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민주당 (1990년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주당 (1990년 대한민국)은 1990년 6월 15일, 3당 합당에 반대하여 통일민주당 잔류 세력과 무소속 의원들을 중심으로 창당되었다. 이택기를 초대 총재로 출범한 민주당은 야권 통합을 목표로 평화민주당과의 통합을 추진했으나 실패하고, 이후 민주연합과의 통합을 통해 이기택이 총재로 복귀했다. 1991년 지방선거에서 참패한 후 신민주연합당과 통합하여 김대중과 이기택 공동 대표 체제의 민주당 (1991년)으로 출범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 원내정당 - 신한국당
    신한국당은 1995년 민주자유당이 당명 변경으로 창당된 대한민국의 정당으로, 15대 총선에서 제1당이 되었으나 IMF 외환 위기 속 김영삼 대통령의 탈당 후 민주당과 합당하여 한나라당을 창당하며 해산되었다.
  •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 원내정당 - 평화민주당
    평화민주당은 김대중을 중심으로 1987년 창당되어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제1야당으로 부상하였고, 민주화 운동과 사회 개혁을 추진하다가 신민주연합당으로 당명을 변경, 꼬마민주당과 합당하여 민주당으로 재편되었으며, 2010년 재창당되었으나 2012년 소멸된 정당이다.
  • 대한민국의 중도정당 - 바른미래당
    바른미래당은 2018년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의 합당으로 창당된 대한민국 정당으로, 중도와 개혁적 보수를 표방했으나 이념 갈등, 선거 참패, 분당을 겪고 민생당으로 합당되며 소멸되었다.
  • 대한민국의 중도정당 - 국민의당 (2016년)
    국민의당 (2016년)은 2016년 안철수의 탈당으로 시작되어 20대 총선에서 38석을 얻었으나, 리베이트 의혹 등으로 당 대표가 사퇴하고 바른정당과 통합하여 바른미래당으로 해산되었다.
  • 1991년 해산된 정당 - 평화민주당
    평화민주당은 김대중을 중심으로 1987년 창당되어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제1야당으로 부상하였고, 민주화 운동과 사회 개혁을 추진하다가 신민주연합당으로 당명을 변경, 꼬마민주당과 합당하여 민주당으로 재편되었으며, 2010년 재창당되었으나 2012년 소멸된 정당이다.
  • 1991년 해산된 정당 - 이탈리아 공산당
    안토니오 그람시와 팔미로 톨리아티 등이 창당한 이탈리아 공산당은 파시즘 정권 하에서 지하 활동, 2차 대전 후 주요 정당으로 성장, 유로공산주의 노선 채택 등을 거쳐 좌익민주당으로 전환하며 해산되었으나 냉전 시대 독자 노선 추구, 성공적인 지방 행정 등으로 지지를 받았으며 그 해산은 이탈리아 좌파 정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민주당 (1990년 대한민국) - [정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90년 민주당 로고
1990년 민주당 로고
약칭DP
비공식 약칭꼬마 민주당
국가대한민국
창당1990년 6월 15일
해산1991년 9월 16일
합병 대상민주당
이념자유주의 (대한민국)
중도개혁주의
정치적 위치중도주의
색상빨간색
관련 정보
선행 조직통일민주당 잔류파
중앙당사
위치대한민국 서울특별시

2. 역사

1990년 1월 22일, 통일민주당민주정의당, 신민주공화당과 합당하여 민주자유당을 창당한다고 선언하자,[4] 이에 반대한 이기택 중심 세력은 합류를 거부하고 6월 15일 민주당을 창당했다.[5][6] 당 지도부 선거에서 이기택이 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6]

의석 수가 적었던 민주당은 김대중이 이끌던 제1야당 평화민주당(1991년 4월 15일부터 새민주연합)과 합당을 추진했다.[7] 이기택은 첫 번째 합당 시도가 실패한 후 1990년 11월 16일 위원장직에서 물러났으나,[8] 1991년 2월 3일 다시 복귀했다.[9]

1991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에서 민주당은 참패했고,[10] 이후 새민주연합과 다시 협상하여 9월 11일 합당에 합의,[11] 9월 16일 통합 민주당을 창당했다.[12]

2. 1. 창당 이전

2. 2. 창당 과정

1990년 6월 15일, 3당 합당에 반대한 통일민주당 잔류 세력과 박찬종, 이철 등 무소속 의원들이 민주당을 창당하였다.[6] 이들은 민주주의 세력의 대동단결, 당 운영 체질 개선, 세대교체, 야권 통합을 4대 창당 원칙으로 내걸었다. 초대 총재로는 이기택이 선출되었다.[6]

2. 3. 야권 통합 노력과 좌절

민주당은 창당 초기부터 야권 통합을 주요 목표로 삼았다. 제1야당인 평화민주당(1991년 4월 15일부터 새민주연합으로 변경) 및 재야 세력과의 통합을 추진했다.[7] 1990년 7월 20일에는 김대중(평민당 총재), 이기택(민주당 총재), 김관석 목사(재야, 통합추진회의[13] 대표)가 회담을 갖고, "통합 수임 정당" 결성에 합의하기도 했다.

그러나 김대중 총재의 1선 후퇴 문제 등을 둘러싼 이견으로 평민당과의 통합은 무산되었다.[13] 이는 민주당 측의 김대중에 대한 불신이 강함을 보여주는 결과였다. 평민당 및 재야 세력과의 통합 실패에 대한 책임을 지고, 이기택은 1990년 11월 16일에 당 총재직을 사임했다.[14]

이후 민주당은 독자적으로 재야 세력과의 통합을 추진, 1991년 2월 이부영이 이끄는 민주연합추진위원회(민주연합)와 합동하여 이기택이 총재로 복귀하였다.[15]

2. 4. 1991년 지방선거 참패와 통합 민주당 출범

1991년 6월 20일에 실시된 광역의회 의원 선거에서 민주당은 전국 866석 중 21석을 얻는 데 그치며 참패했다.[16] 특히 이기택 총재의 지역구인 부산광역시에서도 51석 중 1석밖에 얻지 못하는 저조한 성적을 거두었다.

지방선거 참패 이후, 민주당과 김대중이 이끌던 평화민주당(1991년 4월 15일부터 새민주연합으로 명칭 변경)은 위기감을 느끼고 다시 한번 통합 논의를 시작했다.[7] 양당은 여러 차례 회동을 거쳐 다음과 같은 사항에 합의했다.

번호내용
1통합 후 당명은 민주당으로 한다.
2김대중이기택 양인이 공동 대표를 맡되, 연장자인 김대중을 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하는 대표로 한다.
3통합 후 신당의 지도 체제는 공동 대표를 포함한 10인의 최고위원회에 의한 집단 지도 체제로 하고, 최고위원회는 양당에서 각각 5인씩 구성한다.
4중앙당 당직 배분은 신민당 6, 민주당 4의 비율로 한다.



1991년 9월 16일, 양당은 합동 회의를 열고 통합을 공식 선언했으며, 김대중·이기택 공동대표 체제의 통합 민주당이 정식으로 출범하였다.[12] 이 과정에서 박찬종, 김광일 의원 등은 통합에 반대하며 합류하지 않았다.

3. 역대 지도부

번호대표임기
1이기택1990년 6월 15일 – 1990년 11월 16일
김현규 (권한대행)1990년 11월 16일 – 1991년 2월 3일
2이기택1991년 2월 3일 – 1991년 9월 16일


3. 1. 역대 총재

대수역대 대표직함임기비고
1이기택총재1990년 6월 15일 ~ 1990년 11월 16일야권통합 실패로 사퇴
임시김현규총재직무대행1990년 11월 16일 ~ 1991년 2월 3일이기택 사퇴로 대행
2이기택총재1991년 2월 3일 ~ 1991년 9월 16일민주당으로 신설합당


4. 주요 선거 결과

선거대표지방 의회
1991년이택기


4. 1. 지방선거

선거대표지방 의회
1991년이택기



1991년 6월 20일, 5·16 군사 쿠데타로 중단되었던 지방 자치 제도 부활의 발판으로 지방 의회 선거의 후반전인 광역 자치 단체 의회 선거[16]가 실시되었다. 이 선거에서 민주당은 전국 866명 중 21석, 이택기의 지역구인 부산광역시에서조차 51석 중 단 1석을 얻는 등, 전국에서 564석을 획득한 민자당에 큰 격차로 패배하는 어려운 결과를 맞이했다(득표율 14%).

5. 역대 전당대회

민주당은 1990년 6월 15일 창당대회를 개최하여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를 골자로 한 당헌당규를 통과시키고 대통령중심제 유지와 남북상호승인 및 UN 동시가입 등을 담은 정강정책을 채택하였다.[1] 1991년 2월 3일에는 민주연합과의 통합을 선언하고 집단지도체제를 골자로 한 당헌 개정안을 채택한 제2창당대회를 개최하였다. 이후 이기택 전 총재를 총재로 추대하고, 구 민주당 측 부총재 3명과 민주연합 측 2명을 부총재로 선출하였다. 또한, 야권통합에 대한 결정권을 정무위원회에 위임했다.[1] 1991년 9월 11일, 신민주연합당 김대중 총재와 민주당 총재의 합의에 따라 양당의 통합을 추인했다.[1]

5. 1. 민주당 창당대회 (1990년 6월 15일)

1990년 6월 15일, 통일민주당 잔류파가 주축이 된 민주당 창당대회는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를 골자로 한 당헌당규를 통과시키고 대통령중심제 유지와 남북상호승인 및 UN 동시가입 등의 내용을 담은 정강정책을 채택한 뒤 총재 선출에 들어갔다.[1]

득표순위이름득표수득표율비고
1이기택50767.2%총재
2박찬종20126.7%
3김광일415.4%
총투표수754



민주당 전당대회는 경선을 통해 이기택 창당준비위원장을 총재로 선출하고 김현규, 홍사덕 의원 등을 부총재로 선출했다.[1]

5. 2. 새정치와 개혁을 위한 제2창당대회 (1991년 2월 3일)

1991년 2월 3일, 민주당 전당대회는 민주연합과의 통합을 선언하고 집단지도체제를 골자로 한 당헌 개정안을 채택하였다. 이후 이기택 전 총재를 총재로 추대하고, 구 민주당 측 부총재 3명과 민주연합 측 2명을 부총재로 선출하였다. 또한, 민주당 대회는 야권통합에 대한 결정권을 정무위원회에 위임했다.[1]

5. 3. 1991년 9월 11일 민주당 정무위원회

신민주연합당 김대중 총재와 민주당 총재의 합의에 따라 양당의 통합을 추인했다.[1]

참조

[1] 뉴스 [레이더P] 60년 정당 '민주당' 당명 논란 2라운드 https://www.mk.co.kr[...] 2015-07-27
[2] 뉴스 3당합당 거부 '꼬마 민주당' 창당 고비마다 명분 선택한 야당 외길 https://news.joins.c[...] 2016-02-21
[3] 뉴스 YS·DJ 사이서 정치적 굴곡… 꼬마민주당 만든 '4·19 맏형' http://news.chosun.c[...] 2016-02-22
[4] 뉴스 민정, 민주, 공화당 합당 통한 신당 창당 공시[김성수] http://imnews.imbc.c[...] 1990-01-22
[5] 뉴스 민주당 소장파 의원,정통야당 복원 선언[장동훈] http://imnews.imbc.c[...] 1990-01-24
[6] 뉴스 민주당, 오늘 창당 전당대회 갖고 이기택 총재로 공식 출범[윤영욱] http://imnews.imbc.c[...] 1990-06-15
[7] 뉴스 이기택 민주당 총재, 김대중 총재 방문해 야권 통합 논의[엄기영] http://imnews.imbc.c[...] 1990-06-18
[8] 뉴스 민주당 이기택 총재 13대 국회 포기선언과 함께 사퇴[전영배] http://imnews.imbc.c[...] 1990-11-16
[9] 뉴스 민주당 오늘 임시 전당 대회 열어[전영배] http://imnews.imbc.c[...] 1991-02-03
[10] 뉴스 야당 내부에서 선거 패배에 따른 문책론 제기[신용진] http://imnews.imbc.c[...] 1991-06-21
[11] 뉴스 신민.민주 양당 총재 회의, 민주회 등 등 통합 가속화[전영배] http://imnews.imbc.c[...] 1991-09-11
[12] 뉴스 민주당 공식출범 https://newslibrary.[...] 1991-09-16
[13] 문서 민주당(일본) 창당 배경 설명
[14] 간행물 北海道新聞 1990年11月17日付7面 北海道新聞 1990-11-17
[15] 간행물 北海道新聞 1991年2月4日付3面 北海道新聞 1991-02-04
[16] 문서 기초의회 선거 관련 설명
[17] 문서 신민주연합 결성 설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