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즈하라 시게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즈하라 시게루는 일본의 야구 선수이자 감독, 야구 평론가이다. 선수 시절에는 고시엔 대회에서 우승하고, 게이오기주쿠 대학에서 활약했으며, 도쿄 교진군(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전신)에서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감독으로서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리그 3연패와 일본 시리즈 3연패를 달성하며 '제2기 황금 시대'를 열었고, 도에이 플라이어스와 주니치 드래건스 감독을 역임했다. 특히 요미우리 감독 시절에는 라이벌 미하라 오사무가 이끄는 니시테쓰 라이온스와의 일본 시리즈 대결로 '간류섬의 대결'을 펼쳤다. 1977년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1982년 간부전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카마쓰시 출신 - 니시오 스에히로
    니시오 스에히로는 일본의 노동운동가 출신 정치인으로, 사회민중당, 사회대중당을 거쳐 일본사회당에서 우파를 이끌었으며, 민주사회당을 창당하여 안보 문제에서는 야당과, 다른 안건에서는 자민당과 협력하는 독자 노선을 걸으며 국수주의적 성향과 반공주의적 입장을 보여 논쟁적인 평가를 받았다.
  • 다카마쓰시 출신 - 나카무라 유이치 (성우)
    나카무라 유이치는 독특한 저음으로 다양한 배역을 소화하며 《클라나드》의 오카자키 토모야, 《주술회전》의 고죠 사토루 등의 대표작을 통해 인지도를 높인 일본의 성우로, 크런치롤 애니메이션 어워드에서 최우수 성우상을 수상하고 유튜브 채널 "와샤가나 TV"를 운영하며 활동하고 있다.
  • 가가와현 출신 야구 선수 - 곤도 아키히토
    곤도 아키히토는 일본의 프로 야구 선수이자 지도자로, 다이요 웨일스에서 2루수로 활약하며 1960년 일본 시리즈 MVP를 수상했고, 은퇴 후에는 요코하마 베이스타스와 지바 롯데 마린스 감독을 역임했다.
  • 가가와현 출신 야구 선수 - 미하라 오사무
    미하라 오사무는 혁신적인 야구 이론과 용병술로 일본 야구계에 큰 영향을 미친 야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선수 시절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계약 선수 1호였으며, 니시테쓰 라이온즈를 지휘하며 일본시리즈 3연패를 달성하는 등 명장으로 이름을 떨쳤다.
  • 시베리아 억류자 - 우노 소스케
    우노 소스케는 자유민주당 소속의 일본 정치인으로, 외무대신 등 요직을 거쳐 제75대 내각총리대신을 지냈으나 여성 스캔들로 인해 69일 만에 사임하며 최단명 내각 중 하나를 이끌었고, 시베리아 억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저서를 출판하기도 했다.
  • 시베리아 억류자 - 사토 슌지
    사토 슌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중국과 만주에서 생물무기 개발 및 사용에 관여한 일본 제국 육군 장교로, 전쟁범죄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으며 그의 행위는 심각한 인도주의적 문제를 야기했다.
미즈하라 시게루
기본 정보
Shigeru Mizuhara
이름미즈하라 시게루
원어 이름水原 茂
로마자 표기Shigeru Mizuhara
출생일1909년 1월 19일
출생지가가와현 다카마쓰시
사망일1982년 3월 26일
사망지도쿄
신장170
체중64
포지션내야수 / 감독
타석
투구
선수 경력
프로 입단 년도1936년
첫 출장1936년
최종 출장1950년
소속팀도쿄 자이언츠/요미우리 자이언츠 (1936–1950)
감독 경력
소속팀요미우리 자이언츠 (1950–1960)
도에이 플라이어스 (1961–1967)
주니치 드래건스 (1969–1971)
타격 기록 (일본 야구 리그/일본 프로 야구)
타율0.243
홈런12
안타476
타점184
도루69
수상 내역
MVP일본 야구 리그 MVP (1942)
리그 우승9회 (1936, 1937, 1938, 1939, 1940, 1941, 1942, 1943, 1949)
일본 시리즈 우승5회 (1951, 1952, 1953, 1955, 1962)
명예의 전당
유형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
헌액일1977년
헌액 방법선수 선정 위원회

2. 선수 경력

미즈하라는 1931년과 1934년 메이저 리그 선발팀 방일 때 전일본팀 멤버로 선출되었다. 1936년 가을에 자이언츠에 입단하여 마에카와 하치로를 대신해 주전 3루수가 되었다. 이후 주로 2번이나 3번 타순을 맡았고, 1937년 가을 리그에서는 타율 0.290, 31타점으로 팀 내 2위를 기록했다. 사와무라 에이지가 징집으로 팀을 떠난 1938년 가을 리그에서는 투수로도 활약하여 스타르힌에 이어 8승(2패), 평균자책점 1.76(리그 2위)을 기록했다. 1939년부터 주장을 맡았고, 1940년에는 베스트 나인에 선정되었다. 1942년에는 징집으로 8월 시즌 중반에 팀을 떠났음에도 불구하고, 인망이 두터워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23]

전쟁 중에는 아시아 대륙으로 건너가 시베리아 억류를 경험했다. 1949년 7월 20일 마이즈루 항에 귀국하여 4일 후 오전 10시 30분에 도쿄역에 도착, 곧바로 고라쿠엔 구장으로 가서 자이언츠 대 다이에이 전(더블헤더) 경기 전에 "미즈하라 시게루, 이제 돌아왔습니다"라고 말하며 팬들에게 귀환을 알렸다. 이미 40세였지만, 팬들의 요청과 요미우리 신문사의 권유로 현역으로 복귀했다.[5] 그러나 시베리아 억류 중 극심한 영양실조로 인해 쇠퇴하여 복귀 시즌에는 공식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 2리그제가 되고 감독이 된 1950년에는 감독 겸 선수로 7경기에 출전하는 데 그쳤다.

2. 1. 아마추어 시절

미즈하라는 어릴 때 부모의 이혼과 아버지의 재혼으로 ‘미즈하라’(水原일본어)라는 성을 갖게 되었다. 야구를 시작한 것도 이러한 가정 환경에서 벗어나기 위한 것이었다.[28]

구제 가가와 현립 다카마쓰 상업학교 시절, 선배 미야타케 사부로(한큐 브레이브스 초대 주장)와 함께 고시엔 대회에 출전하여 투수3루수로 활약했다. 1925년 하계 대회와 1927년 하계 대회에서 두 차례 전국 우승을 차지했다. 미즈하라와 미야타케는 게이오기주쿠 대학에서도 선후배이자 팀 동료로 좋은 관계를 이어갔다. 게이오기주쿠 대학 시절 도쿄 6대학 야구 연맹의 스타 선수로 활약하며 춘계·추계 리그 통산 5회 우승을 이끌었다. 그러나 ‘사과 사건’과 마작 도박에 연루되어 야구부에서 제명되었다. 리그 통산 타자 기록은 63경기 출전, 193타수 48안타, 타율 0.249, 24타점이며, 투수 기록은 30경기 등판, 13승 8패이다. 야구부에서 제명되었지만, 이후 게이오기주쿠 대학의 학생 신문 ‘게이오 스포츠’의 제자를 담당했다.

와세다 대학미하라 오사무와는 프로 진출 후에도 라이벌 관계였다. 1931년 6월 14일 소케이센 2차전에서 미하라가 미즈하라를 상대로 홈스틸을 성공시켜 와세다 대학이 승리했는데, 이는 소케이센 역사상 최고의 명장면 중 하나로 꼽힌다.

2. 2. 프로 선수 시절

어린 시절 부모의 이혼과 아버지의 재혼으로 '미즈하라'(水原일본어)라는 성을 갖게 되었으며, 집안 환경에서 벗어나기 위한 일종의 위안으로 야구를 시작했다.[28] 1949년 시즌 종료 후, 요미우리 선수들이 미하라 오사무 감독에 대한 배척 소동을 일으켰고, 그 흐름에 휘말려 1949년 12월 31일에 제7대 감독으로 부임하게 되었다. 1949년에 팀을 전후 첫 우승으로 이끈 미하라는 총감독으로 밀려났다. 이는 미하라의 미즈하라에 대한 처우에 불만을 갖고 있던 선수들 대다수가 쿠데타를 일으켜 사실상 지휘권을 빼앗았다는 것이 정설이다. 하지만 미즈하라 본인은 모의에 참여하지 않았고, “우승으로 이끈 감독이 그만두게 되는 것은 비논리적이다”라고 말하며 감독 취임에 반대하고 있었다고 한다.

선수 겸임 감독이었던 1950년에는 3위로 시즌을 끝냈지만, 1951년부터 1953년까지 리그 3연패와 일본 시리즈 3연패를 동시에 달성하면서 요미우리의 ‘제2기 황금 시대’를 열었다. 당시 팀에는 요나미네 가나메, 가와카미 데쓰하루, 치바 시게루, 히로타 준, 벳쇼 다케히코 등 유명한 선수들이 있었다. 하지만 1954년에는 스기시타 시게루를 필두로 한 주니치 드래건스에게 밀려 2위를 차지했다.

요미우리 감독 시절의 미즈하라, 오른쪽은 가와카미 데쓰하루(1956년)


이 기간 동안 미즈하라의 감독 취임 4년째인 1953년부터 유니폼에 검은색과 주황색의 팀 컬러를 도입했다(메이저 리그의 뉴욕 자이언츠를 모델로 삼았다). 1955년에는 다시 독주하여 리그 우승을 달성했고 같은 해 일본 시리즈에서 난카이 호크스와의 네 번째 대전이 성사됐다. 요미우리는 1차전에서 승리했지만 2차전부터 내리 3연패를 당해 일본 시리즈에서 처음 강수를 두었다. 미즈하라는 5차전에 들어가기 전 포수를 히로타 준에서 후지오 시게루, 2루수를 치바 시게루에서 나이토 히로후미, 좌익수를 히가사 가즈오에서 가쿠라이 미노루를 기용하는 등 젊은 선수들을 발탁하는 강수를 두었고 이 선수들의 활약으로 3연승을 기록하여 역전해 일본 시리즈 정상에 올랐다. 1955년 오프에 구단 사장으로 취임한 시나가와 가즈에는 미즈하라와 서로 뜻이 맞질 않아서 시나가와는 미즈하라를 ‘권위(쇼리키 마쓰타로)에 의지하는 사람’이라고 비난하자, 이에 반발한 미즈하라는 시나가와를 ‘초보인 주제에’라고 비난하는 등 두 사람과의 극한 대립에 치달은 적도 있었다.[30]

이듬해 1956년에도 리그 우승을 달성하면서 일본 시리즈 상대는 라이벌인 미하라 오사무가 이끄는 니시테쓰 라이온스와의 맞대결이 성사되자, 이것을 언론에서(미하라의 요미우리 퇴단 경위를 근거로) ‘간류섬의 대결’이라고 선전했다. 일본 시리즈를 앞두고 요미우리가 유리할 것이라는 하마평이 나돌았지만 이나오 가즈히사, 나카니시 후토시 등 젊은 주축 선수들의 힘에 압도당해 2승 4패로 패했다. 여기서 시나가와는 세대 교체를 위한 조직의 일환으로 팀 개혁을 주장하고 나섰는데 투수 코치 다니구치 고로, 2군 감독 후지모토 히데오, 코치 우치보리 다모쓰의 경질, 히라이 사부로와 미나미무라 유코의 현역 은퇴를 근거로 내세웠다. 미즈하라는 처음엔 반대했지만 후지모토는 투수 코치, 닛타 교이치는 2군 감독, 우치보리는 2군 조감독과 코치진의 인사 이동을 단행하는 것으로 일단락됐다.[30]

1957년에는 리그 우승을 달성했지만 일본 시리즈에서는 계속해서 니시테쓰에게 패했다. 2년 연속으로 일본 시리즈 우승을 놓치자 상대 전적이 1무 4패라는 최악의 성적으로 단 1승도 올리지 못하고 패배했기 때문에 요미우리 내부에서도 미즈하라의 감독 수완에 의문을 제기하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졌다. 시나가와 구단 사장은 후지모토 히데오, 다니구치 고로 등 일부 코치진의 해임과 히라이 사부로, 미나미무라 유코 등 베테랑 선수들을 정리하겠다는 특단의 결정을 내렸는데 이같은 시나가와의 인사 정책에 미즈하라는 강력 반발해 후지모토의 코치직 해임에 반대했다. 같은 해 12월 6일에 미즈하라는 시나가와를 직접 만나서 면담했지만 시나가와의 기분이 변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아채고 “코치가 나쁜 것은 감독에게도 책임이 있다. 후지모토를 그만두게 한다면 나도 물러나겠다”라고 사의를 표했다. 요미우리 구단주였던 쇼리키 마쓰타로는 당시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이라는 직책을 맡고 있었기 때문에 미즈하라를 인사원 빌딩 안에 있는 위원장실로 불러냈다. 쇼리키는 시나가와의 코치 해임 인사에 미즈하라에게 신임 코치 인선을 인정하는 것을 조건으로 받아들이도록 명령했고 결국 미즈하라는 사임을 철회했다. 하지만 이 사실을 전해들은 시나가와는 미즈하라의 태도에 격노하여 많은 기자들이 보는 앞에서 “미즈하라, 사과하게”라며 매도했는데 쇼리키의 중재로 겨우 자리를 차지했다.[30] 이 소동을 언론에서는 ‘인사원 소동’(人事院騒動일본어) 또는 ‘'''사과 사건'''’(謝れ事件일본어)이라고 표현하여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결국 후지모토, 다니구치는 경질됐고 미즈하라는 현역에서 은퇴한 나카오 히로시, 히가사 가즈오를 후임 코치로 삼았다.

1958년 일본 시리즈에서는 미하라가 감독으로 있는 니시테쓰와의 세 번째 맞대결이 이뤄졌다. 1차전부터 3차전까지 3연승하여 설욕을 눈앞에 두었으나 4차전이 우천으로 취소됐다. 그러나 경기 시작 전에 비는 멈췄고 경기장의 상태는 경기를 해도 괜찮을 정도였다. 규슈 각지에서 버스로 응원하러 온 팬들을 배려해 니시테쓰측과 요미우리측은 중단 결정의 철회를 요구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결국 4차전을 놓쳤으나 5차전에서는 9회에 1점 차의 리드를 지키고 있었다. 그러나 대타 고부치 다이스케의 3루 쪽 라인을 타고 날아가는 타구를 누심이었던 니데가와 노부아키가 페어로 판정한 것에 미즈하라와 3루수 나가시마 시게오가 파울이라고 항의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그 후 세키구치 세이지가 중견수쪽에 적시타를 때려내 동점이 되면서 연장전으로 진행됐다. 결국 10회말 이나오 가즈히사의 끝내기 홈런(일본 시리즈 사상 최초)으로 팀은 패했다. 또한 6차전에서 니시테쓰가 선발을 변경하는 행위(당시에는 경기 전날에 선발 명단을 발표했다)를 시도하자 이를 둘러싸고 양팀이 신경전을 벌였는데 커미셔너인 이노우에 노보리를 사이에 두고 태연히 앉아있는 미하라와 물고 늘어지는 듯한 표정의 미즈하라가 대치하고 있는 사진이 남아 있다. 이 소동으로 경기 개시가 늦춰지면서 본래 선발이던 후지타 모토시가 1회에 나카니시 후토시를 상대로 결승타가 되는 선제 2점 홈런과 이나오의 4연투 4연승의 활약으로 패하면서 니시테쓰에게 사상 첫 3연패 후 4연승을 허용했다. 미즈하라는 우승을 놓친 데 대한 책임으로 사의를 표명했지만 이에 대해 시나가와는 “이대로 물러서게 된다면 자네는 패배다. 이렇게 되면 어떻게든 니시테쓰를 꺾는 것이 진정한 사나이가 아닌가”라고 만류했다. 시나가와가 자신을 위로해준 것에 대해 미즈하라는 눈물을 흘리며 들었다고 한다.[31]

1958년 시즌 종료 후 투수였던 벳쇼 다케히코가 계약을 갱신할 당시 등판 전체의 보장을 요구한 것에 대해 “선수의 기용은 감독의 전권 사항”이라고 정면으로 비판했다. 이 갈등은 언론에 크게 보도될 정도로 화제를 모았으나 벳쇼가 결국 사과하며 잘못을 인정했고 미즈하라도 가능한 만큼 벳쇼의 의사를 존중해주는 선에서 마무리됐다. 그동안 통산 294승을 거둔 벳쇼는 빅토르 스타루힌이 갖고 있던 통산 최다승 기록(303승) 경신을 목표로 하고 있었기 때문에 등판 기회를 늘리고 싶어했던 의도가 담겨있었다.

이듬해 1959년에도 리그 우승을 이끌었만 이번에는 스기우라 다다시가 소속된 난카이 호크스에게 내리 4연패를 당하며 일본 시리즈 우승 달성에는 실패했다. 일본 시리즈는 1958년 4차전부터 이듬해 1959년 4차전까지 8연패를 당하면서 요미우리 감독으로서는 하라 다쓰노리(2020년)가 9연패로 경신되기 전까지는 최악의 기록이었다.[32]

1960년에는 미하라가 같은 센트럴 리그 소속인 다이요 웨일스의 감독으로 취임하자 언론에서는 ‘간류섬의 대결’이 다시 돌아왔다고 선전했다. 미하라는 6년 연속 최하위였던 다이요를 숙련된 선수 기용으로 팀 전력을 끌어올려 요미우리와 우승 경쟁을 펼쳤지만 요미우리는 결국 다이요에 굴복해 리그 우승을 놓치고 2위로 떨어졌다. 미즈하라는 팀의 리그 우승이 무산된 10월에 경기 종료 후 사진 기자가 집요하게 사진을 찍은 것에 불만을 품고 그 사진 기자를 폭행해 필름을 받아냈다. 그 결과 미즈하라는 5년 연속 일본 시리즈 우승을 놓치는 결과를 남겼고 쇼리키의 미즈하라에 대한 평가도 하락해 ‘그라운드에서의 치욕은 그라운드에서 갚는다’라는 명언을 남기며 그해 11월 19일에 요미우리 감독직에서 사임했다. 이는 실질적인 해임으로 같은 해 시즌 종료 후 당시 다카하시 구단 사장으로부터 해임됐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동시에 프런트로부터 잔류 요청을 받았지만 월급은 반값인 100000JPY을 제시받자 미즈하라는 이에 불복했다. 구단에 남는다면 공로금 1000만도 보장해주겠다는 제안도 들어있어서 부인과 상의했지만 부인은 ‘그런 굴욕은 없잖아요’라며 남편에게 거절하라고 했다. 결국 퇴단을 택했고 공로금은 지급되지 않았다.

요미우리의 감독을 마지막으로 지휘했던 1960년에는 투수진의 부진도 있었기 때문에 신인이던 호리모토 리쓰오를 69경기에 등판하여 29승 18패의 성적으로 대활약을 하는 등 신인왕을 차지했다. 하지만 계속되는 투구로 인하여 어깨에 무리가 갈 정도의 상태가 악화돼 투수로서 생활한 지 6년 만에 은퇴했지만 호리모토가 은퇴할 때 미즈하라는 “자네에겐 정말 미안한 일을 하고야 말았다. 내가 자네의 선수 생활을 단축시킨 것이나 마찬가지다. 좀 더 생각하고 나서 자네를 등판시켰다면 자네는 더더욱 돈을 벌 수 있었을 텐데…”라고 말했다고 한다. 호리모토는 “나는 미즈하라 감독님의 이 한마디에 마음의 짐을 덜었다”라고 말했다.[33] 당시 요미우리의 선수였던 히로오카 다쓰로는 한두 명의 걸출한 선수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내다보고 투수진의 정비와 기용이 필요하다고 기술했다.[33]

3. 지도자 경력

홈런팀
타율팀
평균자책점나이1950년쇼와 25년요미우리 자이언츠303위14082544.60317.5126.2682.9041세1951년쇼와 26년1위11479296.731―92.2912.6242세1952년쇼와 27년1위12083370.692―77.2922.4543세1953년쇼와 28년1위12587371.702―80.2832.4844세1954년쇼와 29년2위13082471.6365.588.2712.3845세1955년쇼와 30년1위13092371.713―84.2661.7546세1956년쇼와 31년1위13082444.646―100.2582.0847세1957년쇼와 32년1위13074533.581―93.2412.3948세1958년쇼와 33년1위13077521.596―101.2532.3749세1959년쇼와 34년1위13077485.612―117.2452.5450세1960년쇼와 35년2위13066613.5194.5106.2293.0951세1961년쇼와 36년닛폰햄 파이터스(당시 도에이)|2위14083525.6112.5108.2642.3952세1962년쇼와 37년1위13378523.600―85.2522.4253세1963년쇼와 38년3위15076713.51710.5114.2363.0254세1964년쇼와 39년3위15078684.5345.5100.2502.9555세1965년쇼와 40년2위14076613.55512107.2402.8856세1966년쇼와 41년3위13670606.538991.2562.7557세1967년쇼와 42년813위13465654.5001097.2603.1958세1969년쇼와 44년주니치 드래곤즈684위13059656.47614145.2313.1160세1970년쇼와 45년5위13055705.44023.5118.2343.2061세1971년쇼와 46년302위13065605.5206.5127.2262.9762세통산: 21년27821586112373.585A클래스 19회, B클래스 2회



1965년경 연습 경기로 한국에 원정 갔을 때, 오스기 가쓰오가 한국의 아마추어 팀을 편드는 현지 심판의 노골적인 판정에 화가 나서 욕설을 하자, 미즈하라는 오스기를 불러 뺨을 때렸다. 이를 본 한국 관중들은 미즈하라의 행동에 감동하여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도바시 마사유키는 "미즈하라는 피도 없고 눈물도 없는 감독이었다. 하지만 감독은 그 정도가 아니면 안 된다, 우승할 수 없다."라고 회고했다.[19]

3. 1. 요미우리 자이언츠 감독

미즈하라 시게루는 1950년부터 1960년까지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감독을 맡아, 11년 동안 8번의 리그 우승과 4번의 일본 시리즈 우승을 이끌었다. 특히 1951년부터 1953년까지 3년 연속 리그 우승, 1955년부터 1959년까지 5년 연속 리그 우승을 달성하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황금기를 이끌었다.

1960년에는 사진기자 폭행 사건으로 징계를 받아 가와카미 데쓰하루가 10월 3일과 5일에 감독 대행을 맡기도 했다.[33]

미즈하라 시게루의 요미우리 자이언츠 감독 시절 성적은 다음과 같다.

연도순위경기승률게임차팀 홈런팀 타율팀 평균자책점
1950년3위14082544.60317.5126.2682.90
1951년1위11479296.731-92.2912.62
1952년1위12083370.692-77.2922.45
1953년1위12587371.702-80.2832.48
1954년2위13082471.6365.588.2712.38
1955년1위13092371.713-84.2661.75
1956년1위13082444.646-100.2582.08
1957년1위13074533.581-93.2412.39
1958년1위13077521.596-101.2532.37
1959년1위13077485.612-117.2452.54
1960년2위13066613.5194.5106.2293.09



'''굵은 글씨'''는 일본 시리즈 우승

3. 2. 도에이 플라이어스 감독

미즈하라 시게루, 도에이 플라이어스 감독 시절(1961년)


1960년 12월 8일, 도에이 플라이어스 구단주 오카와 히로시는 "돈은 내지만 입은 내지 않는다"라며 미즈하라 시게루를 설득했고, 미즈하라는 도에이 감독으로 취임했다.[34] 미즈하라는 부임과 함께 유니폼을 직접 디자인했는데, 머릿 글자인 ‘F’를 날아가는 새를 본떠 디자인해서 메인 로고로 채택하는 등 세련된 것으로 변경했다.[34] 이 유니폼은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비슷한 색채(모자·언더 셔츠 등의 색상은 요미우리의 흑·갈색에 이은 암갈색)를 사용했고, 미즈하라가 요미우리 시절과 마찬가지로 3루 코치를 겸임하고 있었기 때문에 팬들은 “요미우리의 미즈하라 아닌가?”라고 착각하기도 했다.[34]

당시 도에이는 만년 B클래스에 머무르고 있었지만, 미즈하라는 취임 1년 만인 1961년에 난카이 호크스와 시즌 막판까지 우승 경쟁을 벌이며 팀을 2위로 끌어올렸다.[35] 미즈하라는 쇼트 릴리프가 중심이었던 구보타 오사무를 도바시 마사유키가 선발 등판한 다음 날에 등판시켜 25승을 거두게 했고,[35] '독불장군' 야마모토 하치로에게는 “프로 야구란 팀이 이기지 않으면 아무 것도 되지 않는다. 홈런왕, 수위 타자를 아무리 잡아도, 20승을 해도 팀이 B클래스인 상태에서는 월급이 오르지 않는다. 어떻게 일치단결하고 매진할 수 있느냐, 어떻게 팀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느냐다”라고 조언했다.[35] 하리모토 이사오는 ‘역시 전혀 다르다고 생각했다’라고 회고했다.[35] 그해 9월 초, 도에이는 난카이를 제치고 선두로 올라섰지만, 우승 경쟁에 익숙하지 않은 탓인지 수비에서 실책을 연발하는 등 악재가 속출했고, 결국 난카이에게 우승을 허용했다.[36] 하지만 83승 5무 52패, 승패마진 +31은 구단 역사상 최고 성적이었으며, 하리모토가 수위 타자, 도바시가 30승, 구보타가 25승, 사이온지 아키오는 리그 최다인 97득점, 부스지마 쇼이치도 리그 최다인 11개의 3루타를 기록하는 등 투타의 조화가 돋보였다.[36]

1961년 연말, 도에이는 대대적인 전력 보강을 단행했다. 오자키 유키오를 중퇴시키고 영입했으며, 안도 모토히로, 릿쿄 대학의 아오노 슈조, 시바우라 공업대학의 이와시타 고이치 등을 영입했다.[37] 오자키는 에이스로서 활약했고, 아오노와 이와시타는 키스톤 콤비를 맡아 주전으로 자리 잡는 등 전력 보강은 성공적이었다.[37] 1962년, 하리모토는 타율 0.333(리그 4위), 31홈런, 99타점(모두 리그 2위)을 기록하여 MVP를 석권했고, 구보타는 평균 자책점 2.12로 최우수 평균 자책점, 오자키 유키오는 시즌 20승을 거두어 신인왕을 각각 차지하는 등 주력 선수들의 활약으로 팀은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37] 같은 해 일본 시리즈에서 도에이는 후지모토 사다요시가 이끄는 한신 타이거스를 상대했는데, 1, 2차전에 연패를 당하며 미즈하라 자신은 일본 시리즈 10연패를 기록했지만, 3차전 무승부 이후 4차전부터 4연승을 기록하며 일본 시리즈 정상에 올랐다.[38] 1차전과 2차전에 선발 등판했던 도바시는 3차전 이후 구원으로 되돌아와 2승을 올려 다네모 마사유키와 함께 MVP를 공동으로 획득했고,[38] 3차전부터는 안도 준조에서 다네모로 포수를 바꾸면서 다네모는 과감한 리드로 투수의 힘을 끌어내는 것 외에도 팀 승리에 결정짓는 강한 타격을 날렸으며,[39] 7차전에서는 주포인 하리모토를 대수비 요원과 교체 투입시키는 등 비정한 지휘로 팀을 이끌었다.

이후 미즈하라는 1967년까지 도에이 감독을 맡았고, 그 사이 팀은 A클래스를 유지했다. 하리모토는 미즈하라에 대해 “나는 항상 말하지만 80년 이상 프로 야구 역사 중에서 명장이라고 말할 수 있는 건 미하라 오사무, 미즈하라, 쓰루오카, 가와카미 데쓰하루 이렇게 네 사람을 꼽을 수 있다. (중략) 그런데도 구단이 이를 귀 기울이지 않았기 때문에 미즈하라 감독이 팀을 떠난 거였다. 도에이에서 7년 동안 계시고 마지막 2년 정도 참았다고 했다”라고 회고했다.[35]

1965년 무렵, 시범 경기를 위해 대한민국에 원정을 갔을 때, 오스기 가쓰오가 대한민국의 아마추어 팀을 편드는 심판에게 욕설을 하자, 미즈하라는 오스기를 불러 뺨을 때렸다. 이를 본 대한민국 관중들은 미즈하라의 행동에 감동했다고 한다.

1965년에 미즈하라는 주전 포수였던 백인천[37]을 이듬해인 1966년에 외야수로 전향시켰다.[40] 1967년에는 신인이던 오시타 쓰요시를 주전 유격수로 발탁했고, 오시타는 ‘아저씨(미즈하라 감독)에게 감사하고 있다’라고 말했다.[41]

부스지마 쇼이치는 "미즈하라 씨는 승부사라고 할까, 이기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가 확실히 되어 있다. 그런 사람이 와서야 비로소 팀워크, 이기려는 집념이 나온 느낌이었다. 그리고 그 위에 세세한 야구를 한다. 그 전까지는 상당히 자유롭고, 대충 하는 야구였습니다."라고 말했다.[42]

도바시 마사유키는 "미즈하라는 피도 없고 눈물도 없는 감독이었다. 하지만 감독은 그 정도가 아니면 안 된다, 우승할 수 없다. 나는 결혼했는데, 주례가 미즈하라였지만, 시즌 중에 미즈하라와 대화도 없었고, 한 번도 칭찬받은 적이 없다."라고 말했다.[43]

1967년 11월 25일, 미즈하라는 구단주 오카와로부터 감독 해임 통보를 받았다.

3. 3. 주니치 드래건스 감독

미즈하라는 1969년부터 1971년까지 주니치 드래건스의 감독을 역임했다. 부임 첫 해인 1969년에는 4위를 기록했고, 1970년에는 5위, 1971년에는 2위를 기록했다.

연도등번호순위경기승률게임차팀 홈런팀 타율팀 평균자책점나이
1969년쇼와 44년주니치 드래건스684위13059656.47614145.2313.1160세
1970년쇼와 45년주니치 드래건스685위13055705.44023.5118.2343.2061세
1971년쇼와 46년주니치 드래건스302위13065605.5206.5127.2262.9762세


4. 말년과 평가

일본에서 메이저 리그의 원 포인트 릴리프 개념과 블록 사인을 처음으로 도입한 인물이다. 당시 대부분의 감독들은 3루나 1루 코치 박스에서 지휘를 하는 일이 많았는데, 호시노 센이치는 미즈하라에 대한 추억을 말하는 가운데 "미즈하라는 아버지니까 그런 블록 사인은 그림이 됐다"라고 말했다.[49] 감독 취임 이후 등번호는 '30'번을 단 시기가 길었지만, 도에이 감독 시절 마지막 해는 '81'번을 달았고 주니치 감독 시절 최초 2년 간은 '68'번으로 변경했다. 주니치 감독 시절에는 3루 코치를 전속 코치에게 일임했고, 마지막 시즌에는 '30'번을 다시 등번호로 가져와 최종 경기에서 도에이 감독 시절 이래 주니치에서 처음으로 3루 코치에 서 있었다고 한다.

나니와 상업고등학교(현 오사카 체육대학 부속 나미쇼 고등학교)에서 감독을 역임한 나카지마 하루오와는 시베리아 억류 시절에 포로 수용소에서부터 함께한 사이로, 전후 당시 학교에서 제적(나카지마 본인은 이전에 퇴임)을 당한 장훈을 중퇴시켜 요미우리에 스카우트하려는 일이 있었다. 하지만 장훈의 형이 "프로는 언제라도 갈 수 있지만 학교를 졸업하고 가는 것이 좋다"라고 설득하여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도에이에 입단하게 됐다. 이후 미즈하라가 도에이에 감독으로 취임하자 다시 만나게 됐고, 이후 20여 년이 흘러 미즈하라가 평론가 시절에 트레이드로 원래 입단하려던 요미우리로 이적하게 됐다. 장훈을 방출할 당시 닛폰햄 파이터스(도에이의 후신)의 사장이 미하라 오사무였는데, 미하라는 당시의 구단주였던 오코소 요시노리와 함께 미즈하라 시대의 주력 선수들을 방출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었고 장훈 본인이 이적을 희망하고 있었다는 사정도 있다.[49]

쌀밥을 먹지 않는 것으로 유명하며, 지방 원정을 가면 아침부터 맥주에다 노른자 두 개를 넣은 뒤 섞어 마셨다. 낮에는 소바 등을 가볍게 먹고 밤에는 술안주를 기댄 채로 오로지 술을 마셨다.[50]

5. 주요 에피소드

6. 상세 정보

미즈하라 시게루는 가가와현 고마쓰 상업학교(현 가가와현립 고마쓰 상업고등학교) 시절 미야무라 사부로와 함께 고시엔에 출전하여 투수와 3루수로 활약했다. 1925년 여름과 1927년 여름 두 차례 전국 우승을 달성했다. 게이오기주쿠 대학 진학 후에는 육대 야구의 스타 선수(3루수, 투수)로 춘추 통산 5회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그러나 "사과 사건"을 비롯해 마작도박으로 체포되어 야구부에서 제명되었다. 타자로서 리그 통산 63경기 출전, 193타수 48안타, 타율 .249, 0홈런, 24타점을 기록했고, 투수로서 통산 30경기 등판, 13승 8패를 기록했다. 야구부 제명 처분을 받았지만, 이후 게이오기주쿠 대학의 게이오 스포츠 신문회가 발행하는 학생 신문 「게이오 스포츠」의 제호를 담당하기도 했다.

와세다 대학미하라 오사무와는 프로 진출 이후에도 라이벌로서, 감독으로서 일본 시리즈에서 맞붙었다. 1931년 6월 14일의 와세다-게이오전 2차전에 등판했을 때는 미하라에게 홈스틸을 허용했다.

1931년과 1934년의 메이저리그 선발팀 방일 때 전일본팀 멤버로 선출되었다. 1936년 가을에 자이언츠에 입단하여 마에카와 하치로를 대신해 3루수 주전이 되었다. 이후 2번 또는 3번 상위 타선을 맡았고, 1937년 가을 리그는 타율 .290, 31타점으로 모두 팀 2위를 기록했다. 사와무라 에이지가 징집으로 팀을 떠난 1938년 가을 리그에서는 투수도 맡아 스타르힌에 이어 8승(2패)을 거두고 방어율 1.76으로 리그 2위를 차지했다. 1939년부터 주장을 맡았고, 1940년에는 베스트 나인,[1] 1942년에는 징집으로 8월 시즌 중반에 중도 이탈했음에도 불구하고 최고 명예 선수로 선정되었다.[23]

전쟁 중에는 아시아 대륙으로 건너가 시베리아 억류를 경험했다. 1949년 7월 20일 마이즈루 항에 귀국하여 4일 후 오전 10시 30분에 도쿄역에 기차로 도착하자마자 고라쿠엔 구장으로 가서 자이언츠 대 다이에이전(더블헤더) 경기 전에 "미즈하라 시게루, 이제 돌아왔습니다"라고 말하며 팬들에게 귀환을 알렸다. 40세가 되었지만, 팬들로부터 플레이를 보고 싶다는 요청을 받은 요미우리 신문사의 요청에 따라 현역으로 복귀했다.[5] 그러나 시베리아 억류 중에 극도의 영양실조에 걸렸던 탓에 쇠퇴를 감추지 못했고, 복귀한 시즌에는 공식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으며, 2리그제가 되고 감독이 된 1950년에는 감독 겸 선수를 맡았지만 겨우 7경기 출전에 그쳤다.

1949년 시즌 종료 후, 자이언츠 선수들이 미하라 감독에 대한 축출 사태를 일으켰고, 그 흐름에 밀려 12월 31일 감독 취임이 발표되었다. 1949년 팀을 전후 첫 우승으로 이끈 미하라는 총감독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이것은 미하라의 미즈하라에 대한 처우에 불만을 가진 선수 대부분이 쿠데타를 일으켜 사실상 지휘권을 빼앗은 것이 정설이다. 미즈하라 자신은 이 음모에는 관여하지 않았고, "우승으로 이끈 감독이 해임되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는다"며 감독 취임에 반대했다고 한다.

선수 겸임 감독이었던 1950년은 3위에 그쳤지만, 1951년부터 1953년까지 리그 3연패·일본 시리즈 우승을 차지하며 요미우리의 "제2기 황금 시대"를 구축했다. 선수로는 가와카미 테츠하루, 지바 시게루, 요나미네 요, 히로타 준, 베소 이키히코 등 명선수들이 즐비했다. 그러나 1954년에는 스기시타 시게루가 이끄는 주니치 드래곤즈에게 페넌트를 빼앗겨 2위로 우승을 놓쳤다.

이 기간, 미즈하라 감독 취임 4년째인 1953년부터 유니폼에 검정과 주황색의 팀 컬러를 도입했다(MLB뉴욕 자이언츠를 참고한 것).

1955년 일본 시리즈는 난카이와 네 번째 대결이 되었다. 요미우리는 1차전에서 승리했지만 2차전부터 3연패를 당하며 시리즈에서 처음으로 위기에 몰렸다. 미즈하라 감독은 5차전에서 포수를 히로타 준에서 후지오 시게루로, 2루수를 지바 시게루에서 나이토 히로후미로, 좌익수를 히가사 카즈오에서 카쿠라이 미노루로 젊은 선수들을 과감히 기용하는 승부수를 던졌고, 이 선수들이 활약하여 3연승으로 역전 우승을 달성했다. 1955년 오프에 구단 사장에 취임한 시나가와 슈케이는 미즈하라와 사이가 좋지 않았고, 시나가와는 미즈하라를 "권위(쇼리키 마츠타로)에 기대는 남자"라고 생각했고, 미즈하라 또한 시나가와를 "아마추어 주제에"라고 반발하는 등 둘은 완전히 대립했다.[6]

1956년에도 리그 우승을 달성했지만, 일본 시리즈 상대는 라이벌 미하라 슈가 이끄는 니시테쓰 라이온스가 되었고, 이는 마스미디어에서 (미하라의 요미우리 퇴단 경위를 고려하여) "간류섬의 결전"이라고 선전되었다. 시리즈 전 예상에서는 요미우리가 유리할 것이라고 여겨졌지만, 이나오 카즈히사·나카니시 후토시 등 젊은 선수들의 활약에 압도당해 2승 4패로 패했다. 여기서 시나가와는 젊어짐을 위한 조직 쇄신으로 팀 개혁을 주장하며 투수 코치 타니구치 고로, 2군 감독 후지모토 히데오, 코치 우치보리 타모츠의 경질, 히라이 사부로와 나카무라 유키히로의 현역 은퇴를 발표했다. 미즈하라 감독은 반대했지만, 후지모토는 투수 코치, 신타는 2군 감독, 우치보리는 2군 수석 코치로 코치진의 이동이 이루어졌다.[6]

1957년에도 리그 우승을 했지만, 일본 시리즈에서는 니시테쓰 라이온스에 계속 패했다. 2년 연속 일본 시리즈에서 패배했을 뿐만 아니라, 대결 성적은 1무 4패로 1승도 거두지 못하고 패했기 때문에, 요미우리 내부에서 미즈하라의 실력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시나가와는 후지모토 히데오·타니구치 고로 두 코치의 해임과 히라이 사부로·나카무라 유키히로의 현역 은퇴를 결정했지만, 미즈하라 감독은 후지모토의 해임에 반대했다. 같은 해 12월 6일 미즈하라 감독은 시나가와와 회담했지만, 시나가와의 마음이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코치가 나쁘다는 것은 감독에게도 책임이 있다. 후지모토를 그만두게 한다면 나도 물러날 것이다."라며 사의를 표했다. 요미우리 구단 오너 쇼리키 마츠타로는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고 있었고, 미즈하라를 인사원 빌딩에 있던 국가공안위원장 집무실로 불렀다. 쇼리키는 시나가와의 코치 해임 인사에 대해 미즈하라에게 신임 코치 인선을 인정하는 것을 조건으로 받아들이도록 지시했고, 미즈하라 감독은 이 말을 듣고 감독 사임을 철회했다. 그러나 이것을 들은 시나가와 구단 사장은 그 자리에 있던 언론 앞에서 "자네는 호랑이 위세를 빌린 여우야. 내게 사과해"라며 미즈하라를 나무랐고, 쇼리키의 중재로 간신히 그 자리를 수습했다.[6] 이 난장판은 "인사원 사태" 또는 "'''사과 사건'''"이라고 보도되었다. 결국 후지모토·타니구치 두 코치는 경질되었고, 미즈하라 감독은 현역 은퇴한 나카오 마사시, 히가사 카즈오를 후임 코치로 임명했다.

1958년 일본 시리즈는 미하라가 이끄는 니시테쓰 라이온스와 세 번째 대결이 되었다. 1차전부터 요미우리는 3연승으로 우승을 눈앞에 두었지만, 새벽까지 내린 비 때문에 4차전은 취소되었다. 그러나 경기 시작 전에는 비가 그쳤고 경기에 적합한 그라운드 상태였다고 한다. 규슈 각지에서 버스를 타고 관전을 위해 온 팬들을 고려하여 취소 결정을 내렸다는 니시테쓰 측에 요미우리와 미즈하라 감독은 집요하게 항의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4차전에서 패했지만 5차전은 9회 초 1점 차로 리드하고 있었다. 그러나 9회말 니시테쓰의 대타 코부치 타이스케의 3루 선상 타구를 니데가와 노부아키 심판이 페어라고 판정하자 미즈하라 감독과 3루수 나가시마 시게오가 파울이라고 항의했고, 결국 판정은 뒤집히지 않았고 그 후 세키구치 키요하루가 중견수 방향으로 적시타를 쳐 동점이 되었고, 연장 10회에 이나오 카즈히사의 끝내기 홈런(시리즈 사상 최초)으로 경기를 패했다. 더욱이 6차전 시작 전에 니시테쓰가 선발 멤버 변경을 요청했고(당시에는 전일에 선발 멤버를 발표했음), 이를 두고 양 팀은 다퉜고, 이노우에 노보루 커미셔너를 사이에 두고 태연하게 앉아 있는 미하라 감독과 굳은 표정의 미즈하라 감독이 마주한 사진이 남아 있다. 이 소동으로 경기 시작이 늦어져 조정에 혼란을 겪은 선발 후지타 모토지가 1회에 나카니시 후토시에게 결승타가 된 선제 2점 홈런을 맞고 이 경기 역시 패했고, 이나오의 4연투로 4연승을 거둔 니시테쓰에게 사상 최초의 3연패 4연승을 허용했다. 미즈하라 감독은 사의를 표명했지만, 이에 대해 시나가와는 "이대로 물러서는 것은 자네의 패배다. 이렇게 된 이상 어떻게든 니시테쓰를 꺾는 것이 남자 아니겠는가"라며 만류했다. 미즈하라 감독은 시나가와의 만류의 말에 눈물을 흘리며 들었다고 한다.[7]

이 해 오프, 투수 베소 이키히코가 계약 갱신에서 등판 수 보장을 요구하자, "선수 기용은 감독의 전권 사항"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이 대립은 마스미디어를 떠들썩하게 했지만, 결국 베소가 잘못을 인정하고 사과하고, 미즈하라 감독도 베소의 의향에 따라 최대한 노력하기로 결정지었다. 그때까지 통산 294승을 거둔 베소는 빅터 스타르힌이 가지고 있던 통산 승리 기록(303승) 경신을 목표로 하고 있었고, 등판 기회를 늘리고 싶다는 의도가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1959년에도 리그 우승을 차지했지만, 스기우라 타다시를 보유한 난카이 호크스 앞에서 4연패를 당했다. 일본 시리즈는 1958년 4차전부터 1959년 4차전까지 8연패를 기록하며, 요미우리 감독으로서는 하라 다츠노리(2020년)가 9연패로 경신할 때까지 최악의 기록이었다.[8]

1960년에는 미하라가 같은 세 리그의 다이요 감독에 취임하여 마스미디어에서 간류섬의 결전 재현이라고 선전되었다. 미하라는 능숙한 선수 기용으로 6년 연속 최하위였던 다이요의 팀 전력을 끌어올렸다. 이 해 세 리그에는 혼전이었지만, 9월 중순 이후 요미우리와 다이요가 격차를 벌리며 치열한 우승 경쟁을 벌였고, 결국 요미우리는 다이요에 밀려 리그 우승을 놓치고 2위가 되었다. 리그 우승이 절망적이 된 10월, 미즈하라 감독은 경기 종료 후 카메라맨으로부터 집요하게 사진을 찍힌 것에 격분하여 카메라맨을 때리고 필름을 빼앗았다. 미즈하라 감독은 5년 연속 일본 시리즈 우승을 놓치는 결과가 되었고, 쇼리키 오너의 미즈하라에 대한 평가도 하락했다. 11월 19일 "그라운드의 수치는 그라운드에서 씻는다"라는 명언을 남기고 미즈하라 감독은 요미우리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이는 사실상 해임이었고, 해임은 같은 해 시즌 종료 후 당시 타카하시 구단 사장으로부터 통보받았다. 동시에 '샐러리맨'으로 남아달라는 요청을 받았지만, 급여는 반액인 10만 엔을 제시했고, 미즈하라 감독은 불만을 표했다. 사장은 "자네도 10만 엔으로 살아가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구단에 남는다면 공로금 1천만 엔도 보장되었지만, 미즈하라 감독이 부인과 상의하자 부인은 "그런 굴욕은 없다"라며 남편에게 거절하라고 말했다. 미즈하라 감독은 퇴단을 선택했고, 공로금은 지급되지 않았다.

같은 해에는 투수진의 부진과 전력 부족으로 신인 호리모토 릿쓰오를 69경기에 등판시키는 등 혹사시켰다. 호리모토는 29승 18패의 대활약으로 최다승·신인왕을 수상했지만, 이 과도한 투구가 화근이 되어 얼마 지나지 않아 어깨를 다쳐 불과 6년 만에 은퇴했다. 호리모토의 은퇴 시 미즈하라는 "네게는 정말 미안한 짓을 했다. 내가 네 수명을 줄인 것과 같다. 내가 네 등판에 더 신경을 썼더라면 네가 훨씬 더 많은 것을 벌 수 있었을 텐데"라고 말했다고 한다. 호리모토는 "나는 미즈하라 감독님의 이 한마디에 구원받았다"고 말하고 있다.[9] 당시 요미우리 선수였던 히로오카 타츠오는 한두 명의 뛰어난 선수에게 의존하기보다는 긴 시즌을 내다보는 투수진 정비와 기용이 필요했다고 적고 있다.[9]

1960년 12월 8일, 동映 플라이어스의 구단주 오카와 히로시에게 "돈은 내겠지만, 간섭은 하지 않겠다"는 설득을 받고 동映 감독에 취임했다. 미즈하라(水原)는 취임과 동시에 유니폼을 직접 디자인하여 머리글자 F를 비상하는 새를 본뜬 디자인으로 한 가슴 로고 등 세련된 것으로 변경시켰다. 이 유니폼은 색상이 자이언츠와 비슷했던 점(모자, 언더셔츠 등의 색깔은 자이언츠가 검정, 동映은 짙은 갈색)과 미즈하라가 자이언츠 시절과 마찬가지로 3루 코치를 겸임했기 때문에 "자이언츠의 미즈하라가 아닌가?"라고 착각한 팬들도 적지 않았던 것 같다.[10]

그때까지 동映은 만년 B클래스에 머물러 있었지만, 1961년 미즈하라는 취임 1년 만에 난카이 호크스와 시즌 종반까지 우승 경쟁을 벌여 2위에 올랐다. 전년 9승을 올렸지만 쇼트 릴리프가 중심이었던 쿠보타 오사무를 도하시 마사유키가 선발로 나선 다음 날 등판시켜 25승을 거두었고, 산중의 대장으로 제멋대로인 야마모토 하치로에 대해서도 예외 대우를 하지 않고, "프로야구란 팀이 이겨야 무엇이든 되는 것이다. 홈런왕, 최고 타자를 획득해도 20승을 해도 팀이 B클래스면 봉급이 오르지 않는다. 어떻게 단결해서 전진할 것인가, 어떻게 팀을 위해 자신을 희생할 것인가"라고 설교했다. 하라모토 이사오는 "역시 완전히 다르다고 생각했습니다."라고 회고하고 있다.[11]. 같은 해 9월 초에 기세가 떨어진 난카이를 대신하여 선두에 올라서며 한때 첫 우승이 눈앞에 다가왔다. 그러나 우승 경쟁에 익숙하지 않은 선수들은 수비에서 실책을 연발하는 등 예상치 못한 일이 계속 발생하여 결국에는 체력이 바닥나 난카이의 우승을 허용했다. 83승 52패 5무의 31게임 차이는 구단 사상 최고였고, 하라모토가 최고 타자, 도하시가 30승, 쿠보타가 25승, 니시조지 아키오는 리그 최다 97득점, 도쿠시마 쇼이치도 리그 최다 11개의 3루타를 기록하며 타격과 투구가 잘 맞아떨어졌다.[12].

1961년 오프에는 대규모 보강을 단행했다. 난쇼 2학년이었던 오자키 유키오를 중퇴시켜 입단시켰고, 와세다-게이오 경기에서 활약했던 안도 모토히로, 릿쿄대의 아오노 슈조, 시바우라 공대의 이와시타 코이치 등도 영입했다. 오자키는 에이스로 활약했고, 아오노, 이와시타는 2루-유격수를 맡아 레귤러가 되는 등 보강은 성공적이었다. 하라모토가 타율 .333(리그 4위), 31홈런, 99타점(모두 리그 2위)으로 MVP를, 쿠보타가 평균자책점 2.12로 최우수 평균자책점을, 오자키 유키오가 20승을 올려 신인왕을 수상하는 등 각각 타이틀을 획득했고,[13] 팀은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일본 시리즈에서는 후지모토 테이지가 이끄는 한신 타이거스와 대결했다. 1차전과 2차전에서 연패하여 일본 시리즈 10연패가 되지만, 3차전에서 비기자 4차전부터 4연승으로 일본 시리즈 우승을 달성했다. 1차전, 2차전에서 선발이었던 도하시는 3차전 이후 구원으로 돌아서 2승을 올려 타네시게 마사유키와 함께 MVP를 수상했고,[14] 3차전부터는 데이터 연구에 능했던 안도 준조에서 타네시게로 포수를 바꾸자 타네시게는 과감한 리드로 투수의 힘을 끌어냈고, 타격에서도 결정타를 날렸다.[15] 7차전에서는 주포 하라모토를 수비 교대 선수와 교체하는 등 냉정한 지휘로 팀을 다잡았다. 이후 1967년까지 감독을 역임하며 항상 A클래스를 유지했다. 하라모토는 "나는 항상 말하지만 80년 이상의 프로야구 역사에서 명장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미하라 슈, 미즈하라, 츠루오카, 가와카미 테츠지, 이 4명이라고 생각합니다. 우승하고 나서 전력을 더 높이고 싶잖아요. 보강도 하고 싶고요. 그러려면 돈도 쓰고 싶죠. 쓸데없는 돈이 아니니까요. 그런데 구단이 귀 기울이지 않았기 때문에 미즈하라 씨는 떠나게 된 겁니다. 동映에 7년 계시면서 마지막 2년 정도는 참았다고 하더군요."[11]라고 회고하고 있다.

1965년경 연습 경기로 한국에 원정 갔을 때 어떤 경기에서 오스기 카츠오가 한국의 노프로 팀을 편드는 현지 심판의 노골적인 판정에 화가 나서 욕설을 한 것을 보자 미즈하라는 오스기를 불러들여서 뺨을 때렸다. 이것을 본 한국 관중들은 미즈하라의 행동에 감복하여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1965년 포수의 레귤러로 자리 잡은 백인천[13], 미즈하라는 이듬해인 1966년에 외야수로 전향시켰다.[16] 1967년에는 신인 오시모 타카시를 쇼트의 레귤러로 발탁했고, 오시모 자신도 "아버지(미즈하라 감독)에게 감사하고 있다"고 말했다.[17]

도쿠시마 쇼이치는 "미즈하라 씨는 승부사라고 할까, 이기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가 확실히 되어 있다. 그런 사람이 와서야 비로소 팀워크, 이기려는 집념이 나온 느낌이었다. 그리고 그 위에 세세한 야구를 한다. 그 전까지는 상당히 자유롭고, 대충 하는 야구였습니다."라고 말하고 있다.[18] 도하시 마사유키는 "미즈하라는 피도 없고 눈물도 없는 감독이었다. 하지만 감독은 그 정도가 아니면 안 된다, 우승할 수 없다. 나는 결혼했는데, 주례가 미즈하라였지만, 시즌 중에 미즈하라와 대화도 없었고, 한 번도 칭찬받은 적이 없다."라고 말하고 있다.[19]

1967년 11월 25일에 오카와 구단주로부터 감독 해임을 통보받았다.

1968년 11월 6일 감독으로 취임하여, 1969년부터 1971년까지 중일 드래곤즈 감독을 역임했다(3년째인 1971년 62세로 개막을 맞이한 시즌의 감독 재임은, 2011년 오프에 고木守道가 취임할 때까지 구단 사상 최고령). 취임 당시 중경 재계의 요인들을 여러 명 거느리고 있어 구단 내에서의 입지를 강화했다. 재임 중 4위, 5위, 2위를 기록하며 우승은 하지 못했지만, 호시노 센이치, 시마타니 가네지, 야자와 겐이치 등 젊은 선수 육성에 심혈을 기울였고, 자신을 헤드 코치로 보좌한 후임 감독 요나미네 가나메의 지휘 아래 거인의 V10을 저지한 1974년 우승의 기반을 마련했다. 반면 1년 차에 불화가 있었던[20]에토 신이치를 팀에서 방출했다.

미즈하라 휘하에서 프로로서 꽃을 피운 호시노는, 루키 시절 어느 날 거인과의 경기에서 두들겨 맞고 패전 투수가 된 적이 있었다. 호시노는 수뇌부에 "내일도 던지게 해주십시오. 반드시 복수하겠습니다!"라고 간청했다. 코치들은 연투에 난색을 표했지만, 미즈하라 감독은 "센이 던지고 싶다고 하는데, 던지게 해라!"라고 말하며 다음 날 거인과의 경기에서도 선발로 등판시켰다. 연투한 호시노는 상당히 좋은 피칭을 했지만, 타선의 지원을 받지 못하고 또다시 패전 투수가 되고 말았다. 면목을 잃었다고 생각하며 더그아웃에서 풀이 죽어 있는 호시노에게 살며시 손을 내미는 사람이 있었는데, 얼굴을 들자 미즈하라 감독이었다. 미즈하라 감독은 호시노에게 "잘했다. 알겠나, 프로의 세계란, 당하면 반드시 되갚아야 한다. 이 정신을 잊지 마라. 그것이 없어지면 프로로서는 끝이다. 오늘 일은 결코 잊지 마라. 잘했다"라고 말했다. 호시노는 "미즈하라 감독님이 그때 악수해주셨을 때 손의 따스함은 지금도 어제 일처럼 기억하고 있습니다. 프로의 정신을 저는 미즈하라 감독님께 배웠습니다"라고 말하고 있다.

또한 미즈하라 감독은 도에이에 이어 중일에서도 유니폼 디자인을 담당했다. 당시 MLB에서는 화려한 유니폼이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었고, 선명한 빨간 유니폼을 입고 일본에 와서 일본 팬들에게 충격을 준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를 본받고 싶었지만, 자신은 1950년 - 1951년 거인 시절, 그리고 구단도 전년에 빨간 유니폼으로 실패했기 때문에 이를 대신하여 선명한 하늘색을 도입하고, 빨간색은 보조색으로 사용했다. 또한 가슴 로고의 "Dragons"는 1966년까지의 로고와 비슷한 디자인이지만, 수염이 o 아래까지였던 것을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처럼 머리 D 아래까지 늘인 것으로 변경했다. 이 디자인은 그 후의 유니폼에도 계승된다.

1971년 10월 4일 정규 시즌 종료와 함께 중일 감독직을 사임하고 감독직에서 은퇴할 것을 표명하며 유니폼 생활에 작별을 고했다. 미즈하라 감독의 감독 마지막 날 첫 경기 상대는 라이벌 미하라 감독이 이끄는 야쿠르트 아톰즈였다. 이 경기에서 미즈하라 감독이 이끄는 중일은 승리하여 1971년 야쿠르트와의 경기 성적을 12승 12패 2무로 동률을 이뤘다. 두 번째 경기인 다이요 웨일스전 종료 후 미즈하라 감독은 선수들에게서 헹가래를 받았다.

1968년, 1972년 이후로는 도쿄방송( TBS 텔레비전·TBS 라디오 ) 전속 야구 해설자로 활동했다. 1968년에는 스포츠닛폰 야구 평론가, 1972년 이후로는 닛칸스포츠 야구 평론가도 겸임했다. 1977년 야구 명예의 전당 헌액.[1]

1982년 2월에 토혈하여 입원, 같은 해 3월 26일, 간부전으로 도쿄도 신주쿠구의 도쿄여자의과대학병원에서 사망, 향년 73세[21]. 1947년 장티푸스로 현역 시절에 급사하여 등번호 4가 영구 결번이 된 黒沢俊夫에 이어 역사상 두 번째로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구단장으로 거행되었다. 묘소는 요코하마시 쓰루미 總持寺.

3루수로서 깊은 수비 위치에서 넓은 수비 범위를 자랑하는 한편, 강한 어깨와 손목을 활용한 정확하고 빠른 송구로 깊이 수비해도 1루에서 아웃시킬 수 있었다. 또한, 3루 앞으로 느리게 굴러오는 땅볼을 전진해서 맨손으로 잡고 바로 언더스로로 1루에 던져 간발의 차로 타자 주자를 아웃시키는 플레이도 잘했다.[22] 이것은 고마쓰 상업 시대 당시 게이오 대학 야구부 감독이었던 요시모토 히사시의 지도를 받았거나, 미국 원정에서 현지 선수가 3루선의 느린 땅볼을 맨손으로 잡는 것을 보고 채택했다고 한다.[23]

타격은 손목이 강했던 탓인지, 허리로 친다기보다는 손으로 치는 편이었다.[23]


연도소속팀경기타수안타타율홈런타점
1936년 가을요미우리166214.22607
1937년 봄5621855.252118
1937년 가을4817651.290331
1938년 봄3412024.200013
1938년 가을299122.24229
1939년9635886.240240
1940년8633279.238122
1941년8634086.253327
1942년6525858.225016
1950년751.20001
통산: 8년5231960476.24312184



{| class="wikitable"

|-

! 연도 !! 소속팀 !! 경기 !! 투구 이닝 !! 승리 !! 패배 !! 방어율

|-

| style="text-align:center;" | 1938년 춘계

| rowspan="2" style="text-align:center;" |

6. 1. 수상 경력

6. 2. 등번호

참조

[1] 서적 You Gotta Have Wa Vintage Departures 1989
[2] 서적
[3] 웹사이트 Hall of Famers List {{!}} The Baseball Hall of Fame and Museum http://english.baseb[...] 2020-04-14
[4] 웹사이트 三田評論 https://www.keio-up.[...] 慶応義塾 2015-09-13
[5] 서적 巨人軍の男たち
[6] 서적 プロ野球トラブルの歴史
[7] 서적 プロ野球トラブルの歴史
[8] 뉴스 巨人・原監督 球団ワースト記録の日本シリーズ9連敗 https://www.sanspo.c[...] サンケイスポーツ
[9] 서적 巨人への遺言 プロ野球 生き残りの道
[10] 웹사이트 1961年から67年東映フライヤーズ http://www.ritomo.jp[...]
[11] 간행물 東映フライヤーズ暴れん坊伝説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12] 간행물 東映フライヤーズ暴れん坊伝説
[13] 간행물 東映フライヤーズ暴れん坊伝説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14] 간행물 東映フライヤーズ暴れん坊伝説
[15] 간행물 張本勲の喝
[16] 웹사이트 異郷の捕手・白仁天、20年の波乱と流転。もっとも語り継がれる“事件”とは/プロ野球20世紀・不屈の物語【1962~81年】 http://column.sp.bas[...]
[17] 웹사이트 “一打無敵”のご意見番が球界を斬る 張本勲の喝!!張本勲コラム「守備の要とも言うべき二遊間。華麗だった阪神の鎌田-吉田、東映の大下-大橋も絶妙だった」 https://column.sp.ba[...]
[18] 서적 野球小僧 8月号 2012 白夜書房
[19] 서적 野球小僧 6月号 2012 白夜書房
[20] 서적 2024ドラフト総決算&2025大展望号 竹書房 2024
[21] 웹사이트 史上初の大調査 著名人100人が最後に頼った病院 あなたの病院選びは間違っていませんか https://gendai.media[...] 現代ビジネス 2011-08-17
[22] 서적 サムライ達のプロ野球
[23] 서적 日本プロ野球 歴代名選手名鑑
[24] 서적 プロ野球トレード史II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1991
[25] 서적 剛球唸る!
[26] 서적 巨人軍の男たち
[27] 서적 日本映画人名事典・女優篇 下巻 キネマ旬報社 1995
[28] 웹사이트 三田評論 https://www.keio-up.[...] 慶応義塾 2015-09-13
[29] 서적 巨人軍の男たち 東京スポーツ新聞社 1984
[30] 서적 プロ野球トラブルの歴史
[31] 서적 プロ野球トラブルの歴史
[32] 웹인용 巨人・原監督 球団ワースト記録の日本シリーズ9連敗 https://www.sanspo.c[...] 2020-11-25
[33] 서적 요미우리에게의 유언: 프로 야구 살아남는 길
[34] 웹인용 1961年から67年東映フライヤーズ http://www.ritomo.jp[...] 2017-01-21
[35] 간행물 東映フライヤーズ暴れん坊伝説 베이스볼 매거진사
[36] 서적 東映フライヤーズ暴れん坊伝説 베이스볼 매거진사
[37] 서적 東映フライヤーズ暴れん坊伝説 베이스볼 매거진사
[38] 서적 東映フライヤーズ暴れん坊伝説 베이스볼 매거진사
[39] 서적 張本勲の喝、連載29回、短期決戦の行方は監督の眼力と采配、言葉の力が左右する 베이스볼 매거진사
[40] 웹사이트 異郷の捕手・白仁天、20年の波乱と流転。もっとも語り継がれる“事件”とは/プロ野球20世紀・不屈の物語【1962~81年】 http://column.sp.bas[...]
[41] 웹사이트 “一打無敵”のご意見番が球界を斬る 張本勲の喝!!張本勲コラム「守備の要とも言うべき二遊間。華麗だった阪神の鎌田-吉田、東映の大下-大橋も絶妙だった」 https://column.sp.ba[...]
[42] 서적 야큐코조 8월호 2012 뱌쿠야쇼보
[43] 서적 야큐코조 6월호 2012 뱌쿠야쇼보
[44] 뉴스 日야구理論家 水原씨등 來韓 "韓國프로야구탄생 韓日교량역할할것"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2-01-26
[45] 뉴스 日 프로야구원로 水原茂 숙환死亡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2-03-30
[46] 웹사이트 史上初の大調査 著名人100人が最後に頼った病院 あなたの病院選びは間違っていませんか https://gendai.ismed[...] 겐다이 비즈니스 2011-08-17
[47] 서적 サムライ達のプロ野球 ぱる出版 1994
[48] 서적 日本プロ野球 歴代名選手名鑑 恒文社 1994
[49] 서적 프로 야구 트레이드사Ⅱ 베이스볼 매거진사 1991
[50] 서적 剛球唸る! - 栄光と熱投の球譜 (野球殿堂シリーズ)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1989
[51] 서적 巨人軍の男たち 東京スポーツ新聞社 1984
[52] 서적 일본 영화 인명 사전 - 여배우 편(하) 키네마준포샤 1995
[53] 뉴스 川相“監督代行”で一丸1勝 1点差制す http://www.nikkanspo[...] 닛칸 스포츠 2014-05-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