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곤충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법곤충학은 범죄 수사에 곤충을 활용하는 학문으로, 시체의 부패 과정에서 나타나는 곤충의 종류와 성장 단계를 분석하여 사망 시점, 사망 장소, 체내 독극물 여부 등을 추정하는 데 기여한다. 13세기 중국의 사례를 시작으로, 송자, 프란체스코 레디, 장 피에르 메그닌 등의 연구를 통해 발전해왔으며, 도시 법곤충학, 저장 산물 법곤충학, 법의 곤충학 등으로 세분화된다. 곤충의 생활사, 곤충 천이, 다양한 환경 요인(습도, 햇빛, 공기 노출, 지리적 요인 등)이 곤충 활동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주사 전자 현미경, DNA 분석, 안정 동위원소 분석 등의 현대 기술을 활용하여 곤충 증거를 수집하고 분석한다. 법곤충학은 문학 작품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의 경우 아직 발전 단계에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발명품 - 라디오
라디오는 전파를 이용해 음성 정보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기술 및 장치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과 인터넷 라디오 등으로 발전했으며, 방송, 통신, 위치 측정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주파수 대역과 변조 방식에 따라 구분되며 국제적으로 주파수 관리를 받는다. - 이탈리아의 발명품 - 율리우스력
율리우스력은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제정한 역법으로, 365일의 평년과 366일의 윤년으로 구성되며, 태양년과의 오차로 인해 그레고리력으로 대체되었으나, 현재는 일부 지역에서 사용된다. - 프랑스의 발명품 - 마가린
마가린은 식물성 또는 동물성 유지를 가공하여 만든 버터 대체품으로, 다양한 종류와 용도로 생산되며 트랜스 지방산, 포화 지방산, 콜레스테롤 함량 등 여러 측면에서 논의가 이루어진다. - 프랑스의 발명품 - 비키니
여성용 투피스 수영복인 비키니는 1946년 루이 레아르가 고안하여 핵실험 장소인 비키니 환초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노출에 대한 사회적 저항을 극복하고 배우들의 착용과 영화 등장으로 대중화되어 다양한 디자인으로 스포츠 유니폼으로도 활용된다. - 독일의 발명품 - 자동차
자동차는 18세기 증기 자동차에서 시작하여 내연기관 발명으로 발전했으며, 크기, 용도, 연료 등에 따라 분류되고, 자율 주행 및 친환경 기술 개발을 통해 안전과 환경 문제 해결을 모색한다. - 독일의 발명품 - 탄도 미사일
탄도 미사일은 로켓 기술을 기반으로 장거리 비행을 통해 목표물을 타격하는 무기로, 사거리, 발사 플랫폼, 비행 단계에 따라 분류되며 핵무기 탑재를 통해 전략적 억제력을 확보하는 데 사용된다.
법곤충학 |
---|
2. 용어
법과학의 여러 분야에서 머리에 붙는 "포렌식(Forensic)"(형용사)은 라틴어 "forēnsis" 즉 "포럼(광장)"에서 유래되었다.[68] 로마 제국 시대, "기소"란 로마 시내 중심에 있는 포로 로마노에서 청중 앞에서 소장을 공개하는 것이었다. 피고와 원고는 모두 자신의 주장을 펼쳤고, 더 좋은 주장을 하여 더 널리 받아들여진 쪽이 재판에서 판결을 받을 수 있었다. 이러한 기원은 현대의 "forensic"이라는 단어의 두 가지 용법의 근원이 되었다. 첫 번째는 "법적으로 유효한" 의미이고, 두 번째는 "공개 발표의"라는 의미의 형용사이다.
법곤충학은 역사적으로 여러 응용 기록과 실험이 존재한다. 13세기 중국의 초기 사례 보고 외에도, 절지동물과 법의학적 상황 사이의 관계는 독일과 프랑스에서 기록되었다. 1880년대 후반 헤르만 라인하르트는 대량 발굴 조사 중에 이러한 관찰을 수행했다.[6] 그러나 법곤충학이 범죄 수사에서 증거로 체계적으로 탐구된 것은 지난 30년 동안이다. 송자, 프란체스코 레디, 베르제레 다르부아, 장 피에르 메그닌, 헤르만 라인하르트의 연구는 절지동물과 죽음에 초점을 맞춰 기록된 실험을 통해 오늘날 현대 법곤충학의 기초를 형성한다.
3. 역사
3. 1. 송자
송자는 송나라(960–1279) 시대의 법의학 서적인 ''무원록''(1247년)을 쓴 판사, 의사, 의학자이자 작가이며, 그의 저서는 법곤충학의 가장 오래된 사례를 담고 있다.[7] 1235년의 살인 사건에서 한 마을 사람이 낫에 찔려 사망했는데, 당국은 그의 상처가 낫에 의해 생겼다는 것을 밝혀냈다. 낫은 수확기에 벼를 베는 데 사용되는 도구였고, 이 사실은 그들이 동료 농민의 연루를 의심하게 했다.[7] 지방관은 마을 사람들을 광장에 모이게 하고, 그들에게 낫을 임시로 내려놓게 했다.[7] 몇 분 안에, 많은 수의 검은파리가 다른 낫에는 모이지 않고 오직 한 낫 주위에 모여들었는데, 이는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는 피의 흔적 냄새에 이끌렸기 때문이다.[7] 그 낫의 주인이 범인임이 분명해졌고, 당국에 의해 구금되면서 그는 자비를 구걸했다.[7]
송자(때로는 숭쯔라고 불림)는 1188년부터 1251년까지 중국에서 살았던 사법 관리였다. 1247년에 송자는 검시관 핸드북으로 ''무원록''을 썼다.[8] 이 책에서 송자는 사람이 어떻게 죽었는지에 대한 기록을 담고 있으며, 가능한 원인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다. 그는 매장 전후 시신 검사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사망의 가능한 원인을 밝히는 과정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이 책의 주요 목적은 다른 수사관들이 범죄 현장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이었다. 그가 모든 사례에서 관찰한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 것은 현대 법곤충학의 기초를 마련했다. 그는 사법적 목적으로 법곤충학을 사용한 최초의 기록으로 남았다.[9]
3. 2. 프란체스코 레디
1668년, 이탈리아 의사 프란체스코 레디는 자연 발생설을 반증했다. 레디 시대에는 구더기가 썩은 고기에서 저절로 생겨난다는 것이 정설이었다. 레디는 썩은 고기 표본을 공기에 완전히 노출시키거나, 부분적으로 노출시키거나, 전혀 노출시키지 않는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공기에 완전히 노출되거나 부분적으로 노출된 썩은 고기에서는 모두 파리 구더기가 발생했지만, 공기에 노출되지 않은 썩은 고기에서는 구더기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발견은 사람들이 유기체의 부패를 바라보는 방식을 완전히 바꾸었으며, 곤충의 생활 주기와 일반적인 곤충학에 대한 추가 연구를 촉진했다.
3. 3. 베르제레 다르부아
베르제레 다르부아 (1814–1893)는 프랑스의 병원 의사였으며, 법곤충학을 사건에 처음 적용한 인물이다. 1855년에 발표된 사건 보고서에서 그는 곤충의 일반적인 생활 주기를 언급하고 짝짓기 습성에 대한 많은 추측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추측은 그가 사후 경과 시간(PMI)을 추정하는 데 법곤충학을 최초로 적용하도록 이끌었다. 그의 보고서는 법곤충학을 사용하여 사람이 어떻게, 언제 사망했는지에 대한 그의 가설을 증명하는 도구로 사용했다.[1]
3. 4. 헤르만 라인하르트
헤르만 라인하르트는 1881년 법곤충학 분야의 최초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한 독일 의사이다. 그는 많은 시신을 발굴하여 다양한 곤충 종의 발달이 매장된 시신과 관련될 수 있음을 입증했다.[6] 라인하르트는 동독에서 첫 번째 연구를 수행했으며, 그곳에서 많은 혹파리를 수집했다. 그는 시체 근처 지하에 서식하는 곤충 중 일부만이 부패하는 시체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고 결론 내렸는데, 이는 시체와 직접적인 접촉이 거의 없는 15년 된 딱정벌레가 있었기 때문이다. 라인하르트의 연구는 이후의 법곤충학 연구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3. 5. 장 피에르 메그닌
프랑스 수의사이자 곤충학자인 장 피에르 메그닌(1828–1905)은 『묘지 동물군(Faune des Tombeaux)』과 『시체 동물군(La Faune des Cadavres)』 등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많은 논문과 책을 출판했는데, 이 책들은 역사상 가장 중요한 법곤충학 서적으로 꼽힌다.[11] 특히 『시체 동물군』에서 그는 시체에 나타나는 곤충의 예측 가능한 파동, 즉 천이에 대한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했다. 그는 살아있는 진드기와 죽은 진드기의 수를 15일마다 세고, 유아에 대한 최초의 수치와 데이터를 비교하여 유아가 사망한 지 얼마나 되었는지 추정할 수 있었다.[1]
메그닌은 이 책에서 시체가 노출된 경우 8번의 천이 파동을 겪지만, 매장된 시체는 2번의 파동만 겪는다고 주장했다. 그는 부패하는 동식물의 일반적인 특성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 데 기여한 많은 중요한 발견을 했다. 메그닌의 연구는 시체에서 발견되는 곤충 과(科)의 유충 및 성충 형태에 대한 연구를 통해 미래의 곤충학자들의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절지동물과 사망자 간의 연관성에 대한 더 많은 연구를 장려하여 법곤충학이라는 과학 분야를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
4. 법곤충학의 하위 분야
법곤충학은 크게 도시 법곤충학, 저장 산물 법곤충학, 법의 곤충학의 세 가지 하위 분야로 나뉜다.
- 도시 법곤충학: 도시 환경에서 발생하는 해충 관련 문제를 다룬다.
- 저장 산물 법곤충학: 상업적으로 유통되는 식품의 곤충 오염 문제를 다룬다.
- 법의 곤충학: 살인, 자살 등 범죄 현장에서 발견되는 곤충을 연구한다. 곤충독성학은 시체에서 발견되는 곤충을 통해 약물이나 독극물의 존재를 파악하며, 구더기증은 살아있는 동물이나 사람에게 파리 유충이 기생하는 현상을 말한다.
미국과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법의곤충학이 실용적인 수준에 도달하여 범죄 수사나 재판의 중요한 증거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아직 발전 단계에 있으며, 지역별, 환경별 곤충 생물 군집에 대한 충분한 데이터가 확보되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다.[16][17]
4. 1. 도시 법곤충학
도시 법곤충학은 건물, 정원 등 도시 환경에서 발생하는 해충 침입과 관련된 법적 분쟁을 다룬다. 주로 임대인, 해충 방제업체, 서비스 제공자 간의 소송에서 활용된다.[12] 예를 들어, 해충 방제 기술의 효과를 평가하거나, 침입 규모를 확인하고, 임대 주택에서 발생한 해충 문제의 책임 소재를 밝히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살충제 처방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데에도 활용된다.도시 법곤충학은 곡물이나 포장 식품과 같이 보관 중인 상품이 곤충에 오염된 경우, 오염의 원인을 찾아 책임 소재를 규명하는 데 도움을 준다. 보관 제품 관련 소송에서 침입 가능성이 있는 모든 지점을 조사하여 관리 연쇄를 파악하고, 과실 책임자를 결정하는 데 기여한다.[13]
나아가 도시 법곤충학은 환경 관리 및 공중 보건 분야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도시 환경 내 곤충 개체군을 조사하여 곤충 매개 질병의 전파 경로를 추적하고, 도시화가 곤충 개체군에 미치는 환경적 영향을 평가하여 보존 노력을 지원한다.
4. 2. 저장 산물 법곤충학
저장 제품 법곤충학은 곡물, 밀가루, 포장된 식사를 포함하여 상업적으로 유통되는 식품의 곤충 감염 또는 오염에 대한 소송에 자주 사용된다.[12][14] 저장 제품 법곤충학자들은 관련된 곤충 종을 식별하고, 감염의 정도를 평가하며, 법적 절차에서 감염의 근원을 정확히 찾아내도록 요청받을 수 있다.[15] 그들은 감염을 발생시킨 상황에 대한 전문가 증언을 제공하고, 향후 유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조치를 제안할 수 있다.저장 제품에 대한 법곤충학은 법적 평가에 중요한 증거를 추가하고 전반적인 식품 안전 및 품질 보증에 기여한다. 법곤충학자들은 곤충 종을 식별하고 저장된 제품에서 그들의 존재를 추적함으로써 식품이 섭취하기에 안전한지 보장하기 위해 노력한다. 또한, 이 분야는 해충 관리 및 제품 보존을 위한 새로운 기술을 연구하고 개발함으로써 식품 사업 관행의 전반적인 개선에 기여한다.[15]
4. 3. 법의 곤충학
법곤충학(Medico-legal forensic entomology)은 살인, 자살, 강간, 신체적 학대, 불법 거래 등 다양한 사건 현장에서 발견되는 절지동물을 연구하는 학문이다.[12] 법의학 수사관은 곤충 활동을 통해 사망 시점, 체내 약물 또는 독소의 존재, 사망 후 시신의 이동 또는 훼손 등 중요한 세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살인 사건 수사에서 법곤충학자는 어떤 곤충의 알이 나타났는지, 시신에서의 위치, 그리고 발달 단계를 분석하여 사망 후 경과 시간(PMI)과 사망 장소를 결정한다. 특정 곤충 종의 존재는 고유성 (특정 지역에서만 발생) 또는 잘 정의된 계절성 (특정 계절 또는 하루 중 특정 시간에만 활동)을 나타낼 수 있으며, 다른 증거와 함께 다른 범죄 행위가 발생했을 수 있는 시기와 장소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16][17] 이 분야는 특정 지리적 위치에서 발견된 다양한 곤충 종을 식별하여 피해자, 용의자 및 현장을 연결하는 기술을 제공한다.[18]곤충의 생육 속도는 국가, 지역, 기온, 강수량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법의곤충학 선진 지역인 미국 등 선진 연구의 성과를 일률적으로 도입할 수 없다. 1970년대까지는 위생동물학 분야에서 파리 연구도 활발했지만, 최근 일본에서의 위생동물학 연구의 주축은 모기 연구로 옮겨가 연구자 수도 감소하고 있다. 파리 연구가 활발하고 연구자 수도 많았던 시기에는, 일본의 대표적인 지역에서의 파리의 계절 변동이나, 몇몇 대표적인 종에서 서로 다른 온도 환경에서의 발육 속도 데이터도 얻어졌지만, 실용적인 수준에는 아직 필요한 데이터가 부족하다. 따라서 재판에서 증거를 얻는 한 가지 방법으로서 앞으로의 발전이 기대되지만, 현재로서는 아직 어렵다.
오늘날, 미국과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지역별 파리의 계절 변동 등의 데이터가 치밀하게 확보되어, 법의곤충학도 실용적인 수준에 도달하여 범죄 수사나 재판의 중요한 증거가 되고 있다.
4. 3. 1. 곤충 독성학
곤충독성학은 법곤충학의 비교적 새로운 분야이다. 이 분야는 피해자의 죽음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는 약물을 찾기 위해 사건 현장에서 발견된 곤충 표본을 검사한다.[19] 시체 내 약물의 존재는 시체에서 독소를 섭취하는 곤충의 성장과 형태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이용한다.[19] 이러한 변화는 섭취한 곤충의 비정상적인 신체 발달을 유발하여 사망 후 경과 시간(PMI) 추정에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20]곤충학은 부상 시점을 결정할 때 법의학적 사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구더기파리는 시체에 알을 낳고, 1령 유충(1단계 유충)으로 부화하면 액체 단백질을 섭취해야 한다.[22] 작고 연약한 구더기파리는 스스로 피부를 뚫을 수 없으므로, 암컷은 혈액, 점막층, 체액을 제공하기 위해 기존 상처나 자연적인 구멍 근처에 알을 낳는다.
4. 3. 2. 구더기증
구더기증은 유충(예: 구더기)에 의해 살아있는 척추 동물이 침입당하는 현상으로, 방치 또는 방임의 경우에 나타날 수 있다.[22] 이 질병은 파리가 살아있는 인간이나 동물에 서식하며, 유기체의 접근 가능한 살아있는 조직, 음식물, 체액을 섭취할 때 발생한다.[22] 법의학적 맥락에서 구더기증은 혼란스러울 수 있는데, 이는 피해자나 유해가 발견되기 전에 살아있는 상태에서 서식했을 경우 부검 후 시간(PMI)이 아닌 방치 또는 부상의 시간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법의학적 조사에서 모든 증거를 신중하게 해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21][22]5. 분해 과정에서 곤충의 역할
곤충은 시체를 포함한 유기물 분해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부패 과정에서 발생하는 화학 물질은 죽은 생물을 먹는 곤충을 유인하며, 이 곤충들은 신체 조직 분해를 가속화한다.[41] 검정파리는 시체에 처음으로 도착하는 주요 곤충 중 하나이다. 검정파리는 자연적인 구멍이나 상처, 습한 곳에 알을 낳으며, 부화한 구더기 유충은 부패하는 조직을 섭취한다. 진드기와 딱정벌레 같은 다른 절지동물 또한 남은 잔해를 먹어 분해 과정에 기여한다.
6. 무척추동물 유형
법의곤충학에서 다루는 무척추동물은 크게 곤충강에 속하는 파리, 딱정벌레와 응애강에 속하는 진드기, 그리고 나방, 벌, 개미 등이 있다.
분류 | 과 | 과(한자) | 설명 |
---|---|---|---|
파리 | 검정파리과 | (Calliphoridae) | 금속성 외관, 10mm~14mm.[26] 3분절 촉수. 알에서 첫 유충까지 8시간~1일 소요. 세 번의 탈피.[27] 느슨하고 습한 토양, 낙엽이 있는 온대/열대 지역 서식.[28] 약 16.09km 밖에서도 죽음 냄새를 맡음.[29] Calliphora vomitoria, Calliphora vicina 등이 주요 종. |
살파리과 | (Sarcophagidae) | 시체, 똥, 쓰레기 등에서 번식. 일부는 포유류 상처에 산란. 3분절 촉수. 4mm~18mm(열대종은 더 큼). 가슴에 검은색/회색 세로 줄무늬, 배에 체크 무늬. 살아있는 새끼를 낳음. 부패 전 단계 시체에서 발견. Sarcophaga barbata가 유용하나 정보 부족.[25] | |
집파리과 | (Muscidae) | 가장 흔한 파리. 질병을 옮기는 해충. 6mm~9mm. 회색 가슴에 4개 어두운 세로선. 노란색 배 아랫면. 털로 덮임. 암컷은 최대 500개 산란. Hydrotaea 속이 중요. | |
치즈파리과 | (Piophilidae) | 동물성 제품, 곰팡이류 청소동물. Piophila casei가 대표적. 4mm}. 유충은 경화 육류, 훈제 생선, 치즈, 부패 동물에 침입. 점프 능력으로 치즈 스키퍼라고도 함. 사망 3~6개월 후 시체 서식. 성충은 검은색/청록색/청동색, 노란색 머리/촉수/다리. 날개는 무지개빛. | |
관파리과 | (Phoridae) | 꼽추 파리. 유충은 부패 시체 섭취. 일부는 4일 만에 50cm 굴착. 매장 시체에서 중요. | |
Sphaeroceridae | 작은 시체 파리. | ||
Fanniidae | 작은 집파리. | ||
Sepsidae | 검정 청소 파리. | ||
Heleomyzidae | 햇빛 파리. | ||
Stratiomyidae | 검은병정파리. 유충은 퇴비 더미 청소 동물. 시체, 꿀벌 벌집에서 발견. 비료 관리에 사용. 유충은 3mm~19mm. 성충은 오르간 파이프 흙벌 모방자. | ||
Chironomidae | 비물린 모기. 복잡한 생활 주기. 성충은 육상/식물성, 유충은 수생/부식성. 유충은 법의학적 지표.[30] | ||
딱정벌레 | 반날개과 | (Staphylinidae) | 작고 긴 딱정벌레. 작은 딱지날개(날개 덮개)와 큰 턱. Creophilus 종은 시체의 포식자.[32] |
먼지벌레과 | (Histeridae) | 광택 있는 딱정벌레(검은색/금속 녹색). 머리가 안으로 들어감. 야행성. Saprinus 속은 검정파리 유충/번데기 섭취. | |
송장벌레과 | (Silphidae) | 평균 크기 약 12mm. 작은 사체 매장 습성.[33] Necrodes littoralis는 야외, 부패 후기 시체 선호.[34][35] | |
가죽벌레과 | (Dermestidae) | 가죽벌레 | |
바구미과 | (Cleridae) | 시체벌레 | |
껍질벌레과 | (Trogidae) | 케라틴 분해 효소 보유. | |
풍뎅이과 | (Scarabaeidae) | 약 0.51cm~약 12.19cm.[36] | |
잎벌레과 | (Chrysomelidae) | 잎벌레 | |
응애강 | 많은 진드기가 시체 섭취. Macrocheles 진드기는 부패 초기, Tyroglyphidae, Rostrozetes 등은 후기 건조 피부 섭취. | ||
나비목 | 좀나방과 | (Tineidae) | 옷좀나방 유충은 포유류 털 섭취.[38] |
벌목 | 말벌, 개미, 꿀벌. 일부는 시체, 일부는 포식성(기생). 넓적배허리벌과는 파리 번데기에 산란.[22] |
6. 1. 전갈파리
전갈파리(밑들이목)는 텍사스주 헌츠빌 인근의 동남 텍사스 응용 법의학 과학 시설에서 곤충학자 나탈리 린드그렌이 관찰했을 때, 기증된 인간 시신에 가장 먼저 도착한 곤충이었으며, 이 기간 동안 파리보다 더 많은 수로 시신에 머물렀다. 전갈파리가 많이 나타나는 것은 사후 경과 시간이 짧음을 나타낼 수 있다.[23][24]6. 2. 파리
파리는 부패하는 시체에서 방출되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에 이끌려 범죄 현장에 자주 나타난다.[25] 시체는 파리가 알을 낳기에 완벽한 환경을 제공하며, 발달하는 구더기는 먹이를 쉽게 얻을 수 있다. 시체에서는 여러 종류의 파리가 발견될 수 있다.과 | 과(한자) | 설명 |
---|---|---|
검정파리과 | (Calliphoridae) | 금속성 외관, 10mm~14mm.[26] 3분절 촉수. 알에서 첫 유충까지 8시간~1일 소요. 세 번의 탈피.[27] 느슨하고 습한 토양, 낙엽이 있는 온대/열대 지역 서식.[28] 약 16.09km 밖에서도 죽음 냄새를 맡음.[29] Calliphora vomitoria, Calliphora vicina 등이 주요 종. |
살파리과 | (Sarcophagidae) | 시체, 똥, 쓰레기 등에서 번식. 일부는 포유류 상처에 산란. 3분절 촉수. 4mm~18mm(열대종은 더 큼). 가슴에 검은색/회색 세로 줄무늬, 배에 체크 무늬. 살아있는 새끼를 낳음. 부패 전 단계 시체에서 발견. Sarcophaga barbata가 유용하나 정보 부족.[25] |
집파리과 | (Muscidae) | 가장 흔한 파리. 질병을 옮기는 해충. 6mm~9mm. 회색 가슴에 4개 어두운 세로선. 노란색 배 아랫면. 털로 덮임. 암컷은 최대 500개 산란. Hydrotaea 속이 중요. |
치즈파리과 | (Piophilidae) | 동물성 제품, 곰팡이류 청소동물. Piophila casei가 대표적. 4mm}. 유충은 경화 육류, 훈제 생선, 치즈, 부패 동물에 침입. 점프 능력으로 치즈 스키퍼라고도 함. 사망 3~6개월 후 시체 서식. 성충은 검은색/청록색/청동색, 노란색 머리/촉수/다리. 날개는 무지개빛. |
관파리과 | (Phoridae) | 꼽추 파리. 유충은 부패 시체 섭취. 일부는 4일 만에 50cm 굴착. 매장 시체에서 중요. |
Sphaeroceridae | 작은 시체 파리. | |
Fanniidae | 작은 집파리. | |
Sepsidae | 검정 청소 파리. | |
Heleomyzidae | 햇빛 파리. | |
Stratiomyidae | 검은병정파리. 유충은 퇴비 더미 청소 동물. 시체, 꿀벌 벌집에서 발견. 비료 관리에 사용. 유충은 3mm~19mm. 성충은 오르간 파이프 흙벌 모방자. | |
Chironomidae | 비물린 모기. 복잡한 생활 주기. 성충은 육상/식물성, 유충은 수생/부식성. 유충은 법의학적 지표.[30] |
현재 미국에서는 연구가 진행되어 재판 증거로 활용되지만, 일본에서는 아직 발전 단계에 있다. 이는 일본의 지역별, 환경별 곤충 생물 군집, 파리의 발육 속도 데이터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곤충 생육 속도는 국가, 지역, 기온, 강수량 등에 따라 다르므로, 미국 등 선진 연구 성과를 일률적으로 도입할 수 없다. 또한, 1970년대까지 위생동물학 분야에서 파리 연구가 활발했지만, 최근 일본에서는 모기 연구로 중심이 이동하며 연구자 수가 감소했다. 과거 파리 연구가 활발했던 시기에는 일본 대표 지역의 파리 계절 변동, 대표 종의 온도별 발육 속도 데이터가 확보되었지만, 실용적 수준에는 미치지 못한다. 따라서 향후 발전이 기대되지만, 현재로서는 어렵다.
오늘날 미국과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지역별 파리의 계절 변동 등 데이터가 확보되어 법의곤충학이 실용적 수준에 도달, 범죄 수사 및 재판의 중요한 증거가 되고 있다.
6. 2. 1. 검정파리과
파리는 부패하는 시체에서 방출되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에 이끌려 범죄 현장에 자주 나타난다.[25] 시체는 파리가 알을 낳기에 완벽한 환경을 제공하며, 발달하는 구더기는 먹이를 쉽게 얻을 수 있다. 시체에서는 여러 종류의 파리가 발견되는데,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은 검정파리과이다.검정파리과(Calliphoridae)에 속하는 파리는 금속성 외관을 가지며 길이는 10~14mm이다.[26] 검정파리라는 이름 외에도 파란병파리, 군집파리, 녹색병파리, 검은 검정파리 등으로도 불린다. 검정파리는 3분절된 촉수를 가진 것이 특징이다. 알에서 부화하여 첫 번째 유충 단계까지 8시간에서 1일이 걸린다. 유충은 세 단계를 거쳐 발달하며(이것을 령기라고 부름), 각 단계는 탈피로 구분된다.[27] 유충의 용화에 가장 이상적인 서식지는 느슨하고 습한 토양과 낙엽을 이용할 수 있는 곳이며, 온대 및 열대 지역에 주로 분포한다.[28] 전 세계적으로 1100종의 검정파리가 알려져 있으며, 신열대구에 228종, 아프리카와 남부 유럽에 많은 종이 있다. 검정파리과 종을 발견할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지역은 인도, 일본, 중앙 아메리카 및 미국 남부이다.
검정파리는 최대 약 16.09km 떨어진 곳에서도 죽음의 냄새를 맡을 수 있어 시체에 처음으로 접촉하는 곤충이기 때문에 법의학적으로 중요하다.[29] 검정파리과의 몇몇 주요 종으로는 ''Calliphora vomitoria''와 ''Calliphora vicina''가 있다.
6. 2. 2. 살파리과
살파리과는 대부분 시체, 똥, 쓰레기 또는 부패하는 물질에서 번식하지만, 몇몇 종은 포유류의 열린 상처에 알을 낳는다. 이러한 습성 때문에 '살파리'라는 일반명이 붙었다. 살파리의 특징은 3분절된 촉수이다. 대부분의 홀극 살파리는 길이가 4mm에서 18mm 사이이며(열대 종은 더 클 수 있음), 가슴에 검은색과 회색의 세로 줄무늬가 있고 배에 체크 무늬가 있다.살파리는 살아있는 새끼를 낳는 종이므로, 새로 죽은 시체에서부터 부어오르거나 부패하기 시작하는 시체에 이르기까지, 부패의 모든 단계에서 사람과 다른 동물의 시체에 자주 살아있는 새끼를 낳는다(후자가 더 흔하지만). ''Sarcophaga barbata''는 부패하는 시체에 구더기를 직접 낳고, 더 크고 눈에 잘 띄며, 다른 단계에서 활동이 다르기 때문에 특히 유용하다. 그러나 지리적 분포와 분류학적 특징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다.[25]
6. 2. 3. 집파리과
집파리는 집파리과(Muscidae)에 속하며, 가정에서 발견되는 파리 중 가장 흔하고 널리 분포하는 곤충 중 하나이다. 이들은 심각한 질병을 옮길 수 있어 해충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성충의 길이는 6~9mm이며, 가슴은 회색이고 등에는 4개의 어두운 세로선이 있다. 배의 아랫면은 노란색이며, 온몸이 털로 덮여 있다. 암컷 파리는 한 번에 약 75~150개의 알을 여러 번 낳아 최대 500개의 알을 낳을 수 있다. 특히 ''Hydrotaea'' 속은 법의학적으로 중요하다.6. 2. 4. 치즈파리과
치즈파리과는 대부분 동물성 제품 및 곰팡이류의 청소 동물이다. 이 과에서 가장 잘 알려진 구성원은 ''Piophila casei''이다. 전 세계적으로 발견되는 길이 약 4mm의 작은 파리이다. 이 파리의 유충은 경화된 육류, 훈제 생선, 치즈 및 부패하는 동물에 침입하며, 점프하는 능력 때문에 치즈 스키퍼라고 불리기도 한다. 법의 곤충학은 ''Piophila casei'' 유충의 존재를 사용하여 인간 유해의 사망 날짜를 추정하는 데 도움을 준다. 치즈파리과의 유충은 시체에 죽음 후 3~6개월이 지나야 서식한다. 성충의 몸은 검은색, 청록색 또는 청동색이며, 머리, 촉수 및 다리에 약간의 노란색이 있다. 날개는 희미하게 무지개빛을 띠며, 휴식 시 파리의 배에 평평하게 놓인다. 4mm로, 흔한 집파리의 3분의 1에서 2분의 1 정도이다.[25]6. 2. 5. 관파리과
관파리과(꼽추 파리)의 유충은 부패하는 시체를 먹고 산다. 일부 종은 4일 만에 50cm 깊이까지 굴을 팔 수 있어 매장된 시체에서 중요하다.6. 2. 6. 기타 파리 종류
파리는 부패하는 시체에서 방출되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에 이끌려 범죄 현장에서 종종 발견된다.[25] 시체는 파리가 알을 낳기에 완벽한 환경을 제공하며, 부화하는 구더기는 먹이를 쉽게 얻을 수 있다. 시체에서는 여러 종류의 파리가 발견될 수 있는데, 그중 중요한 종류는 다음과 같다.- 검정파리과(Calliphoridae) - 검정파리: 금속성 외관을 가진 10mm~14mm 길이의 파리이다.[26] 파란병파리, 군집파리, 녹색병파리, 검은 검정파리 등으로도 불린다. 3분절된 촉수가 특징이며, 알에서 첫 번째 유충 단계까지 8시간에서 1일이 걸린다. 유충은 세 번의 탈피를 거치며 성장한다.[27] 느슨하고 습한 토양과 낙엽이 있는 온대 및 열대 지역에 주로 서식한다.[28] 전 세계적으로 1100종이 알려져 있으며, 인도, 일본, 중앙 아메리카, 미국 남부에서 흔히 발견된다. 약 16.09km 떨어진 곳에서도 죽음 냄새를 맡을 수 있어 시체에 처음으로 접촉하는 곤충 중 하나이다.[29] ''Calliphora vomitoria''와 ''Calliphora vicina''가 대표적인 종이다.
- 살파리과 - 살파리: 시체, 똥, 쓰레기 등에서 번식하며, 일부 종은 포유류의 열린 상처에 알을 낳는다. 3분절된 촉수를 가졌으며, 대부분 4mm~18mm 길이(열대 종은 더 큼)이다. 가슴에는 검은색과 회색의 세로 줄무늬, 배에는 체크 무늬가 있다. 살아있는 새끼를 낳으며, 부패 초기부터 후기까지 모든 단계의 시체에서 발견된다. ''Sarcophaga barbata''는 부패하는 시체에 직접 구더기를 낳아 법의학적으로 유용하지만, 지리적 분포와 분류학적 특징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
- 집파리과(Muscidae) - 집파리: 가장 흔하고 널리 분포하는 곤충 중 하나로, 심각한 질병을 옮기는 해충으로 간주된다. 성충은 6mm~9mm 길이이며, 가슴은 회색, 등에는 4개의 어두운 세로선이 있다. 배 아랫면은 노란색이며, 온몸이 털로 덮여 있다. 암컷은 한 번에 약 75~150개의 알을 낳으며, 최대 500개까지 낳을 수 있다. ''Hydrotaea'' 속은 법의학적으로 중요하다.
- 치즈파리과 - 치즈파리: 동물성 제품 및 곰팡이류의 청소동물이다. ''Piophila casei''가 대표적이며, 전 세계적으로 발견되는 약 4mm 길이의 작은 파리이다. 유충은 경화된 육류, 훈제 생선, 치즈, 부패하는 동물에 침입하며, 점프 능력 때문에 치즈 스키퍼라고도 불린다. 사망 후 3~6개월이 지나야 시체에 서식하므로, 유충의 존재는 사망 시점 추정에 도움을 준다. 성충은 검은색, 청록색 또는 청동색이며, 머리, 촉수, 다리에 약간의 노란색이 있다. 날개는 희미하게 무지개빛을 띠며, 휴식 시 배에 평평하게 놓인다.
- Phoridae - 관파리: 꼽추 파리라고도 불리며, 유충은 부패하는 시체를 먹고 산다. 일부 종은 4일 만에 50cm 깊이까지 굴을 팔 수 있어 매장된 시체에서 중요하다.
- Sphaeroceridae - 작은 시체 파리:
- Fanniidae - 작은 집파리:
- Sepsidae - 검정 청소 파리:
- Heleomyzidae - 햇빛 파리:
- Stratiomyidae - 검은병정파리: 법의 곤충학에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 유충은 퇴비 더미에서 흔히 발견되는 청소 동물이며, 시체와 관련하여 발견된다. 꿀벌 벌집에서 파괴적인 해충이 될 수 있으며, 비료 관리(집파리 방제 및 비료량 감소)에 사용된다. 유충 크기는 3mm~19mm이다. 성충은 오르간 파이프 흙벌 말벌 및 그 친척과 매우 유사한 모방자이다.
- Chironomidae - 비물린 모기: 복잡한 생활주기를 가진다. 성충은 육상 및 식물성이지만, 유충은 수생 및 부식성이다. 유충의 미성숙 단계는 수중 시체가 발견된 사건에서 법의학적 지표로 사용된다.[30]
6. 3. 딱정벌레
딱정벌레(딱정벌레목)는 일반적으로 부패의 후기 단계에서 발견되며, 남은 조직을 분해하는 역할을 하여 부패의 마지막 단계에서 중요하다.[31] 건조한 환경에서는 딱정벌레가 나방파리(나방파리과)로 대체될 수 있다. 딱정벌레의 생애 주기는 보통 알, 유충, 번데기, 성충의 4단계로 구성되며, 각 단계는 유기체가 분해됨에 따라 변화하는 독특한 먹이 행동을 보인다. 법의학 수사에서 곤충의 존재와 발달 단계는 환경 상황, 시신 이동, 그리고 사후 간격(PMI) 추정에 중요한 데이터를 제공한다.법곤충학에서 곤충은 뚜렷한 생태적 책임과 다양한 지리적 분포로 인해 사망 사건 조사의 핵심 요소를 식별하는 데 도움을 주는 지표로 기능한다. 사체에서 발견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딱정벌레는 다음과 같다.
- 반날개과: 거름벌레 (반날개과)는 작고 긴 딱정벌레로, 딱지날개(날개 덮개)와 큰 턱을 가지고 있다.
- 먼지벌레과: 곰보벌레 (먼지벌레과) 성충은 광택이 나는 딱정벌레(검은색 또는 금속 녹색)로 머리가 안으로 들어가 있다.
- 송장벌레과: 송장벌레 (송장벌레과) 성충은 평균 크기가 약 12mm이다. 작은 사체를 땅에 파묻는 습성 때문에 땅에 묻는 딱정벌레라고도 불린다.[33]
- 가죽벌레과: 가죽벌레.
- 바구미과: 시체벌레.
- 껍질벌레과: 옷좀벌레 (껍질벌레과)는 사체의 부패 마지막 단계에서 중요하다. 성충과 유충은 파리 유충이 남긴 마른 피부, 힘줄, 뼈를 먹고 산다. 껍질벌레는 머리카락의 단백질 성분인 케라틴을 분해하는 효소를 가진 유일한 딱정벌레이다.
- 풍뎅이과: 풍뎅이 (풍뎅이과)는 전 세계적으로 약 30,000종에 달하는 딱정벌레 종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작고, 몸이 무겁고, 타원형이다. 풍뎅이의 길이는 약 0.51cm에서 약 12.19cm이다.[36]
- 잎벌레과: 잎벌레.
6. 3. 1. 반날개과
딱정벌레 (딱정벌레목)는 일반적으로 부패의 후기 단계에서 발견된다.[31] 법의학 수사에서 곤충의 존재와 발달 단계는 환경 상황, 시신 이동, 그리고 사후 간격(PMI) 추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반날개과는 작고 긴 딱정벌레로, 딱지날개(날개 덮개)와 큰 턱을 가지고 있다. 거름벌레는 알, 유충, 번데기, 성충의 4단계 생애 주기를 거친다.[32]''Creophilus'' 종은 사체의 일반적인 포식자이며 크기가 커서 시체의 동물군에서 매우 눈에 띄는 구성 요소이다. 일부 성충 반날개과 곤충은 시체에 처음으로 방문하여 나중에 포식성 파리 유충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파리 유충을 먹는다. 시체에 알을 낳고 부화하는 유충 또한 포식자이다. 어떤 종은 알에서 발달 시간이 길어서 부패의 후기 단계에서만 흔히 발견된다. 반날개과는 또한 파리의 번데기를 찢어 장기간 시체에서 생존할 수 있다.
6. 3. 2. 먼지벌레과
먼지벌레과에 속하는 성충 곰보벌레는 일반적으로 광택이 나는 검은색 또는 금속 녹색 딱정벌레로 머리가 안으로 들어가 있다. 사체를 먹는 종은 밤에만 활동하며 구더기가 들끓는 시체 부위로 들어가 먹이인 구더기를 잡아먹는다. 낮 동안에는 시체 안에 숨을 수 있을 정도로 부패하지 않으면 시체 아래에 숨는다. 곰보벌레는 두 단계의 유충 단계만 거치며 유충 발달이 빠르다.[31] 시체에 가장 먼저 도착하는 딱정벌레 중에는 ''Saprinus'' 속의 먼지벌레과가 있다. ''Saprinus'' 성충은 검정파리의 유충과 번데기를 모두 먹지만, 신선한 번데기를 선호하는 경우도 있다. 성충은 시체에 알을 낳고 부패의 후기 단계에서 서식한다.6. 3. 3. 송장벌레과
딱정벌레는 일반적으로 부패의 후기 단계에서 발견된다.[31] 이들은 남은 조직을 분해하는 역할을 하며 부패의 마지막 단계에서 중요하다. 송장벌레과의 딱정벌레(송장벌레)는 평균 크기가 약 12mm이다. 이들은 작은 사체를 땅에 파묻는 습성 때문에 땅에 묻는 딱정벌레라고도 불린다.[33] 부모 모두 어린 새끼를 돌보고 공동 번식을 하며, 수컷은 경쟁자로부터 번식과 사체를 보호한다. ''Necrodes littoralis''는 송장벌레과의 한 종류로, 야외에 있고 부패의 후기 단계에 있는 시체에 서식하는 것을 선호한다. ''N. littoralis''를 비롯한 송장벌레의 활동과 행동을 모델링하는 것은 사망 시점을 추정하는 데 유용한 도구이다.[34][35]6. 3. 4. 기타 딱정벌레 종류
딱정벌레 (목 딱정벌레목)는 일반적으로 부패의 후기 단계에서 발견되며, 남은 조직을 분해하는 역할을 한다.[31] 법의학 수사에서 곤충의 존재와 발달 단계는 환경 상황, 시신 이동, 그리고 사후 간격(PMI) 추정에 중요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사체에서 발견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딱정벌레는 다음과 같다.- 거름벌레 (Rove beetle영어) - 반날개과 - 는 작고 긴 딱정벌레로, 작고 긴 딱지날개 (날개 덮개)와 큰 턱을 가지고 있다. ''Creophilus'' 종은 사체의 일반적인 포식자이며 크기가 커서 시체의 동물군에서 매우 눈에 띄는 구성 요소이다. 일부 성충 반날개과 곤충은 시체에 처음으로 방문하여 나중에 포식성 파리 유충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파리 유충을 먹는다.[32]
- 곰보벌레 (Hister beetle영어) - 먼지벌레과 - 성충 곰보벌레는 일반적으로 광택이 나는 딱정벌레(검은색 또는 금속 녹색)로 머리가 안으로 들어가 있다. 사체를 먹는 종은 밤에만 활성화되어 구더기가 창궐한 시체 부위로 들어가 먹이인 구더기를 잡아먹는다. 시체에 가장 먼저 도착하는 딱정벌레 중에는 ''Saprinus'' 속의 먼지벌레과가 있다. ''Saprinus'' 성충은 검정파리의 유충과 번데기를 모두 먹지만, 신선한 번데기를 선호하는 경우도 있다.
- 송장벌레 (Carrion beetle영어) - 송장벌레과 - 성충 송장벌레의 평균 크기는 약 12 mm이다. 그들은 또한 작은 사체를 땅에 파묻는 습성 때문에 땅에 묻는 딱정벌레라고도 불린다.[33] ''Necrodes littoralis''는 실벌레과에 속하는 송장벌레의 한 종류로, 야외에 있고 부패의 후기 단계에 있는 시체에 서식하는 것을 선호한다. ''N. littoralis''와 다른 송장벌레와 같은 송장벌레의 활동과 행동을 모델링하는 것은 사망 시점을 추정하는 데 유용한 도구이다.[34][35]
- 가죽벌레 - 가죽벌레과.
- 시체벌레 - 바구미과.
- 옷좀벌레 - 껍질벌레과 - 껍질벌레는 사체의 부패 마지막 단계에서 중요하다. 성충과 유충은 파리 유충이 남긴 마른 피부, 힘줄, 뼈를 먹고 산다. 껍질벌레는 머리카락의 단백질 성분인 케라틴을 분해하는 데 필요한 효소를 가진 유일한 딱정벌레이다.
- 풍뎅이 (Scarab beetle영어) - 풍뎅이과 - 풍뎅이는 전 세계적으로 약 30,000종에 달하는 딱정벌레 종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작고, 몸이 무겁고, 타원형이다. 각 안테나가 끝나는 평평한 판은 클럽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맞춰진다. 앞다리의 바깥쪽 가장자리도 톱니 모양이거나 물결 모양일 수 있다. 풍뎅이의 길이는 약 0.51cm에서 약 12.19cm이다. 이 종은 가장 무거운 곤충 종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36]
- 잎벌레 - 잎벌레과.
6. 4. 진드기
많은 진드기 (class 응애강, 곤충 아님)가 시체를 먹고 산다. 마크로켈레스(Macrocheles) 진드기는 부패 초기에 흔하게 발견되며, 티로글리피대(Tyroglyphidae)와 로스트로제테스(Rostrozetes)와 같은 오리바티대(Oribatidae) 진드기는 부패 후기에 건조된 피부를 먹고 산다.넓적벌레는 종종 몸에 포에킬로키루스(''Poecilochirus'') 진드기를 가지고 다니는데, 이 진드기는 파리 알을 먹고 산다.[37] 만약 이들이 파리 알이 구더기로 부화하기 전에 시체에 도착하면, 첫 번째 알을 먹어 치워 구더기 발달을 지연시킨다. 이것은 부적절한 사망 시간 추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 넓적벌레는 검정파리 구더기의 암모니아 배설물을 독성으로 여기며, 포에킬로키루스(''Poecilochirus'') 진드기는 구더기 개체 수를 낮게 유지하여 넓적벌레가 시체를 점유할 수 있도록 돕는다.
6. 5. 나방
나방(목 나비목) 특히 옷좀나방(좀나방과)은 나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부분의 나방 종은 야행성이지만, 황혼과 주행성 종도 있다. 유충 단계에서 옷좀나방은 포유류의 털을 먹는 경향이 있다.[38] 이들은 시체의 분해에 기여하는 마지막 동물 중 하나이다. 이는 성충 나방이 사체에 유충이 있던 후에 알을 낳는다는 것을 의미한다.6. 6. 벌, 개미, 꿀벌
말벌, 개미, 꿀벌(벌목)은 반드시 부패성 식성을 가진 것은 아니다. 일부는 시체를 먹지만, 일부는 포식성이며 시체를 먹는 곤충을 먹기도 한다. 즉, 이는 기생생물(기생벌)임을 의미한다. 이 벌목 곤충은 다른 곤충의 알이나 번데기 안에 알을 낳아, 근본적으로 숙주 곤충을 죽게 한다.[22] 말벌은 넓적배허리벌과와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 넓적배허리벌과는 단일 또는 여러 개의 알을 낳을 수 있다. 그들은 파리류(구더기)의 번데기에 산란한다. 결과적으로 말벌 알이 부화하면, 유충은 번데기 내에서 발달하는 파리를 먹고, 이는 파리의 죽음으로 이어진다.[22] 꿀벌과 말벌은 초기 단계에서 시체를 먹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는 시체에 있는 알과 유충이 수사관이 현장에 도착하기 전에 섭취될 수 있으므로, 살인 사건에서 유충을 사후 경과 시간 추정에 사용하는 경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7. 곤충 천이
법곤충학에서 활용되는 곤충 천이는 시체가 발견된 후 곤충이 차례대로 서식하며 부패가 진행되는 과정을 의미한다.[39] 곤충은 알, 유충, 번데기, 성충의 4단계 생활사를 거치는데, 법의학 수사에서는 곤충의 존재와 발달 단계를 통해 환경, 시체 이동, 사망 후 경과 시간(PMI) 등을 추정한다.[39] 곤충 천이는 사후 경과 시간(PMI) 예측에 필수적이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된다.
1. 신선 단계: 구더기 파리나 검정파리 등 부패성 곤충이 시체에 먼저 도착하여 알을 낳는다. 이 알에서 부화한 구더기는 시체 조직을 먹이로 삼는다.[40][41]
2. 팽창 단계: 시체가 분해되면서 발생하는 가스로 인해 부풀어 오른다. 이 단계에서는 치즈파리나 관파리 등이 흔하게 발견된다.[40][41]
3. 부패 단계: 시체가 더욱 부패하면서 곤충 군집에도 변화가 생긴다. 포식성 곤충과 진드기가 증가하고, 가죽벌레나 반날개와 같은 딱정벌레류도 늘어난다.[40][41]
4. 건조 단계: 시체가 말라가며 부패 마지막 단계에 이르면 뼈가 드러난다. 햄벌레나 가죽벌레 같은 곤충, 그리고 다른 청소 동물들이 남은 유해를 처리한다.[40][41]
현재 미국에서는 법곤충학 연구가 활발하여 재판 증거로도 활용되지만, 일본은 아직 발전 단계에 머물러 있다. 곤충 생육 속도는 국가, 지역, 기온, 강수량 등에 따라 다르므로, 미국 등 선진 연구 결과를 그대로 적용하기 어렵다. 오늘날 미국과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지역별 파리의 계절 변동 등 관련 데이터가 충분히 확보되어 법곤충학이 범죄 수사나 재판에서 중요한 증거로 활용되고 있다.
8. 사후 경과 시간 추정
법곤충학에서 중요한 부분은 곤충 활동 관찰을 통해 사후 경과 시간(PMI)을 계산하는 것이다.[39] 법곤충학자들은 시신이나 근처에서 발견된 곤충의 생활 단계를 보고 사망 시점을 추정할 수 있다.
곤충의 군집 형성과 발달 속도는 온도, 습도, 다른 생물의 존재 등 여러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39] 누적 온도 시간(ADH) 접근 방식은 사망 이후 신체에서 생성된 총 열 에너지 양을 계산하며, 이는 법곤충학자들이 PMI를 추정하는 데 사용하는 모델 중 하나이다.[39]
곤충 증거를 바탕으로 한 PMI 추정은 보통 정확하지만, 곤충 활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신체 위치, 주변 환경, 곤충 행동과 같은 추가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현재 미국에서는 연구가 진행되어 재판 증거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일본에서는 아직 발전 단계에 있다. 일본에서는 지역별, 환경별로 시체에 형성되는 곤충 군집이 충분히 밝혀지지 않았고, 시체에서 우점하는 종인 파리조차 온도 환경에 따른 발육 속도 데이터가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곤충의 생육 속도는 국가, 지역, 기온, 강수량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지므로, 법곤충학 선진 지역인 미국 등 선진 연구 성과를 일률적으로 도입할 수 없다. 또한, 전후부터 1970년대까지는 위생동물학 분야에서 파리 연구도 활발했지만, 최근 일본에서 위생동물학 연구는 모기 연구로 옮겨가 연구자 수가 줄고 있다. 파리 연구가 활발했던 시기에는 일본의 대표적인 지역에서 파리의 계절 변동이나, 몇몇 종의 온도 환경에 따른 발육 속도 데이터도 얻었지만, 실용적인 수준에는 아직 데이터가 부족하다. 따라서 재판에서 증거를 얻는 방법으로서 발전이 기대되지만, 현재로서는 어렵다.
오늘날 미국과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지역별 파리의 계절 변동 등의 데이터가 확보되어 법곤충학이 실용적인 수준에 도달했고, 범죄 수사나 재판의 중요한 증거가 되고 있다.
법곤충학적 관점에서 알 수 있는 예는 다음과 같다.
- 파리 등 곤충(유충)의 성장 상태를 통해 시신 유기 후 추정 경과 시간을 알 수 있다.
- 시신에 붙은 곤충의 서식 분포를 통해 살해 현장을 특정할 수 있다.
9. 요인
곤충은 변온 동물이므로 발달 속도는 주변 온도에 영향을 받는다.[48] 햇빛을 많이 받는 시체는 따뜻해져 곤충의 발달 시간을 단축시키는 반면, 그늘진 곳의 시체는 온도가 낮아 곤충의 성장이 더디다.
장 피에르 메그닌의 ''시체 동물상(La Faune des Cadavres)''에 따르면, 시체에는 8가지 뚜렷한 동물군 계승이 나타난다. 대부분의 딱정벌레와 파리는 전 세계적으로 발견되지만, 일부는 특정 서식지에 제한된다.
특정 시기의 다양한 기상 조건은 곤충이 먹이, 물, 은신처를 찾아 인간의 가정을 침입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미국에서는 법곤충학 연구가 재판 증거로 활용되지만, 일본에서는 아직 발전 단계에 있다.
9. 1. 습도 수준
시체의 부패와 곤충 활동은 습도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높은 습도는 미생물 번식을 촉진하여 조직 분해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부패 과정을 가속화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미생물 활동으로 생성된 냄새와 가스는 곤충을 시체로 유인한다. 이러한 냄새는 특히 검은파리나 구더기파리와 같은 곤충에게 매력적이며, 습한 환경에서 시체에 빠르게 모여들 수 있다.[42]반면에 낮은 습도는 분해 과정을 방해할 수 있다. 건조한 환경에서는 시체가 수분을 더 빠르게 잃어 분해보다는 미라화가 일어날 수 있다. 많은 곤충이 생존하기 위해 습한 환경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는 곤충의 활동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죽벌레와 같은 일부 곤충은 건조한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으며 시체에서 발견될 수 있다.[43][44]
시체 옆에 고인 물의 존재 또한 곤충의 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물방개나 일부 파리 종류와 같은 수생 곤충은 물 근처의 시체로 유인될 수 있다. 이러한 곤충은 시체에 서식하며 부패를 가속화할 수 있다. 또한, 곤충 종마다 서식지에 대한 선호도가 다르기 때문에, 물의 존재는 시체에 서식하는 곤충의 종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시체의 부패 속도와 패턴, 곤충의 서식은 습도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법곤충학자들은 습도 수준이 부패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함으로써 사후 경과 시간을 추정하고 사망 당시의 상황을 재구성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45]
9. 2. 물에 잠긴 시체
법곤충학자인 M. 리 고프(M. Lee Goff)는 해안에서 800m 떨어진 배에서 발견된 부패한 시신과 관련된 사건을 담당했다. 구더기 덩어리를 수집한 결과, ''검은집파리'' 한 종만 발견되었다. 그는 물의 장벽이 다른 파리가 드문 이유라고 결론 내렸다. 그는 또한 파리가 상당한 매력적인 요인이 없는 한 넓은 수역을 건너려고 시도하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다.[46]구더기 덩어리가 바닷물에 노출된 시간은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고프가 관찰한 사례에서 그는 30분 이상 노출된 경우 24시간의 발달 지연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더 많은 연구가 수행되지 않아 특정 지연 시간을 추정하기는 어렵다.[46]
페인과 킹[47]이 태아 돼지를 사용하여 수행한 연구는 수생 환경에서 시체 부패와 관련된 곤충의 천이에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 결과, 시체의 초기 부유 단계에서 파리들이 알을 낳았다. 또한 부패 단계에 이르러 노출된 대부분의 살점이 사라지고 구더기가 시체에서 이동했다. 후자의 많은 부분이 수면 아래에 존재하며 시체를 먹고 있었고, 그들의 기문만 표면에 드러났다.
9. 3. 햇빛 노출
곤충은 변온 동물이므로 발달 속도는 주변 온도에 영향을 받는다.[48] 햇빛에 많이 노출된 시체는 따뜻해져 곤충에게 더 따뜻한 발달 환경을 제공하며, 이는 발달 시간을 단축시킨다. 버나드 그린버그와 존 찰스 쿠니치가 토끼 사체를 사용하여 누적 온도 일수를 연구한 실험에서는 온도가 23°C에서 31°C 사이일 때 구더기의 발달 시간이 현저히 단축되는 것을 발견했다.[49]반대로, 그늘진 곳에서 발견된 시체는 더 차가워 곤충의 성장 기간이 길어진다. 또한, 온도가 극심한 추위에 도달하면 곤충은 생존과 번식의 기회를 늘리기 위해 더 적합한 기후에서 부화하도록 본능적으로 발달 시간을 연장한다.
곤충의 활동과 서식 패턴은 태양 노출의 길이와 강도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온도가 상승하면 발달 속도가 빨라지므로, 곤충은 햇빛에 직접적으로 장시간 노출된 장소에서 더 활발하게 활동하고 시체에 더 빠르게 서식할 가능성이 높다. 이는 그늘진 지역과 비교했을 때, 곤충의 생애와 분해 단계가 더 빨리 진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에, 낮은 온도의 그늘진 지역은 곤충 활동과 분해 속도가 느려져 곤충의 서식과 분해 과정을 지연시킨다.[50]
9. 4. 공기 노출
목을 매단 시체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파리가 발견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매달린 시체에 파리가 머무는 시간은 땅에서 발견된 시체와 비교하여 다를 것이다. 매달린 시체는 공기에 더 많이 노출되어 더 빨리 건조되며, 이는 구더기에게 더 적은 먹이를 제공한다.매달린 시체에서 곤충의 존재와 행동은 다양할 수 있다. 시체가 부패하기 시작하면 체액이 땅으로 흘러나온다. 이 지역은 예상되는 대부분의 동물군이 발견될 수 있는 곳이다. 또한, 몸체 바로 위 대신 가죽벌레와 다른 비행 곤충이 여기서 발견될 가능성이 더 높다. 처음 시체에 놓인 파리 구더기도 아래에서 발견될 수 있다.[46]
9. 5. 지리적 요인
장 피에르 메그닌의 저서 ''시체 동물상(La Faune des Cadavres)''에 따르면, 시체에 유인되는 8가지 뚜렷한 동물상 계승이 존재한다. 대부분의 딱정벌레와 파리는 전 세계적으로 발견될 수 있지만, 일부는 특정 서식지에 제한되어 있다. 이러한 곤충의 지리적 분포를 아는 것은 사후 간격이나 시체가 원래 사망 장소에서 옮겨졌는지와 같은 정보를 결정하는 데 중요할 수 있다.검정파리과는 시체에 가장 먼저 도착한다는 점에서 법곤충학에 관한 가장 중요한 과라고 할 수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발견될 수 있다. 털 구더기 파리인 ''붉은털검정파리(Chrysomya rufifaces)''는 널리 퍼져 있지만, 남부 캘리포니아, 애리조나, 뉴멕시코, 루이지애나, 플로리다, 또는 일리노이 지역에서는 흔하지 않다.[51]
파리매는 일반적으로 검정파리과 다음에 시체에 도착한다. 그러나 검정파리과와 달리 이 과의 구성원은 폭우 속에서도 날 수 있다. 파리매는 미국, 유럽, 아시아 및 중동을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분포한다.[52]
딱정벌레는 딱정벌레목을 대표하며, 남극 대륙과 높은 산악 지역을 제외한 거의 모든 환경에서 발견될 수 있다. 가장 다양한 딱정벌레 동물상은 열대 지방에서 발견될 수 있다. 또한 딱정벌레는 온도에 덜 종속적이다. 따라서 시체가 낮은 온도에서 발견된 경우 딱정벌레가 검정파리과보다 우세하게 나타날 것이다.
곤충의 생육 속도는 국가, 지역, 기온, 강수량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법의곤충학 선진 지역인 미국 등 선진 연구의 성과를 일률적으로 도입할 수 없다.
오늘날, 미국과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지역별 파리의 계절 변동 등의 데이터가 치밀하게 확보되어, 법의곤충학도 실용적인 수준에 도달하여 범죄 수사나 재판의 중요한 증거가 되고 있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아직 발전 단계에 있다.
9. 6. 날씨
습한 날씨는 많은 종류의 곤충 번식과 성장을 촉진시키는데, 특히 따뜻한 온도와 결합될 때 더욱 그렇다. 이때 주로 문제가 되는 해충은 개미, 거미, 귀뚜라미, 바퀴벌레, 무당벌레, 말벌, 땅벌, 생쥐, 그리고 쥐이다.건조한 날씨에는 외부 수분 부족으로 인해 많은 해충이 물을 찾아 내부로 들어온다. 비가 오는 날씨가 곤충의 수를 증가시키는 반면, 건조한 날씨는 해충의 침입을 증가시킨다. 건조한 환경에서 가장 흔하게 알려진 해충은 전갈, 개미, 쥐며느리, 지네, 귀뚜라미, 그리고 거미이다. 극심한 가뭄은 많은 곤충 개체 수를 줄이지만, 생존한 곤충들은 더 자주 침입하게 만들기도 한다.
차가운 외부 온도는 늦여름과 초가을에 침입을 유발한다. 단풍나무 방패벌레, 집파리, 무당벌레, 그리고 좀벌레는 따뜻한 실내를 찾는 가장 흔한 곤충으로 관찰된다.[53] 일반적으로 곤충은 변온동물이기 때문에, 곤충의 활동 수준은 주변 환경 조건에 크게 의존한다. 온도가 상승하면 곤충의 신진대사가 가속화되며, 이는 활동 증가로 이어진다.[54]
10. 현대 기술
최근 법곤충학은 곤충 증거를 수집하거나 오래된 정보를 재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새로운 기술들이 개발[55]되면서, 소송과 항소에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법곤충학에서 DNA의 사용과 같이 절지동물 생물학뿐만 아니라 화학 및 유전학 등 다양한 과학 분야와의 협력을 통해 곤충 기반 증거 분석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있다. 안정 동위원소 분석 및 DNA 분석과 같은 최첨단 기술들은 곤충 종 식별, 지리적 기원 추적, 사망 상황과 관련된 중요한 결론 도출 등 법곤충학 분야를 확장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10. 1. 주사 전자 현미경(SEM)
파리 유충과 파리 알은 사후 경과 시간(PMI)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PMI를 정확하게 추정하기 위해 유충과 알을 종 수준까지 식별해야 하며, 이를 위해 현재 법곤충학적으로 중요한 곤충의 다양한 종을 구별하기 위한 많은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2007년 연구에서는 주사 전자 현미경법(SEM)을 사용하여 알과 구더기의 주요 형태학적 특징을 식별할 수 있는 기술을 보여준다.[56] 문합의 유무, 앞쪽 및 뒤쪽 기문[57]의 유무, 두인인두 골격뿐만 아니라 중앙 영역의 모양과 길이 등은 다양한 종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형태학적 차이점이다.SEM 방법은 파리 알을 식별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학적 특징을 제공하지만, 몇 가지 단점이 있다. 주요 단점은 값비싼 장비가 필요하고 알이 기원한 종을 식별하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현장 연구나 특정 알을 신속하게 식별하는 데 유용하지 않을 수 있다.[58] SEM 방법은 충분한 시간과 적절한 장비가 있고 특정 파리 알이 풍부하게 있는 경우 효과적이다. 이러한 형태학적 차이점을 이용하면 법곤충학자는 시신이 사후에 훼손되었는지 여부와 같은 기타 관련 정보와 함께 사후 경과 시간을 추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10. 2. 과망간산 칼륨 염색
수집된 알은 생리 식염수 용액으로 헹군 후 유리 페트리 접시에 넣는다. 알을 1% 과망간산 칼륨 용액에 1분 동안 담근 다음 탈수하여 슬라이드에 부착하여 관찰한다.[58] 이 슬라이드는 교정된 접안렌즈가 있는 모든 광학 현미경과 함께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학적 특징을 비교할 수 있다. 알을 식별하는 데 가장 중요하고 유용한 특징은 플라스트론의 크기, 길이 및 너비, 그리고 미세공 주변 영역의 플라스트론 형태이다.[58] 법곤충학적으로 중요한 종에 대한 표준과 비교하여 다양한 측정 및 관찰을 통해 알의 종을 결정한다.10. 3.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2001년, 제프리 웰스(Jeffrey Wells)와 펠릭스 스펄링(Felix Sperling)은 미토콘드리아 DNA를 사용하여 Chrysomyinae 아과의 서로 다른 종을 구별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이는 특정 생활 단계에서 뚜렷한 형태학적 특징이 없는 표본의 정체를 파악하는 데 특히 유용하다.[1]10. 4. 모의 범죄 현장
법곤충학자 훈련에 매우 흔하게 사용되는 귀중한 도구는 돼지 사체를 이용한 모의 범죄 현장 활용이다. 돼지 사체는 인체를 나타내며 절지동물 천이와 사후 경과 시간 추정 모두에 대한 다양한 환경적 영향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59] 돼지는 법의학 실험 분석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시도에서 가장 자주 활용되는 모델이다. 돼지는 피하 지방 저장량, 피부 두께, 성체 체질량 범위, 털 덮개 및 잡식성 식단과 같은 여러 특성이 인간과 비슷하기 때문이다.[60]10. 5. 유전자 발현 연구
유충 단계에서의 신체적 특징과 크기를 이용하여 파리의 나이를 추정해 왔지만, 최근에는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기반으로 알의 나이를 결정하는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는 크기 변화로 나타나지 않는 발달 단계, 예를 들어 알이나 번데기 단계에서 특히 유용하며, 해당 발달 단계의 기간을 기반으로 일반적인 시간 간격만 추정할 수 있는 경우에 유용하다. 이는 발달 단계를 예측 가능한 유전자 발현 변화에 따라 더 작은 단위로 세분화하여 수행된다.[61]''초파리''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bicoid (bcd), slalom (sll) 및 chitin synthase (cs)의 세 가지 유전자를 측정했다. 이 세 가지 유전자는 알 발달 과정의 다양한 시기에 서로 다른 수준으로 발현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사용되었다. 이 유전자들은 모두 알의 나이와 관련하여 선형적인 관계를 공유한다. 즉, 알의 나이가 많을수록 특정 유전자가 더 많이 발현된다.[61] 그러나 모든 유전자는 서로 다른 양으로 발현된다. 다른 파리 종의 경우에는 다른 유전자 좌위의 유전자를 선택해야 한다. 유전자 발현은 특정 시간 간격에서 유전자 발현의 발달 차트를 만들기 위해 대조군 샘플에서 매핑된다. 이 차트를 유전자 발현의 측정 값과 비교하여 2시간 이내의 정확도로 알의 나이를 예측할 수 있으며, 높은 신뢰 수준을 가진다.[61]
이 기술을 사용하여 알의 나이를 추정할 수 있지만, 널리 사용되는 법의학 기술이 되기 위해서는 이 기술의 실현 가능성과 법적 수용성을 고려해야 한다.[61] 이 기술의 한 가지 장점은 다른 DNA 기반 기술과 유사하여 대부분의 실험실에서 새로운 자본 투자 없이 유사한 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의 나이 결정은 유충 및 번데기의 나이를 보다 정확하게 찾는 데 사용되는 과정에 있지만, 이러한 단계에서는 더 많은 유전자가 발현되므로 훨씬 더 복잡하다.[61] 이러한 기술과 유사한 다른 기술을 통해 보다 정확한 사망 후 경과 시간(PMI)을 얻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10. 6. DNA 분석
현대 법곤충학은 곤충 종을 정확하게 식별하고 인체 유해와의 상호 작용에 대한 중요한 통찰력을 얻기 위한 기본 도구로서 DNA 분석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이 방법을 사용하여, 범죄 현장에서 발견된 곤충 표본에서 DNA를 추출하여 알려진 DNA 염기 서열이 포함된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한다. 법곤충학자들은 종 식별을 확인하고, 부패와 관련된 특정 종의 존재를 식별하며, 곤충 DNA 검사를 통해 곤충과 특정 지리적 영역 간의 연관성을 확립할 수도 있다.[62]곤충 위 내용물 식별은 법곤충학에서 DNA 분석의 주요 사용 중 하나이다. 수사관들은 시체에서 발견된 구더기나 다른 곤충 유충의 내장에 포함된 DNA 서열 분석을 통해 곤충의 가장 최근 식사를 확인할 수 있다. 사후 간격(PMI)을 결정하거나 오염 또는 감염의 가능한 원인을 찾을 때, 이 정보는 매우 중요할 수 있다.[39]
곤충의 분산 패턴과 군집 행동 연구 또한 DNA 연구를 통해 변화했다. 연구자들은 곤충 집단의 유전적 다양성을 검사하여 이동 및 군집 패턴을 추론할 수 있다. 이는 범죄 현장에서 발견된 곤충 표본의 기원이나 시체의 운송에 대한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63]
전반적으로, DNA 분석은 법곤충학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켜 수사관들이 이전에 곤충 증거로부터 얻을 수 없었던 특정 정보를 얻을 수 있게 했다.
10. 7. 안정 동위원소 분석
안정 동위원소 분석은 법곤충학에서 인체 잔해와 관련된 곤충의 생태와 생활사를 밝히기 위해 점점 더 많이 사용되는 현대적인 방법이다. 이 기술을 사용하여 곤충 조직에서 발견되는 탄소, 질소, 수소 및 산소를 포함한 원소의 안정 동위원소 조성을 측정한다. 곤충의 식단과 기원을 포함하여 곤충이 발달한 환경이 이러한 동위원소에 반영된다.[64]안정 동위원소 분석은 시신 또는 곤충 자체의 이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시신에서 발견된 곤충의 지리적 기원을 식별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법의학 조사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곤충이 유기물을 섭취했는지 또는 인체 잔해를 섭취했는지와 같은 곤충의 식단 특성을 안정 동위원소 분석으로 추론할 수 있다. 이 정보는 부패 과정에서 곤충의 기능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65]
이 방법론은 곤충 종을 식별하거나 나이를 추정하기 위해 전통적인 방법을 사용할 때 매우 유용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안정 동위원소 분석은 곤충의 주변 환경을 나타내는 독특한 화학적 지문을 제공하여 법곤충학적 조사의 정확성과 깊이를 향상시켜 보다 정확하고 철저한 법의학 연구에 기여한다.
11. 곤충 활동 사례 연구
뉴질랜드에서 유해에 대한 곤충 군집 및 천이(생태계에서 생물 군집 구조의 변화)에 대한 예비 조사는 부패와 곤충 군집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나타냈다.[66]
환경 | 일일 평균 최고 기온 | 일일 평균 최저 기온 | 평균 강수량 (처음 3주) | 곤충 군집 |
---|---|---|---|---|
환경 1 | 19.4°C | 11.1°C | 3mm | 17~45일 경 활발한 부패 시작. Calliphora stygia(27일까지 지속), Chrysomya rufifacies 유충 (13~47일), Hydrotaea rostrata, Lucilia sericata 유충, Psychodidae 과, Sylvicola(부패 후반부) |
환경 2 | 21.4°C | 13.5°C | 1.4mm | 사후 6일째부터 15일경까지 부패. Calliphora quadrimaculata, 성충 Sphaeroceridae, Psychodidae, Piophilidae (부패 후기) |
환경 3 | 18°C | 13°C | 0.4mm | 사망 후 7일까지 팽창 단계, 이후 약 14일 경 활동성 부패. H. rostrata, 성충 Heleomyzidae, Sylvicola 유충 및 성충 (골격화 전 단계) |
12. 문학에서의 법곤충학
20세기 초 대중 과학 문헌은 곤충학에 대한 광범위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시작했다. 알프레트 브레헴의 매우 인기 있는 10권짜리 책 시리즈인 ''Thierleben''(동물의 생애, 1876–1879)은 동물학적 주제, 특히 절지동물의 생물학을 자세히 설명했다. 프랑스 곤충학자 장앙리 파브르의 접근하기 쉬운 글쓰기 스타일도 곤충학 대중화에 기여했다. 그의 저작 모음집인 ''Souvenirs Entomologique''는 19세기 후반에 쓰였으며, 관찰된 곤충의 행동과 생활 주기에 대한 세심한 주의 때문에 특히 유용하다.[1][67]
곤충 증거를 사용하여 범죄를 해결하는 것에 대한 현대 문화적 매력의 진정한 원동력은 프랑스 수의사이자 곤충학자인 장피에르 메닌의 저서 ''Faune des Tombeaux''(무덤의 동물군, 1887) 및 ''Les Faunes des Cadavres''(시체의 동물군, 1894)에서 비롯되었다. 이 연구들은 시체에서 곤충 생태적 천이 과정의 개념을 이전의 어떤 과학 연구보다 일반 독자가 이해하고 흥미롭게 느낄 수 있도록 만들었다. 메닌의 연구가 출판된 후 법의학과 곤충학 연구는 서구 대중 문화의 확고한 부분이 되었고, 이는 다시 다른 서구 과학자들이 그의 연구를 계속하고 확장하도록 영감을 주었다.[1]
13. 한국의 법곤충학 현황과 과제
일본에서는 법곤충학이 아직 발전 단계에 있다. 일본의 지역별, 또는 서로 다른 환경별로 시체 위에 형성되는 곤충의 생물 군집이 충분히 밝혀지지 않았고, 시체 위에서 우점하는 종인 파리조차, 서로 다른 온도 환경에서의 발육 속도 데이터가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이다.[1]
곤충의 생육 속도는 국가, 지역, 기온, 강수량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법의곤충학 선진 지역인 미국 등 선진 연구의 성과를 일률적으로 도입할 수 없다. 1970년대까지는 위생동물학 분야에서 파리 연구도 활발했지만, 최근 일본에서의 위생동물학 연구의 주축은 모기 연구로 옮겨가 연구자 수도 감소하고 있다. 파리 연구가 활발하고 연구자 수도 많았던 시기에는, 일본의 대표적인 지역에서의 파리의 계절 변동이나, 몇몇 대표적인 종에서 서로 다른 온도 환경에서의 발육 속도 데이터도 얻어졌지만, 실용적인 수준에는 아직 필요한 데이터가 부족하다. 따라서 재판에서 증거를 얻는 한 가지 방법으로서 앞으로의 발전이 기대되지만, 현재로서는 아직 어렵다.[1]
오늘날, 미국과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지역별 파리의 계절 변동 등의 데이터가 치밀하게 확보되어, 법의곤충학이 실용적인 수준에 도달하여 범죄 수사나 재판의 중요한 증거가 되고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Forensic Entomology
https://www.exploref[...]
2022-04-10
[2]
웹사이트
Death Scene Insect Succession Study
https://forensic.unl[...]
University of Nebraska–Lincoln
2022-04-10
[3]
웹사이트
Forensic Entomology: The Use of Insects in Death Investigations
https://www.sfu.ca/~[...]
Simon Fraser University
2022-04-10
[4]
논문
Forensic entomology cases in Thailand: a review of cases from 2000 to 2006
2007-10
[5]
웹사이트
Forensic Entomology – Explore Forensics
https://www.exploref[...]
2022-04-10
[6]
논문
A brief history of forensic entomology
2001-08
[7]
서적
Forensic Science and Law: Investigative Applications in Criminal, Civil, and Family Justice
CRC Press, an imprint of Taylor and Francis Group
2006
[8]
서적
T'and-Yin-Pi-Shih: Parallel cases from under the pear-tree
Gibson Press
[9]
서적
The Washing Away of Wrongs
Center for Chinese Studies The University of Michigan
1981
[10]
웹사이트
A History of Microbiology
http://microbes.hist[...]
Historique.net
2003-04-30
[11]
논문
The history of forensic entomology in German-speaking countries
2004-09
[12]
논문
Forensic entomology in criminal investigations
1992-01
[13]
문서
Bledsoe 2008, personal interview
[14]
논문
Forensic entomology in criminal investigations
1992
[15]
논문
Assessment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losses of stored grains due to insect infestation in Ethiopia.
2020
[16]
논문
Use of necrophagous insects as evidence of cadaver relocation: myth or reality?
2017
[17]
웹사이트
Insects help convict killer
http://eggheadblog.u[...]
[18]
웹사이트
Forensic Entomology: Overview, Historical Information, Trends in Forensic Entomology
https://emedicine.me[...]
medscape
2022-03-15
[19]
논문
Toxicological Analysis of Insects on the Corpse: A Valuable Source of Information in Forensic Investigations
2018-09
[20]
논문
Entomotoxicology
2001-08
[21]
논문
First report of human myiasis caused by Chrysomya megacephala and Chrysomya rufifacies (Diptera: Calliphoridae) in Thailand, and its implication in forensic entomology
2005-07
[22]
서적
Advances in forensic taphonomy : method, theory, and archaeological perspectives
http://worldcat.org/[...]
CRC Press
2002
[23]
웹사이트
Finding Crime Clues in What Insects Had For Dinner
https://www.npr.org/[...]
NPR
2015-01-22
[24]
웹사이트
Southeast Texas Applied Forensic Science Facility
http://www.shsu.edu/[...]
STAFS
[25]
논문
Behavioral and Electrophysiological Responses of the Fringed Larder Beetle ''Dermestes frischii'' to the Smell of a Cadaver at Different Decomposition Stages
2020-04
[26]
서적
Handbook of Models for Human Aging
Academic Press
2006-01
[27]
간행물
Molting
Elsevier
2009
[28]
웹사이트
Hairy Maggot Blow Flies
https://www.kznhealt[...]
[29]
웹사이트
Lord of the flies: the insect detectives
https://www.theguard[...]
Guardian News and Media Ltd
2010-09-23
[30]
논문
The Use of the Developmental Rate of the Aquatic Midge Chironomus riparius (Diptera, Chironomidae) in the Assessment of the Postsubmersion Interval
2015-05
[31]
문서
Midgley JM, Richards CS, Villet MH, 2010. The utility of Coleoptera in forensic investigations. In: Amendt J, Campobasso CP, Goff ML, Grassberger M, eds. Current concepts in forensic entomology. Heidelberg: Springer, 57-68.
[32]
웹사이트
Rove Beetles
https://aces.nmsu.ed[...]
New Mexico State University
2006-10
[33]
논문
The ecology and behavior of burying beetles
1998-01
[34]
논문
Temperature models of development for Necrodes littoralis L. (Coleoptera: Silphidae), a carrion beetle of forensic importance in the Palearctic region
2022-06
[35]
논문
Insect rearing protocols in forensic entomology: Benefits from collective rearing of larvae in a carrion beetle Necrodes littoralis L. (Silphidae)
2021-12-01
[36]
백과사전
Scarab beetle
https://www.encyclop[...]
2007
[37]
논문
Occurrence of Poecilochirus austroasiaticus (Acari: Parasitidae) in forensic autopsies and its application on postmortem interval estimation
2013-03
[38]
웹사이트
Corpse fauna
https://australian.m[...]
2022-02-26
[39]
논문
Best practice in forensic entomology--standards and guidelines
2007-03
[40]
논문
A statistical approach based on accumulated degree-days to predict decomposition-related processes in forensic studies
2011-01
[41]
논문
Decomposition and insect succession of pig cadavers in tents versus outdoors - A preliminary study
2023-05
[42]
논문
Factors affecting decomposition and Diptera colonization
2001-08
[43]
웹사이트
Forensic entomology: use of insects to help solve crimes
http://www.clt.uwa.e[...]
2008-03-20
[44]
서적
Current concepts in forensic entomology.
Springer
2010
[45]
논문
Insect succession on buried carrion in two biogeoclimatic zones of British Columbia
1999-01
[46]
서적
A Fly for the Prosecu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2000
[47]
논문
Insect succession pattern on decomposing pig carcasses in water
1972
[48]
서적
Entomology & Death: A Procedural Guide
Joyce's Print Shop, Inc.
1990
[49]
서적
Entomology and the Law: Flies as Forensic Indicato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50]
논문
Entomology and the Law-Flies as Forensic Indicators
2005
[51]
논문
Keys to Genera and Species of Blow Flies of America North of Mexico
https://www.biodiver[...]
[52]
서적
Memoirs on Entomology
Associated
1996
[53]
웹사이트
Dead rat tips
https://www.arabicki[...]
2008-03-19
[54]
논문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humidity changes on insects development their impact on forest ecosystems in the expected climate change
2013-12
[55]
간행물
Advances in entomological methods for estimating time of death
Humana Press
2011
[56]
논문
Identification of fly eggs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or forensic investigations
2008-10
[57]
논문
Morphological descriptions of second and third instar larvae of Hypopygiopsis violacea Macquart (Diptera:Calliphoridae), a forensically important fly in Malaysia
https://pubmed.ncbi.[...]
2010-04
[58]
논문
Identification of forensically important fly eggs using a potassium permanganate staining technique
[59]
논문
Recreating death's acre in the school yard: using pig carcasses as model corpses to teach concepts of forensic entomology & ecological succession.
http://www.nabt.org/[...]
2008-04-01
[60]
서적
Manual of Forensic Taphonomy
CRC Press
[61]
논문
Aging blow fly eggs using gene expression: a feasibility study
2007-11
[62]
논문
Application of DNA-based methods in forensic entomology
2008
[63]
논문
DNA-based identification of forensically important Chrysomyinae (Diptera: Calliphoridae)
2001-08
[64]
논문
Stable isotope analysis of safety matches using isotope ratio mass spectrometry--a forensic case study
2005
[65]
논문
Technology to Determining Geographical Origin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s
2015
[66]
논문
A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insect colonisation and succession on remains in New Zealand
2008-04
[67]
웹사이트
Scarab Workers World Directory
http://www.unl.edu/m[...]
2008-04-14
[68]
서적
Shorter Oxford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