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이기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이기택은 1937년 경상북도 영일군 출생으로, 고려대학교를 졸업하고 4·19 혁명 당시 학생운동을 주도했다. 이후 국회의원, 민주당 총재 등을 역임하며 7선 의원을 지냈다. 신민당, 통일민주당, 민주당 등을 거치며 야당 지도자로 활동했고, 1990년 3당 합당에 반대하여 민주당을 창당했다. 2016년 7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천 이씨 - 이호 (법조인)
    이호는 일제강점기 일본 유학 후 법조인으로 활동하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법무부 장관, 내무부 장관, 주일본 대사 등을 역임하고 12·12 군사 반란 이후 국가보위입법회의 의장을 지냈다.
  • 영천 이씨 - 이기우 (1966년)
    이기우는 1966년 출생의 정치인으로, 성균관대학교 총학생회장, 국회의원, 경기도 사회통합부지사 등을 역임했으며, 1990년 특수공무집행방해 등으로 징역형을 선고받은 후 특별사면되었다.
  • 대한민국의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 김정렬 (1917년)
    김정렬은 일제강점기 군인이자 대한민국 군인, 정치인, 기업인으로, 일본군 조종사로 2차대전에 참전 후 대한민국 공군 창설을 주도하여 초대 공군참모총장, 국방부 장관, 민주공화당 당의장, 주미 한국 대사, 국회의원, 삼성물산 사장, 국무총리 등을 역임했으며, 2008년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포함되었다.
  • 대한민국의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 이재정 (1944년)
    이재정은 대한민국의 교육자이자 정치인으로, 성공회대학교 총장, 국회의원, 통일부 장관을 거쳤으며, 국민참여당 대표와 경기도 교육감을 역임했다.
  • 민주국민당 (2000년) 당원 - 윤원중
    윤원중은 광주제일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김영삼 대통령 비서관, 국회사무총장 등을 역임하고 제15대 국회의원에 당선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민주국민당 (2000년) 당원 - 김윤환 (1932년)
    김윤환은 대한민국의 언론인, 정치인으로 5선 국회의원, 대통령비서실장, 정무장관을 역임하며 정권 창출에 기여하여 "킹 메이커"라는 별명을 얻었으나, 민주국민당 대표최고위원을 지내기도 했으며 신장암으로 사망했다.
이기택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Lee Ki-taek in October 1974
이름이기택
로마자 표기Lee Ki-taek
출생일1937년 7월 25일
출생지영일군, 경샹북도, 한국, 일본 제국
사망일2016년 2월 20일
사망지성모병원, 서울특별시, 대한민국
국적대한민국
배우자이경의
자녀이성호
이우인
이지인
이세인
학력
모교고려대학교
직업
직업정치인
주요 경력
소속 정당신민당 (1967–1980)
신한민주당 (1985–1987)
통일민주당 (1987–1990)
민주당 (L) (1990–1991)
민주당 (1991–1995)
통합민주당 (1995–1997)
한나라당 (1997–2000; 2007–2012)
민주국민당 (2000)
새누리당 (2012–2016)
국회의원
국회의원제7대 국회의원 (1967년 7월 1일 – 1971년 6월 30일, 전국구)
제8대 국회의원 (1971년 7월 1일 – 1972년 10월 27일, 동래구 제2선거구)
제9대 국회의원 (1973년 3월 12일 – 1980년 10월 27일, 동래구)
제12대 국회의원 (1985년 4월 11일 – 1988년 5월 29일, 남구 & 해운대구)
제13대 국회의원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해운대구)
제14대 국회의원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전국구)
주요 당직
민주당 총재1991년 9월 16일 – 1995년 8월 28일 (1992년 12월 18일까지 김대중과 공동 총재)
민주당 대표1991년 2월 3일 – 1991년 9월 16일
민주당 대표1990년 6월 15일 – 1990년 11월 16일
통합민주당 총재1996년 6월 4일 – 1997년 9월 10일
한나라당 총재 권한대행1998년 8월 5일 – 1998년 8월 30일

2. 생애

1937년 경상북도 영일군(현 포항시)에서 태어나, 부산상업고등학교(현 개성고등학교)를 거쳐 고려대학교 상과대학을 졸업했다. 고려대학교 재학 중 총학생회장을 역임했고, 1960년 4·19 혁명을 이끌었다.[30] 1967년 제7대 총선에 신민당 비례대표로 출마하여 30세의 나이로 정계에 입문하였다.[30]

이후 부산 동래구에서 3선 (제8대, 제9대, 제10대)에 성공했다. 1976년 신민당 사무총장에 취임하여 독자적인 세력을 형성하게 되었다.[30] 1979년 5월 총재 선거에서는 김영삼을 지지하여 김영삼 총재 체제 출범에 기여했다. 10·26 사건 이후, 전두환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에 의해 정계 은퇴를 강요받았다.[30]

1985년 제12대 총선을 앞두고 신한민주당에 입당하여 부산에서 출마, 국회에 복귀했다. 1987년 통일민주당 창당에 참여했으나, 김대중평화민주당을 창당하며 양김이 분열하자 통일민주당 탈당을 선언했다(후에 복당).[30]

1990년 3당 합당에는 참여하지 않고, 노무현 등과 함께 민주당을 결성하여 당 총재에 취임했다.[30] 1991년 김대중이 이끄는 신민주연합당과 합당, 민주당을 결성하고 김대중과 함께 공동 대표에 취임했다.[30]

1992년 대선에서 패배하고 정계를 은퇴한 김대중의 뒤를 이어 민주당 총재(1995년~1997년)에 취임했고,[30] 1997년 신한국당과 합당하여 결성된 한나라당에서는 부총재에 취임했다.[30] 2000년 총선을 앞두고 한나라당을 탈당, 민주국민당을 결성하여 출마했지만 낙선했다.[30]

2008년부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을 역임했다.[30] 2016년 2월 20일 서울에서 79세의 나이로 별세했다.[30]

2. 1. 생애 초기

1937년 경상북도 영일군 청하면(현 포항시 북구)에서 한학자의 차남으로 태어났다.[1] 한국 전쟁으로 인해 1950년 가족과 함께 부산으로 이주했다.[1] 부산상업고등학교(현 개성고등학교)를 졸업하고[1] 고려대학교 상과대학에서 상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2]

고려대학교 재학 시절 학생회장을 역임했으며, 1960년 4·19 혁명에 참여하여 이승만 대통령과 자유당 정권의 몰락을 가져왔다.[1][2] 졸업 후에는 자형 이임용과 큰누이 이선애가 경영한 태광산업(현 태광그룹)에 입사하여 창립멤버가 되었다.

2. 2. 야당 지도자

1987년신민당이 개헌 문제를 둘러싸고 이민우 총재와 양김(김영삼, 김대중)이 대립하여 양김이 새롭게 통일민주당을 결성하자 이에 참여했다. 그러나 김대중이 대통령 선거 출마를 위해 탈당하여 평화민주당을 결성함으로써 양김이 분열하자 이에 불만을 품고 통일민주당 탈당을 선언했다(후에 복당).[30]

1990년 노태우 대통령의 여당인 민주정의당, 김종필 총재의 신민주공화당3당 합당으로 민주자유당이 창당되자, 이에 참여하지 않고 노무현 등 몇몇 의원들과 함께 민주당을 결성하여 당 총재에 취임했다. 이듬해 김대중이 이끄는 신민주연합당(평화민주당과 야당이 합쳐 결성된 정당)과 합당하여 민주당을 결성하고 김대중과 함께 공동 대표에 취임했다.

2. 2. 1. 3공, 유신 시절

1967년 신민당 소속 전국구 의원으로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하였다. 이후 부산 동래구로 지역구를 옮겨 8, 9, 10대 국회의원을 역임하였다.[30] 김영삼, 김대중 양김씨와 이철승과 같은 거물 정치인들 틈에서 당내에 자신의 계보를 조직할 정도로 성장하였다.

1969년 범청년투쟁위원회를 조직하고 대표가 되었으며, 4월 19일에는 4.19 10주년 기념 강연을 마친 뒤 침묵 시위에 들어가기도 했다. 1976년 신민당 사무총장에 선출되었고,[35] 1979년신민당 부총재에 선출되었다.[35]

1979년 5월 신민당 총재 경선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36] 1차 투표에서 이철승 292표, 김영삼 267표, 이기택 92표, 신도환 87표를 받았다.[37] 그러나 정치활동이 금지되었던 김대중계열이 김영삼을 지지하면서 순식간에 이철승의 호적수가 되었다. 승부는 2차 투표로 넘어갔다. 김대중은 이기택에게 김영삼 지지를 호소하였고 이기택은 이를 받아들였다.[37] 2차 투표에서 김영삼 378표, 이철승 367표로 근소한 차로 김영삼은 역전승을 하여 신민당 총재에 선출되었다.[37]

2. 2. 2. 5공, 6공 시절

1982년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 객원교수를 지냈다.[2] 1985년 12대 총선에서 부산 해운대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2] 이때 정치규제에 묶여 일선에 나설 수 없었던 김영삼김대중 양김씨를 대신하였지만 실권이 별로 없던 이민우 신민당 총재 아래에서 부총재를 역임하였다.

1987년 신민당이 내세운 직선제와 여당인 민주정의당이 내세운 내각제 사이에서 개헌논의에 진척이 없어 정국이 파국으로 치닫자, 민주화 조치가 이루어지면 내각제 개헌도 무방하다던 이른바 "이민우 구상"을 둘러싸고 야당내에 갈등이 증폭되었다.[9] 그리하여 이민우를 비롯한 신민당 내의 대여타협파와 결별하기 위해 양김씨가 자신의 계파의원들을 모두 신민당에서 탈당시켜 새로이 통일민주당을 창당하였다. 이기택은 소속 계보 의원들과 함께 신민당을 탈당하였지만 통일민주당에 참여하지는 않았다. 이후 전두환이 4.13 호헌조치를 발표하자 이에 항의하여 15일간 단식하였다. 신민당 부총재 이후 통일민주당 부총재 등을 지냈다.[2]

1987년 6월 항쟁이후, 여당이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받아들이자, 이기택은 비로소 통일민주당에 입당하여 부총재를 역임하고[2] 다시 통일민주당 후보로 13대 국회의원 총선에서 해운대구 지역구에 재선되었다.[2]

그해 9월10월 통일민주당의 대권후보를 놓고 대립하던 김영삼과의 경선을 불참한 김대중이 탈당하여 평화민주당을 창당하였으나 이기택은 여기에 가담하지 않았다. 1988년 통일민주당의 부총재에 재선되고, 1989년 통일민주당 원내총무를 겸임하였다.

2. 3. 1990년 이후

1990년 3당 합당 때 참여를 거부하고 김영삼 등과 결별하였다. 노무현, 김정길, 무소속 의원인 홍사덕, 이철 등과 함께 민주당(꼬마민주당)을 창당하고 총재에 선출되었다.[12] 국군보안사령부의 사찰 대상 중 한 사람이 되어 노태우 정부로부터 감시를 당했다.[38]

1991년 김대중의 신민주연합당과 합당하여 민주당을 창당하고 김대중과 함께 공동대표가 되었다.[14] 14대 총선에서는 전국구 의원으로 당선되었다.[2]

1992년 대통령 선거 후보 경선에 출마하였으나 김대중에게 패배하였다.[15] 김대중이 대통령 선거에서 낙선하고 정계를 은퇴하자 야당 총수가 되었다. 1993년부터 1995년까지 민주당 총재를 역임하였다.[18]

1995년 지방선거에서 공천권을 둘러싸고 동교동계와 갈등을 겪었다. 민주당은 지방선거에서 승리했지만, 김대중동교동계 의원 전원을 민주당에서 탈당시켜 새정치국민회의를 창당하고 정계에 복귀하였다.[22]

15대 총선에서는 민주당 소속으로 부산 해운대구에 출마하였지만 낙선하였다.[2] 1997년 고향 포항의 보궐선거에서도 출마했지만 낙선하였다.[2] 15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조순을 대통령 후보로 영입했지만, 조순이 이회창과 연합하여 한나라당으로 합당하면서 이에 참여하였다.

2. 4. 2000년대 이후

2000년 16대 총선에서 이회창은 당에 대한 중진급의 영향력을 배제하기 위하여 많은 중진들을 공천에서 탈락시켰다. 이때 공천에서 탈락한 김윤환, 김광일, 그리고 재야인사인 장기표 등과 함께 민주국민당을 창당하여 부산광역시 연제구에 다시 출마했지만 낙선하였다.[2] 그해 민주국민당 최고위원이 되었다.

2002년 부산상업고등학교 후배이자, 과거 민주당 동지인 노무현 후보를 지지하면서 지지 유세에 나서기도 하였다.[23] 같은 해 새천년민주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상임고문이 되었다. 그러나 집권 이후, 참여정부 노선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피력하며 정치적인 참여를 거부하였다. 2007년에는 노무현 대통령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고 17대 대선에서[39] 한나라당 이명박을 지지하였다.[24]

2007년 대선을 앞두고 이명박에 대한 지지를 선언한 뒤 한나라당 선거대책위원회 상임고문을 맡았다.

이후 해외한민족교육진흥회 이사장을 거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 부의장 후보로 지명되던 김덕룡이 이명박 대통령의 국민통합특보에 임명되면서 2008년 9월 정부로부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 부의장에 임명되었으나, (이명박 지지에 대한) "보은성 인사"라는 논란이 일었다.[40]

2. 5. 사망

2016년 2월 20일 서울성모병원에서 지병으로 향년 79세로 별세했다.[41] 사망 전날 회고록 《우행(The Way of a Cow)》을 완성했으며,[26][27] 이 회고록은 2017년 9월 15일에 출판되었다.[27]

3. 학력

4. 상훈

5. 평가 및 유산

이기택은 2016년 2월 20일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에서 78세의 나이로 별세했다.[26][2] 사망 전날 회고록 《우행(The Way of a Cow)》을 완성했으며,[26][27] 이 회고록은 2017년 9월 15일에 출판되었다.[27]

여러 정치인들이 그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27]


  • 정세균 (전 국회의장, 2016–2018): "그는 항상 신념과 과감함이 필요한 행동을 했다."
  • 문희상 (국회의장, 2018-): "그의 리더십은 온화함으로 대변된다. 고집을 꺾으면서도 의지를 충족시킨 '경청의 리더십'은 실로 인상적이었다."
  • 박원순 (서울특별시장, 2011-): "그는 4·19 혁명으로 이어진 학생운동을 이끌었다. 그의 후배 중 한 명으로서 나는 그의 회고록을 통해 대한민국 정치사를 더 깊이 있게 배울 수 있었다."

5. 1. 긍정적 평가

이기택은 4.19 혁명을 주도하고 유신 반대 투쟁과 6월 항쟁에 참여하는 등 민주화 운동에 헌신한 인물로 평가받는다.[30] 또한 신민당, 통일민주당, 민주당 등에서 주요 직책을 역임하며 야당 지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 1990년 3당 합당에 반대하며 민주주의 원칙을 지키려 한 점도 긍정적으로 평가받는 부분이다. 그는 소통과 화합을 중시하는 경청의 리더십을 보여주었다.

5. 2. 비판적 평가

이기택은 민주당, 신민주연합당, 한나라당, 민주국민당 등 여러 정당을 거치면서 정치적 입장을 여러 번 바꾸어, 정치적 신념과 일관성에 대한 비판을 받았다.[38] 이러한 잦은 정당 이동은 그가 정치적 이익을 위해 신념을 저버린다는 인상을 주었다.

또한, 이기택은 부산 해운대구와 포항 등 영남 지역을 기반으로 정치 활동을 해왔기 때문에 지역주의를 극복하려는 노력이 부족하다는 비판도 받았다. 그는 영남 지역에서 주로 출마하거나 활동하면서 지역주의 정치 구도에 안주했다는 지적을 피하지 못했다.[39]

특히, 이기택은 진보 진영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보수 정당을 지지하는 행보를 보여 이념적 변절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그는 참여정부의 노선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냈으며, 2007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를 지지하였다.[40] 이러한 이념적 변화는 그의 정치적 정체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였다.

5. 3. 유산

이기택은 사망 전날인 2016년 2월 19일에 회고록 《우행(The Way of a Cow)》을 완성했다.[26][2] 이 회고록은 2017년 9월 15일에 출판되었다.[27]

여러 정치인들이 그에 대해 다음과 같은 평을 남겼다.[27]

  • 정세균: "그는 항상 신념과 과감함이 필요한 행동을 했다." (전 국회의장, 2016–2018)
  • 문희상: "그의 리더십은 온화함으로 대변된다. 고집을 꺾으면서도 의지를 충족시킨 '경청의 리더십'은 실로 인상적이었다." (국회의장, 2018-)
  • 박원순: "그는 4·19 혁명으로 이어진 학생운동을 이끌었다. 그의 후배 중 한 명으로서 나는 그의 회고록을 통해 대한민국 정치사를 더 깊이 있게 배울 수 있었다." (서울특별시, 2011-)

6.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배우자이경의
아들이성호
이우인, 이지인, 이세인
처남이임용태광그룹 창업주
이기화태광그룹 2대 회장
조카이호진태광그룹 3대 회장[32]


7. 역대 선거 결과

년도선거종류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순위당락비고
1967제7대 총선국회의원 (전국구)신민당3,554,224 (32.7%)14번당선초선
1971제8대 총선국회의원 (부산 동래구 을)신민당34,471 (65.89%)1위당선재선
1973제9대 총선국회의원 (부산 동래구)신민당57,757 (39.23%)2위당선3선
1978제10대 총선국회의원 (부산 동래구)신민당117,216 (40.14%)1위당선4선
1985제12대 총선국회의원 (부산 남구·해운대구)신한민주당159,127 (43.00%)1위당선5선
1988제13대 총선국회의원 (부산 해운대구)통일민주당54,223 (48.30%)1위당선6선
1992제14대 총선국회의원 (전국구)민주당6,004,578 (29.2%)2번당선7선
1996제15대 총선국회의원 (부산 해운대구·기장군 갑)민주당55,163 (47.65%)2위낙선
19977.24 재보선국회의원 (경북 포항시 북구)민주당35,137 (28.33%)2위낙선
2000제16대 총선국회의원 (부산 연제구)민주국민당26,060 (26.53%)2위낙선


참조

[1] 뉴스 [삶과 추억] 이기택 전 민주당 총재 별세 https://news.joins.c[...] 2019-09-10
[2] 뉴스 노무현 꾸짖은 '평생 야당인' 이기택 타계 http://www.newdaily.[...] 2019-09-10
[3] 뉴스 [속보] 이기택 전 민주당 총재 20일 오전 별세…향년 79세 https://news.joins.c[...] 2019-09-10
[4] 뉴스 이기택 전 신민당 부총재, "YS는 폭이 넓고 용기가 있지만 속이 허한 사람" https://pub.chosun.c[...] 2019-09-10
[5] 뉴스 '조폭 현황 보고서' 단독입수 "김태촌은…" http://www.hani.co.k[...] 2019-09-10
[6] 뉴스 신민 이기택씨 당수출마 선언 https://newslibrary.[...] 2019-09-10
[7] 뉴스 전당대회 폐막 신민 새총재 김영삼씨 https://newslibrary.[...] 2019-09-10
[8] 뉴스 이기택 최연소 사무총장 지낸 4.19세대 https://newslibrary.[...] 2019-09-10
[9] 뉴스 「이민우구상」 신민 계속진통 https://newslibrary.[...] 2019-09-10
[10] 뉴스 가칭 통일민주당, 신당 창당 진통[하금렬] http://imnews.imbc.c[...] 2019-09-10
[11] 뉴스 민정, 민주, 공화당 합당 통한 신당 창당 공시[김성수] http://imnews.imbc.c[...] 2019-09-10
[12] 뉴스 이기택 민주당 총재, 김대중 총재 방문해 야권 통합 논의[엄기영] http://imnews.imbc.c[...] 2019-09-10
[13] 뉴스 야당 내부에서 선거 패배에 따른 문책론 제기[신용진] http://imnews.imbc.c[...] 2019-09-10
[14] 뉴스 민주당 공식출범 https://newslibrary.[...] 2019-09-09
[15] 뉴스 민주 대통령후보 김대중씨 https://newslibrary.[...] 2019-09-10
[16] 뉴스 후보가 유세장서 「유권자 비판」 https://newslibrary.[...] 2019-09-09
[17] 뉴스 김대중씨 "정계은퇴 선언" 안팎 https://www.mk.co.kr[...] 2019-09-09
[18] 뉴스 민주당 새대표 이기택씨 https://newslibrary.[...] 2019-09-09
[19] 뉴스 민주, 새한국당—재야 통합 전당대회 https://newslibrary.[...] 2019-09-09
[20] 뉴스 부산 文正秀 경남 金爀珪씨 당선 http://www.busan.com[...] 2019-09-09
[21] 뉴스 민주, 새한국당—재야 통합 전당대회 https://newslibrary.[...] 2019-09-09
[22] 뉴스 새정치국민회의 창당…제1야당 출범 김대통령에 회담 제의 https://newslibrary.[...] 2019-09-09
[23] 뉴스 다시 만난 노무현과 이기택 http://www.ohmynews.[...] 2019-09-10
[24] 뉴스 이기택, 이명박 지지선언 https://www.mk.co.kr[...] 2019-09-10
[25] 뉴스 민주평통 수석부의장 이기택씨 https://www.mk.co.kr[...] 2019-09-10
[26] 뉴스 이기택 전 총재, 별세 전날 회고록 탈고 http://www.hani.co.k[...] 2019-09-10
[27] 뉴스 故 이기택 회고록 '우행' 출판기념회에 옛 동지들 대거 출동 https://www.yna.co.k[...] 2019-09-10
[28] 뉴스 "태광으로 인해 내 전 재산 다 잃었다" https://www.sisajour[...] 2019-09-10
[29] 웹사이트 이기택(李基澤) https://encykorea.ak[...] 2023-07-19
[30] 웹사이트 최고득표(최고득표)…전휴상 최고표차(최고표차)…김종필 최연소자(최연소자)…이기택 https://newslibrary.[...] 2024-09-11
[31]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2022-07-22
[32] 웹사이트 [Who Is ?] 이호진 전 태광그룹 회장 http://www.businessp[...] 2023-09-06
[33] 웹사이트 '기생충' 속 문광·기택 이름 어떻게 지었나…영화 뒷이야기 https://www.yna.co.k[...] 2023-09-06
[34] 뉴스 민주평통 수석부의장에 이기택씨 https://news.naver.c[...]
[35] 웹사이트 이기택 http://enc.daum.net/[...]
[36] 서적 김대중과 김영삼 일월서각 1985
[37] 웹사이트 한국현대사 http://www.한국현대사.com 민연 2000-02-01
[38] 뉴스 보안사, 저명인사 1300명 사찰 http://www.cathright[...] 천주교인권위 1990-10-05
[39] 간행물 월간조선 2007-03
[40] 뉴스 민주평통 수석부의장에 이기택씨 https://news.naver.c[...] 네이버 뉴스
[41] 뉴스 이기택 전 총재, 별세 전날 회고록 탈고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6-02-2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