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IP 코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도체 IP 코어는 반도체 칩 설계에 재사용 가능한 설계 블록으로,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미리 설계되어 라이선스 형태로 제공된다. IP 코어는 1990년대부터 활성화되었으며, 소프트 코어와 하드 코어로 나뉘며, 디지털 및 아날로그 회로 모두에 활용된다. IP 코어를 사용하면 개발 기간 단축, 설계 오류 감소, 재사용성 증가 등의 장점이 있지만, 품질 및 호환성 문제, 특정 공정 기술 종속성, 라이선스 비용 발생 등의 단점도 존재한다. IP 코어는 ASIC, FPGA, SoC 설계에 활용되며, CPU, DSP, 메모리, 통신 인터페이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자 설계 자동화 - FPGA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는 사용자가 하드웨어 설계를 변경할 수 있는 집적 회로이며, CPLD에서 파생되어 다양한 제조 기술을 사용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 통신 등 여러 분야에 활용된다. - 전자 설계 자동화 - 래더 로직
래더 로직은 PLC 프로그래밍에 사용되는 그래픽 기반 언어로, 릴레이 회로를 연상시키는 접점과 코일을 사용하여 AND, OR, NOT 등의 논리 연산을 구현, 자동화 시스템을 제어한다. - 반도체 제조 - 웨이퍼
웨이퍼는 단결정 실리콘 잉곳을 가공하여 만든 얇고 둥근 반도체 재료 조각으로, 반도체 산업의 핵심 재료이며, 다양한 결정 성장 방법과 가공 과정을 거쳐 생산되고, 현재는 300mm 웨이퍼가 주류이지만 450mm 웨이퍼 개발 경쟁이 진행 중이며, 실리콘 외 다양한 재료가 사용되고, 일본 기업들이 시장을 주도하고 한국 기업들도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 반도체 제조 - 이온 주입
이온 주입은 원하는 원소를 이온화하여 고체 표면에 주입하는 기술로, 반도체 도핑, 금속 표면 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며, 결정학적 손상, 스퍼터링, 안전 문제 등의 문제점을 야기한다. - 회로 설계 - 허니웰
허니웰은 1885년 설립된 기업으로, 항공우주, 빌딩 자동화, 안전 및 생산성 솔루션, 성능 소재 및 기술 분야에서 사업을 영위하며, 군사 기술 개발 및 펜탁스 카메라 수입업체로 활동했고, 환경 문제 관련 비판을 받기도 한다. - 회로 설계 - 회로도
회로도는 전기 또는 전자 회로의 구성 요소와 연결을 기호와 선으로 나타낸 도식적 표현으로, 표준화된 기호와 규칙을 따르며 전자 제품 설계 및 교육에 필수적인 도구이지만 표기법 통일은 아직 완벽하지 않다.
반도체 IP 코어 | |
---|---|
반도체 IP 코어 | |
종류 | 하드 IP 코어 및 소프트 IP 코어 |
설계 재사용 | 시스템온칩 (SoC) 특정 용도 집적 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FPGA) |
역할 | 중앙 처리 장치 (CPU) 그래픽 처리 장치 (GPU) 메모리 컨트롤러 디지털 신호 처리 (DSP) 인터페이스 컨트롤러 통신 모듈 |
상세 정보 | |
정의 | 반도체 칩 설계에서 재사용 가능한 기능 블록 또는 모듈 |
활용 분야 | 복잡한 반도체 칩 개발 효율성 향상, 설계 시간 단축 및 비용 절감 |
특징 | 독립적으로 검증된 기능 모듈 다양한 반도체 공정 기술에 적용 가능 설계 유연성 및 확장성 제공 |
설계 방법 | IP 코어 공급업체로부터 라이선스 획득 자체적으로 개발 오픈 소스 IP 코어 활용 |
장점 | 개발 시간 단축 개발 비용 절감 설계 위험 감소 제품 출시 기간 단축 |
단점 | 라이선스 비용 발생 IP 코어의 성능 및 품질에 대한 의존성 설계 통합의 어려움 |
2. 역사
IP 코어의 라이선스와 이용은 1990년대 들어 실현되었다.[1] 당시 시장에는 많은 라이선스 제공업체와 파운드리들이 경쟁하고 있었다.[10]
2013년 기준으로 가장 널리 라이선스된 주요 IP 코어 제공 업체와 시장 점유율은 다음과 같다.
업체 | 시장 점유율 (%) |
---|---|
ARM 홀딩스 | 43.2 |
시놉시스 | 13.9 |
이매지네이션 테크놀로지스 | 9.0 |
케이던스 디자인 시스템즈 | 5.1 |
칩 설계에서 IP 코어는 미리 설계되고 검증된 재사용 가능한 회로 블록을 의미한다. 이는 마치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거나 인쇄 회로 기판 설계에서 개별 집적 회로 부품을 사용하는 것과 유사하다. IP 코어는 정의된 인터페이스와 동작을 가지며, 더 큰 시스템 설계에 통합될 수 있는 구성 요소이다.
2000년경부터 OpenCores.org는 주로 VHDL과 Verilog로 작성된 다양한 소프트 코어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코어들은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나 BSD 라이선스와 유사한 자유 및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하에 배포되었다.[6]
2010년 이후 RISC-V와 같은 이니셔티브로 인해 사용 가능한 IP 코어 수가 크게 증가했다 (2019년 기준 약 50개[7]). 이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설계를 개발하는 데 있어 협력을 증진하는 데 기여했다.[8]
3. IP 코어의 종류
IP 코어는 크게 소프트 코어(soft core)와 하드 코어(hard core) 두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다.
소프트 코어와 하드 코어는 설계 유연성, 개발 기간, 성능, 면적 등에서 서로 다른 장단점을 가지므로, 개발자는 칩의 요구 사항과 목표에 따라 적합한 형태의 IP 코어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3. 1. 소프트 코어 (Soft Core)
소프트 코어는 논리 합성이 가능한 RTL(Register-Transfer Level) 형태나 일반적인 게이트 레벨 넷리스트 형태로 제공되는 반도체 IP 코어를 말한다. 이는 칩 설계 과정에서 마치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거나 인쇄 회로 기판 설계에서 개별 집적 회로 부품을 사용하는 것과 유사하게, 재사용 가능한 설계 자산으로 활용된다. 소프트 코어는 하드 코어와 달리 설계자가 기능을 일부 수정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소프트 코어는 주로 다음과 같은 형태로 제공된다.
RTL 형태와 넷리스트 형태 모두 논리 합성, 배치 및 배선 등의 후속 설계 과정을 거쳐야 실제 반도체 칩으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소프트 코어'라고 불린다. 이러한 유연성 덕분에 소프트 코어는 FPGA와 같이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소자를 대상으로 하는 설계에서도 널리 사용된다.
소프트 코어는 '소프트 매크로'라고도 불리며, 프로세서 코어가 소프트 코어 형태로 제공될 경우에는 소프트 프로세서라고 칭하기도 한다.
2000년대 이후 OpenCores.org와 같은 웹사이트를 통해 GPL이나 BSD 라이선스와 같은 오픈 소스 라이선스 하에 다양한 소프트 코어가 공개되기 시작했다.[6] 특히 2010년대 들어 RISC-V와 같은 개방형 명령어 집합 아키텍처(ISA)가 등장하면서 관련 생태계가 활성화되어, 안전하고 효율적인 설계를 위한 협력과 함께 사용 가능한 오픈 소스 IP 코어의 수가 크게 증가했다.[7][8] 상용 IP 코어 외에도 무료로 배포되는 소프트 코어도 존재한다.[9]
3. 2. 하드 코어 (Hard Core)
하드 코어(hard core) 또는 하드 매크로(hard macro)는 칩 설계자가 기능을 크게 수정하기 어려운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IP 코어이다. 일반적으로 특정 공정 기술에 맞춰 최적화된 하위 수준의 물리적 레이아웃으로 정의되며, 마스크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GDSII 등) 형태로 제공된다. 시뮬레이션용 등가 게이트 모델이나 비헤이비어 모델이 함께 제공되는 경우도 많다.
하드 코어는 특정 공정 기술에 대해 더 나은 칩 타이밍 성능과 면적 예측 가능성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아날로그 및 혼성 신호 로직은 주로 하드 코어로 배포된다. 예를 들어 SerDes, PLL, DAC, ADC, PHY와 같은 아날로그 IP는 트랜지스터 레이아웃 형식으로 칩 제조업체에 제공된다. 스탠다드 셀로는 구현하기 어려운 회로(아날로그 회로 등)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제 칩으로 제작된 실적이 많아 충분히 검증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디지털 IP 코어도 레이아웃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하드 코어는 하위 수준의 트랜지스터 레이아웃이 대상 파운드리의 공정 설계 규칙을 준수해야 하므로 특정 공정 기술에 강하게 의존한다. 이 때문에 한 파운드리의 공정에 맞춰 제공된 하드 코어는 다른 공정이나 파운드리로 쉽게 이식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다만, FPGA나 스트럭처드 ASIC 등에 미리 내장된 하드 매크로가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IBM, 후지쯔, 삼성전자, TI와 같은 상업용 파운드리 운영업체들은 자체 파운드리 공정을 위해 제작된 다양한 하드 매크로 IP 기능을 제공하여 고객 락인 효과를 얻기도 한다.
4. IP 코어의 장단점
칩 설계에서 IP 코어를 활용하는 것은 개발 기간 단축과 같은 여러 이점을 제공하지만, 동시에 품질, 호환성, 비용 등 고려해야 할 단점들도 존재한다. 따라서 IP 코어 도입 시에는 프로젝트의 특성과 요구사항에 맞춰 장단점을 신중하게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
4. 1. 장점
IP 코어는 미리 검증된 재사용 가능한 디지털 논리 설계 요소이며, 정의된 인터페이스와 동작을 가진다. 칩 설계에서 IP 코어를 사용하는 것은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라이브러리를 활용하거나 인쇄 회로 기판 설계 시 개별 집적 회로 부품을 사용하는 것과 유사한 개념이다. 주요 장점은 다음과 같다.- 개발 기간 단축: 모든 구성 요소를 처음부터 새로 설계하는 대신, 이미 개발되고 검증된 IP 코어를 활용함으로써 전체 칩 설계에 필요한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 검증된 설계 활용: IP 코어는 일반적으로 제작자에 의해 충분한 검증 과정을 거친 상태로 제공된다. 이렇게 검증된 구성 요소를 사용함으로써 설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의 위험을 줄이고 최종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 재사용성: 한 번 개발되거나 구매한 IP 코어는 여러 다른 칩 설계 프로젝트에 반복적으로 적용될 수 있어 개발 효율성을 높인다.
- 공정 기술 독립성 (소프트 매크로의 경우): RTL(Register-Transfer Level) 형태로 제공되는 소프트 매크로 IP 코어는 특정 반도체 제조 공정 기술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공정에서 유연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4. 2. 단점
- '''품질 및 신뢰성 문제''': IP 코어 제공 업체에 따라 상세한 설계 사양이나 검증 결과가 충분히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IP 코어를 도입하기 전에는 해당 코어의 상세 사양과 검증 수준을 면밀히 확인해야 한다.
- '''연결 문제''': 기존 회로 설계에 IP 코어를 통합할 때, 각 구성 요소의 사양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면 연결 부분에서 호환성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 '''공정 의존성 (하드 코어의 경우)''': RTL 형태가 아닌 레이아웃 형태로 제공되는 하드 매크로 IP 코어는 특정 반도체 공정 기술에 맞춰 설계되었기 때문에, 해당 공정 외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제약이 있다. 이는 소프트 매크로 IP 코어가 공정 기술에 비교적 덜 의존적인 것과 대비된다.
- '''높은 라이선스 비용''': IP 코어를 사용하려면 라이선스 계약을 통해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계약 방식은 초기 도입 시 일시불 계약금을 내는 경우, 양산되는 제품 개수당 로열티를 지불하는 경우, 또는 이 두 가지를 모두 요구하는 경우 등 다양하다. 문제 발생 시 기술 지원 등을 포함한 총비용을 고려하면 자체 개발보다 오히려 더 많은 비용이 들 수도 있으므로, 상용 IP 코어 도입 시에는 비용 효율성을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
5. IP 코어의 활용 분야
칩 설계 과정에서 IP 코어를 사용하는 것은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거나, 인쇄 회로 기판 설계에서 개별 집적 회로 부품을 활용하는 것과 유사하다. IP 코어는 미리 정의된 인터페이스와 동작 방식을 가지며, 제작자에 의해 검증된 재사용 가능한 디지털 논리 설계 블록이다. 이렇게 검증된 IP 코어는 더 크고 복잡한 시스템 설계에 효율적으로 통합되어 활용될 수 있다.
5. 1. 디지털 회로 IP 코어
- CPU (소프트 프로세서, 하드 프로세서), DSP
- CPU 주변 회로 (타이머, DMA, 인터럽트 제어 등)
-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SRAM, DRAM 등)
- * 기본적으로 반도체 공정 기술에 의존한다.
- * 풀 스크래치의 풀 커스텀 ASIC에서만 이용 가능하다.
- 통신 인터페이스 (UART, SPI, I²C, USB, 이더넷, ATM, JTAG 등)
- 버스 인터페이스 (PCI, PCI Express, AHB,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 각종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 등)
- 기본 산술 연산 (부동소수점, FFT 등)
- 암호화/복호화 (AES, DES, RSA 암호, RC5, SHA-1, MD5, TLS/SSL 등)
- 동영상·이미지 처리 (정지 화상 코덱 (JPEG 등), 동영상 코덱 (MPEG), 이미지 인식 등)
- 음성 처리 (음성 코덱 (MP3, AAC, μ-law, A-law), 음성 합성 등)
5. 2. 아날로그 회로 IP 코어
아날로그 회로를 구현한 IP 코어도 존재한다. 디지털 회로 IP 코어와 달리, 아날로그 회로 IP 코어는 기본적으로 특정 반도체 공정 기술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아날로그 회로의 특성상 특정 공정 기술에 최적화된 설계가 필요하기 때문이며, 주로 하드 매크로 형태로 제공된다.아날로그 회로 IP 코어의 주요 종류는 다음과 같다.
6. 주요 용도
7. IP 코어 벤더
1990년대 들어 반도체 칩 설계에서 IP 코어의 라이선스와 이용이 일반화되었다.[1] IP 코어를 개발하고 라이선스를 제공하는 주체는 개인 개발자부터 수십억 달러 규모의 대기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파운드리 업체들과 함께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다.
2013년 기준으로 시장 점유율이 높은 주요 IP 코어 벤더는 다음과 같다.[10][2]
벤더 | 2013년 시장 점유율 |
---|---|
ARM 홀딩스 | 43.2% |
시놉시스 | 13.9% |
이매지네이션 테크놀로지스 | 9% |
케이던스 디자인 시스템즈 | 5.1% |
이러한 기업들은 종종 '실리콘 지적 재산'(SIP, Silicon IP) 비즈니스 모델을 따른다. 이는 반도체 회사가 물리적인 칩을 직접 제조하여 판매하는 대신, 특정 기능 블록(예: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대한 지식 재산권을 고객에게 라이선스하는 방식이다. 이 모델을 따르는 회사는 물리적 칩 대신 특정 기능 블록을 제공하여 고객의 칩 개발을 돕는 팹리스 반도체 회사의 한 형태이다. 주요 고객은 자체적으로 반도체를 개발하는 회사나 모듈 개발자이다. 고객은 SIP를 활용하여 이미 검증된 기능 블록을 사용함으로써 칩 개발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실리콘 IP 산업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왔다. 특히 ARM 홀딩스와 시놉시스는 '스타 IP'라고 불릴 정도로 이 분야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시장 조사 기관인 가트너는 2005년 실리콘 IP 관련 총 판매액을 15억달러로 추산했으며, 당시 연간 약 30%의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3]
참조
[1]
웹사이트
The Future of Semiconductor Intellectual Property Architectural Blocks in Europe
https://publications[...]
2023-08-02
[2]
뉴스
Cadence breaks into top four in semi IP core ranking
https://web.archive.[...]
Peter Clark
2014-04-23
[3]
서적
Intellectual Property for Integrated Circuits
J. Ross Publishing
2010
[4]
웹사이트
IP hardening by eetTaiwan
http://www.eettaiwan[...]
[5]
웹사이트
More about IP hardening
https://web.archive.[...]
[6]
웹사이트
Licensing :: OpenCores
https://opencores.or[...]
2019-11-14
[7]
웹사이트
RISC-V Cores and SoC Overview
https://web.archive.[...]
RISC-V Foundation
2019-10-08
[8]
웹사이트
The relevance of open source intellectual property cores for the IoT development
https://www2.deloitt[...]
Deloitte
2019-10-08
[9]
웹사이트
Home :: OpenCores
http://opencores.org[...]
2012-04-02
[10]
뉴스
Cadence breaks into top four in semi IP core ranking
https://web.archive.[...]
Peter Clark
2014-04-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