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이오피드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이오피드백은 뇌파, 심장 기능, 호흡, 근육 활동, 피부 온도 등 생리적 활동을 측정하여 개인의 건강 및 수행 능력 향상을 돕는 기술이다. 이는 무의식적인 생리적 과정에 대한 인식을 높여, 의식적인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근전도, 온도, 피부 전기 반응, 뇌파, 광혈류 측정, 심전도, 폐활량 측정, 카프노미터, 뇌 혈류도, 뇌혈류량측정술, 압력 바이오피드백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통증 관리, 스트레스 관리, 불안 관리, 요실금, 변실금, 두통, ADHD 등 다양한 질환의 치료에 활용된다. 바이오피드백의 효능은 연구를 통해 평가되고 있으며, 관련 단체 및 인증 기관을 통해 전문성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예술, 게임, 소설 등 대중문화에서도 바이오피드백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기생리학 - 근전도 검사
    근전도 검사는 근육과 신경의 기능 이상을 진단하기 위해 근육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는 검사로, 신경근 질환 진단, 운동 연구, 보툴리눔 독소 주입 보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인터페이스 제어 기술로도 연구된다.
  • 전기생리학 - 활동전위
    활동전위는 흥분성 세포의 세포막 전위가 역치 이상으로 탈분극될 때 발생하는 전기화학적 현상으로, 전압 개폐 이온 통로를 통한 이온 흐름의 급격한 변화를 통해 세포 내외 전위차를 일시적으로 역전시키며, 신경 세포와 근육 세포 등에서 신호 전달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심리학 - 정동 (심리학)
    정동은 심리학에서 감정가, 각성, 동기적 강도로 구성되며, 표현 방식, 원인, 뇌 과학적 연구와 관련되며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심리학 - 불안
    불안은 미래의 위협에 대한 반응으로,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여러 유형으로 분류되고, 불안 장애는 과도한 불안 반응을 특징으로 하며, 치료 방법이 존재한다.
  • 신경과학 - 인공 일반 지능
    인공 일반 지능(AGI)은 추론, 지식 표현, 학습 등의 능력을 갖춘 인공지능 시스템을 의미하며, 기아와 빈곤 해결 등의 이점을 제공하지만 통제력 상실과 같은 위험도 존재한다.
  • 신경과학 - 계산신경과학
    계산신경과학은 컴퓨터 과학과 신경과학의 융합 분야로, 뇌의 정보 처리 과정을 계산 모델로 연구하며, 뇌 기능 설명, 뉴런 및 신경망 모델링, 인공지능 활용 비교 연구, 계산 임상 신경과학 발전 등을 포함한다.
바이오피드백
개요
컴퓨터에 센서로 연결되어 센서에서 생성된 시각 및 음향 정보를 통해 정보를 받는 사람의 모습.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사람, 센서 및 프로세서 간의 피드백 루프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정의생물학적 과정에 대한 인식을 얻는 것
ICD-10GZG/Z/C
ICD-994.39
MeSH IDD001676
MedlinePlus002241
상세 정보
설명바이오피드백은 개인이 자신의 신체 기능을 인식하고 제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술이다.
작동 원리센서를 사용하여 심박수, 혈압, 근육 긴장도, 뇌파와 같은 생리적 신호를 모니터링한다.
이러한 신호는 실시간으로 개인에게 피드백으로 제공된다 (예: 시각적 또는 청각적 신호).
피드백을 통해 개인은 자신의 신체 기능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이완 기술이나 정신적 훈련을 통해 이러한 기능을 의식적으로 조절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활용 분야두통
편두통
만성 통증
고혈압
불안
스트레스
요실금
ADHD
뇌졸중 후 재활
종류뇌파 바이오피드백 (EEG 바이오피드백)
심박수 변동성 바이오피드백 (HRV 바이오피드백)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EMG 바이오피드백)
피부 온도 바이오피드백
호흡 바이오피드백
효과스트레스 감소
통증 완화
혈압 감소
집중력 향상
불안 감소
신체 기능 조절 능력 향상
연구실시간 기능적 자기 공명 영상(fMRI)을 사용하여 뇌 활성화 및 통증 제어를 학습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편두통에 대한 바이오피드백의 효능에 대한 메타 분석 연구가 있다.
두통 질환에 대한 바이오피드백 치료의 효능에 대한 포괄적인 검토 연구가 있다.

2. 바이오피드백의 원리

명상은 신체의 긴장상태를 바른자세의 근육이완 또는 깊고 느린 호흡을 통해 직접적으로 흥분을 가라앉히거나 심리적 안정감을 일으키는 방법에서 뇌파(brain wave)나 심박 변이도를 측정함으로써 바이오피드백의 반복적인 훈련을 강화하도록 할 수 있다.

바이오피드백의 개념은 유기체의 다양한 지속적인 내적 자연 기능이 일반적으로 "무의식"이라고 불리는 인식 수준에서 발생한다는 사실에 기반한다.[7] 바이오피드백 과정은 이러한 "무의식" 과정의 특정 측면과 인터페이스하도록 설계되었다.

바이오피드백은 개인이 건강과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생리적 활동을 변화시키는 방법을 배우도록 하는 과정이다. 정밀한 기기는 뇌파, 심장 기능, 호흡, 근육 활동, 피부 온도와 같은 생리적 활동을 측정한다. 이러한 기기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피드백한다. 이러한 정보의 제공은 종종 사고, 감정, 행동의 변화와 함께 원하는 생리적 변화를 지원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러한 변화는 기기를 계속 사용하지 않아도 지속될 수 있다.

더 간단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바이오피드백은 주로 해당 시스템의 활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기를 사용하여 많은 생리적 기능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과정이며, 이를 통해 의도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9]

이 두 정의에서 개념의 핵심 특징은 새로운 인지적 "학습" 기술의 결과와 "의지"의 연관성이다.[10]

2. 1. 정보 부호화 바이오피드백

정보 부호화 바이오피드백은 바이오피드백의 한 형태로, 건강, 웰빙, 인식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7][8] 바이오피드백은 1970년대 초에 현대적인 기원을 두고 있으며, 근전도계, 전기피부반응계, 뇌파계, 심전도계 등을 활용하여 발전해 왔다. 바이오피드백은 "무의식" 수준에서 발생하는 유기체의 다양한 내적 자연 기능에 기반하며,[7] 이러한 "무의식" 과정의 특정 측면과 상호 작용하도록 설계되었다.

바이오피드백은 정밀한 기기를 사용하여 뇌파, 심장 기능, 호흡, 근육 활동, 피부 온도와 같은 생리적 활동을 측정하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피드백한다. 이러한 정보 제공은 사고, 감정, 행동의 변화와 함께 원하는 생리적 변화를 지원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러한 변화는 기기를 계속 사용하지 않아도 지속될 수 있다.

정보 부호화 바이오피드백은 행동주의적 조건화 측면에 주로 의존하여 인체의 기능에 변화를 촉진한다.[11][12] 행동주의는 유기체를 여러 조건이나 영향에 노출시킴으로써 유기체의 작용과 기능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고 주장하며, 기능이 무의식적일 뿐만 아니라 조건화 과정 자체가 유기체에게 무의식적일 수 있다는 개념에 기반한다.[13]

정보는 "변화의 소식" 또는 "차이를 만드는 차이"로 정의될 수 있으며,[14] "다른 패턴의 형성 또는 변환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유형의 패턴"으로 생각할 수 있다.[15] 정보 부호화 바이오피드백은 유기체의 내재된 복잡성을 인식하여, 확률적 접근 방식에서 알고리즘 계산을 적용한다.

2. 2. 확률적 접근

3. 바이오피드백의 종류

3. 1.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EMG)

근전도검사(EMG)는 표면 전극이나 근육 내 전극을 사용하여 근육 수축을 일으키는 골격근의 근육 활동 전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17][18] 표면 전극은 마이크로볼트(μV) 단위로 측정되며, 근육 내 전극은 더 정확하지만 고통스럽고 비용이 많이 든다.[17][18][19] 피부를 면도, 세척, 각질 제거하여 전극 부착을 준비하고, 원시 EMG 신호는 정류, 필터링, 적분 등의 처리를 거쳐 다른 신호와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EMG 바이오피드백은 불안, 만성 통증, 본태성 고혈압, 두통 (긴장성 두통 등), 요통, 물리 재활(뇌성마비, 뇌졸중 등), 턱관절 기능 장애, 변실금, 요실금, 골반 통증 등 다양한 질환 치료에 사용된다.[20][21]

제이콥슨(1930)은 EMG 전압 측정 장비를 개발하고 인지 활동이 EMG 수치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혀냈으며, 점진적 근육 이완 기법을 도입하여 정신 생리적 장애 치료에 활용했다.[98] 린즐리(1935)는 이완된 피험자가 바이오피드백 훈련 없이도 운동 단위 발화를 억제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99] 해리슨과 모르텐센(1962)은 시각 및 청각적 EMG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해 피험자가 특정 근육의 개별 운동 단위를 제어하도록 훈련시켰다.[100] 바스마지안(1963)은 청각적 EMG 바이오피드백으로 피험자가 단일 운동 단위를 조절하도록 훈련시켰고, 신경 근육 재활, 통증 관리, 두통 치료에 적용했다.[101]

마리나치(1960)는 벨 마비, 소아마비, 뇌졸중 등 신경 근육 장애에 EMG 바이오피드백을 적용했다.[102] 왓모어와 콜리(1968)는 기능 장애 발생 원인을 설명하기 위해 부적절한 노력 개념을 도입하고, EMG 바이오피드백을 다양한 기능적 문제에 적용하여 장기간의 사례 추적 관찰 결과를 보고했다.[104][105] 울프(1983)는 뇌졸중 환자 치료에 EMG 바이오피드백을 물리 치료에 통합했다.[106] 페퍼(1997)는 SEMG를 작업장에 적용하여 컴퓨터 사용의 인체 공학을 연구했다.[107] 타우브(1999, 2006)는 제한 유도 운동 치료가 척수 손상 및 뇌졸중 환자 치료에 효과적임을 입증했다.[108][109]

3. 2. 온도 바이오피드백

온도 바이오피드백은 서미스터(온도 감지 저항기)를 사용하여 피부 온도를 측정하며, 이는 섭씨 또는 화씨로 표시된다.[23] 피부 온도는 주로 세동맥의 직경에 따라 달라진다.[23] 손을 따뜻하게 하는 것은 베타-2 아드레날린 호르몬 메커니즘에 의해 생성되는 세동맥 혈관 확장과 관련이 있다.[24] 반면, 손을 차갑게 하는 것은 교감 신경계 C-섬유의 발화 증가로 인한 세동맥 혈관 수축과 관련이 있다.[25] 이처럼 손을 따뜻하게 하거나 차갑게 하는 것은 서로 다른 메커니즘에 의해 생성되므로, 그 조절에는 서로 다른 기술이 필요하다.

바이오피드백 치료사는 온도 바이오피드백을 만성 통증, 부종, 두통 (편두통 및 긴장성 두통), 본태성 고혈압, 레이노병, 불안 및 스트레스 치료에 활용한다.[1]

3. 3. 피부 전기 바이오피드백 (EDG)

전기 피부 반응 기록기(EDG)는 손가락이나 손목과 손에 전극을 사용하여 피부 전기 활동(피부 전도도 및 피부 전위)을 직접적으로, 피부 저항을 간접적으로 측정한다. 예상치 못한 자극, 각성 및 걱정에 대한 방향 반응과 인지 활동은 에크린 땀샘의 활동을 증가시켜 전류에 대한 피부의 전도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23]

''피부 전도도''에서, 전기 피부 반응 기록기는 피부에 감지할 수 없는 전류를 가하고, 전류가 피부를 얼마나 쉽게 통과하는지를 측정한다. 불안이 땀관 내 땀의 수준을 높이면 전도도가 증가한다. 피부 전도도는 마이크로지멘스(지멘스의 백만 분의 일)로 측정된다. ''피부 전위''에서, 치료사는 활성 전극을 활성 부위(예: 손바닥)에 놓고, 기준 전극을 비교적 비활성 부위(예: 팔뚝)에 놓는다. 피부 전위는 에크린 땀샘과 내부 조직 사이에 발생하는 전압이며 밀리볼트(볼트의 천 분의 일)로 측정된다. ''피부 저항''은 피부 전기 반응 (GSR)이라고도 하며, 전기 피부 반응 기록기는 피부에 전류를 가하고, 전류가 마주치는 저항의 양을 측정한다. 피부 저항은 kΩ(수천 옴)으로 측정된다.[26]

바이오피드백 치료사는 불안 장애, 다한증 (과도한 발한) 및 스트레스를 치료할 때 피부 전기 바이오피드백을 사용한다.[1][27] 피부 전기 바이오피드백은 고객의 감정 인식을 높이기 위해 심리 치료의 보조 요법으로 사용된다.[28][29] 또한, 피부 전기 측정은 거짓말 탐지 (폴리그래프)의 핵심 도구 중 하나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으며, 불안이나 감정적 활성화의 변화를 반영하기 때문이다.[30]

1888년 페레(Feré)는 피부에 미세한 전류를 흘려 피부 전기 활동을 기록하는 외전도 방식을 시연했다.[94] 1889년 타르차노프(Tarchanoff)는 피부 표면의 지점 간의 피부 전기 전위 차이를 기록하는 내전도 방식을 사용했으며, 외부 전류는 가해지지 않았다.[95] (Jung)은 1907년 단어 연상 실험에서 무의식적인 감정을 연구하기 위해 외전도 방식을 사용하는 검류계를 사용했다.[96]

마조리 툼밈(Marjorie Toomim)과 허셜 툼밈(Hershel Toomim, 1975)은 정신 요법에서 GSR 바이오피드백의 사용에 관한 획기적인 논문을 발표했다.[28] 마이어(Meyer)와 라이히(Reich)는 영국 간행물에서 유사한 자료를 논의했다.[97]

3. 4. 뇌파 바이오피드백 (EEG)

뇌파도(EEG)는 두피에 부착된 귀금속 전극을 사용하여 뇌의 전기적 활성도를 측정하며, 주로 상부 피질층에 있는 대기둥 내 피라미드 세포의 수상돌기에서 발생하는 흥분성 및 억제성 시냅스 후 전위를 기록한다.[32] 뇌파는 각 피질 부위에서 전기적 활동의 진폭, 다양한 파형의 진폭과 상대적 파워, 그리고 다른 피질 부위와의 발화 빈도(일관성 및 대칭성)를 보여준다.[31] 뇌파 바이오피드백은 느리고 빠른 피질 전위를 모두 모니터링한다.[32]

느린 피질 전위는 300ms에서 몇 초 동안 지속되는 피질 수상돌기의 막 전위의 점진적인 변화로, 사건 관련 음성 변동(CNV), 준비 전위, 운동 관련 전위(MRPs), P300, N400 전위 등이 있다.[33] 빠른 피질 전위는 0.5 Hz에서 100 Hz까지이며,[34] 델타파, 세타파, 알파파, 감각운동 리듬, 로우 베타파, 하이 베타파, 감마파 등이 주요 주파수 범위에 속한다. 주파수 범위의 경계는 전문가에 따라 다르다. 빠른 피질 전위는 지배적인 주파수뿐만 아니라 동기 또는 비동기 파형인지 여부로도 설명된다.[32]

동기 델타 리듬 (0.5~3.5 Hz)은 1~2세에 지배적이며, 성인에게는 깊은 수면과 관련이 있다. 수면을 방해하는 질환은 델타 리듬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35] 동기 세타 리듬 (4~7 Hz)은 건강한 어린 아이에게 지배적이며 졸음, 렘 수면, 입면 환각, 최면, 주의력, 인지 및 지각 정보 처리 등과 관련이 있다. 동기 알파 리듬 (8~13 Hz)은 깨어 있고 편안한 개인의 약 75%에서 관찰되며, 움직임, 복잡한 문제 해결, 시각적 집중 시 저진폭 탈동기화된 베타 활동으로 대체된다 (알파 차단). 동기 감각운동 리듬(SMR) (12~15 Hz)은 감각운동 피질 위에 위치하며 움직임 억제 및 근육 긴장 감소와 관련이 있다. 베타 리듬은 비동기 파로 구성되며 로우 베타 및 하이 베타 범위(13–21 Hz 및 20–32 Hz)로 나눌 수 있다. 로우 베타는 활성화 및 집중적인 사고와 관련이 있고, 하이 베타는 불안, 과경계, 공황, 최고 수행 및 걱정과 관련이 있다. 36~44 Hz의 EEG 활동은 감마파라고도 하며, 의미의 인식 및 명상적 자각과 관련이 있다.[32][36][37]

신경 치료사는 중독,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학습 장애, 불안 장애, 우울증, 편두통 및 전신 발작 치료에 EEG 바이오피드백을 활용한다.[1][38]

뇌파 바이오피드백의 역사는 1875년 케이튼이 원숭이와 토끼의 뇌에서 자발적인 전기적 전위와 사건 관련 전위(ERP)를 처음 측정한 것으로 거슬러 올라간다.[70] 1877년 다닐레프스키는 EEG와 의식 상태의 관계를 탐구한 연구를 발표했다.[71] 1890년 베크는 뇌의 자발적인 전기적 전위와 빛에 의한 리듬 진동 변화(알파 차단)를 기록했다.[72] 1906년 셰링턴은 뉴런과 시냅스라는 용어를 도입했다.[73] 1912년 프라브디치-네민스키는 뇌전도라는 용어를 도입했다.[74] 1920년 포브스는 EEG 증폭에 진공관을 사용했다.[75]

1924년 베르거는 최초의 인간 EEG 데이터를 발표하고 이라는 용어를 도입했으며, 알파 리듬, 베타 리듬, 수면 방추 등을 확인하고 간발작 활동을 설명했다.[76] 1934년 에이드리언과 매튜스는 베르거의 발견을 확인하고 알파 차단 현상을 시연했다.[77] 1935년 깁스, 데이비스, 레녹스는 간질과 관련된 비정상적인 EEG 리듬을 확인했다.[71] 같은 해 브레머는 EEG를 사용하여 감각 신호가 경계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었다.[78] 1937년과 1953년 월터는 델타파와 세타파를 명명하고 조건적 음성 변동(CNV)을 명명했으며, EEG 토포그래피를 개척했다.[79]

클레이트만은 수면-각성 주기, 일주기 리듬, 수면 박탈 연구와 1953년 급속 안구 운동(REM) 수면 현상 발견으로 "미국 수면 연구의 아버지"로 불린다.[80] 데먼트는 1955년 수면 단계와 전환, 1957년 REM 수면과 꿈의 연관성, 1958년 고양이의 수면 주기를 기록했으며, 1970년 스탠포드 대학교 수면 연구 센터를 설립했다.[81] 1968년 앤더슨과 앤더슨은 시상 박동 조절기가 동기화된 알파 리듬을 피질로 투사한다고 제안했다.[82]

같은 해 카미야는 인간의 알파 리듬이 조건화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알파 바이오피드백이 명상 상태로 가는 지름길이라는 인식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83] 1970년 브라운은 알파-세타 바이오피드백의 임상적 사용을 시연하고 관련 책을 출판하여 바이오피드백을 대중화했다.[84][85][86] 1971년 멀홀랜드와 페퍼는 알파 차단을 재발견했다.[87] 1986년 그린과 그린은 자가 조절을 시연하는 실무자를 모니터링하고 알파-세타 훈련을 개발했다.[88]

1972년 스터먼은 감각운동 리듬(SMR) 생성이 발작을 억제하고 간질 환자의 발작 빈도를 줄인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Sterman-Kaiser(SKIL) QEEG 데이터베이스를 공동 개발했다.[89] 1981년 비르바우머와 동료들은 느린 피질 전위 바이오피드백의 효능을 연구했다.[90] 1989년 루바는 ADHD 치료를 위한 SMR 바이오피드백을 연구하고 세타 억제-베타 향상 프로토콜을 개발했다.[91] 2013년 신경정신 EEG 기반 평가 보조 장치(NEBA) 시스템이 ADHD 진단 도구로 승인되었다.[92] 2019년 체계적 검토에서는 ADHD에서 더 높은 세타/베타 비율을 확인했다.[93]

3. 5. 광혈류 측정 바이오피드백 (PPG)

광혈류 측정기(PPG)는 손가락이나 관자놀이에 벨크로 밴드로 부착된 광혈류 측정(PPG) 센서를 사용하여 상대적인 혈류량을 측정하여 천측두 동맥을 모니터링한다. 적외선 광원은 조직을 통과하거나 조직에서 반사되어 광트랜지스터에 의해 감지되고 임의의 단위로 정량화된다. 혈류량이 많을수록 흡수되는 빛이 적어 센서에 도달하는 빛의 강도가 증가한다.[39]

심박 변이도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emWave2'' 광혈류 측정기


귀 센서가 있는 ''Stone'' 컴퓨터 기반 광혈류 측정기


광혈류 측정기는 혈량 맥파(BVP), 즉 각 심박동 시 혈액량의 위상 변화, 심박수 및 연속적인 심박동 사이의 간격에서 심박동 간의 차이로 구성된 심박 변이도(HRV)를 측정할 수 있다.[40][41]

광혈류 측정기는 온도 피드백에 변화가 거의 없을 때 유용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PPG 센서가 서미스터보다 미세한 혈류 변화에 더 민감하기 때문이다.[37] 바이오피드백 치료사는 만성 통증, 부종, 두통(편두통 및 긴장성 두통), 본태성 고혈압, 레이노병, 불안 및 스트레스를 치료할 때 온도 바이오피드백을 보완하기 위해 광혈류 측정기를 사용할 수 있다.[1]

3. 6. 심전도 바이오피드백 (ECG)

심전도(ECG)는 몸통, 손목 또는 다리에 부착된 전극을 사용하여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고, 심박 간격 (연속적인 QRS 복합체의 R파 정점 사이의 간격)을 측정한다.[42] 심박 간격은 60초로 나누어 해당 시점의 심박수를 결정하며, 그 심박 간격의 통계적 변동성을 심박 변이도(HRV)라고 한다.[42] 심전도 방법은 심박 변이도를 측정하는 데 있어 PPG(맥파) 방법보다 더 정확하다.[39][43]

바이오피드백 치료사들은 천식,[44]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PD),[45] 우울증,[46] 불안,[47] 섬유 근육통,[48] 심장 질환,[49] 그리고 설명되지 않는 복통[50] 치료에 심박 변이도(HRV) 바이오피드백을 활용한다. HRV 바이오피드백은 건강한 개인의 생리적, 심리적 웰빙 개선에도 사용될 수 있다.[51]

맥파 측정기 및 심전도에서 얻은 HRV 데이터는 고속 푸리에 변환(FFT)과 같은 수학적 변환을 통해 분석된다.[43] FFT는 HRV 데이터를 파워 스펙트럼으로 분할하여 파형의 구성 주파수를 드러낸다.[39] 이 구성 주파수 중 고주파(HF) 및 저주파(LF)는 각각 .15 Hz 이상 및 미만으로 정의된다. HRV의 LF 구성 요소는 교감 신경 활동, HF 구성 요소는 부교감 신경 활동을 나타내며, LF/HF 비율은 교감 신경과 미주 신경의 균형을 나타낸다.[39] 일부 연구는 .08 Hz에서 .15 Hz 사이의 중간 주파수(MF) 구성 요소를 고려하며, 감사하는 순간에 파워가 증가한다.[52]

Shearn(1962)은 전기 충격을 피하기 위해 분당 심박수를 5회 증가하도록 훈련시켰고,[110] 스와미 라마는 요가를 사용하여 분당 평균 306회 심방 조동을 일으켜 혈액 펌프질을 멈추게 했다.[88] Engel과 Chism(1967)은 심박수를 감소, 증가, 다시 감소시키는 훈련을 시켰고, 조기 심실 수축(PVC) 제어에 활용했다.[111] Peper는 천식 환자에게 호흡 조절을 가르쳤다.[112] Schwartz(1971, 1972)는 혈압 및 심박수 변화 패턴 학습의 제약을 조사했다.[113]

Schultz와 Luthe(1969)는 자가 훈련을 개발, 최면에서 파생된 깊은 이완 운동으로, 수동적인 의지와 이미지를 결합한다.[114] 메닝거 재단의 임상의들은 열 생체 되먹임을 사용하여 자가 훈련 생체 되먹임을 만들었다.[114] Luthe(1973)는 "자가 훈련 요법" 시리즈를 출판했다.[115] Fahrion과 동료들(1986)은 고혈압 환자 치료 프로그램을 보고했는데, 호흡 조절, 자가 훈련 생체 되먹임, 전두엽 근전도 훈련을 결합, 약물 치료 환자의 89%가 약물을 중단/감소, 혈압을 낮췄다.[116]

Freedman과 동료들(1991)은 손을 따뜻하게 하는 것은 베타-아드레날린성(호르몬), 차갑게 하는 것은 알파-아드레날린성, 교감 C-섬유 포함, 다른 메커니즘임을 증명했다.[117] Vaschillo와 동료들(1983)은 우주 비행사 대상 HRV 생체 되먹임 연구를 발표했다.[118][119] Lehrer는 소아 천식 환자 치료, HRV 천식 치료 기사를 게재했다.[120][121] HRV 생체 되먹임은 압력 반사에 작용, 혈압 변동을 제어, 심혈관 시스템의 공명 특성을 자극한다.[122][123][124] 압력 반사는 뇌섬엽, 편도체와 소통, 감정 반응성 조절, 불안, 스트레스, 우울증에 도움을 준다.[46][125][126][127][128]

감정은 심장 건강, 신체 및 정신 건강과 관련된다. 긍정적 감정과 높은 HRV는 좋은 정신[129][130] 및 신체[131] 건강, 기억력, 반응 시간 등 실행 기능 기술과 상관관계가 있다.[129] HRV 증가는 혈압을 낮춘다.[1] 심장의 저주파수(LF) 전력은 심장마비 위험, 사망률 증가와 관련된다.[132][133][134][135] 분노와 좌절은 HRV의 LF 범위를 증가,[136] 심장마비 위험을 증가시킨다.[137] 감정 조절 기술은 정신 생리적 변화를 일으킨다. McCraty 등은 감사가 HRV 증가, 전력 스펙트럼을 MF 및 HF로 이동, LF 감소를 발견했다.[136] HRV 증가 기술은 격렬한 유산소 운동[138] 및 명상이 있다.[139]

3. 7. 폐활량 측정 바이오피드백

폐활량 측정기 또는 호흡 변형 게이지는 가슴이나 복부에 배치되는 유연한 센서 밴드를 사용하여 호흡 패턴과 행동을 감지하고 수정하는 데 사용된다.[33] 변형 게이지 방법은 가슴과 복부의 상대적인 팽창/수축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며, 호흡률을 측정할 수 있다.[33] 임상의는 폐활량 측정기를 사용하여 쇄골 호흡, 역 호흡, 흉부 호흡과 같은 기능 부전 호흡 패턴을 감지한다.[53] 또한, 무호흡증, 헐떡임, 한숨, 천명과 같은 기능 부전 호흡 행동도 감지할 수 있다.[53]

폐활량 측정기는 심박 변이도(HRV) 훈련에서 심전도(ECG) 또는 광혈류 측정기(PPG)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40][54]

바이오피드백 치료사는 불안 장애, 천식,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PD), 본태성 고혈압, 공황 발작, 스트레스 진단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폐활량 측정 바이오피드백을 사용한다.[1][55]

3. 8. 카프노미터 바이오피드백

카프노미터 또는 카프노그래프는 적외선 감지기를 사용하여 말단 호기 이산화탄소(호기 말에 배출된 공기 중 이산화탄소의 부분 압력)를 측정하며, 이는 콧구멍을 통해 라텍스 튜브로 내쉬어진다. 휴식 상태의 성인에 대한 말단 호기 이산화탄소의 평균값은 5%(36토르 또는 5kPa)이다.[53] 카프노미터는 환자 호흡의 질을 나타내는 민감한 지표이다. 얕고 빠른, 그리고 힘든 호흡은 이산화탄소를 낮추는 반면, 깊고 느리고 힘들이지 않는 호흡은 이를 증가시킨다.[53]

바이오피드백 치료사는 불안장애, 천식,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PD), 본태성 고혈압, 공황 발작 및 스트레스 진단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호흡 변형률 측정 바이오피드백을 보완하기 위해 카프노메트릭 바이오피드백을 사용한다.[1][55][56]

3. 9. 뇌 혈류도 바이오피드백 (REG)

뇌 혈류도(REG)는 뇌 혈류의 의식적인 조절을 위한 바이오피드백 기술이다.[57] 뇌 혈류도기라는 전자 장치가 뇌 혈류 바이오피드백에 사용된다. 그리스어 흐름, 흐르는 모든 것/rheosgrc와 흐르다/rheingrc에서 유래했다.[57] 전극은 머리의 특정 지점에 피부에 부착되며, 장치는 전극 사이에 위치한 조직의 전기 전도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뇌 혈류 기술은 비침습적인 바이오 임피던스 측정 방법을 기반으로 한다.[57] 바이오 임피던스의 변화는 혈액량과 혈류에 의해 생성되며 뇌 혈류도기에 의해 기록된다.[57] 펄스성 바이오 임피던스 변화는 고주파 임피던스 측정을 통해 뇌의 깊은 구조의 총 혈류량을 직접적으로 반영한다.[58]

3. 10. 뇌혈류량측정술 바이오피드백 (HEG)

뇌혈류량측정술 또는 HEG 바이오피드백은 기능적 적외선 영상 기술이다.[59] 뇌의 산소화 혈액과 산소 미포화 혈액의 상대적 양에 따라 두피를 통해 반사되는 빛의 색상 차이를 측정한다.[59] HEG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와 편두통 치료, 그리고 연구에 사용된다.[59]

3. 11. 압력 바이오피드백

압력 바이오피드백은 환자가 공기 주입식 쿠션에 기대어 휴식을 취하면서 운동을 수행하는 동안 압력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이다.[60] 이는 물리 치료와 관련이 있다.[60] 또는, 환자는 맞춤형 공기 주입식 쿠션을 적극적으로 잡거나 누를 수도 있다.[61]

4. 바이오피드백의 활용

통증 관리, 스트레스 관리, 부정맥, 두통[212][213], 뇌전증, 자율신경실조증, 변실금, 기관지 천식, 고혈압 등의 치료 및 스포츠, 무술 등의 성적 향상에 활용되며, 센싱 기술의 진보로 인한 센서 및 기기의 소형화, 고성능화로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뇌의 센싱과 뇌에 직접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기술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로 연구되고 있다.

케겔은 1947년 임신과 출산 중에 골반저 근육이 약해진 여성의 요실금(소변 누출)을 치료하기 위해 회음 측정기를 개발했다. 질에 삽입하여 골반저 근육 수축을 모니터링하는 회음 측정기는 바이오피드백 장치의 모든 요구 사항을 충족하며 인기 있는 케겔 운동의 효과를 향상시킨다.[63] 이와 반대로, 2023년 8건의 연구를 포함한 체계적 문헌고찰에서는 출산 후 요실금 및 항문실금에 대한 골반저 근육 훈련을 바이오피드백 유무에 따라 비교하는 과학적 증거가 불충분하다고 결론지었다.[64]

1992년, 미국 보건 관리 정책 및 연구 기관은 성인 요실금의 1차 치료법으로 바이오피드백을 권장했다.[65]

2019년, 영국 국립 보건 임상 연구소는 골반저 근육을 적극적으로 수축할 수 있는 여성의 요실금 관리에 바이오피드백을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았다. 그러나 치료에 대한 동기 부여와 순응도를 높이기 위해 고려될 수 있다.[66]

바이오피드백은 항문경련(배변 중 치골직장근의 역설적 수축) 치료법이다. 이 치료법은 항문 내에 압력을 기록할 수 있는 프로브를 삽입하는 항문직장 압력 검사 연구에서 직접적으로 발전했다.[67] 바이오피드백 치료는 변실금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연구되는 치료법이지만 그 효과는 불확실하다.[67]

바이오피드백 치료는 전달 방식이 다양하며, 어떤 유형이 다른 유형보다 더 효과적인지도 알려져 있지 않다.[67] 그 목적은 직장항문 억제 반사(RAIR), 직장 감수성을 향상시키거나(점차 작은 부피의 직장 풍선을 구별하고 외항문 괄약근(EAS)을 신속하게 수축함으로써) EAS 수축의 강도와 지구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설명되어 왔다.[67] 세 가지 일반적인 유형의 바이오피드백이 설명되었지만, 상호 배타적이지 않으며 많은 프로토콜에서 이러한 요소를 결합한다.[67] 마찬가지로 개별 세션과 전체 훈련 기간의 길이에 차이가 있으며, 가정 운동을 추가로 수행하는지 여부와 방법도 다르다.

직장 감수성 훈련에서는 풍선을 직장에 삽입하고 직장 충만감이 느껴질 때까지 점차 팽창시킨다. 풍선을 점차 작은 부피로 재팽창시키면 사람이 더 낮은 임계값에서 직장 팽창을 감지하고, EAS를 수축하고 변실금을 예방하거나 화장실로 갈 시간을 더 많이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는 절박 변실금/직장 과민증이 있는 사람들의 경우, 훈련은 점차 더 큰 부피를 견딜 수 있도록 가르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근력 훈련에는 근전도(EMG) 피부 전극, 압력 측정, 항문 내 EMG 또는 경항문 초음파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측정 중 하나를 사용하여 항문 괄약근 운동 중 근육 활동 또는 항문관 압력을 전달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성능과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협응 훈련에는 직장과 상부 및 하부 항문관에 3개의 풍선을 배치하는 것이 포함된다. 직장 풍선은 RAIR을 유발하기 위해 팽창되며, 이는 종종 변실금으로 이어지는 현상이다. 협응 훈련은 RAIR이 발생할 때(즉, 직장 팽창이 있을 때) EAS의 자발적인 수축을 가르치는 것을 목표로 한다.[67]

2010년과 2017년에 국립 보건 및 임상 우수 연구소는 어린이의 변비 관리에 바이오피드백 사용을 권장하지 않았다.[69]

바이오피드백은 만성 요통, 근육통, 긴장성 두통, 편두통, 환상지 통증 등 다양한 통증 관리에 활용될 수 있다. 1994년 연구에서는 만성 요통 환자를 대상으로 인지 행동 치료(CBT)와 근전도 바이오피드백(EMG-Biofeedback)의 효과를 비교했을 때 두 그룹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바이오피드백이 통증, 장애, 우울증을 최대 절반까지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141]

Budzynski와 Stoyva(1969)는 근전도 바이오피드백이 전두근(이마) 수축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142] 1973년에는 아날로그 및 바이너리 시각적 근전도 바이오피드백이 교근 표면 근전도(SEMG) 수준을 낮추는 데 동일하게 도움이 된다는 것을 입증했다.[143] Budzynski, Stoyva, Adler, and Mullaney (1973)는 청각적 전두근 근전도 바이오피드백과 가정 이완 훈련을 병행하면 긴장성 두통 빈도와 전두근 근전도 수치를 낮춘다고 보고했다.

Sargent, Green, and Walters (1972, 1973)는 손을 따뜻하게 하는 것이 편두통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자가 훈련 바이오피드백 훈련이 두통 활동을 줄일 수 있음을 입증했다.[146][147] 2013년의 한 리뷰에서는 바이오피드백을 만성 편두통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술 중 하나로 분류했다.[148]

Flor (2002)는 절단 환자들을 훈련시켜 절단 부위에 가해지는 전기 충격의 위치와 빈도를 감지하게 했고, 그 결과 해당 피질 영역이 확장되었으며 환상지 통증이 현저하게 감소했다.[149]

하지만 2021년, 영국 국립 보건 임상 연구소(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는 성인의 만성 통증 관리에 바이오피드백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다고 발표했다.[140]

명상은 신체의 긴장 상태를 바른 자세의 근육 이완 또는 깊고 느린 호흡을 통해 직접적으로 흥분을 가라앉히거나 심리적 안정감을 일으키는 방법에서 뇌파나 심박 변이도를 측정함으로써 바이오피드백의 반복적인 훈련을 강화하도록 할 수 있다. 제조 작업자들을 대상으로 공명 호흡 바이오피드백(무의식적인 심박수 변동 인식 및 조절)의 효과를 평가한 결과, 우울증, 불안, 스트레스가 유의미하게 감소했다.[152] 딥 뉴럴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심박수 변동 데이터를 분석하면 스트레스 수준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153] 이 기술은 마음챙김 기법과 결합된 모바일 앱에서 스트레스 감소를 효과적으로 촉진하는 데 활용된다.[154]

바이오피드백은 불안 관리 및 통제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HRV 모니터링 형태의 바이오피드백은 불안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155] 명상은 신체의 긴장 상태를 바른 자세의 근육 이완 또는 깊고 느린 호흡을 통해 직접적으로 흥분을 가라앉히거나 심리적 안정감을 일으키는 방법에서 뇌파나 심박 변이도를 측정함으로써 바이오피드백의 반복적인 훈련을 강화하도록 할 수 있다.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한 메타 분석은 불안 관리 및 통제에 사용되는 바이오피드백에 대한 이전 연구들을 종합하여, 바이오피드백이 다른 형태의 치료법과 함께 사용되어 불안을 감소시키고 관리하는 효과에 기여하는 정도를 평가했다.[155]

금융 거래자들은 더 나은 재정적 의사 결정을 내리기 위해 감정적 각성 수준을 조절하는 도구로 바이오피드백을 사용한다.[150] 기술 회사 필립스와 네덜란드 은행 ABN 암로는 피부 전도 반응 센서를 기반으로 한 소매 투자자를 위한 바이오피드백 장치를 개발했다.[150] 아스토어 등(2013)은 심박수 측정을 사용하여 재정적 의사 결정자가 감정을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는 바이오피드백 기반 진지한 게임을 개발했다.[151]

4. 1. 요실금

케겔은 1947년 임신과 출산 중에 골반저 근육이 약해진 여성의 요실금(소변 누출)을 치료하기 위해 회음 측정기를 개발했다. 질에 삽입하여 골반저 근육 수축을 모니터링하는 회음 측정기는 바이오피드백 장치의 모든 요구 사항을 충족하며 인기 있는 케겔 운동의 효과를 향상시킨다.[63] 이와 반대로, 2023년 8건의 연구를 포함한 체계적 문헌고찰에서는 출산 후 요실금 및 항문실금에 대한 골반저 근육 훈련을 바이오피드백 유무에 따라 비교하는 과학적 증거가 불충분하다고 결론지었다.[64]

1992년, 미국 보건 관리 정책 및 연구 기관은 성인 요실금의 1차 치료법으로 바이오피드백을 권장했다.[65]

2019년, 영국 국립 보건 임상 연구소는 골반저 근육을 적극적으로 수축할 수 있는 여성의 요실금 관리에 바이오피드백을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았다. 그러나 치료에 대한 동기 부여와 순응도를 높이기 위해 고려될 수 있다.[66]

4. 2. 변실금, 변비 및 항문경련

바이오피드백은 항문경련(배변 중 치골직장근의 역설적 수축) 치료법이다. 이 치료법은 항문 내에 압력을 기록할 수 있는 프로브를 삽입하는 항문직장 압력 검사 연구에서 직접적으로 발전했다.[67] 바이오피드백 치료는 변실금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연구되는 치료법이지만 그 효과는 불확실하다.[67]

바이오피드백 치료는 전달 방식이 다양하며, 어떤 유형이 다른 유형보다 더 효과적인지도 알려져 있지 않다.[67] 그 목적은 직장항문 억제 반사(RAIR), 직장 감수성을 향상시키거나(점차 작은 부피의 직장 풍선을 구별하고 외항문 괄약근(EAS)을 신속하게 수축함으로써) EAS 수축의 강도와 지구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설명되어 왔다.[67] 세 가지 일반적인 유형의 바이오피드백이 설명되었지만, 상호 배타적이지 않으며 많은 프로토콜에서 이러한 요소를 결합한다.[67] 마찬가지로 개별 세션과 전체 훈련 기간의 길이에 차이가 있으며, 가정 운동을 추가로 수행하는지 여부와 방법도 다르다.

직장 감수성 훈련에서는 풍선을 직장에 삽입하고 직장 충만감이 느껴질 때까지 점차 팽창시킨다. 풍선을 점차 작은 부피로 재팽창시키면 사람이 더 낮은 임계값에서 직장 팽창을 감지하고, EAS를 수축하고 변실금을 예방하거나 화장실로 갈 시간을 더 많이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는 절박 변실금/직장 과민증이 있는 사람들의 경우, 훈련은 점차 더 큰 부피를 견딜 수 있도록 가르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근력 훈련에는 근전도(EMG) 피부 전극, 압력 측정, 항문 내 EMG 또는 경항문 초음파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측정 중 하나를 사용하여 항문 괄약근 운동 중 근육 활동 또는 항문관 압력을 전달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성능과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협응 훈련에는 직장과 상부 및 하부 항문관에 3개의 풍선을 배치하는 것이 포함된다. 직장 풍선은 RAIR을 유발하기 위해 팽창되며, 이는 종종 변실금으로 이어지는 현상이다. 협응 훈련은 RAIR이 발생할 때(즉, 직장 팽창이 있을 때) EAS의 자발적인 수축을 가르치는 것을 목표로 한다.[67]

2010년과 2017년에 국립 보건 및 임상 우수 연구소는 어린이의 변비 관리에 바이오피드백 사용을 권장하지 않았다.[69]

4. 3. 통증 관리

바이오피드백은 만성 요통, 근육통, 긴장성 두통, 편두통, 환상지 통증 등 다양한 통증 관리에 활용될 수 있다. 1994년 연구에서는 만성 요통 환자를 대상으로 인지 행동 치료(CBT)와 근전도 바이오피드백(EMG-Biofeedback)의 효과를 비교했을 때 두 그룹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바이오피드백이 통증, 장애, 우울증을 최대 절반까지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141]

Budzynski와 Stoyva(1969)는 근전도 바이오피드백이 전두근(이마) 수축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142] 1973년에는 아날로그 및 바이너리 시각적 근전도 바이오피드백이 교근 표면 근전도(SEMG) 수준을 낮추는 데 동일하게 도움이 된다는 것을 입증했다.[143] Budzynski, Stoyva, Adler, and Mullaney (1973)는 청각적 전두근 근전도 바이오피드백과 가정 이완 훈련을 병행하면 긴장성 두통 빈도와 전두근 근전도 수치를 낮춘다고 보고했다.

Sargent, Green, and Walters (1972, 1973)는 손을 따뜻하게 하는 것이 편두통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자가 훈련 바이오피드백 훈련이 두통 활동을 줄일 수 있음을 입증했다.[146][147] 2013년의 한 리뷰에서는 바이오피드백을 만성 편두통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술 중 하나로 분류했다.[148]

Flor (2002)는 절단 환자들을 훈련시켜 절단 부위에 가해지는 전기 충격의 위치와 빈도를 감지하게 했고, 그 결과 해당 피질 영역이 확장되었으며 환상지 통증이 현저하게 감소했다.[149]

하지만 2021년, 영국 국립 보건 임상 연구소(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는 성인의 만성 통증 관리에 바이오피드백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다고 발표했다.[140]

4. 4. 스트레스 관리

명상은 신체의 긴장 상태를 바른 자세의 근육 이완 또는 깊고 느린 호흡을 통해 직접적으로 흥분을 가라앉히거나 심리적 안정감을 일으키는 방법에서 뇌파나 심박 변이도를 측정함으로써 바이오피드백의 반복적인 훈련을 강화하도록 할 수 있다. 제조 작업자들을 대상으로 공명 호흡 바이오피드백(무의식적인 심박수 변동 인식 및 조절)의 효과를 평가한 결과, 우울증, 불안, 스트레스가 유의미하게 감소했다.[152] 딥 뉴럴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심박수 변동 데이터를 분석하면 스트레스 수준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153] 이 기술은 마음챙김 기법과 결합된 모바일 앱에서 스트레스 감소를 효과적으로 촉진하는 데 활용된다.[154]

4. 5. 불안 관리

바이오피드백은 불안 관리 및 통제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HRV 모니터링 형태의 바이오피드백은 불안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155] 명상은 신체의 긴장 상태를 바른 자세의 근육 이완 또는 깊고 느린 호흡을 통해 직접적으로 흥분을 가라앉히거나 심리적 안정감을 일으키는 방법에서 뇌파나 심박 변이도를 측정함으로써 바이오피드백의 반복적인 훈련을 강화하도록 할 수 있다.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한 메타 분석은 불안 관리 및 통제에 사용되는 바이오피드백에 대한 이전 연구들을 종합하여, 바이오피드백이 다른 형태의 치료법과 함께 사용되어 불안을 감소시키고 관리하는 효과에 기여하는 정도를 평가했다.[155]

4. 6. 금융 의사 결정

금융 거래자들은 더 나은 재정적 의사 결정을 내리기 위해 감정적 각성 수준을 조절하는 도구로 바이오피드백을 사용한다. 기술 회사 필립스와 네덜란드 은행 ABN 암로는 피부 전도 반응 센서를 기반으로 한 소매 투자자를 위한 바이오피드백 장치를 개발했다.[150] 아스토어 등(2013)은 심박수 측정을 사용하여 재정적 의사 결정자가 감정을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는 바이오피드백 기반 진지한 게임을 개발했다.[151]

4. 7. 기타 활용 분야

바이오피드백은 통증 관리, 스트레스 관리, 부정맥, 두통[212][213], 뇌전증, 자율신경실조증, 변실금, 기관지 천식, 고혈압 등의 치료 및 스포츠, 무술 등의 성적 향상에 활용된다. 센싱 기술의 진보로 인한 센서 및 기기의 소형화, 고성능화로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뇌의 센싱과 뇌에 직접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기술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로 연구되고 있다.

5. 바이오피드백의 역사

클로드 베르나르는 1865년에 신체가 내부 환경(생체 내 환경)에서 항상성을 유지하려고 노력한다고 제안하여 항상성의 개념을 도입했다.[180] 1885년, J.R. 타르차노프는 심박수의 자발적인 조절이 상당히 직접적(피질-자율)일 수 있으며 호흡 속도를 변경하여 "속이는" 것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81] 1901년, J. H. 베어는 를 씰룩거리게 하는 retrahens aurem 근육의 자발적인 조절을 연구하여, 피험자들이 간섭하는 근육을 억제함으로써 이 기술을 배우고 골격근이 자기 조절된다는 것을 입증했다.[182]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은 두 가지 장치, 즉 에두아르-레옹 스코트가 만든 포노토그래프와 계측 화염을 사용하여 청각 장애인에게 말하는 법을 가르치려고 시도했다. 전자는 소리 진동을 그을린 유리 위에 흔적으로 변환하여 음향 파형을 보여주었고, 후자는 소리를 빛의 패턴으로 표시할 수 있게 했다.[18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수학자 노버트 위너는 시스템이 결과를 모니터링하여 제어된다고 제안하는 사이버네틱스 이론을 개발했다.[184] B.F. 스키너의 연구는 연구자들이 조작적 조건화를 바이오피드백에 적용하고, 어떤 반응을 자발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어떤 반응을 제어할 수 없는지 결정하도록 이끌었다.

1958년 조지 만들러의 그룹은 자율 신경계 활동에 대한 인식의 효과를 처음으로 탐구하였다.[187] 바이오피드백의 첫 번째 실험적 시연에서, Shearn[186]은 심박수를 사용하여 이러한 절차를 사용했다. 1965년, 마이아 리시나는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를 결합하여 피험자들이 혈관 직경을 변경하도록 훈련시켜 반사적인 혈류 변화를 유도하고 표시하여 피험자들에게 피부 온도를 자발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가르쳤다.[187] 1974년, H.D. 키멜은 피부 전도 반응을 사용하여 피험자들에게 땀을 흘리도록 훈련시켰다.[188]

1969년 샌타모니카의 서프라이더 인에서 열린 획기적인 컨퍼런스 참가자들은 위너의 피드백에서 "바이오피드백"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이 컨퍼런스를 통해 일반적으로 고립된 연구자들이 서로 연락하고 협력할 수 있게 해주는 바이오피드백 연구 학회가 설립되었으며, "바이오피드백"이라는 용어를 대중화했다.[185]

1958년 G. 맨들러(G. Mandler) 연구진이 자율신경 피드백 과정과 그 효과를 연구했다.[189] 1962년 D. 시언(D. Shearn)은 심박수를 변경하기 위해 조건 자극 대신 피드백을 사용했고,[110] 같은 해 존 바스마지안과 카를로 데 루카(Carlo De Luca)의 저서 ''살아있는 근육(Muscles Alive)''이 출판되었다.[190]

1968년 덴버에서 열린 연례 베테랑 행정부 연구 회의에서 여러 바이오피드백 연구자들이 모였다. 1969년 4월 캔자스주 카운슬 그로브에서 의식 변화 상태에 관한 회의가 열렸고, 10월에는 캘리포니아주 산타 모니카 서프라이더 인(Surfrider Inn)에서 바이오피드백 연구 학회(BRS)가 창립되어 첫 회의가 개최되었다. 공동 창립자 바바라 B. 브라운(Barbara B. Brown)이 학회의 초대 회장이 되었다. 1972년 D. 시언(D. Shearn)의 '심리생리학 핸드북'에 초기 바이오피드백 연구에 대한 검토 및 분석이 실렸다.[191]

1974년 바바라 B. 브라운의 ''알파 강의 계획서: 인간 EEG 알파 활동 핸드북(The Alpha Syllabus: A Handbook of Human EEG Alpha Activity)''[192]과 ''새로운 마음, 새로운 몸(New Mind, New Body)''[193]이 출판되었다. 1975년 미국 바이오피드백 임상가 협회가 창립되었고, 바바라 B. 브라운의 ''바이오피드백 강의 계획서: 바이오피드백의 심리생리적 연구를 위한 핸드북(The Biofeedback Syllabus: A Handbook for the Psychophysiologic Study of Biofeedback)''이 출판되었다.[194] 1976년 BRS는 미국 바이오피드백 학회(BSA)로 개명되었다.

1977년 엘머 그린(Elmer Green)과 앨리스 그린(Alyce Green)의 ''바이오피드백 너머(Beyond Biofeedback)''[88], 조지 풀러(George Fuller)의 ''바이오피드백: 임상 실습의 방법 및 절차(Biofeedback: Methods and Procedures in Clinical Practice)''[195], 바바라 B. 브라운의 ''스트레스와 바이오피드백 기술(Stress and The Art of Biofeedback)''이 출판되었다.[196] 1978년 프랑신 버틀러(Francine Butler)의 ''바이오피드백: 문헌 조사(Biofeedback: A Survey of the Literature)''가 출판되었다.[197]

1979년 존 바스마지안의 ''바이오피드백: 임상가를 위한 원리와 실습(Biofeedback: Principles and Practice for Clinicians)''[198]과 에릭 페퍼(Erik Peper), 소니아 안콜리(Sonia Ancoli), 미셸 퀸(Michele Quinn)의 ''마음/신체 통합: 바이오피드백의 필수 자료(Mind/Body Integration: Essential Readings in Biofeedback)''가 출판되었다.[199] 1980년 미국 바이오피드백 인증 협회(BCIA)에서 제공하는 바이오피드백 첫 국가 자격 시험이 시행되었고, 데이비드 올턴(David Olton)과 아론 눈버그(Aaron Noonberg)의 ''바이오피드백: 행동 의학의 임상 응용(Biofeedback: Clinical Applications in Behavioral Medicine)''[200]과 바바라 B. 브라운의 ''초자아: 궁극의 에너지(Supermind: The Ultimate Energy)''가 출판되었다.[201]

1984년 울폭(Woolfolk)과 레러(Lehrer)의 ''스트레스 관리의 원리와 실습(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ess Management)''[202]과 바바라 B. 브라운의 ''건강과 질병 사이: 스트레스와 웰빙의 본질에 대한 새로운 생각(Between Health and Illness: New Notions on Stress and the Nature of Well Being)''이 출판되었다.[203] 같은 해 마크 골린(Mark Golin)의 ''바이오피드백으로 스트레스를 없애는 방법(The Biofeedback Way To Starve Stress)''이 예방 잡지(Prevention Magazine)에 게재되었다. 1987년 마크 슈워츠(Mark Schwartz)의 ''바이오피드백: 실무자를 위한 안내서(Biofeedback: A Practitioner's Guide)''가 출판되었다.[204]

1989년 BSA는 응용 심리생리학 및 바이오피드백 협회(AAPB)로 개명되었다. 1991년 BCIA에서 제공하는 스트레스 관리 첫 국가 자격 시험이 시행되었다. 1994년 AAPB 내에 뇌파 및 EMG 섹션이 설립되었다. 1995년 신경 조절 연구 학회(SSNR)가 창립되었다. 1996년 유럽 바이오피드백 재단(BFE)이 설립되었다. 1999년 SSNR은 신경 조절 학회(SNR)로, 2002년에는 국제 신경 조절 학회(ISNR)로 개명되었다.

2003년 톰슨(Thompson)과 톰슨의 ''신경 피드백 책(The Neurofeedback Book)''이 출판되었다.[205] 2004년 캐롤린 유차(Carolyn Yucha)와 크리스토퍼 길버트(Christopher Gilbert)의 ''바이오피드백 및 신경 피드백의 증거 기반 실천(Evidence-Based Practice in Biofeedback and Neurofeedback)''이 출판되었다.[206] 2006년 ISNR은 국제 신경 피드백 및 연구 학회(ISNR)로 개명되었다.

2008년 바이오피드백 신경 피드백 연합이 AAPB, BCIA, ISNR의 공동 이니셔티브 자원 풀링을 위해 결성되었고, 같은 해 바이오피드백 연합 및 명명법 태스크 포스가 바이오피드백을 정의했다. 2009년 국제 신경 피드백 및 연구 학회가 신경 피드백을 정의했다.[207] 2010년 미국 바이오피드백 인증 협회가 바이오피드백 인증 국제 연합(BCIA)으로 개명되었다.

5. 1. 초기 연구

1958년 G. 맨들러(G. Mandler) 연구진이 자율신경 피드백 과정과 그 효과를 연구했다.[189] 1962년 D. 시언(D. Shearn)은 심박수를 변경하기 위해 조건 자극 대신 피드백을 사용했고,[110] 같은 해 존 바스마지안(John Basmajian)과 카를로 데 루카(Carlo De Luca)는 ''살아있는 근육(Muscles Alive)''을 출판했다.[190]

1968년 여러 바이오피드백 연구자들이 덴버에서 열린 연례 베테랑 행정부 연구 회의에서 모임을 가졌다. 1969년 4월에는 캔자스주 카운슬 그로브에서 의식 변화 상태에 관한 회의가 열렸고, 10월에는 캘리포니아주 산타 모니카의 서프라이더 인(Surfrider Inn)에서 바이오피드백 연구 학회(BRS)가 창립되어 첫 회의를 가졌으며, 공동 창립자인 바바라 B. 브라운(Barbara B. Brown)이 초대 회장이 되었다.

1972년 D. 시언(D. Shearn)은 '심리생리학 핸드북'에서 초기 바이오피드백 연구를 검토하고 분석했다.[191] 1974년에는 바바라 B. 브라운이 ''알파 강의 계획서: 인간 EEG 알파 활동 핸드북(The Alpha Syllabus: A Handbook of Human EEG Alpha Activity)''[192]과 바이오피드백에 관한 최초의 대중 서적인 ''새로운 마음, 새로운 몸(New Mind, New Body)''[193]을 출판했다.

1975년 미국 바이오피드백 임상가 협회가 창립되었고, 바바라 B. 브라운은 ''바이오피드백 강의 계획서: 바이오피드백의 심리생리적 연구를 위한 핸드북(The Biofeedback Syllabus: A Handbook for the Psychophysiologic Study of Biofeedback)''을 출판했다.[194] 1976년 BRS는 미국 바이오피드백 학회(BSA)로 개명되었다.

1977년 엘머 그린(Elmer Green)과 앨리스 그린(Alyce Green)의 ''바이오피드백 너머(Beyond Biofeedback)''[88], 조지 풀러(George Fuller)의 ''바이오피드백: 임상 실습의 방법 및 절차(Biofeedback: Methods and Procedures in Clinical Practice)''[195], 바바라 B. 브라운의 ''스트레스와 바이오피드백 기술(Stress and The Art of Biofeedback)''[196]이 출판되었다. 1978년에는 프랑신 버틀러(Francine Butler)가 ''바이오피드백: 문헌 조사(Biofeedback: A Survey of the Literature)''를 출판했다.[197]

1979년 존 바스마지안의 ''바이오피드백: 임상가를 위한 원리와 실습(Biofeedback: Principles and Practice for Clinicians)''[198]과 에릭 페퍼(Erik Peper), 소니아 안콜리(Sonia Ancoli), 미셸 퀸(Michele Quinn)의 ''마음/신체 통합: 바이오피드백의 필수 자료(Mind/Body Integration: Essential Readings in Biofeedback)''가 출판되었다.[199]

5. 2. 사이버네틱스와 조작적 조건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노버트 위너사이버네틱스 이론을 개발했다. B.F. 스키너의 연구는 조작적 조건화를 바이오피드백에 적용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1958년 G. 맨들러(G. Mandler) 연구진이 자율신경 피드백 과정과 그 효과를 연구했고,[189] 1962년 D. 시언(D. Shearn)은 심박수를 변경하기 위해 조건 자극 대신 피드백을 사용했다.[110] 같은 해 존 바스마지안(John Basmajian)과 카를로 데 루카(Carlo De Luca)의 저서 ''살아있는 근육(Muscles Alive)''이 출판되었다.[190] 1974년에는 바바라 B. 브라운(Barbara B. Brown)이 바이오피드백에 관한 최초의 대중 서적인 ''새로운 마음, 새로운 몸(New Mind, New Body)''을 출판했다.[193]

5. 3. 바이오피드백의 발전

1958년 G. 맨들러(G. Mandler) 연구진이 자율신경 피드백 과정과 그 효과를 연구했다.[189] 1962년 D. 시언(D. Shearn)은 심박수를 변경하기 위해 조건 자극 대신 피드백을 사용했고,[110] 같은 해 존 바스마지안(John Basmajian)과 카를로 데 루카(Carlo De Luca)의 저서 ''살아있는 근육(Muscles Alive)''이 출판되었다.[190] 1968년에는 여러 바이오피드백 연구자들이 덴버에서 열린 연례 베테랑 행정부 연구 회의에 모였다.

1969년 4월, 캔자스주 카운슬 그로브에서 열린 의식 변화 상태에 관한 회의가 열렸고, 10월에는 캘리포니아주 산타 모니카의 서프라이더 인(Surfrider Inn)에서 바이오피드백 연구 학회(BRS)가 창립되어 첫 회의가 개최되었다. 공동 창립자인 바바라 B. 브라운(Barbara B. Brown)이 학회의 초대 회장이 되었다. 1972년 D. 시언(D. Shearn)은 '심리생리학 핸드북'에서 초기 바이오피드백 연구를 검토 및 분석했다.[191] 1974년에는 바바라 B. 브라운의 ''알파 강의 계획서: 인간 EEG 알파 활동 핸드북(The Alpha Syllabus: A Handbook of Human EEG Alpha Activity)''[192]과 ''새로운 마음, 새로운 몸(New Mind, New Body)''[193]이 출판되었다.

1975년 미국 바이오피드백 임상가 협회가 창립되었고, 바바라 B. 브라운의 ''바이오피드백 강의 계획서: 바이오피드백의 심리생리적 연구를 위한 핸드북(The Biofeedback Syllabus: A Handbook for the Psychophysiologic Study of Biofeedback)''이 출판되었다.[194] 1976년 BRS는 미국 바이오피드백 학회(BSA)로 개명되었다. 1977년에는 엘머 그린(Elmer Green)과 앨리스 그린(Alyce Green)의 ''바이오피드백 너머(Beyond Biofeedback)''[88], 조지 풀러(George Fuller)의 ''바이오피드백: 임상 실습의 방법 및 절차(Biofeedback: Methods and Procedures in Clinical Practice)''[195], 바바라 B. 브라운의 ''스트레스와 바이오피드백 기술(Stress and The Art of Biofeedback)''[196]이 출판되었다.

1978년 프랑신 버틀러(Francine Butler)의 ''바이오피드백: 문헌 조사(Biofeedback: A Survey of the Literature)''가 출판되었고,[197] 1979년에는 존 바스마지안의 ''바이오피드백: 임상가를 위한 원리와 실습(Biofeedback: Principles and Practice for Clinicians)''[198]과 에릭 페퍼(Erik Peper), 소니아 안콜리(Sonia Ancoli), 미셸 퀸(Michele Quinn)의 ''마음/신체 통합: 바이오피드백의 필수 자료(Mind/Body Integration: Essential Readings in Biofeedback)''가 출판되었다.[199] 1980년에는 미국 바이오피드백 인증 협회(BCIA)에서 제공하는 바이오피드백 첫 국가 자격 시험이 시행되었고, 데이비드 올턴(David Olton)과 아론 눈버그(Aaron Noonberg)의 ''바이오피드백: 행동 의학의 임상 응용(Biofeedback: Clinical Applications in Behavioral Medicine)''[200]과 바바라 B. 브라운의 ''초자아: 궁극의 에너지(Supermind: The Ultimate Energy)''가 출판되었다.[201]

1984년 울폭(Woolfolk)과 레러(Lehrer)의 ''스트레스 관리의 원리와 실습(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ess Management)''[202]과 바바라 B. 브라운의 ''건강과 질병 사이: 스트레스와 웰빙의 본질에 대한 새로운 생각(Between Health and Illness: New Notions on Stress and the Nature of Well Being)''이 출판되었고,[203] 마크 골린(Mark Golin)의 ''바이오피드백으로 스트레스를 없애는 방법(The Biofeedback Way To Starve Stress)''이 예방 잡지(Prevention Magazine)에 게재되었다. 1987년 마크 슈워츠(Mark Schwartz)의 ''바이오피드백: 실무자를 위한 안내서(Biofeedback: A Practitioner's Guide)''가 출판되었다.[204] 1989년 BSA는 응용 심리생리학 및 바이오피드백 협회(AAPB)로 개명되었다. 1991년 BCIA에서 제공하는 스트레스 관리 첫 국가 자격 시험이 시행되었다.

1994년 AAPB 내에 뇌파 및 EMG 섹션이 설립되었고, 1995년 신경 조절 연구 학회(SSNR)가 창립되었다. 1996년 유럽 바이오피드백 재단(BFE)이 설립되었다. 1999년 SSNR은 신경 조절 학회(SNR)로, 2002년에는 국제 신경 조절 학회(ISNR)로 개명되었다. 2003년 톰슨(Thompson)과 톰슨의 ''신경 피드백 책(The Neurofeedback Book)''이 출판되었고,[205] 2004년 캐롤린 유차(Carolyn Yucha)와 크리스토퍼 길버트(Christopher Gilbert)의 ''바이오피드백 및 신경 피드백의 증거 기반 실천(Evidence-Based Practice in Biofeedback and Neurofeedback)''이 출판되었다.[206] 2006년 ISNR은 국제 신경 피드백 및 연구 학회(ISNR)로 개명되었다.

2008년 바이오피드백 신경 피드백 연합이 AAPB, BCIA, ISNR의 공동 이니셔티브 자원 풀링을 위해 결성되었고, 같은 해 바이오피드백 연합 및 명명법 태스크 포스가 바이오피드백을 정의했다. 2009년 국제 신경 피드백 및 연구 학회가 신경 피드백을 정의했다.[207] 2010년 미국 바이오피드백 인증 협회는 바이오피드백 인증 국제 연합(BCIA)으로 개명되었다.

5. 4. 현대의 바이오피드백

1958년 G. 맨들러(G. Mandler) 연구진이 자율신경 피드백 과정과 그 효과를 연구했다.[189] 1962년 D. 시언(D. Shearn)은 심박수를 변경하기 위해 조건 자극 대신 피드백을 사용했고,[110] 같은 해 존 바스마지안(John Basmajian)과 카를로 데 루카(Carlo De Luca)의 저서 ''살아있는 근육(Muscles Alive)''이 출판되었다.[190]

1968년 덴버에서 열린 연례 베테랑 행정부 연구 회의에서 여러 바이오피드백 연구자들이 모였다. 1969년 4월 캔자스주 카운슬 그로브에서 의식 변화 상태에 관한 회의가 열렸고, 10월에는 캘리포니아주 산타 모니카 서프라이더 인(Surfrider Inn)에서 바이오피드백 연구 학회(BRS)가 창립되어 첫 회의가 개최되었다. 공동 창립자 바바라 B. 브라운(Barbara B. Brown)이 학회의 초대 회장이 되었다. 1972년 D. 시언(D. Shearn)의 '심리생리학 핸드북'에 초기 바이오피드백 연구에 대한 검토 및 분석이 실렸다.[191]

1974년 바바라 B. 브라운의 ''알파 강의 계획서: 인간 EEG 알파 활동 핸드북(The Alpha Syllabus: A Handbook of Human EEG Alpha Activity)''[192]과 ''새로운 마음, 새로운 몸(New Mind, New Body)''[193]이 출판되었다. 1975년 미국 바이오피드백 임상가 협회가 창립되었고, 바바라 B. 브라운의 ''바이오피드백 강의 계획서: 바이오피드백의 심리생리적 연구를 위한 핸드북(The Biofeedback Syllabus: A Handbook for the Psychophysiologic Study of Biofeedback)''이 출판되었다.[194] 1976년 BRS는 미국 바이오피드백 학회(BSA)로 개명되었다.

1977년 엘머 그린(Elmer Green)과 앨리스 그린(Alyce Green)의 ''바이오피드백 너머(Beyond Biofeedback)''[88], 조지 풀러(George Fuller)의 ''바이오피드백: 임상 실습의 방법 및 절차(Biofeedback: Methods and Procedures in Clinical Practice)''[195], 바바라 B. 브라운의 ''스트레스와 바이오피드백 기술(Stress and The Art of Biofeedback)''이 출판되었다.[196] 1978년 프랑신 버틀러(Francine Butler)의 ''바이오피드백: 문헌 조사(Biofeedback: A Survey of the Literature)''가 출판되었다.[197]

1979년 존 바스마지안의 ''바이오피드백: 임상가를 위한 원리와 실습(Biofeedback: Principles and Practice for Clinicians)''[198]과 에릭 페퍼(Erik Peper), 소니아 안콜리(Sonia Ancoli), 미셸 퀸(Michele Quinn)의 ''마음/신체 통합: 바이오피드백의 필수 자료(Mind/Body Integration: Essential Readings in Biofeedback)''가 출판되었다.[199] 1980년 미국 바이오피드백 인증 협회(BCIA)에서 제공하는 바이오피드백 첫 국가 자격 시험이 시행되었고, 데이비드 올턴(David Olton)과 아론 눈버그(Aaron Noonberg)의 ''바이오피드백: 행동 의학의 임상 응용(Biofeedback: Clinical Applications in Behavioral Medicine)''[200]과 바바라 B. 브라운의 ''초자아: 궁극의 에너지(Supermind: The Ultimate Energy)''가 출판되었다.[201]

1984년 울폭(Woolfolk)과 레러(Lehrer)의 ''스트레스 관리의 원리와 실습(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ess Management)''[202]과 바바라 B. 브라운의 ''건강과 질병 사이: 스트레스와 웰빙의 본질에 대한 새로운 생각(Between Health and Illness: New Notions on Stress and the Nature of Well Being)''이 출판되었다.[203] 같은 해 마크 골린(Mark Golin)의 ''바이오피드백으로 스트레스를 없애는 방법(The Biofeedback Way To Starve Stress)''이 예방 잡지(Prevention Magazine)에 게재되었다. 1987년 마크 슈워츠(Mark Schwartz)의 ''바이오피드백: 실무자를 위한 안내서(Biofeedback: A Practitioner's Guide)''가 출판되었다.[204]

1989년 BSA는 응용 심리생리학 및 바이오피드백 협회(AAPB)로 개명되었다. 1991년 BCIA에서 제공하는 스트레스 관리 첫 국가 자격 시험이 시행되었다. 1994년 AAPB 내에 뇌파 및 EMG 섹션이 설립되었다. 1995년 신경 조절 연구 학회(SSNR)가 창립되었다. 1996년 유럽 바이오피드백 재단(BFE)이 설립되었다. 1999년 SSNR은 신경 조절 학회(SNR)로, 2002년에는 국제 신경 조절 학회(ISNR)로 개명되었다.

2003년 톰슨(Thompson)과 톰슨의 ''신경 피드백 책(The Neurofeedback Book)''이 출판되었다.[205] 2004년 캐롤린 유차(Carolyn Yucha)와 크리스토퍼 길버트(Christopher Gilbert)의 ''바이오피드백 및 신경 피드백의 증거 기반 실천(Evidence-Based Practice in Biofeedback and Neurofeedback)''이 출판되었다.[206] 2006년 ISNR은 국제 신경 피드백 및 연구 학회(ISNR)로 개명되었다.

2008년 바이오피드백 신경 피드백 연합이 AAPB, BCIA, ISNR의 공동 이니셔티브 자원 풀링을 위해 결성되었고, 같은 해 바이오피드백 연합 및 명명법 태스크 포스가 바이오피드백을 정의했다. 2009년 국제 신경 피드백 및 연구 학회가 신경 피드백을 정의했다.[207] 2010년 미국 바이오피드백 인증 협회가 바이오피드백 인증 국제 연합(BCIA)으로 개명되었다.

6. 임상적 효능

6. 1. 연구 및 평가

Moss, LeVaque, and Hammond (2004)는 "바이오피드백과 신경피드백은 의료계가 요구하는 증거 기반 실천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언급했다.[156][157] "처음부터 바이오피드백은 정신생리학과 행동 치료에 대한 실험실 연구에서 직접적으로 파생된 연구 기반 접근 방식으로 발전했다. 바이오피드백/신경피드백과 생의학 패러다임 및 연구의 연관성은 다른 많은 행동 중재보다 더 강력하다"(p. 151).[158]

응용 심리생리학 및 바이오피드백 협회(AAPB)와 국제 신경피드백 및 연구 학회(ISNR)는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및 두통과 같은 바이오피드백 및 신경피드백 응용 분야의 임상적 효능에 대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치료 프로토콜을 검증하고 평가하는 데 협력해 왔다. 2001년 당시 응용 심리생리학 및 바이오피드백 협회 회장이었던 도널드 모스(Donald Moss)와 국제 신경피드백 및 연구 학회 회장이었던 제이 군켈만(Jay Gunkelman)은 바이오피드백과 신경피드백의 효능에 대한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태스크 포스를 임명했다.

태스크 포스 문서는 2002년에 발표되었으며,[159] 일련의 백서가 이어져 일련의 장애에 대한 효능을 검토했다.[160] 백서는 기능성 항문 직장 장애,[161]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162] 안면 통증 및 턱관절 기능 장애,[163] 고혈압,[164] 요실금,[165] 레이노 현상,[166] 약물 남용,[167] 및 두통에 대한 바이오피드백의 효능을 확립했다.[6]

보다 광범위한 검토가 발표되었고,[168] 나중에 업데이트되어,[1] 동일한 효능 기준을 모든 범위의 의학적 및 심리적 장애에 적용했다. 2008년 판에서는 알코올 중독/약물 남용에서 외음부 전정염에 이르기까지 40가지 이상의 임상 장애에 대한 바이오피드백의 효능을 검토했다. 각 장애에 대한 평가는 일화 보고서에서 이중 맹검 연구 및 대조군을 포함하여 각 장애에 대해 사용할 수 있는 연구의 성격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낮은 평가는 문제에 대한 바이오피드백의 비효율성보다는 연구 부족을 반영할 수 있다.

Dehli 등(Dehli et al.)의 무작위 시험은 항문관에 충전제를 주사하는 것이 변실금을 치료하기 위한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괄약근 훈련보다 더 우수한지 비교했다. 두 가지 방법 모두 FI를 개선했지만, 그룹 간의 세인트 마크 점수를 비교한 결과 치료 효과의 차이는 없었다.[169]

검토 후, 영국 국립 보건 임상 연구소(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는 어린이의 변비, 여성의 요실금 및 만성 통증 치료에 바이오피드백 사용을 권장하지 않았다.[69][66][140]

6. 2. 효능 등급

Yucha와 Montgomery (2008)는 바이오피드백의 효능을 5단계로 분류했다.[159] 이 평가는 응용 심리 생리학 협회(AAPB) 및 국제 신경 조절 학회(ISNR) 이사회가 채택한 공동 태스크 포스에서 권장하는 것이다.[159] 효능 등급은 가장 약한 단계부터 가장 강한 단계 순으로 다음과 같다: 경험적으로 뒷받침되지 않음, 효능이 있을 수 있음, 효능이 있을 가능성이 높음, 효능이 있음, 효능이 있고 특이적임.

  • '''1단계: 경험적으로 뒷받침되지 않음.''' 일화 보고서 및/또는 동료 검토를 거치지 않은 곳에서의 사례 연구로 뒷받침되는 적용을 포함한다. Yucha와 Montgomery (2008)는 섭식 장애, 면역 기능, 척수 손상, 실신을 이 범주에 포함했다.[1]

  • '''2단계: 효능이 있을 수 있음.''' 잘 식별된 결과 측정치를 가진 충분한 통계적 검정력을 가진 최소한 하나의 연구가 필요하지만, 연구 내의 대조 조건에 대한 무작위 할당이 부족하다. Yucha와 Montgomery (2008)는 천식, 자폐증, 벨 마비, 뇌성마비, 만성 폐쇄성 폐 질환, 관상 동맥 질환, 낭성 섬유증, 우울증, 발기 부전, 섬유 근육통, 손 근육 이상, 과민성 대장 증후군,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반복성 긴장 상해, 호흡 부전, 뇌졸중, 이명, 소아 요실금을 이 범주에 포함했다.[1]

  • '''3단계: 효능이 있을 가능성이 높음.''' 효능을 입증하는 여러 관찰 연구, 임상 연구, 대기자 대조 연구, 피험자 내 및 피험자 간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 Yucha와 Montgomery (2008)는 알코올 중독 및 약물 남용, 관절염, 당뇨병, 소아의 변실금, 성인의 변실금, 불면증, 소아 두통, 외상성 뇌 손상, 남성의 요실금, 외음부 전정염(외음부 통증)을 이 범주에 포함했다.[1]

  • '''4단계: 효능이 있음.''' 이 지정은 다음 6가지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1]


(a) 무작위 할당을 사용하여 무치료 대조군, 대체 치료군 또는 가짜(위약) 대조군과의 비교에서, 연구 치료가 대조 조건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우월하거나, 연구 치료가 적절한 검정력을 가진 연구에서 확립된 효능의 치료와 동등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b) 연구는 신뢰할 수 있고, 작동적으로 정의된 방식으로 포함 기준이 명시된 특정 문제로 치료받는 환자 집단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c) 연구는 치료받는 문제와 관련된 유효하고 명확하게 지정된 결과 측정치를 사용했다.

(d) 데이터는 적절한 데이터 분석을 거친다.

(e) 진단 및 치료 변수 및 절차는 독립 연구자가 연구를 반복할 수 있도록 명확하게 정의된다.

(f) 연구 치료의 우월성 또는 동등성은 최소 2개의 독립적인 연구 환경에서 입증되었다.

Yucha와 Montgomery (2008)는 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ADHD), 불안, 만성 통증, 간질, 변비(성인), 두통(성인), 고혈압, 멀미, 레이노 증후군, 턱관절 기능 장애를 이 범주에 포함했다.[1]

  • '''5단계: 효능이 있고 특이적임.''' 연구 치료는 최소 2개의 독립적인 연구 환경에서 신뢰할 수 있는 가짜 치료, 약물, 또는 대체적인 진정한 치료보다 통계적으로 우월하다는 것을 보여야 한다. Yucha와 Montgomery (2008)는 요실금(여성)을 이 범주에 포함했다.[1]

6. 3. 비판

의료 환경에서 비용 절감과 증거 기반 실천이 강조되면서, 일부 비평가들은 바이오피드백 치료법이 효능과 비용 측면에서 기존의 행동 및 의학적 중재와 어떻게 비교되는지 의문을 제기한다.[170] 바이오피드백 치료에 대한 메타 분석 연구들에서는 대부분 기존 치료법과의 비교가 부족하다는 점이 지적되었다.[4][5]

7. 관련 단체 및 인증

응용 심리 생리 및 바이오피드백 협회(AAPB, The Association for Applied Psychophysiology and Biofeedback)는 바이오피드백 및 뇌파 바이오피드백 분야의 비영리 과학 및 전문 단체이다. 국제 뇌파 바이오피드백 및 연구 학회(ISNR,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Neurofeedback and Research)는 뇌파 바이오피드백 분야의 비영리 과학 및 전문 단체이다. 유럽 바이오피드백 재단(BFE, The Biofeedback Foundation of Europe)은 바이오피드백 및 뇌파 바이오피드백 분야의 국제 교육, 훈련 및 연구 활동을 후원한다.[53] 북동부 지역 바이오피드백 협회(NRBS, The Northeast Regional Biofeedback Association)는 미국 북동부 지역에서 바이오피드백 관련 주제 중심 교육 컨퍼런스, 바이오피드백 친화적 법안에 대한 정치적 옹호, 바이오피드백 및 뇌파 바이오피드백 분야의 연구 활동을 후원한다.[172] 남동부 바이오피드백 및 임상 신경과학 협회(SBCNA, The Southeast Biofeedback and Clinical Neuroscience Association)는 전문적인 바이오피드백의 효능과 안전성을 홍보하기 위해 지속적인 교육, 윤리 지침 및 대중 인식을 통해 바이오피드백 전문가를 지원하는 비영리 지역 조직이다.[173] SBCNA는 전문적인 지속 교육을 위한 연례 컨퍼런스를 제공하며, 관련 보건 전문직의 부가적인 수단으로서 바이오피드백을 홍보한다. SBCNA는 1970년대부터 바이오피드백 분야에서 활동해 온 노스캐롤라이나 바이오피드백 협회(NCBS, North Carolina Biofeedback Society)를 전신으로 한다. 2013년, NCBS는 SBCNA로 재편되어 미국 남동부 지역에서 바이오피드백 및 뇌파 바이오피드백을 지원하고 대표하고 있다.[174]

7. 1. 관련 단체

응용 심리 생리 및 바이오피드백 협회(AAPB, The Association for Applied Psychophysiology and Biofeedback)는 바이오피드백 및 뇌파 바이오피드백 분야의 비영리 과학 및 전문 단체이다.[171] 국제 뇌파 바이오피드백 및 연구 학회(ISNR,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Neurofeedback and Research)는 뇌파 바이오피드백 분야의 비영리 과학 및 전문 단체이다. 유럽 바이오피드백 재단(BFE, The Biofeedback Foundation of Europe)은 바이오피드백 및 뇌파 바이오피드백 분야의 국제 교육, 훈련 및 연구 활동을 후원한다.[53] 북동부 지역 바이오피드백 협회(NRBS, The Northeast Regional Biofeedback Association)는 미국 북동부 지역에서 바이오피드백 관련 주제 중심 교육 컨퍼런스, 바이오피드백 친화적 법안에 대한 정치적 옹호, 바이오피드백 및 뇌파 바이오피드백 분야의 연구 활동을 후원한다.[172] 남동부 바이오피드백 및 임상 신경과학 협회(SBCNA, The Southeast Biofeedback and Clinical Neuroscience Association)는 전문적인 바이오피드백의 효능과 안전성을 홍보하기 위해 지속적인 교육, 윤리 지침 및 대중 인식을 통해 바이오피드백 전문가를 지원하는 비영리 지역 조직이다.[173] SBCNA는 전문적인 지속 교육을 위한 연례 컨퍼런스를 제공하며, 관련 보건 전문직의 부가적인 수단으로서 바이오피드백을 홍보한다. SBCNA는 1970년대부터 바이오피드백 분야에서 활동해 온 노스캐롤라이나 바이오피드백 협회(NCBS, North Carolina Biofeedback Society)를 전신으로 한다. 2013년, NCBS는 SBCNA로 재편되어 미국 남동부 지역에서 바이오피드백 및 뇌파 바이오피드백을 지원하고 대표하고 있다.[174]

7. 2. 인증

바이오피드백 인증 국제 연합(BCIA)은 자격증 우수성 연구소(ICE)의 회원인 비영리 단체이다.[175][53][176] BCIA는 바이오피드백, 신경 피드백(뇌파 바이오피드백이라고도 함), 골반 근육 기능 장애 바이오피드백 인증을 제공한다. BCIA는 바이오피드백 및 신경 피드백 분야에서 교육 및 훈련 표준을 충족하는 개인을 인증하고, 지속적인 교육 요건을 충족하는 사람들을 지속적으로 재인증한다.

BCIA의 교육 요건에는 일반 바이오피드백 지식 개요와 인체 해부학 및 생리학 연구를 다루는 48시간 과정이 포함된다. 일반 바이오피드백 지식 개요 영역은 바이오피드백 오리엔테이션, 스트레스, 대처 및 질병, 심리 생리적 기록, 표면 근전도(SEMG) 적용, 자율 신경계(ANS) 적용, 뇌파(EEG) 적용, 보조 중재 및 전문적인 행동이다.[177] 지원자는 인체 해부학, 인체 생리학 또는 인체 생물학 과정을 이수하거나, 관련 시험을 통과하여 지식을 입증해야 한다.

또한 지원자는 BCIA 승인 멘토가 감독하는 20시간의 실무 기술 훈련, 50회의 환자/고객 세션 및 사례 컨퍼런스 발표를 문서화해야 한다. 원격 학습 및 원격 멘토링을 통해 교육 과정을 이수할수 있다.[178] 4년마다 재인증을 받아야 하며, 각 검토 기간 동안 55시간의 지속적인 교육을 이수하거나 필기 시험을 통과해야 하며, 자신의 면허/자격증(또는 감독자의 면허/자격증)이 정지, 조사 또는 취소되지 않았음을 증명해야 한다.[179]

8. 대중 문화 속의 바이오피드백

바이오피드백 데이터와 기술은 현대 미술에서 아미그달레 프로젝트를 진행한 마시밀리아노 페레티에 의해 사용된다.[208][209] 이 프로젝트는 인간의 지각과 관찰을 감정적 반응이 어떻게 여과하고 왜곡하는지 탐구한다. 공연 동안 관객의 뇌파도, 체온 변화, 심박수, 피부전기반응 등을 바이오피드백 의료 기술로 분석한다. 분석된 신호는 음악을 변화시켜 시청자의 감정 상태를 반영하고 영향을 미치는 음향 환경을 조성한다.[208][209] 프랑스 국립 신경 연구 센터인 CNRS 웹사이트에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210]

찰스 웨렌버그는 1973년경 ''Will Ball Games''를 통해 게임 패러다임으로 ''경쟁적 이완''을 구현했다. 초기 생체역학적 버전에서는 각 플레이어의 이완 반응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비교 GSR 입력을 사용했고, 스테핑 모터를 사용하여 플레이 필드에서 ''Will Ball''을 움직였다.thumb 1984년, 웨렌버그는 애플 II 컴퓨터용 ''Will Ball'' 게임을 프로그래밍했다. ''Will Ball'' 게임은 순수한 ''경쟁적 이완''으로, ''Brain Ball''은 한 플레이어의 좌뇌와 우뇌 반구 사이의 결투, ''Mood Ball''은 장애물 기반 게임, ''Psycho Dice''는 정신 운동 게임으로 묘사된다.[211]

2001년, Journey to Wild Divine 회사는 Mac (컴퓨터) 및 Windows 운영 체제용 바이오피드백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생산을 시작했다. Wild Divine 하드웨어용 타사 및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와 게임도 사용할 수 있다. ''테트리스 64''는 바이오피드백을 사용하여 테트리스 퍼즐 게임의 속도를 조절한다.

데이비드 로젠붐은 정신적, 생리적 명령에 반응하는 악기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이러한 악기를 연주하는 것은 바이오피드백 과정을 통해 배울 수 있다.

1970년대 중반, 텔레비전 시리즈 ''두 얼굴의 여인'' 에피소드에는 바이오피드백 기술을 사용하여 자신의 몸과 소통하고 자극에 반응하여 스스로를 "치유"할 수 있는 의사가 등장했다.

더글러스 E. 리차드의 과학 소설 ''Quantum Lens''에서 바이오피드백은 사용자에게 특별한 힘을 부여하는 양자 효과를 감지하는 특정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된다.

참조

[1] 서적 Abnormal psychology: an integrative approach Wadsworth Cengage Learning
[2] 뉴스 What is Biofeedback http://www.aapb.org/[...] "[[Association for Applied Psychophysiology and Biofeedback]]" 2008-05-18
[3] 논문 Control over brain activation and pain learned by using real-time functional MRI 2005-12
[4] 간행물 Efficacy of biofeedback for migraine: a meta-analysis Centre for Reviews and Dissemination (UK) 2007
[5] 논문 Efficacy of biofeedback for migraine: a meta-analysis 2007-03
[6] 논문 Biofeedback treatment for headache disorders: a comprehensive efficacy review 2008-09
[7] 서적 New mind, new body: Bio-feedback; new directions for the mind https://archive.org/[...] Bantam Books 1975-01-01
[8] 서적 Biofeedback Warner Paperback Library 1973-01-01
[9] 서적 Abnormal psychology: an integrative approach 2009
[10] 논문 Biological Awareness as a State of Consciousness 1975
[11] 논문 The Unconscious and Its Role in Biofeedback Processes 2001-11-29
[12] 논문 Neurofeedback and Basic Learning Theory: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2011-10
[13] 서적 About Behaviorism Knopf Doubleday Publishing 1974
[14] 서적 Form, Substance, and Difference, in Steps to an Ecology of Min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2
[15] 서적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1949
[16] 논문 Build the Muscle Whistler
[17] 서적 Handbook of psychophysi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18] 서적 Basics of surface electromyography applied to physical rehabilitation and biomechanics Thought Technology Ltd. 2009
[19] 웹사이트 Electromyography (EMG) http://www.hopkinsme[...] 2014-03-18
[20] 서적 Muscle biofeedback at the computer: A manual to prevent repetitive strain injury (RSI) by taking the guesswork out of assessment, monitoring, and training http://www.aapb.org/[...] BFE
[21] 서적 Evidence-based practice in biofeedback and neurofeedback http://www.isnr.org/[...] AAPB
[22] 논문 Patient evaluation with an audio electromyogram monitor: "The Muscle Whistler" 1972-04
[23] 서적 Psychophysiology: Human behavior and physiological response Lawrence Erlbaum and Associates, Inc 2007
[24] 논문 Beta-adrenergic vasodilator mechanism in the finger 1981-11
[25] 논문 Nonneural beta-adrenergic vasodilating mechanism in temperature biofeedback
[26] 서적 Handbook of psychophysi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27] 서적 Handbook of mind-body medicine in primary care Sage 2003
[28] 논문 GSR biofeedback in psychotherapy: Some clinical observations
[29] 논문 Psychophysiological psychotherapy: The use of biofeedback, biological monitoring, and stress management principles in psychotherapy
[30] 논문 Behavioral inhibition and electrodermal activity during deception 1985-11
[31] 서적 Quantitative EEG, event-related potentials and neurotherapy. Academic Press 2009
[32] 서적 The biofeedback book: An introduction to basic concepts in applied psychophysiology. Association for Applied Psychophysiology and Biofeedback 2003
[33] 서적 Psychophysiological recording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34] 서적 Handbook of mind-body medicine for primary care Sage 2003
[35] 논문 Circuits and components of delta wave regulation 2022-10-01
[36] 서적 Electroencephalography: Basic principles, clinical applications, and related fields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5
[37] 서적 Textbook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Informa Healthcare 2006
[38] 서적 Introduction to quantitative EEG and neurofeedback Academic Press 2009
[39] 서적 Basics of heart rate variability applied to psychophysiology Thought Technology Ltd. 2009
[40] 서적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ess management The Guilford Press 2007
[41] 논문 Is there more to blood volume pulse than heart rate variability, respiratory sinus arrhythmia, and cardio-respiratory synchrony?
[42] 서적 Handbook of psychophysi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43] 논문 Heart rate variability: standards of measurement, physiological interpretation and clinical use. Task Force of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and the North American Society of Pacing and Electrophysiology 1996-03
[44] 논문 Biofeedback treatment for asthma 2004-08
[45] 논문 Combined heart rate variability and pulse oximetry biofeedback for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preliminary findings 2004-06
[46] 논문 Preliminary results of an open label study of heart rate variability biofeedback for the treatment of major depression 2007-03
[47] 논문 Cardiac Coherence Training to Reduce Anxiety in Remitted Schizophrenia, a Pilot Study 2016-03
[48] 논문 A pilot study of the efficacy of heart rate variability (HRV) biofeedback in patients with fibromyalgia 2007-03
[49] 논문 Psychosocial nursing therapy following sudden cardiac arrest: impact on two-year survival
[50] 논문 Treatment of recurrent abdominal pain: components analysis of four treatment protocols 2000-07
[51] 논문 An inner quality approach to reducing stress and improving physical and emotional wellbeing at work 1997-07
[52] 논문 The effects of emotions on short-term power spectrum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1995-11
[53] 서적 Biofeedback mastery: An experiential teaching and self-training manual Association for Applied Psychophysiology and Biofeedback 2008
[54] 논문 Resonant frequency biofeedback training to increase cardiac variability: rationale and manual for training 2000-09
[55] 논문 The hyperventilation syndrome: Research and clinical treatment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7
[56] 서적 The psychology and physiology of breathing Plenum Press 1993
[57] 간행물 A Rheoencephalogram (REG) Variability System Based on ISKRA-226 Personal Computer 1989
[58] 간행물 Regulatory Mechanisms of Physiological Systems During REG Biofeedback 1994
[59] 서적 Introduction to quantitative EEG and neurofeedback Academic Press 2009
[60] 웹사이트 Chattanooga Stabilizer Pressure Biofeeedback http://www.sportstek[...]
[61] 웹사이트 pab®, Pressure Air Biofeedback http://pressureairbi[...]
[62] 서적 Learning theory and behavior https://archive.org/[...] Wiley 1960
[63] 간행물 The Kegel Perineometer: Biofeedback Twenty Years Before Its Time. A "Special Historical Paper." 1989
[64] 논문 Pelvic floor muscle training with biofeedback or feedback from a physiotherapist for urinary and anal incontinence after childbirth - a systematic review 2023-11-18
[65] 논문 Re: Biofeedback for the treatment of stress and urge incontinence 1996-08
[66] 간행물 Urinary incontinence and pelvic organ prolapse in women: management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2019-04-02
[67] 논문 Biofeedback and/or sphincter exercises for the treatment of faecal incontinence in adults 2012-07
[68] 논문 Biofeedback for treatment of irritable bowel syndrome 2019-11-12
[69] 간행물 Constipation in children and young people: diagnosis and management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2010-05-26
[70] 논문 The electric currents of the brain
[71] 논문 The EEG in epilepsy. A historical note 1960-06
[72] 논문 Scientific priority of A. Beck in the neuro-physiology
[73] 서적 The integrative action of the nervous system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1906
[74] 논문 Ein Versuch der Registrierung der elektrischen Gehirnerscheinungen
[75] 논문 A revolving mirror for use with the string galvanometer
[76] 논문 Ueber das elektroenkephalogramm des menschen
[77] 논문 The Berger rhythm
[78] 논문 Cerveau isole et physiologie du sommeil
[79] 논문 W. Grey Walter, pioneer in the electroencephalogram, robotics, cybernetics, artificial intelligence 2006-02
[80] 논문 Patterns of dreaming 1960-11
[81] 서적 The promise of Sleep: A pioneer in sleep medicine explores the vital connection between health, happiness, and a good night's sleep Random House 2000
[82] 서적 A physiological basis of the alpha rhythm Appleton-Century-Crofts 1968
[83] 서적 Altered states of consciousness Wiley 1969
[84] 서적 New mind, new body https://archive.org/[...] Harper & Row 1974
[85] 서적 Stress and the art of biofeedback Harper & Row 1977
[86] 서적 Supermind: The ultimate energy Harper & Row 1980
[87] 논문 Occipital alpha and accommodative vergence, pursuit tracking, and fast eye movements 1971-09
[88] 서적 Beyond biofeedback Delacorte Press 1977
[89] 논문 Neurophysiologic and clinical studies of sensorimotor EEG biofeedback training: some effects on epilepsy 1973-11
[90] 논문 EEG and slow cortical potentials in anticipation of mental tasks with different hemispheric involvement 1981-12
[91] 서적 Biofeedback: Principles and practice for clinicians Williams and Wilkins 1989
[92] 간행물 FDA permits marketing of first brain wave test to help assess children and teens for ADHD https://www.fda.gov/[...]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3-07-15
[93]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quantitative EEG as a possible biomarker in child psychiatric disorders https://pubmed.ncbi.[...] 2019-07-09
[94] 논문 Note sur les modifications de la tension électrique dans le corps humain. 1888-01
[95] 논문 Uber die galvanischen Erscheinungen an der Haut des Menschen bei Relzung der Sinnesorgane und bei verschiedenen Formen der psychischen Tatigkeit
[96] 논문 Psycho-physical investigations with the galvanometer and pneumograph in normal and insane individuals
[97] 논문 Anxiety management--the marriage of physiological and cognitive variables 1978-06
[98] 서적 Progressive relaxa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38
[99] 논문 Characteristics of single motor unit responses in human muscle during various degrees of contraction
[100] 논문 Identification and voluntary control of single motor unit activity in the tibialis anterior muscle 1962-10
[101] 서적 Muscles alive: Their functions revealed by electromyography https://archive.org/[...] Williams and Wilkins 1967
[102] 논문 Lower motor neuron disorders superimposed on the residuals of poliomyelitis. Value of the electromyogram in differential diagnosis
[103] 논문 Biofeedback history: An alternative view. 2010-Winter
[104] 논문 Dysponesis: a neurophysiologic factor in functional disorders 1968-03
[105] 서적 The physiopathology and treatment of functional disorders Grune & Stratton 1974
[106] 논문 Electromyographic biofeedback applications to stroke patients. A critical review 1983-09
[107] 서적 Design of computing systems: Cognitive considerations Elsevier 1997
[108] 논문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a new family of techniques with broad application to physical rehabilitation--a clinical review 1999-07
[109] 논문 A placebo-controlled trial of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for upper extremity after stroke 2006-04
[110] 논문 Operant conditioning of heart rate 1962-08
[111] 논문 Operant conditioning of heart rate speeding 1967-04
[112] 서적 Mind/Body integration: Essential readings in biofeedback Plenum Press 1979
[113] 논문 Learned control of cardiovascular integration in man through operant conditioning
[114] 서적 Autogenic therapy: Autogenic methods. Grune & Stratton 1969
[115] 서적 Autogenic therapy: Treatment with autogenic neutralization Grune & Stratton 1973
[116] 논문 Biobehavioral treatment of essential hypertension: a group outcome study 1986-12
[117] 논문 Plasma catecholamines during behavioral treatments for Raynaud's disease
[118] 논문 Research of the resonance characteristics for the cardiovascular system
[119] 논문 Voluntary regulation of the heart rate as a method of functioning condition correction in neurotics
[120] 논문 Respiratory sinus arrhythmia biofeedback therapy for asthma: a report of 20 unmedicated pediatric cases using the Smetankin method 2000-09
[121] 논문 Heart rate variability biofeedback: effects of age on heart rate variability, baroreflex gain, and asthma 2006-02
[122] 논문 Heart rate variability biofeedback as a method for assessing baroreflex function: a preliminary study of resonance in the cardiovascular system 2002-03
[123] 논문 Characteristics of resonance in heart rate variability stimulated by biofeedback 2006-06
[124] 논문 Heart rate variability biofeedback increases baroreflex gain and peak expiratory flow
[125] 논문 The effects of respiratory sinus arrhythmia biofeedback on heart rate variability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a pilot study 2009-06
[126] 논문 Heart rate variability biofeedback: how and why does it work?
[127] 논문 Heart rate variability biofeedback intervention for reduction of psychological stress during the early postpartum period 2014-12
[128] 논문 Exploring the effectiveness of a computer-based heart rate variability biofeedback program in reducing anxiety in college students 2011-06
[129] 논문 Heart rate variability, prefrontal neural function, and cognitive performance: the neurovisceral integration perspective on self-regulation, adaptation, and health 2009-04
[130] 논문 The Coherent Heart Heart-Brain Interactions, Psychophysiological Coherence, and the Emergence of System-Wide Order. http://www.integral-[...] 2009-12
[131] 논문 The Coherent Heart 2009
[132] 논문 Roles of psychologic stress and autonomic nervous system changes in provocation of ventricular premature complexes 1978-05
[133] 논문 Impact of reduced heart rate variability on risk for cardiac events. The Framingham Heart Study 1996-12
[134] 논문 Reduced heart rate variability and mortality risk in an elderly cohort. The Framingham Heart Study 1994-08
[135]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and physical health: insights from the study of heart rate variability 2013-09
[136] 논문 The effects of emotions on short-term power spectrum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1995-11
[137] 논문 Triggering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onset by episodes of anger. Determinants of Myocardial Infarction Onset Study Investigators 1995-10
[138]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cardiac autonomic function and maximal oxygen uptake response to high-intensity intermittent-exercise training 2013-05
[139] 논문 Mindfulness meditation, well-being, and heart rate variability: a preliminary investigation into the impact of intensive Vipassana meditation 2013-09
[140] 간행물 Chronic pain (primary and secondary) in over 16s: assessment of all chronic pain and management of chronic primary pain.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NICE guideline [NG193].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2021-04-07
[141] 논문 Cognitive-behavioural therapy versus EMG biofeedback in the treatment of chronic low back pain 1995-07
[142] 논문 An instrument for producing deep muscle relaxation by means of analog information feedback
[143] 논문 An electromyographic feedback technique for teaching voluntary relaxation of the masseter muscle
[144] 논문 Needle electromyographic evaluation of trigger point response to a psychological stressor 1994-05
[145] 논문 EMG biofeedback and tension headache: A controlled-outcome study
[146] 논문 The use of autogenic feedback training in a pilot study of migraine and tension headaches 1972-10
[147] 논문 Psychosomatic self-regulation of migraine headaches 1973-11
[148] 논문 A rational approach to the management of chronic migraine 2013-01
[149] 논문 Phantom-limb pain: characteristics, causes, and treatment 2002-07
[150] 간행물 Rationalizer: An emotion mirror for online traders. 2009
[151] 논문 Integrating biosignals into information systems: A NeuroIS tool for improving emotion regulation
[152] 논문 Resonant breathing biofeedback training for stress reduction among manufacturing operators
[153] 논문 AI-enabled remote and objective quantification of stress at scale 2020-05
[154] 논문 Effects of a Mindfulness Meditation App on Subjective Well-Being: Ac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d Experience Sampling Study 2019-01
[155] 논문 The effect of heart rate variability biofeedback training on stress and anxiety: a meta-analysis https://www.cambridg[...] 2017-11
[156] 서적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Concepts and approach Butterworth-Heinemann 2000
[157] 서적 Evidence-based medicine: How to practice and teach EBM https://archive.org/[...] Churchill Livingstone
[158] 논문 Introduction to White Papers Series series—Guest editorial
[159] 논문 Template for developing guidelines for the evaluation of the clinical efficacy of psychophysiological interventions 2002-12
[160] 논문 Introduction to White Papers Series series -- Guest editorial
[161] 논문 Biofeedback treatment for functional anorectal disorders: a comprehensive efficacy review 2004-09
[162] 논문 Electroencephalographic biofeedback in the treatment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2005-06
[163] 논문 Efficacy of biofeedback-based treatments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s 2005-12
[164] 논문 The efficacy of behavioral treatments for hypertension 2006-03
[165] 논문 Pelvic floor muscle biofeedback in the treatment of urinary incontinence: a literature review 2006-09
[166] 논문 Thermal biofeedback for primary Raynaud's phenomen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2006-09
[167] 논문 EEG biofeedback as a treatment for substance use disorders: review, rating of efficacy,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2008-03
[168] 서적 Evidence-based practice in biofeedback and neurofeedback Association for Applied Psychophysiology and Biofeedback 2004
[169] 논문 Sphincter training or anal injections of dextranomer for treatment of anal incontinence: a randomized trial 2013-03
[170] 서적 Evidence-based practice in biofeedback and neurofeedback Association for Applied Psychophysiology and Biofeedback 2008
[171] 웹사이트 Biofeedback Federation of Europe – BFE http://bfe.org/
[172] 웹사이트 Northeast Region Biofeedback Society – Promoting biofeedback education in the Northeast Region https://nrbs.org/
[173] 웹사이트 Southeast Biofeedback and Clinical Neuroscience Association - Home http://www.sebiofeed[...] 2013-10-14
[174] 웹사이트 Southeast Biofeedback and Clinical Neuroscience Association - About SBCNA http://sebiofeedback[...]
[175] 논문 What is the value of Biofeedback Certification Institute of America certification?
[176] 웹사이트 Washington State Legislature WAC 296-21-280 Biofeedback Rules http://apps.leg.wa.g[...] Washington State Legislature
[177] 서적 Handbook of mind-body medicine for primary care Sage Publications, Inc 2003
[178] 간행물 Biofeedback Certification Institute of America certification: Building skills without walls
[179] 서적 Biofeedback: A practitioner's guide The Guilford Press 2017-03
[180]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experimental medicine https://archive.org/[...] Dover
[181] 간행물 "[Voluntary acceleration of the heart beat in man]" https://zenodo.org/r[...]
[182] 간행물 Development of voluntary control http://bjp.rcpsych.o[...]
[183] 서적 Bell: Alexander Graham Bell and the conquest of solitude Cornell University Press
[184] 서적 Cybernetics Or Control And Communication In The Animal And The Machine Kessinger Publishing, LLC
[185] 서적 Humanistic and transpersonal psychology: a historical and biographical sourcebook Greenwood Publishing Group
[186] 문서 "169"
[187] 서적 Orienting reflex and exploratory behavior American Institute of Biological Studies
[188] 간행물 Instrumental conditioning of autonomically mediated responses in human beings 1974-05
[189] 간행물 Autonomic feedback: the perception of autonomic activity 1958-05
[190] 서적 Muscles Alive: Their Functions Revealed by Electromyography Williams & Wilkins 1962
[191] 서적 Handbook of Psychophysiology Holt, Rinehart and Winston 1972
[192] 서적 The Alpha Syllabus: A Handbook of Human EEG Alpha Activity https://archive.org/[...] Charles C. Thomas Publisher, Ltd. 1974
[193] 서적 New Mind, New Body: Bio-feedback — New Directions for the Mind Harper & Row 1974
[194] 서적 The Biofeedback Syllabus: A Handbook for the Psychophysiologic Study of Biofeedback Charles C. Thomas Publisher, Ltd. 1975
[195] 서적 Biofeedback: Methods and Procedures in Clinical Practice Biofeedback Institute of San Francisco 1977
[196] 서적 Stress and The Art of Biofeedback Harper & Row 1977
[197] 서적 Biofeedback: A survey of the literature https://archive.org/[...] IFI/Plenum Data Company 1978
[198] 서적 Biofeedback: Principles and practice for clinicians https://archive.org/[...] Williams & Wilkins 1979
[199] 서적 Mind/Body integration: Essential Readings in Biofeedback Plenum Press 1979
[200] 서적 Biofeedback: Clinical Applications in Behavioral Medicine https://archive.org/[...] Prentice-Hall, Inc. 1980
[201] 서적 Supermind: The Ultimate Energy Harper & Row 1980
[202] 서적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ess management The Guilford Press 1984
[203] 서적 Between Health and Illness: New Notions on Stress and the Nature of Well Being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1984
[204] 서적 Biofeedback: A practitioner's guide The Guilford Press 1987
[205] 서적 The neurofeedback book: An introduction to basic concepts in applied psychophysiology The Association for Applied Psychophysiology and Biofeedback 2003
[206] 서적 The Association for Applied Psychophysiology and Biofeedback 2004
[207] 서적 Biofeedback tutor Biosource Software 2010
[208] 웹사이트 under changes http://www.kontinuit[...] Kontinuita.com 2012-01-09
[209] 웹사이트 Scope New York Home http://www.scope-art[...] Scope-art.com 2012-01-09
[210] 웹사이트 Cogimage Cnrs Upr640 http://cogimage.dsi.[...]
[211] 서적 Will Ball Solo Zone 1995-2001
[212] 논문 Efficacy of biofeedback for migraine: a meta-analysis 2007-03
[213] 논문 Biofeedback treatment for headache disorders: a comprehensive efficacy review 2008-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