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국 함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 함대는 1922년 미국 태평양 함대와 미국 대서양 함대를 통합하여 창설되었다. 주력 부대인 전투함대는 태평양에, 정찰함대는 대서양에 배치되었으며, 이후 잠수함대도 미국 함대의 지휘를 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 미국 함대는 태평양 함대와 대서양 함대로 분할되었고, 1941년 진주만 공격 이후 미국 함대 사령관 직책이 부활하여 어니스트 J. 킹 제독이 임명되었다. 킹 제독은 해군 작전 참모총장 직을 겸임하며 모든 미국 함정에 대한 지휘권을 갖게 되었고, 1945년 9월, 미국 함대 총사령관 직책은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국의 함대 - 제4함대 (미국)
    제4함대는 미국 해군 함대로,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해역에서 작전을 수행하며, 2차 세계 대전 중 창설 및 해체 후 2008년 재창설되어 미국 남부사령부의 해군 구성 부대로서 임무를 수행하고, 사령부는 플로리다주 잭슨빌의 메이포트 해군 기지에 위치한다.
  •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국의 함대 - 제10함대 (미국)
    제10함대는 미국 해군의 함대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대잠수함전을 수행하고 2010년 재창설 이후에는 전자전 및 사이버전을 담당하며, 함선 없이 정보 분석 및 작전 지휘를 수행하는 해군 사이버 사령부의 별칭이다.
  • 미국의 함대 - 제3함대 (미국)
    제3함대는 미국 해군 함대 중 하나로, 서태평양 지역 작전 수행 및 한반도 유사시 제7함대 지원 역할을 하며, 하와이주 포드 섬에 사령부를 두고 여러 항공모함 타격단과 임무 부대로 구성되어 있다.
  • 미국의 함대 - 제5함대 (미국)
    제5함대는 미국 해군의 서수 함대 중 하나로, 2차 세계 대전 중 창설 및 해체 후 1995년 재창설되어 현재 중동 지역에서 미국의 해상 이익을 보호하는 임무를 수행하며, 본부는 바레인 마나마에 위치하고 항공모함 타격단, 상륙 준비단 등으로 구성되어 전략적 해역을 감시한다.
  • 1946년 해체된 단체 - 제5상륙군단
    제5상륙군단은 1943년 창설되어 태평양 전쟁에 참전하여 타라와, 사이판, 이오지마 전투 등에서 활약했으며, 1946년 해체된 미국 해병대 군단이다.
  • 1946년 해체된 단체 - 제2통신여단 (미국)
    제2통신여단은 미국 육군의 통신여단으로, 유럽 및 아프리카 지역에서 통신 및 사이버 지원을 담당하며, 제2차 세계 대전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후 2017년부터 미국 유럽-아프리카 육군 직속 부대가 되었다.
미국 함대

2. 역사

1922년 12월 6일 지침에 따라 미국 태평양 함대와 미국 대서양 함대를 통합하여 '''미국 함대'''가 창설되었다.[7][8][9] 함대의 주력인 전투 함대는 태평양에, 정찰 함대는 대서양에 배치되었다. 또한 대서양 해상 수송로를 보호하는 "통제 함대"와 "함대 기지 부대"도 포함되었다. 아시아 함대, 유럽 해군, 특별 임무 전대(카리브해), 그리고 모든 미국 해군 잠수함은 미국 함대에서 독립적으로 유지되었다.

1930년대 동안 전투 함대와 정찰 함대는 각각 전투 부대와 정찰 부대로 개명되었다. 잠수함 부대 또한 CINCUS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 1931년 통제 함대는 폐지되었다. 특별 임무 전대와 아시아 함대는 유지되었으며, 두 부대 모두 여전히 미국 함대에서 독립적으로 운용되었다. 미국 함대는 1931년 4월 1일에 전투 부대, 정찰 부대, 잠수함 부대, 기지 부대로 재편성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유럽에서 시작되면서, 미국 해군은 대서양뿐만 아니라 태평양에서의 전쟁 가능성에 대비하기 시작했다. 1941년 2월 1일, 일반 명령 143호가 발령되어 "미국 함대" 조직이 폐지되었다. 그 대신, 미국 대서양 함대와 미국 태평양 함대가 재설립되었으며, 각 함대는 자체 최고 사령관을 두었다. 미국 아시아 함대는 이전과 마찬가지로 독립적인 조직으로 남았다.[14]

두 개 이상의 함대가 함께 작전을 수행할 경우, 세 함대 사령관(대서양, 태평양, 아시아) 중 한 명에게 미국 함대 최고 사령관이라는 추가 직함이 부여되었다. 이 조항을 제외하고, 각 최고 사령관은 직접적으로 미국 대통령과 미국 해군 장관에게 책임을 졌다.

허즈번드 E. 키멀 해군 소장은 1941년 2월 1일에 미국 함대 최고 사령관(CINCUS)과 미국 태평양 함대 최고 사령관(CINCPAC)으로 임명되었으며, 그날부터 임시 제독 계급을 받았다. 키멀은 일본군진주만 공격 직후인 1941년 12월 17일에 CINCUS / CINCPAC에서 해임되었다.[15]

1941년 12월 18일 행정명령 제8984호[4]에 의해, 미국 함대 최고 사령관(COMINCH)의 직위가 재정의되었고, 대서양, 태평양, 아시아 함대뿐만 아니라 모든 해군 해안 전력에 대한 작전 지휘권을 부여받았다. CINCUS에서 COMINCH로의 약어 변경은 어니스트 J. 킹 제독이 제안한 것으로, 그는 진주만 공격 이후 해당 직위의 발음이 사기를 저하시킬 것을 우려했다.[5] 1941년 12월 20일, 어니스트 J. 킹 제독이 COMINCH로 임명되었다. 이전 CINCUS 직위와의 한 가지 중요한 차이점은 킹 제독이 자신의 본부가 항상 함대가 아닌 워싱턴 D.C.에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는 것이다.

해군의 지휘권을 COMINCH, 킹 제독, 그리고 해군 작전 참모총장(CNO), 해럴드 R. 스타크 제독 사이에서 나누는 것은 그다지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1942년 3월 12일 행정명령 제9096호를 통해 이 문제에 대처했으며, CNO와 COMINCH의 직위는 단일 장교가 겸임하도록 지정했고, 킹 제독은 COMINCH 외에도 CNO로 선정되었다. 킹은 1942년 3월 29일 스타크를 CNO에서 해임했으며, 전쟁이 끝날 때까지 두 직책을 모두 수행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 함대 사령관 직책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었다. 이에 따라 1945년 9월 29일,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은 행정 명령 9635호에 서명하여 EO 8984와 EO 9096을 모두 폐지하고 COMINCH의 모든 책임을 해군 작전 참모총장(CNO)에게 이관했다.[6] 그 이후로, CNO는 거의 항상 미국 해군의 최고위 장교였다. 1947년 국가 안보법 통과 이후, CNO는 법적으로 현역 복무 중인 최고위 해군 장교이며, 합참의장 (1949년 국가 안보법 개정으로 신설된 직책) 및/또는 합참 차장 (1986년 골드워터-니콜스 국방개혁법에 의해 신설된 직책)이 또한 미국 해군 장교인 경우를 제외한다.

역대 미국 함대 사령관은 다음과 같다.

이름취임일퇴임일
힐러리 P. 존스1922년1923년
로버트 E. 쿤츠1923년1925년
새뮤얼 S. 로비슨1925년1926년
찰스 F. 휴스1926년1927년
헨리 A. 와일리1927년1929년
윌리엄 V. 프랫1929년1930년
제후 V. 체이스1930년 9월 17일1931년 9월 15일
프랭크 H. 스코필드1931년 9월1932년 9월
리처드 H. 리1932년 9월1933년 6월 10일
데이비드 F. 셀러스1933년 6월 10일1934년 6월 18일
조셉 M. 리브스1934년 2월 26일1936년 6월
아서 J. 헵번1936년 6월 24일1938년
클로드 C. 블로흐1938년1940년 1월 6일
제임스 O. 리처드슨1940년 1월 6일1941년 1월 5일
허스밴드 키멜1941년 1월 5일1941년 12월
어니스트 킹 (1942년 3월 12일부터 해군 작전 참모총장)1941년 12월 30일1945년 10월 10일


2. 1. 설립 (1922년)

1922년 12월 6일, 미국 태평양 함대미국 대서양 함대를 통합하여 미국 함대를 편성하였다.[7][8][9] 주력 부대인 전투함대는 태평양에, 정찰함대는 대서양에 배치되었다. 항로 보호 임무를 맡은 Control Force|통제군영어과 Fleet Base Force|함대기지군영어을 두었다. 그 외에 서태평양 동아시아 해역의 미국 아시아 함대, 카리브해의 특수임무전대, 모든 잠수함 부대는 미국 함대와 독립적으로 운영되었다.

미국 함대 사령관(Commander in Chief, United States Fleet, 약칭 CINCUS)은 해군 장관의 전반적인 지시와 해군 작전 참모총장의 일반적인 지시를 받았지만, 대통령 직속 조직으로 간주되었다. 특별 작전 전대(카리브해 방면), 아시아 함대(아시아·필리핀·괌 방면), 잠수함을 제외한 모든 미국 해군 함정의 지휘권을 가졌다.

2. 2. 발전과 재편 (1930년대)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인해 1940년 7월에는 해군 대증강 법안인 양양 해군 법안이 통과되어 대서양 방면에 구식 전함 4척, 항공모함 2척이 추가되었다.[10]

1941년 2월, 미국 함대는 태평양 함대와 대서양 함대(초계 부대가 승격)로 분할되었고, 상설 직위였던 미국 함대 사령관은 폐지되었다. 이로써 미국 함대는 지역별 3개 함대(태평양 함대, 대서양 함대, 아시아 함대)로 재편되었고, 각 함대는 해군성 산하에 놓였다. 미국 함대는 관리 단위로만 존재하게 되었으며, 미국 함대 사령관은 지역별 함대가 2개 이상 함께 행동할 때 지역별 3개 함대 사령관 중에서 임명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10]

이러한 재편 과정에서 루스벨트 대통령은 미국 함대를 하와이 진주만에 상주시키라고 명령했다. 그러나 미국 함대 사령관 제임스 O. 리차드슨 제독은 이에 반대하여 미국 본토 샌디에고 주둔을 주장했다. 이로 인해 리차드슨 제독은 루스벨트의 노여움을 사 해임되고 소장으로 강등되었다.[10]

최대 병력을 보유한 태평양 함대 사령관(Commander in Chief, Pacific Fleet: CINCPAC)에는 전투 부대 순양함군 사령관(Commander of Cruisers, Battle Force: COMCRUBAT)이었던 허스번드 E. 킴멜 소장이 기용되었다. 킴멜 소장은 중장 계급을 거치지 않고 대장으로 승진했으며, 미국 함대 사령관이 필요할 때에는 킴멜이 겸임하게 되었다.[10]

4월에는 영국 지원을 위해 태평양 함대에 배치되어 있던 항공모함 "요크타운", 전함 3척, 순양함 4척, 구축함 2척이 대서양 함대로 옮겨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태평양 전쟁이 발발했다.[10]

2. 3. 제2차 세계 대전과 재조직 (1941년)

1939년 유럽에서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미국 해군대서양뿐만 아니라 태평양에서의 전쟁 가능성에 대비하기 시작했다. 1941년 2월 1일, 일반 명령 143호가 발령되어 "미국 함대" 조직이 폐지되었다. 그 대신, 미국 대서양 함대와 미국 태평양 함대가 재설립되었으며, 각 함대는 자체 최고 사령관을 두었다. 미국 아시아 함대는 이전과 마찬가지로 독립적인 조직으로 남았다.[14]

두 개 이상의 함대가 함께 작전을 수행할 경우, 세 함대 사령관(대서양, 태평양, 아시아) 중 한 명에게 미국 함대 최고 사령관이라는 추가 직함이 부여되었다. 이 조항을 제외하고, 각 최고 사령관은 직접적으로 미국 대통령과 미국 해군 장관에게 책임을 졌다.

허즈번드 E. 키멀 해군 소장은 1941년 2월 1일에 미국 함대 최고 사령관(CINCUS)과 미국 태평양 함대 최고 사령관(CINCPAC)으로 임명되었으며, 그날부터 임시 제독 계급을 받았다. 키멀은 일본군진주만 공격 직후인 1941년 12월 17일에 CINCUS / CINCPAC에서 해임되었다.[15]

1941년 12월 18일 행정명령 제8984호[4]에 의해, 미국 함대 최고 사령관(COMINCH)의 직위가 재정의되었고, 대서양, 태평양, 아시아 함대뿐만 아니라 모든 해군 해안 전력에 대한 작전 지휘권을 부여받았다. CINCUS에서 COMINCH로의 약어 변경은 어니스트 J. 킹 제독이 제안한 것으로, 그는 진주만 공격 이후 해당 직위의 발음이 사기를 저하시킬 것을 우려했다.[5] 1941년 12월 20일, 어니스트 J. 킹 제독이 COMINCH로 임명되었다. 이전 CINCUS 직위와의 한 가지 중요한 차이점은 킹 제독이 자신의 본부가 항상 함대가 아닌 워싱턴 D.C.에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는 것이다.

해군의 지휘권을 COMINCH, 킹 제독, 그리고 해군 작전 참모총장(CNO), 해럴드 R. 스타크 제독 사이에서 나누는 것은 그다지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1942년 3월 12일 행정명령 제9096호를 통해 이 문제에 대처했으며, CNO와 COMINCH의 직위는 단일 장교가 겸임하도록 지정했고, 킹 제독은 COMINCH 외에도 CNO로 선정되었다. 킹은 1942년 3월 29일 스타크를 CNO에서 해임했으며, 전쟁이 끝날 때까지 두 직책을 모두 수행했다.

1941년 12월 17일 일본군진주만 공격으로 킴멜 제독은 태평양 함대 사령관에서 해임되어 소장으로 강등되었다. 프랭크 녹스 해군 장관은 미국 함대 사령관의 부활을 루즈벨트 대통령에게 건의하여 승인받았고, 대서양 함대 사령관(CINCLANT)인 어니스트 J. 킹 제독이 기용되었다. 미국 함대 사령관은 지역별 3개 함대 사령관의 상위에 위치하여 대통령 직속이 되었고, 해안 경비 함대를 포함한 모든 미국 함정에 대한 지휘권이 주어졌다.[11] 킹 제독의 건의로 약칭 CINCUS가 Sink us (우리를 침몰시켜라!)와 통하여 징크스가 있다는 이유로 COMINCH(코민치)로 개칭되었다. 또한, 양쪽 해역의 함대를 지휘하는 관계상 사령부는 워싱턴 D.C.의 해군부 건물 3층에 설치되었다.

이러한 변경에 따라 킹 미국 함대 사령관과 해군 작전 참모총장 해롤드 R. 스타크 제독 중 누가 해군의 최고가 될지를 놓고 두 사람 모두 상대방이 최고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불협화음이 생겼고, 스타크 해군 작전 참모총장이 1942년 3월 7일, 루즈벨트 대통령에게 사임을 신청했기 때문에 루즈벨트 대통령은 대통령 명령으로 해군 작전 참모총장 직을 킹 미국 함대 사령관이 겸임하도록 하여 해결을 시도했으며, 이 체제가 종전까지 이어졌다.

1943년 8월, 함대에 함대 번호를 부여하여 편성을 명확히 했다. 태평양 함대에 소속된 함대에는 홀수 번호가 부여되었으며, 윌리엄 F. 할제이 제독 지휘의 남태평양 함대는 제3함대, 레이먼드 A. 스프루언스 제독 지휘의 중부 태평양 함대는 제5함대로 개칭되었다.

1944년 9월, 킹 원수는 루즈벨트 대통령을 설득하여 미국 함대에 부사령관(DCOMINCH) 직책을 증설하고, 미국 함대 참모장이었던 리처드 S. 에드워드 중장을 임명했다.

2. 4. 제2차 세계 대전 중 활약

1941년 12월 7일 일본군의 진주만 공격으로 키멀 제독이 태평양 함대 사령관에서 해임되고 소장으로 강등되었다.[11] 루즈벨트 대통령은 프랭크 녹스 해군 장관의 건의를 받아들여 미국 함대 사령관을 다시 설치하고, 대서양 함대 사령관이었던 어니스트 킹 제독을 임명했다. 미국 함대 사령관은 3개 지역 함대 사령관보다 상위 직책으로 대통령에게 직접 보고했으며, 해안 경비 함대를 포함한 모든 미국 함정에 대한 지휘권을 가졌다.[11] 킹 제독은 약칭 CINCUS가 "Sink us (우리를 침몰시켜라!)"와 비슷하여 징크스가 있다는 이유로 COMINCH(코민치)로 변경했다. 사령부는 워싱턴 D.C.의 해군부 건물 3층에 설치되었다.

이러한 변화로 킹 미국 함대 사령관과 해군 작전 참모총장 해롤드 R. 스타크 제독 사이에 누가 해군 최고 책임자인지를 두고 갈등이 발생했다. 스타크 해군 작전 참모총장이 1942년 3월 7일 사임을 신청하자, 루즈벨트 대통령은 킹 미국 함대 사령관이 해군 작전 참모총장 직을 겸임하도록 하여 문제를 해결했고, 이 체제는 종전까지 유지되었다.

1943년 8월, 함대에 번호를 부여하여 편성을 명확히 했다. 태평양 함대 소속 함대는 홀수 번호가 부여되었고, 윌리엄 F. 할제이 제독의 남태평양 함대는 제3함대, 레이먼드 A. 스프루언스 제독의 중부 태평양 함대는 제5함대로 개칭되었다. 핵심 전력은 마크 A. 미처 중장의 항공모함 부대로, 제3함대 소속일 때는 제38임무부대, 제5함대 소속일 때는 제58임무부대로 불렸다. 존 S. 매케인 중장은 미처 중장의 교체 요원으로 제38임무부대를 지휘했다.

제7함대는 남서 태평양 해군 부대를 전신으로 하며, 태평양 함대에 속하지 않고 더글러스 맥아더 육군 대장의 지휘를 받았다. 1942년 3월 30일 통합 참모 본부 결정에 따라 태평양 전선 지휘 범위는 태평양 방면과 남서 태평양 방면으로 분할되었다. 니미츠 태평양 전구 최고 사령관과 맥아더 남서 태평양 전구 최고 사령관은 모두 통합 참모 본부 아래에 있었지만, 니미츠에게는 킹 미국 함대 사령관이, 맥아더에게는 육군 참모총장 조지 마셜 제독이 명령을 내렸다. 초대 제7함대 사령관은 아서 S. 카펜더 중장이었으나, 맥아더는 킹에게 두 번이나 경질을 요구했고, 1943년 11월 26일 토마스 C. 킨케이드 중장으로 교체되었다. 제7함대의 핵심 전력은 구식 전함 6척과 호위 항공모함 16척으로 구성된 상륙 지원 부대였으며, 노스캐롤라이나급 전함 이후의 전함이나 에식스급 항공모함과 같은 신형 함선은 배속되지 않았다.

대서양 함대 소속 함대는 짝수 번호가 부여되었지만, 대 U보트 전술 분석 부문인 제10함대는 킹 제독이 사령관 직을 겸임했고, 대서양 함대에는 속하지 않았다.

1944년 9월, 킹 원수는 루즈벨트 대통령을 설득하여 미국 함대에 부사령관(DCOMINCH) 직책을 신설하고, 미국 함대 참모장이었던 리처드 S. 에드워드 중장을 임명했다. 또한, 해군 작전부에 부장과 부장(VCNO) 사이에 차장(DCNO) 직책을 신설하여 에드워드 중장이 겸임했다.

2. 5. 종전과 해체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 함대 총사령관 직책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었다. 1945년 9월 29일,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은 행정명령 제9635호를 승인하여 행정명령 제8984호와 제9096호를 무효화하고 직책을 폐지, 군령권을 해군작전부장에게 이관했다.[16][17]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은 행정 명령 9635호에 서명하여 미국 함대 사령관의 모든 책임을 해군 작전 참모총장(CNO)에게 이관했다.[6] 그 이후, CNO는 거의 항상 미국 해군의 최고위 장교였다. 1947년 국가 안보법 통과 이후, CNO는 법적으로 현역 복무 중인 최고위 해군 장교이며, 합참의장 및/또는 합참 차장이 또한 미국 해군 장교인 경우를 제외한다.

미국 함대 사령부 참모장 찰스 M. 쿡 중장 등은 전후에도 미국 함대 사령장관을 존속시켜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해군 수장은 해군 작전 부장이 되어야 한다는 어니스트 킹 사령장관의 주장으로 1945년 10월에 폐지되었고, 그 기능은 해군 작전 부장에게 흡수되었다.[12] 현재 해군에서 군복을 입는 수장은 해군 작전 부장이다.

3. 역대 사령관

Commander-in-Chief, United States Fleet영어의 역대 사령관은 다음과 같다.

역대 미국 함대 사령관
#성명취임일이임일
1힐러리 P. 존스1922년1923년
2로버트 E. 쿤츠1923년1925년
3새뮤얼 S. 로비슨1925년1926년
4찰스 F. 휴스1926년1927년
5헨리 A. 와일리1927년1929년
6윌리엄 V. 프랫1929년1930년
7제후 V. 체이스1930년 9월 17일1931년 9월
8프랭크 H. 스코필드1931년 9월1932년 9월
9리처드 H. 리1932년 9월1933년 6월 10일
10데이비드 F. 셀러스1933년 6월 10일1934년 6월 18일
11조셉 M. 리브스1934년 2월 26일1936년
12아서 J. 헵번1936년1938년
13클로드 C. 블로흐1938년1940년 1월 5일
14제임스 O. 리처드슨1940년 1월 6일1941년 1월 5일
15허즈번드 E. 키멀1941년 1월 5일1941년 12월 30일
16어니스트 J. 킹1941년 12월 30일1945년 10월 10일[13]



1941년 12월 18일, 행정명령 제8984호에 따라 미국 함대 총사령관은 태평양, 대서양, 아시아 함대와 모든 해안부대에 작전명령을 내릴 수 있었다. 어니스트 J. 킹은 미국 함대 총사령관과 해군작전부장 직책을 겸임하였으며, 1944년에 5성 계급인 함대제독으로 승진하였다.

처음 축약어는 CINCUS였는데, 이를 소리내어 읽으면 "sink us영어" (우리는 침몰한다)로 매우 불길하여 1941년 12월 7일에 COMINCH로 교체되었다.

1941년 2월 1일, 태평양 함대와 대서양 함대가 재창설됨에 따라 3개 해양 함대를 총괄하는 직위가 되었다. 1944년 3월 12일, 행정명령 제9096호에 따라 COMINCH와 해군작전부장(CNO)는 겸직하는 직위로 조정되었다. 어니스트 킹은 1944년 함대제독으로 승진하였고,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뒤에 조직이 해체되었다.

참조

[1] 위키문헌 Executive Order 8984
[2] 문서 Norman Polmar, p.33
[3] 서적 Fleet Admiral King A Naval Record W. W. Norton & Company, Inc. 1952
[4] 웹사이트 Executive Orders, Franklin D. Roosevelt, 1941 https://www.archives[...] National Archives 2009-01-22
[5] 서적 The Admirals: Nimitz, Halsey, Leahy and King – The Five-Star Admirals Who Won the War at Sea Little, Brown and Company
[6] 문서 Executive Orders Disposition Tables; Truman, 1945 https://www.archive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2018-07-21
[7] 웹사이트 Command History https://www.cpf.navy[...] U.S. Pacific Fleet 2019-06-09
[8] 서적 アメリカ海軍の膨張と日米の確執,有坂純,日VS.米陸海軍基地―太平洋をめぐる拠点争奪戦と戦略・戦術のすべて (〈歴史群像〉太平洋戦史シリーズ (28)) 学習研究社
[9] 웹사이트 Department of the Navy. U.S. Pacific Fleet. Office of the Commander in Chief. 1/1940-9/18/1947 https://catalog.arch[...]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2019-06-09
[10] 문서 ORGANIZATION OF THE NAVAL FORCES OF THE UNITED STATES http://ibiblio.org/h[...] General Order No. 143 1941-02-03
[11] 문서 Executive Order 8984, December 18, 1941. https://en.wikisourc[...]
[12] 문서 Administration of the Navy Department in World War II http://ibiblio.org/h[...]
[13] 문서 ORGANIZATION OF THE NAVAL FORCES OF THE UNITED STATES General Order No. 143 1941-02-03
[14] 위키문헌 Executive Order 8984
[15] 위키문헌 Executive Order 9096
[16] 웹인용 EXECUTIVE ORDER 9635 https://www.trumanli[...] The Harry S. Truman Library and Museum 1945-09-29
[17] 웹인용 Executive Orders Disposition Tables https://www.archives[...] 2023-05-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