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복정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복정역은 서울특별시 송파구와 성남시 수정구에 걸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서울 지하철 8호선과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이 환승하는 역이다. 1994년 분당선 개통과 함께 운전간이역으로 시작했으며, 1996년 8호선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되었다. 8호선과 수인·분당선은 각각 지하 2층과 지하 3층에 섬식 승강장 형태로 운영되며, 4개의 출구가 있다. 역 주변에는 동서울대학교, 위례신도시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송파구의 전철역 - 종합운동장역 (서울)
    종합운동장역은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서울 지하철 2호선과 9호선이 지나가며, 1980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15년 9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 서울 송파구의 전철역 - 오금역
    오금역은 서울 지하철 3호선과 5호선이 환승되는 지하역으로, 5호선 개통 후 3호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7개의 출입구를 통해 오금동과 가락동으로 연결되고 2025년 3호선 연장이 예정되어 있다.
  • 수도권 전철 8호선의 역 - 산성역
    산성역은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8호선의 지하철역으로, 1996년 남한산성역으로 개통되어 1998년 현재 역명으로 변경되었고, 수도권 전철 중 가장 깊은 역이며, 주변에 교육 및 주거 시설과 남한산성이 있다.
  • 수도권 전철 8호선의 역 - 별내역
    별내역은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2012년 경춘선 개통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2024년 8호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경춘선 갈매역과 퇴계원역 사이, 8호선 다산역 사이에 위치하고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나들목과 인접해 고속도로 접근성이 용이하다.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역 - 압구정로데오역
    압구정로데오역은 서울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수인분당선 지하철역으로, 2012년 개통 이후 압구정로데오거리와 인접하여 이용객이 증가하고 있으며, 역명 제정 과정에서 논란이 있었다.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역 - 오이도역
    오이도역은 2000년에 개통된 안산선 지상역으로,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었으며, 4호선과 수인분당선 열차가 모두 정차하고, 주택단지와 공업단지 인근에 위치한다.
복정역
역 정보
역 이름복정 (동서울대학)
한자 표기福井驛
로마자 표기Bokjeong
부역명동서울대학
노선 정보
노선서울 지하철 8호선
수인·분당선
역 번호820 (서울 지하철 8호선)
K222 (수인·분당선)
위치 정보
주소서울특별시 송파구 장지동 600
운영 정보
운영 기관서울교통공사 (서울 지하철 8호선)
한국철도공사 (수인·분당선)
개업일1994년 9월 1일 (수인·분당선)
1996년 11월 23일 (서울 지하철 8호선)
역사 구조지하역
승강장2개
선로4개
기타 정보
복정역 역명판
복정역 역명판 (서울 지하철 8호선)
복정역 1번 출입구
복정역 1번 출입구 (수인·분당선)
복정역 승강장
복정역 승강장 (서울 지하철 8호선)
수인분당선 역명판
수인분당선 역명판
수인분당선 승강장
수인분당선 승강장

2. 역사

1994년 9월 1일 분당선 수서-오리 구간 개통과 함께 운전간이역으로 처음 설치되었으나, 당시에는 모든 열차가 정차하지 않고 통과했다. 이후 1996년 11월 23일, 서울 지하철 8호선 잠실-모란 구간이 개통하면서 8호선 역이 영업을 시작했고, 같은 날 분당선 역도 배치간이역으로 격상되어 정식으로 영업을 개시하며 환승역이 되었다.[7][2]

분당선 운영 주체는 2005년 1월 1일 한국철도청에서 한국철도공사로 변경되었고, 8호선 운영 주체는 2017년 5월 31일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서울메트로의 통합으로 서울교통공사가 되었다.

2. 1. 서울 지하철 8호선

1996년 11월 23일 서울 지하철 8호선 잠실 ~ 모란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며,[7][2] 수인·분당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개통 당시 운영 주체는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였으나, 2017년 5월 31일 서울메트로와 통합하여 현재는 서울교통공사 소속이다. 역 번호는 820이다.

'''승강장'''


2. 2.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3. 역 구조

복정역은 8호선수인·분당선이 만나는 지하역으로, 상하 2층 구조를 가지고 있다. 지하 2층에는 8호선이, 지하 3층에는 수인·분당선이 운행한다.

두 노선 모두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 구조이며,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복정역은 서울 지하철 8호선 역 중 유일하게 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개찰구는 지하 1층에 있으며, 서울교통공사한국철도공사가 함께 사용한다. 화장실은 개찰구 밖에 위치한다. 출입구는 총 4개가 있다.[3]

3. 1. 환승 구조

수인분당선 측에는 별도의 대합실, 교통카드 발매·충전기, 개찰구가 없어 지하 1층에 있는 8호선의 시설을 공유한다. 따라서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는 8호선 개찰구를 이용하며,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이용 시에도 개찰구 밖으로 나갔다가 15분 이내에 다시 들어오면 환승으로 처리된다.

환승은 8호선 승강장(위)과 수인분당선 승강장(아래) 사이를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 하나로 오르내리는 비교적 단순한 구조이다. 수인분당선 승강장에는 환승 통로와 대합실로 연결되는 계단이 있으며, 역무실도 수인분당선 승강장 내에 위치한다.

두 노선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 구조이다. 특히 복정역은 서울 지하철 8호선 역 중 유일하게 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출구는 총 4개가 있다.

3. 2. 서울 지하철 8호선 승강장

서울 지하철 8호선의 승강장이다. 8호선 역 중 유일하게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가지고 있다.

3. 2. 1. 승강장 구조

수인분당선 측에는 별도의 대합실과 교통카드 발매·충전기, 개찰구가 없으며, 지하 1층에 있는 8호선의 시설(역사, 교통카드 발매·충전기, 개찰구)을 공유한다.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는 8호선 개찰구를 수인분당선과 공유하므로,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이용 시에도 개찰구 밖으로 나갔다가 15분 이내에 다시 들어오면 환승으로 처리된다.

환승 통로는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 하나를 오르내리는 구조로, 8호선 승강장(지하 2층)이 위에, 수인분당선 승강장(지하 3층)이 아래에 위치한다. 수인분당선 역무실은 승강장 내에 있다.

두 노선 모두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며,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총 4개가 있다. 서울 지하철 8호선 역 중 유일하게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가지고 있다.

'''B2F 승강장 (8호선)'''

상행-- 8호선가락시장잠실암사별내 방면
하행-- 8호선산성・남한산성입구단대오거리・모란 방면



8호선 승강장 (2018년 11월 24일)


8호선 역명판 (2018년 11월 24일)


'''B3F 승강장 (수인분당선)'''

1-- 수인・분당선 (하행)모란・죽전수원인천 방면
2-- 수인・분당선 (상행)수서선릉왕십리 방면



수인분당선 승강장 (2018년 11월 24일)

3. 3. 수인·분당선 승강장

수인·분당선 승강장은 지하 3층에 위치하며,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 구조이다.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 번호노선행선지
1-- 수인·분당선 (하행)모란 · 죽전 · 수원 · 인천 방면
2-- 수인·분당선 (상행)수서 · 선릉 · 왕십리 · 청량리 방면


3. 3. 1. 승강장 구조

수인분당선 측에는 별도의 대합실, 교통카드 발매·충전기, 개찰구가 없으며, 지하 1층에 있는 8호선의 시설을 공유한다. 개찰구는 별도로 정산한다. 서울교통공사8호선 개찰구를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과 공유하므로, 수인분당선 이용 시에도 개찰구 밖으로 나갔다가 15분 이내에 다시 들어오면 환승으로 인정된다.

환승 통로는 계단 하나를 오르내리는 구조로, 8호선 승강장이 위에, 수인분당선 승강장이 아래에 위치한다. 수인분당선 측의 역무실은 수인분당선 승강장 내에 있다. 수인분당선 승강장에는 환승 통로와 대합실로 가는 통로를 겸하는 계단이 있으며, 8호선수인분당선 간 환승은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 하나를 이용하면 된다.

두 노선 모두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 구조이며,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총 4개가 있다. 복정역은 8호선 역 중 유일하게 섬식 승강장을 갖춘 역이다.

'''B2F 승강장 (8호선)'''

방면노선행선지
상행-- 8호선가락시장잠실암사별내 방면
하행-- 8호선산성・남한산성입구단대오거리・모란 방면



'''B3F 승강장 (수인분당선)'''

승강장 번호노선행선지
1-- 수인・분당선 (하행)모란・죽전수원인천 방면
2-- 수인・분당선 (상행)수서선릉왕십리 방면



4. 역 주변



'''복정역 출구별 주요 시설 및 방향'''
출구 번호주요 시설 및 방향
1번장지동
2번동서울대학교, 복정동
3번세곡동
4번가든파이브


5. 이용객 변동

wikitext

노선일평균 인원수 (명/일)각주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 8호선승차2,2842,4502,6792,8463,7054,7745,2675,6346,1556,397[10]
하차1,6221,7231,9252,0372,6373,4233,8004,1664,5214,596
승하차3,9064,1734,6054,8836,3428,1969,0669,80010,67610,993
-- 분당선승차11,05893273098701,5451,7651,9252,2302,359[11]
하차16,3560044701,0271,1661,2811,4351,496
노선일평균 인원수 (명/일)각주
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2020년2021년2022년
-- 8호선승차6,6296,6896,5766,9957,8628,0149,54710,93315,312[10]
하차4,6974,6784,5514,8415,7966,0167,3578,74815,386
승하차11,32611,36711,12711,83613,65814,03016,90419,681
-- 분당선승차2,3632,3342,3592,7713,1813,3264,3015,2635,7215,3533,9184,2354,299[11]
하차1,4911,4801,5091,7792,2042,3633,2294,1294,5664,4193,3733,7093,650


6. 사진

1번 출입구 모습 (2018년 11월)

참조

[1] 웹사이트 복정역 https://terms.naver.[...] 2019-05-31
[2] 간행물 철도청고시 제1996-63호 http://theme.archive[...] 1996-11-18
[3] 웹사이트 http://www.smrt.co.k[...]
[4] 웹사이트 http://smrt.co.kr/pr[...]
[5] 웹사이트 http://info.korail.c[...]
[6] 뉴스 https://news.naver.c[...]
[7] 간행물 철도청고시 제1996-63호 http://theme.archive[...] 1996-11-18
[8]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2003-21호
[9]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12-610호 http://gwanbo.mois.g[...] 2012-09-18
[10] 웹사이트 http://www.seoulmetr[...]
[11] 웹인용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https://info.korail.[...] 2022-04-2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