, 벨라루스인, 우크라이나인, 체코인, 슬로바키아인, 폴란드인, 슬로베니아인 및 보스니아인), 발트족, 헝가리인 및 스웨덴인을 포함한 유럽의 다른 민족들과 목샤인 및 에르자를 포함한 핀우그리아 인구의 유전자 풀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핀란드인, 카렐리안인, 마리인, 코미인, 목샤인 및 에르자는 북부 러시아 인구 및 기타 슬라브인을 포함한 전체 유럽 미토콘드리아 배열과 유전적으로 거리가 멀어져 별도의 클러스터로 분류되었다.
Y 염색체 하플로그룹에 따른 목샤인의 유전적 지형은 볼가강 중류의 작은 지역, 즉 오른쪽 강둑에 국한되어 그 유전자 풀의 독창성을 입증한다. Y 염색체 하플로그룹 분석은 지리적으로 가까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목샤인과 슬라브족 및 다른 인접 민족의 유전자 풀뿐만 아니라 에르자[41] 유전자 풀 간에도 유의미한 유전적 차이를 나타냈다.[42] 15개의 Y 염색체 하플로그룹의 빈도는 목샤인과 에르자 인구가 단일 클러스터에 포함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41]
집단 유전학자의 스타로샤이고프스키 구역 목샤인의 Y 염색체 하플로그룹에 대한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하플로그룹 | 빈도 |
---|---|
R1a | 26.5% |
J2 | 20.5% |
N3 (TAT) | 16.9% |
R1b | 13.3% |
I1 | 12% |
I2b | 4.8% |
N2 (P43) | 2.4% |
I2 | 2.4% |
K*(M9) | 1.2% |
[43]
같은 지역 목샤인의 미토콘드리아 DNA 하플로그룹에 대한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하플로그룹 | 빈도 |
---|---|
H | 41.5% |
U5 | 18.9% |
T | 7.6% |
U2 | 5.7% |
J | 5.7% |
V | 5.7% |
U4 | 3.8% |
I | 3.8% |
T1 | 1.9% |
R | 1.9% |
D | 1.9% |
기타 | 1.9% |
[44]
에르자-목샤-메셰라 패밀리 트리 DNA 유전자 프로젝트의 목샤 하플로그룹에 대한 Y 염색체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하플로그룹 | 빈도 |
---|---|
R1a | 29% |
J2b | 19% |
J2a | 14% |
G2a | 14% |
N1c | 9% |
E1b | 5% |
R1b | 5% |
J1 | 5% |
[45]
상염색체 DNA와 관련하여 목샤인은 에르자와 동질성을 보인다. 다른 우랄어 사용 인구와 마찬가지로 그들은 혼합물의 약 11%를 차지하는 응가나산족과 유사한 시베리아 성분을 가지고 있다.[46]
8. 저명한 목샤인
- 바실리 슈크신: 소련의 작가, 배우, 영화 감독이다.
- 예브게니 치치바르킨: 러시아 사업가이다.
- 알렉산드르 오베츠킨: 러시아 아이스하키 선수이다.
- 올레크 마스카예프: 러시아 권투 선수이다.
- 미하일 데뱌타예프: 소련 전투기 조종사이며, 소련 영웅이다.
참조
[1]
웹사이트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огласно переписи населения 2021 года
https://rosstat.gov.[...]
rosstat.gov.ru
2023-05-24
[2]
웹사이트
Mari Uver
https://mariuver.com[...]
mariuver.com
2023-05-24
[3]
서적
Агентство Республики Казахстан по статистике
2010
[4]
웹사이트
http://molokans.ru
2008–2024
[5]
웹사이트
RL21442: POPULATION BY ETHNIC NATIONALITY, MOTHER TONGUE, CITIZENSHIP, SEX, AGE GROUP AND PLACE OF RESIDENCE (SETTLEMENT REGION), 31 DECEMBER 2021
https://andmed.stat.[...]
Statistics Estonia
2024-07-21
[6]
학위논문
LIVING ON THE EDGE: Population genetics of Finno-Ugric-speaking humans in North Eurasia
https://oa.doria.fi/[...]
2008
[7]
서적
The Finno-Ugric Peoples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8]
서적
Goskomstat of Russia, 1994 Microcensus of Russia, topical results (8 volumes)
Goskomstat
1995
[9]
웹사이트
http://inkerinkirkko[...]
2016-11-03
[10]
웹사이트
http://uralistica.co[...]
2016-11-03
[11]
문서
Jaimoukha p.12
[12]
웹사이트
Moksha | people
http://www.britannic[...]
2016-11-03
[13]
서적
Издательство Воронежск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Publishing house of Voronezh University]
1976
[14]
서적
Самарский областной историко-краеведческий музей им. П.В. Алабина [Samara P.V. Alabin Federal Museum of History and Local Lore]
2001
[15]
서적
1988
[16]
간행물
1984
[17]
서적
The History of the Jewish Khazars
Schocken Books
1967
[18]
간행물
On the Date of the Khazars' Conversion to Judaism and the Chronology of the Kings of the Rus Oleg and Igor
1995
[19]
서적
1996
[20]
간행물
1976
[21]
웹사이트
http://www.hrono.ru/[...]
2008-11-08
[22]
서적
2007
[23]
웹사이트
http://biblioteka.or[...]
2016-11-03
[24]
서적
1989
[25]
서적
Издательство АН СССР
1960
[26]
서적
Six Emperor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27]
서적
The "Opus Majus" of Roger Bacon
Elibron Classics
2000
[28]
문서
Itinerarium fratris Willielmi de Rubruquis de ordine fratrum Minorum, Galli, Anno gratia 1253. ad partes Orientales.
[29]
문서
Sinor D. Un voyageur du treizieme siecle: le Dominicain de Hongrie. — Bulletin of th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University of London, 1952, vol. XIV, part 3, p. 599)
[30]
문서
Paris, Matthew; Roger, of Wendover; H. R. Luard (editor). Chronica majora in Rerum Britannicarum Medii Aevi Scriptores; or, Chronicles and Memorials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During the Middle Ages (London: Great Britain Public Record Office, 1858-1911). 57.
[31]
서적
https://www.prlib.ru[...]
Имп. Акад. наук [Imperial Academy of Sciences]
2024-07-21
[32]
서적
Печатня А. И. Снегиревой: Тип. Пожидаева
1912
[33]
서적
Изд. Академии Наук СССР [Publ. of the USSR Academy of Sciences]
1960
[34]
서적
1956
[35]
서적
https://archaeolog.r[...]
Научный мир [Scientific world]
2024-07-21
[36]
서적
Антропология современных финно-угорских народов
Рос. акад. наук, Ин-т этнологии и антропологии им. Н. Н. Миклухо-Маклая [Russian Academy of Sciences, Institute of Ethnology and Anthropology named after N. N. Miklukho-Maklay]
2000
[37]
간행물
Об эрзя-мокшанских различиях
https://cyberleninka[...]
2024-07-21
[38]
서적
Мордовия: Энциклопедия. В 2 томах. Том 2: М — Я
https://vivaldi.nlr.[...]
НИИГН при Правительстве РМ [Research Institute for Humanity Sciences under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Mordovia]
2024-07-21
[39]
서적
Генофонд Европы
http://xn--c1acc6aaf[...]
Товарищество научных изданий КМК
2015
[40]
간행물
Генофонд Русского Севера: славяне? Финны? Палеоевропейцы?
https://cyberleninka[...]
2023-09-12
[41]
웹사이트
Генетические взаимоотношения популяций Европы: три уровня
http://xn--c1acc6aaf[...]
2023-09-12
[42]
문서
Mapping Moksha Genetic Y-chromosome DNA Haplogroup
[43]
문서
Moksha (Staroshaygovsky District of Mordovia)
[44]
문서
Moksha
[45]
웹사이트
Genetic program of the company FamilyTree DNA "Эрзя-Мокша", table on the haplogroups of the Moksha
https://www.familytr[...]
[46]
간행물
Genes reveal traces of common recent demographic history for most of the Uralic-speaking populations
2018
[47]
웹사이트
Moksha
http://www.ethnologu[...]
2016-11-03
[48]
웹사이트
ロシアで最も話者の多い言語TOP10
https://jp.rbth.com/[...]
2022-10-30
[49]
웹사이트
無名なサランスクがサッカーW杯会場を勝ち取ったわけ
https://globe.asahi.[...]
2022-10-30
[50]
웹사이트
モクシャ方言
https://kotobank.jp/[...]
2022-10-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