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시오 스에히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시오 스에히로는 1891년 가가와현에서 태어난 일본의 정치인이다. 노동 운동에 참여하여 사회민중당 결성에 참여했고, 1928년 중의원 의원으로 당선되었다. 사회대중당 간부로 활동하며 국가총동원법에 찬성하고, 제명된 후 보궐선거에서 당선되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일본사회당 창당에 참여하여 사회당 우파의 지도자가 되었으며, 사회당 서기장을 역임했다. 1959년 사회당을 탈당하여 민주사회당을 창당, 초대 위원장을 맡았고, 1972년 정계를 은퇴했다. 그는 "정권을 잡지 못하는 정당은 쥐를 잡지 못하는 고양이와 같다"는 말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카마쓰시 출신 - 미즈하라 시게루
미즈하라 시게루는 일본 프로야구의 전설적인 선수이자 감독으로,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주전 선수와 3개 구단 감독을 역임하며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고 야구 해설가 및 평론가로도 활동하며 한국 프로야구 발전에도 기여했다. - 다카마쓰시 출신 - 나카무라 유이치 (성우)
나카무라 유이치는 독특한 저음으로 다양한 배역을 소화하며 《클라나드》의 오카자키 토모야, 《주술회전》의 고죠 사토루 등의 대표작을 통해 인지도를 높인 일본의 성우로, 크런치롤 애니메이션 어워드에서 최우수 성우상을 수상하고 유튜브 채널 "와샤가나 TV"를 운영하며 활동하고 있다. - 민사당 - 사사키 료사쿠
사사키 료사쿠는 일본 효고현 출신의 정치인으로, 일본사회당에서 활동하다 민주사회당 창당에 참여하여 위원장을 역임하고 중의원 의원을 12회 지내며 사공민 노선을 주도했다. - 민사당 - 나가스에 에이이치
나가스에 에이이치는 후쿠오카현 출신의 정치인으로, 해군 군인으로 레이테만 해전에 참전하여 생존했으며, 참의원 의원, 중의원 의원을 거쳐 민주사회당 위원장을 역임하다가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 일본의 내각서기관장 - 시나 에쓰사부로
시나 에쓰사부로는 일본의 관료, 사업가, 정치인으로, 상공성 근무와 만주국 산업 개발 기여, 전시 경제 정책 수립, 자유민주당 부총재 역임, 한일 기본조약 체결, 중의원 의원 활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 일본의 내각서기관장 - 하토야마 이치로
하토야마 이치로는 15선 중의원 의원, 초대 자유민주당 총재, 제54대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한 일본 정치인으로, 소련과의 국교 회복과 아시아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에 힘썼으나 선거구 개편 시도와 헌법 개정 추진, 과거 정치 활동과 사상 등으로 복잡한 평가를 받으며, 그의 아들과 손자 또한 일본 정계에서 활동하였다.
니시오 스에히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니시오 스에히로 |
원어 이름 | 西尾 末広 |
로마자 표기 | Nishio Suehiro |
출생일 | 1891년 3월 28일 |
출생지 | 일본 가가와현 가가와군 시유지마촌 메기섬 (현 다카마쓰시) |
사망일 | 1981년 10월 3일 |
사망지 | 일본 가나가와현 가와사키시 나카하라구 |
학력 | 시바야마 고등소학교 졸업 |
정치 경력 | |
소속 정당 | 사회민중당 사회대중당 무소속 익찬정치회 무소속 일본사회당 사회당 우파 일본사회당 민주사회당 민사당 |
칭호 및 훈장 | 정3위 훈1등 욱일대수장 훈1등 서보장 |
배우자 | 니시오 후사노 |
국적 | 일본 |
주요 직책 | |
직책 | 일본 부총리 |
내각 | 아시다 히토시 내각 |
임기 시작 | 1948년 3월 10일 |
임기 종료 | 1948년 7월 6일 |
직책 | 제2대 내각관방장관 |
내각 | 가타야마 데쓰 내각 |
임기 시작 | 1947년 6월 1일 |
임기 종료 | 1948년 3월 10일 |
직책 | 중의원 의원 (8-15기) |
선거구 | 오사카부 제2구 |
당선 횟수 | 8회 |
임기 시작 | 1952년 10월 2일 |
임기 종료 | 1972년 11월 13일 |
직책 | 중의원 의원 (6-7기) |
선거구 | 오사카부 제1구 (1946년) 오사카부 제2구 |
당선 횟수 | 2회 |
임기 시작 | 1946년 4월 11일 |
임기 종료 | 1948년 12월 23일 |
직책 | 중의원 의원 (4-5기) |
선거구 | 오사카부 제4구 |
당선 횟수 | 2회 |
임기 시작 | 1939년 6월 13일 |
임기 종료 | 1945년 12월 18일 |
직책 | 중의원 의원 (3기) |
임기 시작 | 1937년 5월 1일 |
임기 종료 | 1938년 3월 23일 |
직책 | 중의원 의원 (1-2기) |
임기 시작 | 1928년 2월 21일 |
임기 종료 | 1932년 1월 21일 |
기타 정보 | |
![]() |
2. 생애
가가와현 가가와군 시유지마촌(지금의 다카마쓰시)의 누기지섬에서 태어났다. 14살 때 오사카 포병공창에서 선반공 견습으로 처음 일을 했으며 스미토모 주강장 직공으로 일하다가 처음 노동운동에 참여했다. 이후 오사카 전등, 후지나가타 조선소, 가와사키·미쓰비시 조선소 쟁의 등을 이끌며 수차례 지도와 검속을 받았다. 1919년 노동자들의 상호부조단체인 우애회에 가입해 마쓰오카 고마키치와 알게 되었다. 1926년 사회민중당 결성에 참여했다.
보통선거가 처음 시행된 1928년 총선에 사회민중당 후보로 출마해 당선됐다. 1932년부터는 사회대중당에 몸담아 간부가 되었다. 1938년 3월 16일 중의원 본회의에서 「국가총동원법」안에 찬동하며 당시 총리대신 고노에 후미마로에게 "아돌프 히틀러처럼, 베니토 무솔리니처럼 혹은 이오시프 스탈린처럼 확신에 찬 지도자가 돼라"라며 격려했다. 전체주의적 독재자에 대한 공명을 표한 셈인데 사회대중당을 언짢게 여기던 입헌정우회와 입헌민정당은 스탈린을 긍정적으로 묘사했다며 니시오를 제명코자 했다. 양당은 합심하여 23일 제명안을 찬성 320표, 반대 43표로 통과시켰다. 하지만 니시오는 다음 해 보궐선거에서 당선돼 국회로 다시 돌아왔다.
1940년 3월 민정당 의원 사이토 다카오가 반군 연설을 했다가 제명될 때 반대 입장을 가지고 본회의에 결석했다. 하지만 찬성 의사를 표한 사회대중당 서기장 아소 히사시는 아베 이소오, 미즈타니 조자부로 등 반대 의사를 표명한 사회대중당 간부들을 당에서 제명했고 니시오도 이때 사회대중당에서 제명됐다. 이후 고노 이치로 등과 함께 흥아의원동맹을 결성했다.
1942년 익찬선거에 비추천으로 출마해 당선됐다. 익찬정치회나 대일본산업보국회와는 거리를 두면서 은밀히 도조 히데키 내각 도각 운동에 가담했다. 그 덕분에 전후 공직 추방을 당하지 않을 수 있었다.
일본의 항복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면서 정계 재편의 움직임이 가속화했다. 니시오는 하토야마 이치로 등 보수 성향 정치인들과 신당 설립을 협의했으나 정치적 여운을 남긴 채 헤어졌다. 1945년 11월 2일 일본사회당이 창당되자 이에 참여했으며 사회당 우파에 속했다. 1946년 사회당 서기장이 되었다.
1947년 총선에서 사회당이 원내1당이 되자 매우 놀라워하면서 사회당이 정권을 담당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것을 우려했다. 이에 니시오는 다른 정당과 연립하여 총리대신을 양보하는 대신 각료의 다수를 사회당이 점하는 내각을 구상했다. 니시오는 일본자유당의 제1차 요시다 내각을 존속시켜 거기에 참여하길 원했지만 요시다는 사회당 좌파를 배제할 것을 요구했다. 좌파가 이에 응하지 않으면서 자유당과의 연정은 무산되었다.
결국 민주당, 국민협동당과 연정을 꾸리고 사회당 위원장 가타야마 데쓰가 총리대신이 되었다. 니시오는 내각관방장관으로 입각했지만 사회당 좌우파의 대립으로 가타야마 내각은 불과 10개월 만에 무너졌다. 연정을 이어 민주당의 아시다 히토시가 총리대신이 되었고 니시오는 부총리가 되었다. 하지만 니시오가 정치 헌금을 받은 것이 드러나 부총리에서 물러났고 그 다음엔 쇼와전공 사건이 일어나 내각이 무너졌다. 니시오는 두 차례의 부패 사건에 휘말렸지만 모두 다 무죄를 선고받았다. 하지만 1949년 총선에서 낙선해야 했다. 이후 1952년 총선에서 당선되면서 정계에 복귀했다.
1950년대 초 좌우로 분열되었던 사회당은 1955년 통일을 이루었지만 1959년 제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사회당이 패배하면서 다시 갈등이 불거졌다. 사실 해당 선거에서 사회당이 의석 수는 늘렸지만 목표치에 미달했던 데다가 자유민주당이 더 많은 의석을 얻었기에 사회당이 스스로 패배라고 규정한 것이었다. 이를 극복하고자 사회당 좌파가 일본공산당과의 사공 공투를 주장했지만 반공주의자였던 니시오는 이에 반발했다. 니시오는 정권을 담당할 수 있는 건전한 사회주의 정당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 1959년 10월 18일 사회당을 탈당하여 일본사회당재건동지회를 결성했다.
그리고 1960년 1월 24일 민주사회당 창당대회를 열었다. 당초 참여한 의원 수는 중의원 의원이 38명, 참의원 의원이 16명이었다. 니시오가 초대 위원장이 되었고 가타야마는 최고고문에 취임했다. 민사당은 안보에 있어서는 사회당, 공산당과 보조를 맞추었지만 예산을 비롯한 안보 이외의 안건에 대해선 자민당에 동조하는 모습도 보였다.
같은 해 총선에선 의회주의를 옹호하며 사회당과 대결 자세를 취했다. 하지만 히비야 공회당에서 아사누마 이네지로 암살 사건이 발생하자 사회당이 동정표가 몰려 민사당의 의석수는 17석으로 급감했다. 1963년 총선과 1966년 총선에서는 어느 정도 회복세를 보여 30석까지 늘어났고 야당 세력의 일각을 점할 수 있었다.
1965년 사회당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자민당과 힘을 합쳐 「한일기본조약」을 강행 채결했다.
1967년 2월 22일 사회당 위원장 사사키 고조가 "민사당은 제2의 보수당"이라고 하자 민사당 서기장 니시무라 에이이치는 "3당 정책 협정이 막 이루어진 참에 우리 당을 모욕하는 건 무슨 저의냐"라며 "사회당은 제2의 공산당"이라고 맞받아쳤다. 니시무라의 이 같은 발언은 니시오의 의견이나 다름없었다. 4월 통일지방선거 이후 니시오는 위원장을 퇴임했는데 NET TV의 프로그램에 출연해 생방송으로 이 사실을 알렸다. 이후 상임고문으로 물러났고 후임 위원장에 니시무라를 지명했다.
1972년 총선에 불출마를 선언하여 정계를 은퇴했다. 이후 1983년 10월 뇌출혈과 신부전으로 사망했다.
2. 1. 전전 활동
니시오 스에히로는 1891년 가가와현 시유지마 섬(지금의 다카마쓰시)에서 태어났다.[2] 14세 때 오사카 포병공창에서 선반공 견습으로 일하며 노동 운동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스미토모 주강장, 오사카 전등, 후지나가타 조선소, 가와사키·미쓰비시 조선소 등에서 노동 쟁의를 주도하며 여러 차례 검속되었다. 1919년, 노동자 상호부조단체인 우애회에 가입, 마쓰오카 고마키치와 알게 되었다.[2] 1926년, 사회민중당 결성에 참여했다.[2]1928년, 보통선거 실시 이후 첫 총선에서 사회민중당 후보로 출마, 당선되었다.[2] 1932년, 사회대중당 간부가 되었다.[6] 1938년 3월 16일, 중의원 본회의에서 국가총동원법안에 찬동하며 당시 총리대신 고노에 후미마로에게 "아돌프 히틀러처럼, 베니토 무솔리니처럼 혹은 이오시프 스탈린처럼 확신에 찬 지도자가 돼라"라며 격려했다.[3] 입헌정우회와 입헌민정당은 스탈린을 긍정적으로 묘사했다며 니시오를 제명코자 했고, 제명안은 찬성 320표, 반대 43표로 통과되었다. 하지만 니시오는 다음 해 보궐선거에서 당선돼 국회로 다시 돌아왔다.
1940년 3월, 사이토 다카오의 반군 연설 제명 문제 때 반대 입장을 표명하여 본회의에 결석했다. 아소 히사시는 아베 이소오, 미즈타니 조자부로 등 반대 의사를 표명한 사회대중당 간부들을 당에서 제명했고, 니시오도 이때 제명됐다. 이후 고노 이치로 등과 함께 흥아의원동맹을 결성했다.
1942년 익찬선거에 비추천으로 출마해 당선되었다.[2] 익찬정치회나 대일본산업보국회와는 거리를 두면서 은밀히 도조 히데키 총리의 축출을 위한 노력에 참여했다. 이러한 저항의 기록 때문에 니시오는 2차 세계대전에서 일본의 패배 후 미국 주도의 일본 점령에 의해 정부에서 숙청되지 않았다.
2. 2. 전후 활동
일본의 항복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면서 정계 재편의 움직임이 가속화되자, 니시오는 1945년 11월 2일 일본사회당 창당에 참여하여 사회당 우파의 지도자가 되었다.[10] 하토야마 이치로 등 보수 성향 정치인들과 신당 설립을 협의했으나 결렬되었다.[10] 1946년 가타야마 데쓰 위원장 아래에서 사회당 서기장이 되었고,[10] 1947년 총선에서 사회당이 원내 1당이 되자, 정권 담당 준비 부족을 우려하여 일본자유당 등 다른 정당과 연립하여 총리대신을 양보하는 대신 각료의 다수를 사회당이 점하는 내각을 구상했다. 그러나 사회당 좌파를 배제하라는 요시다 내각의 요구에 좌파가 응하지 않아 자유당과의 연정은 무산되었다.[10]결국 민주당, 국민협동당과 연정을 꾸리고 사회당 위원장 가타야마 데쓰가 총리대신이 되었다. 니시오는 내각관방장관으로 입각했지만 사회당 좌우파의 대립으로 가타야마 내각은 10개월 만에 무너졌다.[10] 연정을 이어 민주당의 아시다 히토시가 총리대신이 되었고 니시오는 부총리가 되었다.[10] 하지만 니시오가 정치 헌금을 받은 것이 드러나 부총리에서 물러났고[10] 그 다음엔 쇼와전공 사건이 일어나 내각이 무너졌다.[10] 니시오는 두 차례의 부패 사건에 휘말렸지만 모두 다 무죄를 선고받았다.[10] 하지만 1949년 총선에서 낙선해야 했다.[10] 이후 1952년 총선에서 당선되면서 정계에 복귀했다.[10]
1950년대 초 좌우로 분열되었던 사회당은 1955년 통합을 이루었지만[4] 1959년 제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사회당이 패배하면서 다시 갈등이 불거졌다. 사회당 좌파가 일본공산당과의 사공 공투를 주장했지만[6] 반공주의자였던 니시오는 이에 반발했다.[12] 니시오는 정권을 담당할 수 있는 건전한 사회주의 정당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 1959년 10월 18일 사회당을 탈당하여 일본사회당재건동지회를 결성했다.[12]
1960년 1월 24일 민주사회당 창당대회를 열었다.[8]
초대 위원장이 되었고[13] 가타야마는 최고고문에 취임했다. 민사당은 안보에 있어서는 사회당, 공산당과 보조를 맞추었지만 예산을 비롯한 안보 이외의 안건에 대해선 자민당에 동조하는 모습도 보였다.[13]
같은 해 총선에선 의회주의를 옹호하며 사회당과 대결 자세를 취했다. 하지만 히비야 공회당에서 아사누마 이네지로 암살 사건이 발생하자 사회당에 동정표가 몰려 민사당의 의석수는 17석으로 급감했다.[9] 1963년 총선과 1966년 총선에서는 어느 정도 회복세를 보여 30석까지 늘어났고 야당 세력의 일각을 점할 수 있었다.[9]
1965년 사회당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자민당과 힘을 합쳐 「한일기본조약」을 강행 채결했다.[16][17]
|thumb|250px|1967년 도쿄도지사 선거에서 민사당과 자민당은 마쓰시타 마사토시를 공동으로 추천했다. 왼쪽부터 사토 에이사쿠, 마쓰시타, 니시오(1967년 2월 24일).]]
1967년 2월 22일 사회당 위원장 사사키 고조가 "민사당은 제2의 보수당"이라고 하자 민사당 서기장 니시무라 에이이치는 "3당 정책 협정이 막 이루어진 참에 우리 당을 모욕하는 건 무슨 저의냐"라며 "사회당은 제2의 공산당"이라고 맞받아쳤다.[16][17] 4월 통일지방선거 이후 니시오는 위원장을 퇴임했는데 NET TV의 프로그램에 출연해 생방송으로 이 사실을 알렸다. 이후 상임고문으로 물러났고 후임 위원장에 니시무라를 지명했다.
1972년 총선에 불출마를 선언하여 정계를 은퇴했다.[10] 이후 1983년 10월 뇌출혈과 신부전으로 사망했다.[10]
3. 정치적 입장 및 평가
4. 기타
니시오는 “정권을 잡지 못하는 정당은 쥐를 잡지 못하는 고양이와 같다”라는 말을 남겼다.
일본경제신문에 펜네임으로 영화평론을 기고할 정도로 영화광이었다고 한다. 1967년 민사당 위원장직에서 물러날 때, NET 텔레비전(현재의 텔레비전 아사히)의 모닝쇼에 출연하여 생방송 스튜디오에서 위원장 사임을 발표했다. 사회자인 기지마 노리오(이후 기지마 자신도 민사당에서 출마했다) 등이 어리둥절해하는 가운데, 그는 “제가 좋아하는 ‘로하이드’의 테마곡을 신청합니다.”라고 말하고, 배경음악이 흐르는 가운데 스튜디오를 떠났다. 1965년 4월 29일 훈일등 욱일대수장 및 훈일등 수보장을 수여받았다.
5.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 선거구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제16회 총선거 | 오사카부 제3구 | 사회민중당 | 3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
제17회 총선거 | 오사카부 제3구 | 사회민중당 | 4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
제18회 총선거 | 오사카부 제3구 | 사회민중당 | 낙선 | 중선거구제 | |||
제20회 총선거 | 오사카부 제4구 | 사회대중당 | 2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
제21회 총선거 | 오사카부 제4구 | 무소속 | 4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
제22회 총선거 | 오사카부 제1구 | 일본사회당 | 70,449표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
제23회 총선거 | 오사카부 제2구 | 일본사회당 | 50,891표 | 22.3%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제24회 총선거 | 오사카부 제2구 | 무소속 | 20,908표 | 7.4% | 6위 | 낙선 | 중선거구제 |
제25회 총선거 | 오사카부 제2구 | 우파사회당 | 66,299표 | 20.6% | 2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제26회 총선거 | 오사카부 제2구 | 우파사회당 | 51,053표 | 16.8% | 2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제27회 총선거 | 오사카부 제2구 | 우파사회당 | 46,875표 | 12.4% | 4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제28회 총선거 | 오사카부 제2구 | 일본사회당 | 74,688표 | 17.8%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제29회 총선거 | 오사카부 제2구 | 민사당 | 109,791표 | 23.2%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제30회 총선거 | 오사카부 제2구 | 민사당 | 138,619표 | 27.9%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제31회 총선거 | 오사카부 제2구 | 민사당 | 121,671표 | 21%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제32회 총선거 | 오사카부 제2구 | 민사당 | 91,675표 | 17.9% | 2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참조
[1]
서적
Japan at the Crossroads: Conflict and Compromise after Anpo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Postwar Japan
https://books.google[...]
Rowman and Littlefield
[3]
서적
Why Has Japan 'Succeeded'?: Western Technology and the Japanese Etho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Japan at the Crossroads: Conflict and Compromise after Anpo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5]
서적
Japan at the Crossroads: Conflict and Compromise after Anpo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6]
서적
Japan at the Crossroads: Conflict and Compromise after Anpo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7]
서적
Japan at the Crossroads: Conflict and Compromise after Anpo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8]
서적
Japan at the Crossroads: Conflict and Compromise after Anpo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9]
서적
Japan at the Crossroads: Conflict and Compromise after Anpo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0]
뉴스
Suehiro Nishio Dies in Japan; Led the Democratic Socialists
The New York Times
1981-10-04
[11]
서적
近代日本総合年表 第四版
岩波書店
2001-11-26
[12]
뉴스
民主社会党が発足
中部日本新聞
1960-01-24
[13]
간행물
日本政治年鑑 1960年版
世界書院
1960-04-10
[14]
서적
名言・失言の近現代史下 1946-
吉川弘文館
[15]
기타
(제목 없음)
[16]
간행물
学者戦争の都知事選
経済往来社
1967-04
[17]
웹사이트
社民連十年史 年表
https://www.eda-jp.c[...]
江田五月 – 新たな出発
2023-09-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