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작전부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군작전부장(CNO)은 미 해군에서 현역 장교 중 통상적으로 최고위 장교이며, 대통령이 임명하고 상원의 인준을 받아 4년 임기로 재임한다. 해군작전부장은 해군부 장관의 지휘를 받아 해군 조직을 감독하고, 합동참모본부의 구성원으로서 대통령, 국가안전보장회의, 국방장관에게 군사적 조언을 제공한다. 1915년 신설된 이 직책은 초기에는 해군 장관에게 종속되었으나, 이후 권한이 강화되었고, 해군작전부장은 해군참모부(OPNAV)를 관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해군작전부장 - 어니스트 킹
어니스트 킹은 1878년 오하이오주에서 태어나 미 해군에서 복무하며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합중국 함대 총사령관 겸 해군 작전부장으로 활약하여 해군 원수로 진급했다. - 미국의 해군작전부장 - 제러미 마이클 부어다
제러미 마이클 부어다는 수병으로 입대하여 해군 작전 참모총장까지 오른 미국의 해군 군인으로, 해군 C4I 시스템 구축, 인사 제도 개선, 연안 해양학 정책 수립 등 해군 발전에 기여했으나 재임 중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해군작전부장 | |
---|---|
개요 | |
직책 | 해군작전부장 |
소속 | 미국 해군 |
직무 | 미국 해군의 최고위 장교 및 총장 |
약칭 | CNO |
임명 및 지위 | |
소속 | 미국 해군부 |
임명권자 | 미국 대통령 (미국 상원의 동의 필요) |
보고 대상 | 미국 해군부 장관 |
임기 | 4년 (전쟁 또는 국가 비상사태 시 1회 연장 가능) |
멤버 | 합동참모본부 |
역사 | |
창설 | 1915년 5월 11일 |
이전 직책 | 해군 작전 보좌관 |
초대 해군작전부장 | 윌리엄 S. 벤슨 대장 |
현임 | |
현임 해군작전부장 | 리사 프란체티 해군 대장 |
취임일 | 2023년 11월 2일 |
![]() | |
기타 | |
부관 | 해군작전부차장 |
관저 | 팅게이 하우스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임명, 계급 및 책임
해군작전부장(CNO)은 통상적으로 현역 미 해군 장교 중 최고위 장교이다. 단, 합참의장 및/또는 합동참모차장이 해군 장교인 경우는 예외이다.[4] 해군작전부장은 대통령이 임명하고 상원의 인준을 받아야 하며, 임기는 4년이다.[2]
해군작전부장 임명 요건은 합동 임무 배속에서 상당한 경험을 갖는 것이며, 여기에는 장성급 장교로서 합동 임무 배속에서 최소 한 번의 정규 근무 기간을 포함한다.[2] 대통령은 국익을 위해 이러한 요건을 면제할 수 있다.[2] 해군작전부장은 1차례에 한하여 임명될 수 있으나, 이는 전쟁 또는 의회가 선포한 국가 비상사태 시에만 가능하다.[2] 법률에 따라 해군작전부장은 4성 제독으로 임명된다.[2]
해군작전부장 자리가 비어 있거나 부재 또는 질병으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 대통령이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해군작전차장이 후임자가 임명될 때까지 또는 부재 또는 질병 상태가 종료될 때까지 해군작전부장의 직무를 대행한다.[3]
2. 1. 해군부
Chief of Naval Operations영어 (CNO)는 통상적으로 현역 해군 장교 중 최고위 장교이다. 다만, 합참의장 및/또는 합동참모차장이 해군 장교인 경우는 예외이다.[4] 해군작전부장은 해군 장관을 대리하여 국방장관의 승인을 받아 통합전투사령부 사령관에게 배정할 해군 인력 및 해군 전력을 지정한다.[5][6]해군작전부장의 직책은 해군 개혁파와 연방 의회가, 제복 군인의 권한 확대를 싫어하는 조세퍼스 대니얼스 해군 장관의 반대를 무릅쓰고 1915년 3월에 소장 직책으로 신설되었지만, 의회는 1916년 8월에 대장 직책으로 격상시켰다.[37] 설치 당시에는 함대 지휘권과 해군성 각 국장에 대한 명령권이 주어지지 않아 권한이 강하지 않았다. 그러나 진주만 공격으로 미국이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자,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과 프랭크 녹스 해군 장관은 1941년 2월에 상설 직책에서 폐지된 미국 함대 사령관(Commander in Chief, United States Fleet: 약칭 CINCUS)을 대통령령 제8984호[38]에 의해 COMINCH로 부활시켜 함대 지휘권을 부여하고, 어니스트 킹 대장을 임명했다.
이 때문에 해군작전부장 해롤드 스타크 대장과 킹 대장 중 누가 해군의 최고 수장인지 알 수 없는 상태가 되어 혼란이 생겼고, 스타크 대장이 CNO를 사임하면서 대통령령 제9096호[39]에 의해 미국 함대 사령관 겸 해군작전부장(Commander in Chief, United States Fleet, and Chief of Naval Operations: 약칭 COMINCH-CNO) 직함이 신설되었다. COMINCH-CNO인 킹 대장이 COMINCH와 CNO 직무를 모두 담당했고, CNO에게 해군성 각 국장에 대한 감독권이 주어졌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종결되자 COMINCH는 폐지되었고, 다시 CNO가 최고 수장이 되었다.
해군작전부장은 해군 조직에 대한 감독, 장관 또는 상위 법적 권한에 의해 할당된 기타 업무를 수행하며, 이러한 의무와 책임을 OPNAV 또는 하위 조직의 다른 장교에게 위임한다.[4][5]
'''해군작전부장'''으로 번역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40] 최근에는 '''해군작전총장'''으로 번역하려는 움직임이 있다.[41][42]
2. 2. 합동참모본부
해군작전부장은 및 에 따라 합동참모본부의 구성원이다. 합동참모본부의 다른 구성원들과 마찬가지로, 해군작전부장은 행정적인 직책이며, 미국 해군 전력에 대한 작전 지휘 권한은 없다.합동참모본부 구성원은 군사 고문 자격으로, 개별적으로 또는 집단적으로, 대통령,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또는 국방장관(SECDEF)이 특정 문제에 대한 조언을 요청할 때 이에 대한 조언을 제공해야 한다. 합동참모본부 구성원(합동참모의장 제외)은 대통령, NSC, 또는 국방장관에게 의장이 제출한 조언에 대한 반대 의견이나 추가 의견을 의장에게 제출할 수 있다.
해군작전부장은 합동참모본부 임무를 수행할 때 국방장관에게 직접 보고하지만, 국방장관이 별도로 명령하지 않는 한, 해군장관의 임무와 책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군사 작전에 대해 해군장관에게 완전히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7]
최근에는 해군작전부장을 '''해군작전총장'''으로 번역하려는 움직임이 있다.[41][42] 군사 평론가 노기 게이이치는, 해군작전 "부장"으로는 단순한 부국의 장으로 오인될 우려가 있지만, 해군작전 "총장"이라면, 합동참모본부의 구성원인 "육군 참모총장" 및 "공군 참모총장"과 균형을 이룬다는 취지를 설명한다.[43]
3. 역사
1915년 해군 개혁파와 연방 의회는 제복 군인의 권한 확대를 싫어하는 조세퍼스 대니얼스 해군 장관의 반대를 무릅쓰고 해군작전부장(Chief of Naval Operations, CNO) 직책을 소장 직책으로 신설했다. 그러나 의회는 1916년 8월에 대장 직책으로 격상시켰다.[37] 당시 상황으로 인해 해군작전부장에게는 함대 지휘권과 해군성 각 국장에 대한 명령권이 주어지지 않아 권한이 강하지 않았다.
진주만 공격으로 미국이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자,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과 프랭크 녹스 해군 장관은 1941년 2월에 상설 직책에서 폐지한 미국 함대 사령관(Commander in Chief, United States Fleet: 약칭 CINCUS)을 대통령령 제8984호[38]에 의해 COMINCH로 부활시켜 함대 지휘권을 부여하고, 어니스트 킹 대장을 임명했다. 이 때문에 해군작전부장 해롤드 스타크 대장과 킹 대장 중 누가 해군 최고 수장인지 알 수 없는 상태가 되어 혼란이 생겼고, 스타크 대장이 CNO를 사임하면서 대통령령 제9096호[39]에 의해 미국 함대 사령관 겸 해군작전부장(Commander in Chief, United States Fleet, and Chief of Naval Operations: 약칭 COMINCH-CNO) 직함이 신설되었다. COMINCH-CNO 킹은 COMINCH와 CNO 직무를 담당하게 되었고, CNO에게 해군성 각 국장에 대한 감독권이 주어졌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종결되자 COMINCH는 폐지되었고, 다시 CNO가 최고 수장이 되었다.
'''해군작전부장'''으로 번역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40] 최근에는 '''해군작전총장'''으로 번역하려는 움직임이 있다.[41][42] 군사 평론가 노기 게이이치는 해군작전 "부장"은 단순한 부서의 장으로 오인될 우려가 있지만, 해군작전 "총장"은 합동참모본부의 구성원인 "육군 참모총장" 및 "공군 참모총장"과 균형을 이룬다고 주장한다.[43] 미국 국방부 편찬 『군사 용어 사전』에 따르면, "operation"은 군사적 충돌 관련 활동뿐만 아니라 보급, 훈련, 관리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44] 일본어 "작전"보다 넓은 개념이므로, "Chief of Naval Operations"를 "해군작전부장", "해군군령부장"으로 번역한 것은 오역에 가깝다는 지적도 있다.[45]
넘버 원 옵서버토리 서클은 워싱턴 D.C. 미국 해군 천문대 북동쪽에 있으며, 1893년 천문대장을 위해 지어졌다. 해군 작전 참모총장은 이 집을 마음에 들어 해 1923년 공식 관저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1974년 미국 의회가 미국 부통령의 공식 관저로 개조를 승인할 때까지 해군 작전 참모총장의 관저로 사용되었으며,[17] 현재는 워싱턴 해군 기지 사관 A(Quarters A)에 거주하고 있다.
3. 1. 초기 시도와 해군 작전 보좌관 (1900–1915)
20세기 초, 미국 해군 내에서는 중앙 집중식 지휘 체계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윌리엄 심스[8] 등 해군 개혁파들은 대참모본부와 같은 프로이센식 참모 본부 조직을 주장했으나, 미국 의회는 권력 집중을 우려하여 반대했다.[10] 특히 미국 상원 군사위원회 위원장인 유진 헤일 상원의원은 심스와 같은 개혁가들을 싫어했고, 이러한 아이디어를 논의에 부치려는 시도를 지속적으로 막았다.[3]조지 A. 컨버스 소장은 1905년부터 1906년까지 항해국(BuNav) 사령관을 지내면서 "장관 밑에 부서의 정책을 시작하고 지시하며, 부서의 업무를 조정하고 그들의 에너지를 전쟁을 위한 함대의 효과적인 준비를 위해 집중시키는 군사 행정 권한의 필요성이 절실히 느껴진다"고 보고했다.[8]
이러한 반대에 대응하기 위해,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대통령 아래 조지 폰 렌거케 마이어 미국 해군부 장관은 1909년 11월 18일에 "보좌관" 제도를 시행했다.[9] 이 보좌관들은 지휘 권한이 없었으며, 대신 해군 장관의 주요 자문관 역할을 했다.[10] 마이어는 작전 보좌관을 가장 중요한 사람으로 간주했는데, 그는 "함대 작전에 모든 주의를 기울이고 연구"하고, 총회의 조언과 전쟁 또는 비상시 장관의 승인을 받아 함대 이동 명령을 작성하는 책임을 맡았다.[11]
마이어의 첫 번째 작전 보좌관인 리처드 웨인라이트 소장의 성공[10]은 마이어가 1913년 2월 10일 세 번째 작전 보좌관인 브래들리 A. 피스크 소장을 그의 ''사실상'' 주요 자문관으로 임명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12] 피스크는 마이어의 후임자인 조세푸스 대니얼스 아래에서도 직책을 유지했으며, 해군 작전 참모총장(CNO) 직책이 되기 위한 가장 저명한 지지자가 되었다.[13]
순서 | 초상화 | 계급 | 성명 | 취임일 | 퇴임일 | 해군 장관 |
---|---|---|---|---|---|---|
1 | -- | 소장 | 리처드 웨인라이트 | 1909년 12월 3일 | 1911년 12월 12일 | 조지 폰 렝거케 마이어 |
2 | ![]() | 소장 | 찰스 E. 브릴랜드 | 1911년 12월 12일 | 1913년 2월 11일[24] | 조지 폰 렝거케 마이어 |
3 | -- | 소장 | 브래들리 A. 피스크 | 1913년 2월 11일 | 1915년 4월 1일 | 조지 폰 렝거케 마이어 조세퍼스 대니얼스 |
3. 2. 해군작전총장 직책 신설 (1915)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가능성에 대한 우려 속에, 브래들리 A. 피스크는 해군이 전쟁에 대비하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그는 조세푸스 대니얼스 해군 장관의 무관심에 좌절하여, 해군 장관을 거치지 않고 리치먼드 P. 홉슨 하원의원과 협력하여 "해군작전부장" 직책을 신설하는 법안을 추진했다.[40][45]대니얼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이 법안은 1915년 1월 홉슨의 소위원회와 하원 해군 위원회를 통과했다. 피스크의 지지자들은 그가 초대 해군작전부장이 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대니얼스는 법안을 수정하여 해군작전부장의 권한을 제한하고 해군 장관에게 종속시켰다.
결국, 1915년 3월 3일, 상원은 해군작전부장 직책과 부서를 신설하는 예산 법안을 통과시켰다. 초대 해군작전부장에는 윌리엄 S. 벤슨 대령이 임명되었으며, 이후 제독으로 승진했다.
최근에는 '해군작전부장'이라는 번역 대신 '해군작전총장'으로 번역하려는 움직임도 있다.[41][42] 군사 평론가 노기 게이이치는 '해군작전총장'이라는 번역이 육군 및 공군 참모총장과 균형을 이룬다고 주장한다.[43]
3. 3. 초대 CNO 벤슨 (1915–1919)
1915년 해군 개혁파와 연방 의회는 제복 군인의 권한 확대를 싫어하는 조세퍼스 대니얼스 해군 장관의 반대를 무릅쓰고 해군작전부장(Chief of Naval Operations, CNO) 직책을 신설했다. 초대 해군작전부장(해군작전총장)은 윌리엄 벤슨 대장이었다.[37] 벤슨은 해군작전총장 직책의 권한과 역할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벤슨은 고위 참모 활동을 조율하기 위한 자문 위원회를 설치했는데, 이 위원회는 벤슨, 해군 장관, 국장들로 구성되었으며, 대니얼스와 벤슨 모두 "매우 만족"했다. 또한 1918년에는 벤슨을 해군 위원으로 하는 육해군 합동 위원회를 재설립하고,[11] 해군 작전 참모총장의 권한 아래 해군 항공 관련 모든 문제를 통합했다.
벤슨은 해군 관구의 구조를 개편하여 관구에 대한 권한을 해군 장관에서 작전, 계획, 해군 관구 부서 산하 해군 작전 참모총장실로 이관했다. 이를 통해 해군 관구 사령관과 제복을 입은 지휘부 간의 긴밀한 협력이 가능해졌으며, 이들은 전임자와 해군 함대 사령관 사이의 통신을 더 쉽게 처리할 수 있었다. 그의 재임 말년에는 육상 근무 중인 장교들이 고위 참모와 함대 간의 결속력을 유지하기 위해 해군 작전 참모총장실에서 임시 임무를 수행하도록 규정을 정했다.
벤슨의 임기는 1919년 5월 10일에 종료될 예정이었으나, 대통령은 대니얼스 해군 장관의 요청에 따라 이를 연기했다. 벤슨은 1919년 9월 25일에 퇴임했고,[13] 로버트 쿤츠 제독이 1919년 11월 1일 벤슨의 후임 해군 작전부장으로 임명되었다.
3. 4. 전간기 (1919–1939)
해군 작전 부장(CNO)의 권한은 전간기(1919년~1939년) 동안 큰 변화를 겪지 않았다. 해군 장관들이 행정 권한을 자신들의 사무실에 두는 것을 선호했기 때문이다. 이 기간 동안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을 준수하면서 1916년 해군법에 의해 승인된 조선 계획을 유지하고, 전쟁 계획 과정의 조정을 장려하며, 해군 항공 개념을 해군 교리에 도입하는 등의 노력이 이루어졌다.
윌리엄 V. 프랫은 찰스 F. 휴즈의 사임 이후 1930년 9월 17일, 다섯 번째 해군작전부장이 되었다.[14] 그는 대공황으로 인한 재정적 어려움 때문에 지출 제한을 선호했던 허버트 후버 대통령과 해군력 증강 문제로 충돌했다. 프랫은 해군의 중앙 집중식 관리에 반대했고, 해군 장관실, CNO, 해군 일반 위원회 사이의 의견 다양성을 장려했다. 또한 육군 참모총장 더글러스 맥아더와 훌륭한 관계를 유지하며, 양측의 무선 통신망 조정, 연안 방어, 육군 및 해군 항공에 대한 권한 등 여러 주요 합의를 협상했다.
1933년 프랫의 뒤를 이은 윌리엄 H. 스탠리는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과의 관계가 약했다. 그러나 의회와의 관계를 성공적으로 개선하여 해군부와 해군 감독 위원회 간의 소통을 간소화했으며, 최초의 해군 입법 연락관을 임명했다. 스탠리는 또한 빈슨 하원의원과 협력하여 빈슨-트라멜 법을 통과시켰는데, 이는 해군력 증강의 기반을 마련한 중요한 업적으로 평가된다. 이 법은 제2차 세계 대전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윌리엄 D. 리하이 제독은 1937년 1월 2일, 스탠리의 후임으로 해군작전부장이 되었다.[15] 리하이는 루스벨트 대통령과 개인적으로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고, 해군 장관의 건강 악화와 해군 차관보의 사망으로 전례 없는 영향력을 갖게 되었다.[16] 리하이는 1939년 8월 1일 해군에서 퇴역하여 푸에르토리코 총독이 되었다.
3. 5. 공식 관저
넘버 원 옵서버토리 서클은 워싱턴 D.C.에 있는 미국 해군 천문대 북동쪽에 위치해 있으며, 1893년 천문대장을 위해 지어졌다. 해군 작전 참모총장은 이 집을 매우 마음에 들어 해서 1923년 자신의 공식 관저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 집은 1974년 미국 의회가 미국 부통령의 공식 관저로 개조를 승인할 때까지 해군 작전 참모총장의 관저로 사용되었다.[17] 현재 해군 작전 참모총장은 워싱턴 해군 기지의 사관 A(Quarters A)에 거주하고 있다.4. 해군작전부
해군작전부(OPNAV)는 해군작전총장(CNO)의 참모 조직으로, 원래 작전실(Office for Operations)로 불렸다.[12] 1916년 6월까지 OPNAV는 작전, 계획, 해군 지구, 규정, 함정 이동, 통신, 홍보, 물자 등 8개 부서로 구성되었다.[12] OPNAV는 미국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이후 병력의 신속한 동원을 관리하는 데 중요하다고 여겨져 규모가 증가했는데, 1917년 1월에는 75명의 직원으로 시작하여 전쟁이 끝날 무렵에는 1462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했다.[12]
해군참모총장은 공식적으로 '''해군참모부'''로 알려진 '''해군작전부'''(OPNAV)를 관장한다.[18][19] 해군작전부는 해군부의 행정부 내 법정 조직이며, 해군 장관(SECNAV)과 해군참모총장(CNO)이 그들의 책임을 수행하는 데 전문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20][21]
해군참모총장의 권한 하에, '''해군참모부 국장'''(DNS)은 해군참모부의 일상적인 행정 및 해군참모총장에게 직접 보고하는 해군 작전 부참모의 활동 조정을 담당한다.[22] 이 직책은 1996년까지 해군 작전 부참모장(AVCNO)으로 알려졌으며, 당시 해군참모총장 제레미 보르다가 현재 명칭으로 변경하도록 명령했다.[12]
5. 역대 해군작전총장
(마크)
(재임 중 대장으로 진급)
순양함 부대 사령관
(재임 중 원수로 진급)
겸 태평양 전역 최고 사령관
겸 대서양 함대 사령관
동대서양·지중해 미국 해군 사령관 겸
동대서양 미국군 사령관
대서양 함대 사령관 겸
NATO 대서양 연합군 최고 사령관
대서양 함대 사령관
NATO 대서양 연합군 최고 사령관
동대서양 미국군 사령관 겸
NATO 남유럽 연합군 최고 사령관

NATO 나폴리 연합 통합군 사령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