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양온천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온양온천역은 1922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2008년 신 역사로 역무가 이전되었고, 수도권 전철 1호선 운행이 시작되었다. 장항선과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되며, 4면 4선의 고가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온양온천, 아산시청, 온양시외버스터미널 등이 역 주변에 위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산시의 전철역 - 배방역
배방역은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장항선 역으로, 1922년 모산역으로 개업하여 역의 격과 명칭이 변경된 후 2007년 배방역으로 개칭되었으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 장항선 소속 역 중 유일하게 대피선을 갖추고 있다. - 아산시의 전철역 - 탕정역
2021년 10월 30일에 개통한 탕정역은 수도권 전철 1호선 장항선의 역으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아산시 탕정면의 삼성디스플레이 아산캠퍼스 주변 지역 이용객 증가와 함께 승하차 인원이 꾸준히 증가하여 2023년 일평균 승차 인원 1,362명, 하차 인원 1,243명을 기록했고, 인접역으로는 아산역과 배방역이 있다. - 충청남도의 철도역 - 웅천역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에 위치한 웅천역은 1931년 영업을 시작해 2021년 장항선 직선화로 고가역이 되었으며, 현재 무궁화호, ITX-새마을이 정차하는 2면 4선의 철도역이다. - 충청남도의 철도역 - 논산역
논산역은 충청남도 논산시에 있는 철도역으로, 1911년 영업을 시작하여 1965년 재건되었으며, 1988년 현재의 역사가 준공되었고, KTX,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한다. - 1922년 개업한 철도역 - 광주역
광주역은 1922년 개업하여 경전선과 호남선의 중요 정차역이었으나, KTX 운행이 광주송정역으로 이관된 후 현재는 일반 열차만 운행하며, 도시철도 연계 부족과 셔틀열차 폐지로 환승이 불편하다. - 1922년 개업한 철도역 - 극락강역
극락강역은 1922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1938년 보통역으로 승격되었으며, 호남선 무궁화호가 정차하는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이다.
온양온천역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온양온천역 |
한자 표기 | 陽 |
로마자 표기 | Onyangoncheonnyeok |
역 번호 | P176 |
주소 | 충청남도 아산시 온천대로 1496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개업일 | 1922년 6월 1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일 | 2008년 12월 15일 |
역 등급 | 2급 |
구조 | 고가역 |
승강장 | 4면 4선 |
역사 (연혁) | |
개업일 | 1922년 6월 1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일 | 2008년 12월 15일 |
이용 정보 | |
2012년 일평균 여객 수 (철도) | 2,999명 |
2012년 일평균 여객 수 (수도권 전철 1호선) | 10,379명 |
노선 정보 | |
소속 노선 | 장항선 장항전철선 |
영업 거리 (천안 기점) | 14.3 km |
영업 거리 (연천 기점) | 178.9 km |
장항선 이전 역 | 배방역 |
장항선 다음 역 | 신창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이전 역 | 배방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다음 역 | 신창역 |
이전 역 간 거리 | 3.9 km |
다음 역 간 거리 | 5.4 km |
운행 계통 | |
장항선 열차 등급 | |
장항선 이전 역 (용산 방면) | 아산 |
장항선 다음 역 (익산 방면) | 신례원역 () 도고온천역 () 예산역 () |
수도권 전철 1호선 운행 계통 | 경부선 경부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이전 역 | P174 배방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이전 방면 | 광운대 · 청량리 · 서울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다음 역 | P177 신창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다음 방면 | 신창 |
기타 정보 | |
이미지 | |
![]() | |
![]() | |
![]() |
2. 역사
1922년 6월 1일 온양온천역은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7] 이후 1965년 5월 4일 사무관역으로 승격되었고, 1971년 9월 10일에는 무연탄 화물 도착역으로 지정되었다.[8] 1983년 7월 20일 역사를 새로 짓기 시작하여 12월 23일 완공하였다. 2001년 7월 1일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고,[9] 2006년 4월에는 고가 선로로 타는 곳이 변경되었다. 2006년 5월 1일 소화물 취급이 중지되었으며, 2008년 4월 23일 신 역사로 역무를 이전하였다. 2008년 12월 15일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을 시작하면서 수도권 전철역이 되었다.[10]
2. 1. 연혁
- 1922년 6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7]
- 1965년 5월 4일: 사무관역으로 승격
- 1971년 9월 10일: 무연탄 화물 도착역 지정[8]
- 1983년 7월 20일: 역사 신축 착공
- 1983년 12월 23일: 역사 신축 준공
- 2001년 7월 1일: 화물 취급 중지[9]
- 2006년 4월: 고가 선로로 타는 곳 변경
- 2006년 5월 1일: 소화물 취급 중지
- 2008년 4월 23일: 신 역사로 역무 이전
- 2008년 12월 15일: 수도권 전철 1호선 운행 개시[10]
- 2009년 6월 1일: 서울~신창간 누리로 운행 개시
- 2015년 2월 5일: 서해금빛열차 운행 개시
- 2016년 12월 9일: 누리로 운행 중지
- 2017년 2월 28일: 누리로 재운행 개시
- 2019년 12월 30일: 열차 시간표 개정으로 서울~신창간 누리로 운행 잠정 중지, 신창 급행 증편 운행
- 2020년 1월 13일: 누리로 재운행 재개(서울~신창)
- 2020년 5월 23일: 누리로 운행 중지(서울~신창)
- 2024년 11월 2일: ITX-마음 운행 개시
3. 역 구조
1호선과 장항선 열차가 함께 이용하는 역으로, 4면 4선 구조의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바깥쪽 승강장은 일반열차, 안쪽 승강장은 통과열차와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사용하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2개이다.
3. 1. 구조
4면 4선 승강장 구조로 바깥쪽 승강장은 일반열차, 안쪽 승강장은 통과열차와 수도권 전철 1호선을 취급한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2개이다.3. 2. 승강장
온양온천역은 4면 4선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바깥쪽 승강장은 일반열차, 안쪽 승강장은 통과열차와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사용한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출구는 2개이다.승강장 번호 | 노선 | 열차 종류 | 행선지 |
---|---|---|---|
1 | 장항선 | 새마을호, ITX-마음, 무궁화호, 서해금빛열차 | 천안, 평택, 수원, 안양, 영등포, 용산 방면 |
2 | 수도권 전철 1호선 | 구로, 서울, 청량리, 광운대 방면 | |
3 | 수도권 전철 1호선 | 신창 방면 | |
4 | 장항선 | 새마을호, ITX-마음, 무궁화호, 서해금빛열차 | 예산, 홍성, 대천, 장항, 군산, 익산 방면 |
바깥쪽 단식 승강장은 장항선이 사용하고, 안쪽 섬식 승강장은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사용한다.
4. 이용 가능한 노선
5. 역 주변
6. 승차량 변동
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